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716B1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Google Patents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4716B1 KR102064716B1 KR1020190103753A KR20190103753A KR102064716B1 KR 102064716 B1 KR102064716 B1 KR 102064716B1 KR 1020190103753 A KR1020190103753 A KR 1020190103753A KR 20190103753 A KR20190103753 A KR 20190103753A KR 102064716 B1 KR102064716 B1 KR 1020647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
- slit
- casing member
- longitudinal direc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대는 액상의 음료를 섭취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빨대는 내구성, 보관성, 운반성이 우수하고, 대량 제조가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일회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환경 문제가 부각되면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일회용 빨대의 사용을 자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 역시, 종이, 나무, 금속, 유리 재질의 빨대로 대체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는 구조적으로 내구강도가 약하여 유통 과정 중에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빨대로서의 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또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의 경우, 장시간 액체와 접촉하게 되면, 연화되어 빨대 자체의 형상이 유지되지 않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테인리스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의 경우에는 제조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세척 및 소독을 거치지 않으면 반복 사용할 수 없고,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종래의 빨대는 사용 전과 사용 후에도 빨대 자체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빨대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빨대는 위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재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빨대 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내주면에 대한 세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빨대 본체의 분리 또는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빨대 본체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제2 슬릿과 마주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폭 방향 양측부는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상기 빨대 본체의 내경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빨대 본체 및 케이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 후 슬릿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 각각의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 본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를 케이싱부재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부재 간의 결합 시 빨대 본체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정적인 상태에서 빨대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부재를 복수 개로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부재 간의 결합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빨대 본체의 슬릿에 삽입되는 케이싱부재의 가이드돌기를 상, 하측 부분에만 형성함으로써, 빨대 본체와 케이싱 부재 간의 결합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빨대 본체(a) 및 케이싱부재(b)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케이싱부재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빨대 본체(a) 및 케이싱부재(b)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케이싱부재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 대한 간편 세척이 가능하여 위생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빨대 세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는 빨대 본체(110) 및 케이싱부재(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빨대 본체(1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는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1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하단은 용기에 담겨있는 음용물을 유동로(111)로 유입시키기 위해 개구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은 유동로(111)로 유입되는 음용물을 유동로(111)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마찬가지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동로(111)는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본체(110)는 제1 슬릿(112)을 구비한다. 제1 슬릿(112)은 빨대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슬릿(112)은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동로(111)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유동로(111)를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100)를 사용하여 음용물을 섭취하고자 하는 경우, 빨대 본체(110)는 케이싱부재(120)와 결합되고, 이때, 제1 슬릿(112)은 케이싱부재(120)에 의해 폐쇄되어 길이 방향으로 밀폐형 유동로(111)가 확보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빨대 본체(11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빨대 본체(110)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음용물은 유동로(111)를 통해 유동되므로, 유동로(111)를 구획하는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은 음용물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빨대 본체(110)를 위생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세척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빨대 본체(11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제1 슬릿(1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변형 예시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슬릿(112)을 벌려주면 된다. 즉,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원통 형상의 빨대 본체(110)가 대략 판상으로 탄성 변형되어,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원통 형상인 경우 세척이 거의 불가능하였던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중심 부분의 내주면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빨대 본체(110)의 내주면에 대한 세척 완료 후,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빨대 본체(110)는 다시 원통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케이싱부재(1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케이싱부재(120)의 내부에는 빨대 본체(110)를 수용하는 수용홈(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케이싱부재(120)의 외경은 빨대 본체(1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케이싱부재(120)의 내경은 빨대 본체(1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홈(121)에 수용되는 빨대 본체(110)의 외주면은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또한, 케이싱부재(120)는 빨대 본체(11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부재(1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상응하는 형태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용홈(121)은 개구되어 있는 케이싱부재(1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120)는 제2 슬릿(122)을 구비한다. 제2 슬릿(122)은 빨대 본체(110)가 수용홈(121)에 삽입되거나 수용홈(121)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슬릿(122)은 케이싱부재(1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슬릿(122)은 케이싱부재(1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21)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수용홈(121)을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케이싱부재(120)가 빨대 본체(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2 슬릿(122)은 제1 슬릿(112)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릿(112)은 케이싱부재(120)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제2 슬릿(122)은 빨대 본체(110)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안정적인 유동로(111)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케이싱부재(120)는 빨대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싱부재(1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을 세척하거나 케이싱부재(120)의 수용홈(121)으로 빨대 본체(110)를 삽입 또는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4의 (b)에 도시한 변형 예시의 반대 방향으로 제2 슬릿(122)을 벌려주면 된다.
