WO2021096073A1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Google Patents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6073A1
WO2021096073A1 PCT/KR2020/013919 KR2020013919W WO2021096073A1 WO 2021096073 A1 WO2021096073 A1 WO 2021096073A1 KR 2020013919 W KR2020013919 W KR 2020013919W WO 2021096073 A1 WO2021096073 A1 WO 20210960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t
casing member
straw
straw body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39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김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주 filed Critical 김한주
Publication of WO20210960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60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washable straw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t of washable straws that can be reused hygienically by being able to easily wash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 straws are used to consume liquid beverages.
  • Conventional straws are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durability, storage, and transport, and is easy to manufacture in mass, and is widely used for single use.
  • a straw made of a paper material is structurally weak in hardness and is easily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during the distribution process, so that it often fails to function as a straw.
  • a straw made of a paper material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liquid for a long time, it is softened and the shape of the straw itself is not maintained, so that it cannot function properly.
  • the shape of the straw itself is maintained before and after use of the conventional straw.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straw made of a long cylindrical shape in one direction.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raw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use in terms of hygien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t of washable straws that can be reused hygienically by being able to easily wash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w body in which a flow path through which drinking water flows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and a first slit exposing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traw body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raw body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r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It includes a casing member having a sli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ca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traw body, the first slit provides a washable straw set that is closed by the casing member.
  •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traw body and a casing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ving a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wash the inside of each by spreading it to both sides around the slit after use.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w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of the straw body (a) and the casing member (b) of the straw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w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of a casing member of a straw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aw body in which a flow path through which drinking water flows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and a first slit exposing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nd a second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traw body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raw body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or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It includes a casing member having a sli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en the ca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traw body, the first slit provides a washable straw set that is closed by the casing member.
  • the straw body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whe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lit are 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he straw body is elastically deformed, thereby enabling washing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or both sides of the first slit in the width direction.
  • the pressure is released, i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to a cylindrical shape.
  • the cas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when pressing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econd sli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it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straw bod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separated or the receiving groove is When the straw body can be inserted and the pressur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lit in the width direction is released, it can be elastically restored to a cylindrical shape.
  • the casing member includes a guide protrusion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acing the second slit,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en the casing member is coupled to the straw body, the first slit Can be inserted.
  •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lit, and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elastically pressed by each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slit.
  • the guide protrusion may protrude toward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straw body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 the straw set 100 is a straw set made to be hygienically reused by being able to easily wash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 the straw 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lude a straw body 110 and a casing member 120.
  • the straw body 1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At this time, inside the straw body 110, a flow path 111 through which drinking water flows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opened to introduce the drinking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into the flow path 111. Correspondingly, the upp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w body 110 is similarly opened to discharge the drinking water flowing into the flow path 111 from the flow path 111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flow path 11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by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d straw body 110.
  • the straw body 110 includes a first slit 112.
  • the first slit 1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irst slit 112 is formed parallel to the flow path 111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length direction, and exposes the flow path 111 to the outside in a lateral direction.
  • the straw body 110 is coupled to the casing member 120, and at this time, the first slit 112 is a casing member
  • the closed flow path 111 is sec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closed by 120,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the straw body 1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 the straw body 110 may be made of rubber.
  • the straw body 110 since the drinking water flows through the flow path 11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body 110 partitioning the flow path 11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nking water. Therefore, in order to hygienically reuse the straw body 110,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body 110 must be cleaned. Since the straw bod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has a first slit 112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cle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body 110, FIG. 4 It is enough to open the first slit 11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a) of.
  • the cylindrical straw body 110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a substantially plate shape,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body 110 can be easily cleaned.
  • the cylindrical shap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was almost impossible to clean.
  • the casing member 1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longated in one direction.
  • a receiving groove 121 accommodating the straw body 110 is formed in the cas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outer diameter of the casing member 120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w body 110.
  • the inner diameter of the casing member 120 is formed to be the same siz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w body 110. 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body 1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120.
  • the casing member 1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traw body 110.
  •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s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ed straw body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eceiving groove 12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by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member 120 that is open.
  • the casing member 120 includes a second slit 122.
  • the second slit 122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raw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1 or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21.
  • the second slit 1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cond slit 122 is formed parallel to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s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s the receiving groove 121 to the out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second slit 122 is positio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slit 112. Accordingly, the first slit 112 is covered by the casing member 120, and the second slit 122 is covered by the straw body 110, so that a stable flow path 111 is secured.
