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99173A1 - 음료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99173A1
WO2016099173A1 PCT/KR2015/013862 KR2015013862W WO2016099173A1 WO 2016099173 A1 WO2016099173 A1 WO 2016099173A1 KR 2015013862 W KR2015013862 W KR 2015013862W WO 2016099173 A1 WO2016099173 A1 WO 20160991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straw
lid
perforations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38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명재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주)
Publication of WO20160991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9917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B65D47/06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with flexible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even if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selectively plugs a variety of thickness.
  • a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lid, a cross (+) or a circular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lid so that the straw can be used.
  • the inserts are mostly machined to a large enough siz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straws.
  • the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such an insert has been previously fil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87702.
  • the insertion portion provided in the lid is conventionally largely processed to mix straws of different thicknesses. If you use a relatively thin straw, the straw will tilt to one side in the insert. In this case, the user may have to use the cup by turning the cup toward the biased straw or by rearranging the straw.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can maintain the independence even if you selectively use a straw of various thickness on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can easily stir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using the independent straw To provide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insert portion of the lid and the straw inserted therein.
  •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traw insertion unit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basis of an arbitrary point of the body portion, and a dotted line perforated cutout is formed at an end of the linear perforation.
  • the linear perforated portion, the insertion portion is b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w is inserted, or the opposite direc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aw;
  •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traw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inear perforation is radially spaced apart from the axis of the circular perforation.
  • the circular perfora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r perforation depending on whether a straw is inserted, wherein the cover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ircumferences of the circular perfor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raight perfora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rning and opening and closing.
  • cuttable dotted perforations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 the inser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 recess formed in the curvature formed on the body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 linear perfo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ee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round perforation and a radial perforation formed on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or a straight perforation and a dashed perforation formed to be cut to the end of the perforated line and select the straw of various thickness Even when plugged in, the independence can be maintained, the cont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squeezed by using the independent straw, and the contents can be leaked to the outside 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insert portion of the lid and the straw inserted there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 FIG.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FIG.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where three linear perfora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tate in which straws of various thicknesse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of FIG. 1,
  •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 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aw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ck straw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first embodiment of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of three linear perfora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d 100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coupled to the opening (1a) of the beverage container (1)
  • the linear perforations 123 are radially spaced based on an arbitrary point of the 110, and the straw inserting unit 120 is formed to extend the dotted perforations 125 formed at the ends of the straight perforations 123. It is done.
  • the straight hole 123 is provided to accommodate a straw S1 (hereinafter, a thin straw) having a minimum thickness, and is formed with the same radius based on an arbitrary point.
  • a straw S1 hereinafter, a thin straw
  • Three or more such linear perforations 123 are preferably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linear perforations 123 may be three to five, preferably four. In other words, when three linear perforations 123 are supported by a three-point support method for straws, and four linear perforations 123 are more stable by supporting straws by four-point support methods. Can make the straw (S) freestanding. Of course, if possible, the five-point support system could be stable.
  • the dotted perforation 125 is formed with the same radius larger than that of the straight perforation 123, and serves to accommodate a thicker straw S2 than the thin straw S1.
  • the thin straw (S1) suppor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S1) without tearing the instant the dotted line perforation 12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120 while the straight hole (123) is folded.
  • the thick straw S2 may be inserted while cutting the straight line 123 and cutting the dotted line 125, and may have independence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folded portion of the insertion part 120.
  • Insertion portion 120 of this structure may be formed both in the concave portion 111 (see Fig. 6) or a flat portion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110.
  •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d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the slender straw S1, in particular, the straight hole 123 in the lid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inters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123a for bending the insertion part 1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w is inserted or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S1.
  • the support part 123a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at can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S1. Accordingly, when the thin straw S1 is us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20, the support part 123a may have independence as the pressure Ssuppor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aw S1.
  • 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6, showing that the insertion portion 12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 the insertion portion 120 is formed with a circular perforation 121 at any point of the body portion 110, three on the basis of the axis of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 four linear perforations 12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radially spaced intervals are formed.
  •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may further include a cover 12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w S1 is inserted.
  • a cover 122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depending on whether the straw S1 is inserted.
  • the cover 122 does not insert the straw S1
  • foreign matter enters the beverage container 1 through the open circular hole 121, or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 leak out. It serves to prevent.
  • the cover 122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circumferences 121a of the circular perforations 121a of the plurality of circular perforations 121 divided by the straight perforations 123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22a, and is opened and closed.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122a serves as a hinge axis.