즉, 제2 슬릿(122)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원통 형상의 케이싱부재(120)가 대략 판상으로 탄성 변형되어, 수용홈(121)에 수용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수용홈(121)으로 빨대 본체(110)를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빨대 본체(110)의 삽입이나 분리 또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대한 세척 완료 후, 제2 슬릿(122)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케이싱부재(120)는 다시 원통 형상으로 탄성 복원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 즉, 빨대 본체(110)와의 결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120)는 가이드돌기(1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23)는 제2 슬릿(1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가이드돌기(123)는 케이싱부재(120)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23)는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가 결합될 때, 빨대 본체(11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슬릿(11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이 구속됨과 아울러, 빨대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로(111)는 길이 방향으로 밀폐된 구조를 이루게 되어, 유동로(111)를 통한 음용물의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123)는 제1 슬릿(112)의 폭보다 큰 폭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123)가 제1 슬릿(112)에 삽입되는 경우, 가이드돌기(123)의 폭 방향 양측부는 제1 슬릿(112)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되며, 그 결과,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돌기(123)는 제1 슬릿(112)에 삽입 시 빨대 본체(110)의 내경 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123)가 제1 슬릿(112)에 삽입되는 경우, 가이드돌기(123)의 단부가 빨대 본체(110)의 내경 측으로 돌출되면, 빨대 본체(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움직임을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를 나타낸 부분 결합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200)는 빨대 본체(110) 및 케이싱부재(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비교하여, 케이싱부재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220)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구비되는 케이싱부재(220)를 예시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케이싱부재(220)는 2개 혹은 4개 이상 등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의 전체 길이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에 상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내부에 수용홈(2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수용홈(221)은 빨대 본체(110)를 수용하는 단일 수용홈(도 1의 111)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은 그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슬릿(222)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제2 슬릿(222)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빨대 본체(1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단일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 각각의 내주면에는 제2 슬릿(2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이드돌기(223)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케이싱부재(220)가 일 방향으로 배열되면, 각각의 가이드돌기(223)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빨대 본체(110)에 구비되는 제1 슬릿(112)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게 된다.
여기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이와 동일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케이싱부재(도 1의 120)의 가이드돌기(도 1의 123)를 삽입하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를 결합시키는 경우, 케이싱부재(120)의 제2 슬릿(122)의 길이 방향 일측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그 사이로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 부분을 밀어 넣고, 그 다음,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케이싱부재(120)의 가이드돌기(123)를 삽입하게 되는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와 같은 작업을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하지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120)의 특성 상 탄성 변형력과 탄성 복원력이 동시에 작용되어 한 번에 이들을 결합시키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케이싱부재(220)가 삼등분 되어 있으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220)를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 세트의 케이싱부재의 변형 전,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싱부재(32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싱부재(320)의 내부에는 빨대 본체(도 1의 110)를 수용하는 수용홈(3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부재(32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있는 빨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에 상응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부재(320)의 일측에는 제2 슬릿(3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용홈(321)을 측방으로 외부에 노출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이격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싱부재(320)의 상단측과 인접한 내주면 및 케이싱부재(320)의 하단측과 인접한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돌기(323)는 제2 슬릿(322)과 반경 방향으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의 결합 시, 빨대 본체(110)를 