  • the casing member 1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raw body 110.
  • the casing member 1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ccordingly, wash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120, inserting the straw body 110 into the receiving groove 121 of the casing member 120, or separating the straw body 1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 the second slit 122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dified example shown in FIG. 4B.
  • the cylindrical casing member 120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the straw body 1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21 Can be easily separated, the straw body 11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1,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120 can be conveniently cleaned.
  • the casing member 120 is again It is elastically resto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us it is in a usable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it can be combined with the straw body 110.
  • the casing member 120 is formed to include a guide protrusion 123.
  • the guide protrusion 123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120 facing the second slit 122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guide protrusion 123 is formed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120.
  • the guide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provided in the straw body 110.
  • the moveme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raw body 110 is restrained, and the flow path 111 formed inside the straw body 110 forms a sealed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forming the flow path 111 Stable flow of drinking water is possible through this.
  • the guide protrusion 123 is provided with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slit 112. Accordingly, when the guide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both sides of the guide protrusion 123 in the width direction are elastically pressed by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slit 112 in the width direction, and as a result ,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straw body 110 is constrained, thereby achieving a stable structure.
  • the guide protrusion 123 protrudes toward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straw body 110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In this way, when the guide protrusion 12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when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123 protrudes toward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straw body 110, the straw body 110 will be more stably supported. You will be able to. That is,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FIG. 5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w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raw set 200 is formed to include a straw body 110 and a casing member 220.
  • the casing member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lural.
  • the casing member 220 provided in three is illustrat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as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such as two or four or more.
  • the total length of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arranged in one direction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traw body 110.
  •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 Each of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has a receiving groove 221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each receiving groove 221 forms a single receiving groove (111 in FIG. 1) for receiving the straw body 110.
  • each of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has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 each of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includes a second slit 222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slits 2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single passage through which the straw body 110 is inserted or separated.
  • a guide protrusion 223 facing the second slit 222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sing members 220.
  • each of the guide protrusions 22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slit 112 provided in the straw body 110 .
  • a portion of the second slit 122 of the casing membe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pread to both sides, and then the straw body 110 is On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ushed in, and then, the guide protrusion 123 of the casing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of the straw body 110, and the same operation is continu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ust be done continuously.
  • the elastic deformation force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re simultaneously appli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mbine them at once.
  • the casing member 220 is divided into thre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uple the straw body 110 and the casing member 220 relatively easily.
  •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deformation of a casing member of a straw s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sing member 3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extends long in one direction.
  • the casing member 3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 a receiving groove 321 for accommodating the straw body (110 in FIG. 1) is formed in the casing member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member 320 are ope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ed straw body 110.
  • a second slit 32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eceiving groove 321 is laterally exposed to the outside.
  • the casing member 320 includes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320.
  •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member 320 and spaced apart.
  •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ar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asing member 32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casing member 320, respectively.
  • a pair of guide protrusions 323 are formed to face the second slit 322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straw body 110 and the casing member 320 are combined, the straw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3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casing member 320, and the upper side Since only the guide protrusion 323 of the lower side and the guide protrusion 323 of the lower side ne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slit 112 of the straw body 110, the straw body 110 and the casing member 320 can be more easily combined. There will be. In addition, rotation of the straw body 1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ufficiently suppressed by only the upper and lower guide protrusions 323.