  • the cover 122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that is added to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but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part of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is left without cutting all the circumferential lengths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so as to reduce the workmanship during manufacturing.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ortion 122a.
  • Insertion portion 120 of this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id 100 is formed with a recess 111 of a predetermined curvature. That is,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is form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concave portion 111, and the linear perforation 123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has a beverage container (by the structure of the concave portion 111).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w is inserted) of 1). Therefore, when inserting a thin straw S1 into the insertion part 120, the circumference 121a of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divided into a plurality by the linear perforations 123 smoothly 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w S1. The straw (S1) will have the independence accordingly.
  • the end of the linear perforation 123 may be formed to extend the cut perforated dotted line 125 (not shown)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by receiving only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and the linear perforation 123 only It is also possible to accommodate a thick straw (S2) that can not be.
  • the lid 100 for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aw (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0 has a self-reliance to easily stir or drink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 You can easily and easily use straws of various thicknesses.
  • the straw (S) is provided with a cover 12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foreign matter in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circular perforation 121 opened when the straw (S) is not in use It can prevent the case from entering or overflowing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뚜껑에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꽂아 사용하더라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립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수월하게 저을 수 있으며, 뚜껑의 삽입부와 이에 삽입된 빨대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료용기(1)의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임의 지점을 기준으로 직선타공(123)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직선타공(123)의 끝단에 절취가능한 점선타공(125)이 연장형성되는 빨대 삽입부(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음료용기의 뚜껑에 원형타공 및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직선타공, 또는 직선타공과 그 끝단에 절취가능하게 연장형성되는 점선타공을 구비해줌으로써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꽂아 사용하더라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립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수월하게 저을 수 있으며, 뚜껑의 삽입부와 이에 삽입된 빨대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시켜줄 수 있음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뚜껑
본 고안은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뚜껑에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꽂아 사용하더라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음료용기는 뚜껑이 구비되며, 뚜껑의 중심부에는 빨대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십자(+) 또는 원형의 삽입부가 관통 형성된다. 삽입부는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 넉넉한 사이즈로 가공된다. 이러한 삽입부가 구비된 음료용기 뚜껑에 대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5-0087702호로 선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뚜껑에 구비된 삽입부는 굵기가 서로 다른 빨대를 혼용하기 위해 대부분 크게 가공된다. 상대적으로 굵기가 가느다란 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빨대가 삽입부 내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빨대가 치우친 쪽으로 컵을 돌려잡거나, 또는 빨대를 다시 정렬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빨대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삽입부 내에 낀 경우에는 생크림 등의 내용물을 섞을 때 불편하며, 빨대로 인해 꺾였던 삽입부가 갑자기 펴지면서 내용물이 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가느다란 빨대에 맞게 삽입부를 작게 형성하면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혼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음료용기의 뚜껑에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꽂아 사용하더라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립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수월하게 저을 수 있으며, 뚜껑의 삽입부와 이에 삽입된 빨대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시켜줄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은, 음료용기의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임의 지점을 기준으로 직선타공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직선타공의 끝단에 절취가능한 점선타공이 연장형성되는 빨대 삽입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직선타공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상기 삽입부가 빨대가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빨대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해주는 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은, 음료용기의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임의 지점에 원형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타공의 축선을 기준으로 직선타공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되는 빨대 삽입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타공은, 빨대의 삽입여부에 따라 상기 원형타공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직선타공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원형타공의 원주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어 선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타공의 끝단에는, 절취가능한 점선타공;이 연장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몸체부 상에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오목부 내에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선타공은,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뚜껑에 원형타공 및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직선타공, 또는 직선타공과 그 끝단에 절취가능하게 연장형성되는 점선타공을 구비해줌으로써 다양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꽂아 사용하더라도 자립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자립된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수월하게 저을 수 있으며, 뚜껑의 삽입부와 이에 삽입된 빨대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시켜줄 수 있음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1실시예,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타공이 