케이싱부재(3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3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의 가이드돌기(323)와 하측의 가이드돌기(323)만 빨대 본체(110)의 제1 슬릿(112)에 삽입하면 되므로,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를 보다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 하측 가이드돌기(323)만으로도 빨대 본체(110)의 원주 방향 회전은 충분히 억제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돌기(323)가 삽입되지 않은 제1 슬릿(112)의 일측 영역(도면 기준 가운데 영역)은 케이싱부재(320)의 내주면에 의해 가려지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가이드돌기(323)가 삽입되지 않은 영역이 제1 슬릿(112)에 존재하여도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의 결합 시 밀폐형 유동로(111)를 확보하는데 에는 특별히 문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싱부재(320)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게 이격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23)를 구비함으로써, 빨대 본체(110)와 케이싱부재(320)를 보다 수월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빨대 세트 110; 빨대 본체
111; 유동로 112; 제1 슬릿
120; 케이싱부재 121; 수용홈
122; 제2 슬릿 123; 가이드돌기
111; 유동로 112; 제1 슬릿
120; 케이싱부재 121; 수용홈
122; 제2 슬릿 123; 가이드돌기
Claims (6)
- 음용물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로를 노출시키는 제1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빨대 본체; 및
상기 빨대 본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상단과 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빨대 본체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싱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케이싱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케이싱부재는 상기 제2 슬릿과 마주하는 내주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빨대 본체에 상기 케이싱부재의 결합 시 상기 제1 슬릿에 삽입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 본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내주면에 대한 세척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빨대 본체의 분리 또는 상기 수용홈으로 상기 빨대 본체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상기 제2 슬릿의 폭 방향 양측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원통형으로 탄성 복원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보다 큰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폭 방향 양측부는 상기 제1 슬릿의 폭 방향 양측 단부 각각에 의해 탄성 가압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 슬릿에 삽입 시 상기 빨대 본체의 내경 측으로 돌출되는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753A KR102064716B1 (ko) | 2019-08-23 | 2019-08-23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3753A KR102064716B1 (ko) | 2019-08-23 | 2019-08-23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4716B1 true KR102064716B1 (ko) | 2020-01-09 |
Family
ID=6915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3753A KR102064716B1 (ko) | 2019-08-23 | 2019-08-23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71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2140A1 (ko) * | 2020-02-12 | 2021-08-19 | 김한주 |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
EP3915442A1 (de) * | 2020-05-26 | 2021-12-01 | Michael Kaufmann | Wiederverwendbarer trinkhal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55524A (ja) * | 2013-02-14 | 2014-08-28 | Toppan Printing Co Ltd | ストロー |
-
2019
- 2019-08-23 KR KR1020190103753A patent/KR1020647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55524A (ja) * | 2013-02-14 | 2014-08-28 | Toppan Printing Co Ltd | ストロ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2140A1 (ko) * | 2020-02-12 | 2021-08-19 | 김한주 |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
EP3915442A1 (de) * | 2020-05-26 | 2021-12-01 | Michael Kaufmann | Wiederverwendbarer trinkhal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4716B1 (ko)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
KR101861432B1 (ko) |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 |
US20240324855A1 (en) | Cleaning adapter with and without safety tag | |
EP2394691A1 (en) | Medical connector | |
JP2005006860A (ja) | 透析器接続用カプラ | |
EP3656256A1 (en) | A resealable drinking straw | |
KR20120030072A (ko) | 점안 용기 | |
KR20180114500A (ko) |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생리컵 | |
JP5996529B2 (ja) | パック | |
WO2021096073A1 (ko) | 세척 가능한 빨대 세트 | |
KR20050033598A (ko) | 면봉 저장 용기 | |
KR20200130991A (ko) | 착탈 방식 기반의 반복 사용을 위한 스트로 | |
JP6437528B2 (ja) | コネクタ及び輸液セット | |
US20230240437A1 (en) | Toilet Brush | |
KR101894429B1 (ko) | 조립식 텀블러 및 이의 세척방법 | |
WO2022020758A1 (en) | Fluid container diffuser tool and method | |
US20100326945A1 (en) | Separate type nursing bottle | |
JP3125030U (ja) | 浄化器用ポートキャップ | |
JP2019154263A (ja) | 容器蓋及び培養容器 | |
CN219127514U (zh) | 一种组装式医疗器械消毒盒 | |
KR200231310Y1 (ko) | 젖꼭지 세척구 | |
TWM561108U (zh) | 尿斗藥劑置放架 | |
KR200341026Y1 (ko) | 음료취출기용 밸브 | |
KR200426585Y1 (ko) | 분리형 젓가락 | |
KR200195394Y1 (ko) | 휴대용 휴지 및 콘돔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