  • the casing member 3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guide protrusions 323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making the straw body 110 and the casing member 320 easier. Can be combined together.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본 발명은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대는 액상의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빨대는 내구성, 보관성, 운반성이 우수하고, 대량 제조가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일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환경 문제가 부각되면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빨대의 사용을 자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 역시, 종이, 나무, 금속, 유리 재질의 빨대로 대체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는 구조적으로 내구강도가 약하여 유통 과정 중에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빨대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또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의 경우, 장시간 액체와 접촉하게 되면, 연화되어 빨대 자체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의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세척 및 소독을 거치지 않으면 반복 사용할 수 없고,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빨대는 사용 전과 사용 후에도 빨대 자체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빨대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빨대는 위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빨대 본체 및 케이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슬릿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 각각의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 본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부재 간의 결합 시 빨대 본체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상태에서 빨대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부재를 복수 개로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부재 간의 결합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 본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케이싱부재의 가이드돌기를 상, 하측 부분에만 형성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 부재 간의 결합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빨대 본체(a) 및 케이싱부재(b)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케이싱부재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빨대 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내주면에 대한 세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빨대 본체의 분리 또는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빨대 본체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제2 슬릿과 마주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폭 방향 양측부는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상기 빨대 본체의 내경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빨대 세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는 빨대 본체(110) 및 케이싱부재(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빨대 본체(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는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1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하단은 용기에 담겨있는 음용물을 유동로(111)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은 유동로(111)로 유입되는 음용물을 유동로(111)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찬가지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동로(111)는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본체(110)는 제1 슬릿(112)을 구비한다. 제1 슬릿(112)은 빨대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슬릿(112)은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동로(111)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유동로(111)를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를 사용하여 음용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빨대 본체(110)는 케이싱부재(120)와 결합되고, 이때, 제1 슬릿(112)은 케이싱부재(120)에 의해 폐쇄되어 길이 방향으로 밀폐형 유동로(111)가 확보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빨대 본체(11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빨대 본체(110)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음용물은 유동로(111)를 통해 유동되므로, 유동로(111)를 구획하는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은 음용물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빨대 본체(110)를 위생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세척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본체(11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릿(1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변형 예시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슬릿(112)을 벌려주면 된다. 즉,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원통 형상의 빨대 본체(110)가 대략 판상으로 탄성 변형되어,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통 형상인 경우 세척이 거의 불가능하였던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 부분의 내주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에 대한 세척 완료 후,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빨대 본체(110)는 다시 원통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케이싱부재(1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케이싱부재(120)의 내부에는 빨대 본체(110)를 수용하는 수용홈(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케이싱부재(120)의 외경은 빨대 본체(1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케이싱부재(120)의 내경은 빨대 본체(1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홈(121)에 수용되는 빨대 본체(110)의 외주면은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케이싱부재(120)는 빨대 본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부재(1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상응하는 형태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21)은 개구되어 있는 케이싱부재(1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120)는 제2 슬릿(122)을 구비한다. 제2 슬릿(122)은 빨대 본체(110)가 수용홈(121)에 삽입되거나 수용홈(121)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슬릿(122)은 케이싱부재(1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슬릿(122)은 케이싱부재(1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21)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수용홈(121)을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케이싱부재(120)가 빨대 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2 슬릿(122)은 제1 슬릿(112)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릿(112)은 케이싱부재(120)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제2 슬릿(122)은 빨대 본체(110)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안정적인 유동로(111)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케이싱부재(120)는 빨대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부재(1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을 세척하거나 케이싱부재(120)의 수용홈(121)으로 빨대 본체(110)를 삽입 또는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4의 (b)에 도시한 변형 예시의 반대 방향으로 제2 슬릿(122)을 벌려주면 된다.
즉, 제2 슬릿(122)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원통 형상의 케이싱부재(120)가 대략 판상으로 탄성 변형되어,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수용홈(121)으로 빨대 본체(110)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빨대 본체(110)의 삽입이나 분리 또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한 세척 완료 후, 제2 슬릿(122)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케이싱부재(120)는 다시 원통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 즉, 빨대 본체(110)와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120)는 가이드돌기(1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23)는 제2 슬릿(1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23)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23)는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가 결합될 때, 빨대 본체(11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슬릿(11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이 구속됨과 아울러,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로(111)는 길이 방향으로 밀폐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유동로(111)를 통한 음용물의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23)는 제1 슬릿(112)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123)가 제1 슬릿(112)에 삽입되는 경우, 가이드돌기(123)의 폭 방향 양측부는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되며, 그 결과,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돌기(123)는 제1 슬릿(112)에 삽입 시 빨대 본체(110)의 내경 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123)가 제1 슬릿(112)에 삽입되는 경우, 가이드돌기(123)의 단부가 빨대 본체(110)의 내경 측으로 돌출되면, 빨대 본체(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200)는 빨대 본체(110) 및 케이싱부재(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케이싱부재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22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구비되는 케이싱부재(220)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케이싱부재(220)는 2개 혹은 4개 이상 등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의 전체 길이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에 상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내부에 수용홈(2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수용홈(221)은 빨대 본체(110)를 수용하는 단일 수용홈(도 1의 111)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릿(222)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제2 슬릿(22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빨대 본체(1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단일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의 내주면에는 제2 슬릿(2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가이드돌기(223)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빨대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 슬릿(112)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게 된다.