3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삽입부에 다양한 굵기의 빨대가 삽입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2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3실시예,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빨대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에 굵은 빨대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타공이 3개인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100)은, 음료용기(1)의 개구(1a)에 결합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임의 지점을 기준으로 직선타공(123)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됨과 아울러 직선타공(123)의 끝단에 절취가능한 점선타공(125)이 연장형성되는 빨대 삽입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직선타공(123)은 최소 굵기의 빨대(S1)(이하, 가느다란 빨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임의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 반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직선타공(123)은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직선타공(123)은 세 개 내지 다섯 개, 바람직하게는 네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직선타공(123)이 세 개인 경우에는 빨대(S)를 3점 지지방식으로 지지해주게 되고, 직선타공(123)이 네 개인 경우에는 빨대(S)를 4점 지지방식으로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빨대(S)를 자립시켜줄 수 있다. 물론 가능하다면 5점 지지방식도 안정적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점선타공(125)은 직선타공(123)에 비해 좀 더 큰 동일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느다란 빨대(S1)에 비해 좀 더 굵은 빨대(S2)를 수용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가느다란 빨대(S1)가 직선타공(123)을 젖히며 삽입부(120) 내에 삽입되는 순간 점선타공(125)은 뜯어지지 않고 빨대(S1)의 외주면을 지지해준다. 굵은 빨대(S2)는 직선타공(123)을 젖힘과 아울러 점선타공(125)을 절취하며 삽입되며, 삽입부(120)의 젖혀진 부위와 맞닿게 되면서 자립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삽입부(120)는 몸체부(110)의 중심에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오목부(111)(도 6 참조) 또는 평탄한 부위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2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은 특히 가느다란 빨대(S1)의 자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에서 직선타공(123)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삽입부(120)가 빨대가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빨대(S1)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해주는 지지부(123a)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23a)는 빨대(S1)의 외주면을 감싸줄 수 있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느다란 빨대(S1)를 삽입부(120)에 끼워 사용하는 경우 지지부(123a)가 빨대(S1) 외주면을 가압 지지해줌에 따라 자립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의 제3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로, 상기 삽입부(120)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삽입부(120)는 몸체부(110)의 임의 지점에 원형타공(121)이 형성되고, 원형타공(121)의 축선을 기준으로 세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직선타공(123)이 방사상으로 일정각도 이격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원형타공(121)에는 가느다란 빨대(S1)의 삽입여부에 따라 원형타공(1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커버(1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122)는 빨대(S1)를 삽입하지 않은 경우 개방된 원형타공(121)을 통해 음료용기(1)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또는 음료용기(1) 내에 수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122)는 직선타공(123)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원형타공(121)의 원주(121a) 중 어느 하나에 연결부위(122a)를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선회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부위(122a)는 힌지축 역할을 한다.
커버(122)는 원형타공(121)에 덧붙이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작시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원형타공(121)의 가공시 원주길이 전부를 절단하지 않고 일부를 남겨놓는 방식으로 연결부위(1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삽입부(120)는 소정 곡률의 오목부(111)가 형성된 뚜껑(10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타공(121)은 오목부(111)의 중심축선 상에 형성되고, 원형타공(121)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직선타공(123)은 오목부(111)의 구조에 의해 음료용기(1)의 내측(빨대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부(120)에 가느다란 빨대(S1)를 삽입하는 경우 직선타공(123)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원형타공(121)의 원주(121a)가 빨대(S1)의 외주면을 원활하게 가압지지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빨대(S1)가 자립성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굵은 빨대(S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타공(123)이 음료용기(1) 내측으로 젖혀지면서 삽입부(120)가 확장된다.
한편, 직선타공(123)의 끝단에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취가능한 점선타공(125)(미도시)이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원형타공(121) 및 직선타공(123) 만으로 수용할 수 없는 굵은 빨대(S2)를 수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뚜껑(100)은,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빨대(S)가 자립성을 가지게됨으로써 음료용기(1) 내에 수납된 내용물을 수월하게 젓거나 음용할 수 있고, 다양 한 굵기의 빨대를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빨대(S)의 사용여부에 따라 원형타공(121)을 개폐시켜주는 커버(122)를 구비해줌에 따라, 빨대(S)의 미사용시 개구된 원형타공(121)을 통해 음료용기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넘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기
100 : 뚜껑
110 : 몸체부
111 : 오목부
120 : 빨대 삽입부
121 : 원형타공
121a : 원주
122 : 커버
122a : 연결부위
123 : 직선타공
123a : 지지부
125 : 점선타공
S : 빨대
S1 : 가느다란 빨대
S2 : 굵은 빨대

Claims (7)

  1. 음료용기(1)의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임의 지점을 기준으로 직선타공(123)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직선타공(123)의 끝단에 절취가능한 점선타공(125)이 연장형성되는 빨대 삽입부(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타공(123)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상기 삽입부(120)가 빨대(S)가 삽입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빨대(S)의 외주면에 맞닿아 지지해주는 지지부(123a);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3. 음료용기(1)의 개구에 결합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임의 지점에 원형타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타공(121)의 축선을 기준으로 직선타공(123)이 방사상으로 이격형성되는 빨대 삽입부(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타공(121)은,
    빨대(S)의 삽입여부에 따라 상기 원형타공(1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커버(1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122)는 직선타공(123)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원형타공(121)의 원주(121a)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연결되어 선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타공(123)의 끝단에는,
    절취가능한 점선타공(125);이 연장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상에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오목부(111) 내에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타공(123)은,
    세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뚜껑.