여기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이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싱부재(도 1의 120)의 가이드돌기(도 1의 123)를 삽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케이싱부재(120)의 제2 슬릿(122)의 길이 방향 일측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그 사이로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 부분을 밀어 넣고, 그 다음,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케이싱부재(120)의 가이드돌기(123)를 삽입하게 되는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와 같은 작업을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하지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의 특성 상 탄성 변형력과 탄성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되어 한 번에 이들을 결합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케이싱부재(220)가 삼등분 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220)를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케이싱부재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싱부재(3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싱부재(320)의 내부에는 빨대 본체(도 1의 110)를 수용하는 수용홈(3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부재(3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상응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부재(320)의 일측에는 제2 슬릿(3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홈(321)을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이격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상단측과 인접한 내주면 및 케이싱부재(320)의 하단측과 인접한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제2 슬릿(3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의 결합 시, 빨대 본체(110)를 케이싱부재(3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3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의 가이드돌기(323)와 하측의 가이드돌기(323)만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삽입하면 되므로,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를 보다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 하측 가이드돌기(323)만으로도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회전은 충분히 억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323)가 삽입되지 않은 제1 슬릿(112)의 일측 영역(도면 기준 가운데 영역)은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가이드돌기(323)가 삽입되지 않은 영역이 제1 슬릿(112)에 존재하여도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의 결합 시 밀폐형 유동로(111)를 확보하는데 에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23)를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를 보다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내주면에 대한 세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빨대 본체의 분리 또는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빨대 본체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제2 슬릿과 마주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폭 방향 양측부는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상기 빨대 본체의 내경 측으로 돌출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PCT/KR2020/013919 2019-11-12 2020-10-13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WO20210960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42A KR20210057594A (ko) 2019-11-12 2019-11-12 분리세척 가능한 조립식 빨대 세트
KR10-2019-0144542 2019-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073A1 true WO2021096073A1 (ko) 2021-05-20

Family

ID=7591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3919 WO2021096073A1 (ko) 2019-11-12 2020-10-13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7594A (ko)
WO (1) WO20210960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555A (ko) 2021-06-23 2022-12-30 김종재 리유저블 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5524A (ja) *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
KR20180001331A (ko) * 2016-06-27 2018-01-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US20180352983A1 (en) * 2017-06-12 2018-12-13 April Allen Separable drinking straw to facilitate cleaning of internal walls
US20190038058A1 (en) * 2017-08-07 2019-02-07 Dana L. Abbott-Glazier Reusable straw assembly
CN110101276A (zh) * 2019-05-14 2019-08-09 上海辰薪实业有限公司 一种可清洗吸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411A (ko) 2017-09-05 2017-09-25 김민구 미끄럼방지 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5524A (ja) *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
KR20180001331A (ko) * 2016-06-27 2018-01-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US20180352983A1 (en) * 2017-06-12 2018-12-13 April Allen Separable drinking straw to facilitate cleaning of internal walls
US20190038058A1 (en) * 2017-08-07 2019-02-07 Dana L. Abbott-Glazier Reusable straw assembly
CN110101276A (zh) * 2019-05-14 2019-08-09 上海辰薪实业有限公司 一种可清洗吸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94A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6073A1 (ko)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WO2010140857A9 (en) Module case and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ing the same
US5993437A (en) Catheter connector
WO2010131880A2 (ko) 분리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WO2019199074A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WO2018044014A1 (en) A testing device
KR102064716B1 (ko)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WO2015111823A1 (ko) 완구 블록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EP2193378B1 (en) Reagent container system
WO2022197126A1 (ko) 용기 장착용 니들 어셈블리
WO2016036057A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실링부재
WO2024063504A1 (ko) 빠짐 방지용 빨대
WO2019216483A1 (ko) 생리컵용 역류방지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컵
WO2011046384A2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WO2013048088A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WO2016099173A1 (ko) 음료용기용 뚜껑
WO2018208033A1 (ko) 배출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용기
WO2019240536A1 (ko) 캡을 갖는 타이어용 공기주입구
USD278653S (en) Centrifuge tube for separating and washing red blood cells
WO2020218864A1 (ko) 탈부착식 빨대
WO2024071962A1 (ko) 화장품 용기
WO2021162140A1 (ko)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KR200158191Y1 (ko) 튜브 컨넥터
WO2024014774A1 (ko) 액상용기용 인입구부(引入口部)에 결합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85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02/09/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885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