PCT/KR2015/013862 2014-12-17 2015-12-17 음료용기용 뚜껑 WO201609917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306 2014-12-17
KR2020140009306U KR20160002199U (ko) 2014-12-17 2014-12-17 음료용기용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173A1 true WO2016099173A1 (ko) 2016-06-23

Family

ID=5612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3862 WO2016099173A1 (ko) 2014-12-17 2015-12-17 음료용기용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2199U (ko)
WO (1) WO20160991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43S1 (en) 2019-08-30 2022-03-01 Seda International Packaging Group Spa Paper lid
WO2023249061A1 (ja) * 2022-06-22 2023-12-28 株式会社Ky7 蓋体、蓋体付き容器、蓋体と容器の組み合わ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1661A1 (en) * 2021-03-08 2022-09-08 Smoodi, Inc. Blend through cup l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065A (en) * 1991-11-04 1992-09-15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isposable cup lid having a tear-resistant straw slot
US20040084452A1 (en) * 2002-10-16 2004-05-06 Wu-Chang Hsieh Multifunctional drinking cup structure
JP2010137902A (ja) * 2008-12-15 2010-06-24 Nippon Dekishii:Kk 飲料容器用蓋
JP2010280419A (ja) * 2009-06-05 2010-12-16 Nippon Straw Co Ltd 逆伸縮ストローの差し込み口を有する被せ蓋
US20110204057A1 (en) * 2008-08-29 2011-08-25 Kouji Hayashi Lid of beve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065A (en) * 1991-11-04 1992-09-15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isposable cup lid having a tear-resistant straw slot
US20040084452A1 (en) * 2002-10-16 2004-05-06 Wu-Chang Hsieh Multifunctional drinking cup structure
US20110204057A1 (en) * 2008-08-29 2011-08-25 Kouji Hayashi Lid of beverage container
JP2010137902A (ja) * 2008-12-15 2010-06-24 Nippon Dekishii:Kk 飲料容器用蓋
JP2010280419A (ja) * 2009-06-05 2010-12-16 Nippon Straw Co Ltd 逆伸縮ストローの差し込み口を有する被せ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4643S1 (en) 2019-08-30 2022-03-01 Seda International Packaging Group Spa Paper lid
WO2023249061A1 (ja) * 2022-06-22 2023-12-28 株式会社Ky7 蓋体、蓋体付き容器、蓋体と容器の組み合わ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199U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9173A1 (ko) 음료용기용 뚜껑
US11214405B2 (en) Multisensory examination jar for botanical specimens
CA2328370A1 (en) Disposable cup lid having foldback retainer
US4106133A (en) Contamination prevention device for sitz bath
PT1063956E (pt) Tampa adaptadora melhorada
EP1066882A3 (en) Specimen collection assembly with cap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BR0106496A (pt) Conjunto de cruz para junta universal
WO2018038320A1 (ko) 펌프 용기
WO2014116030A1 (ko)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용기
WO2011046384A2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CA2379314A1 (en) Tablet for sucking, containing ambroxol
EP1387247A3 (en)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stack and unstack java local variables
USD374476S (en) Cylindrical cage for a filter
US20180361133A1 (en) Intravenous line port cover
WO2020060250A1 (ko) 반려동물 급수기
WO2017052175A1 (ko) 노출형 패킹이 구비된 밀폐용기
WO2001032068A3 (en) Time-released substance delivery device
US1962639A (en) Hygienic mouthpiece
USD412673S (en) Miter-marking guide for drywall-trimming strips
CN213075971U (zh) 一种一次性多功能皮肤保护套
CN211673616U (zh) 一种筷子筒
WO2020218864A1 (ko) 탈부착식 빨대
WO2017034091A1 (ko) 수액백용 배액포트
WO2012115381A2 (en) Container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70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D 04/1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70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