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310Y1 - 젖꼭지 세척구 - Google Patents

젖꼭지 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310Y1
KR200231310Y1 KR2019990011244U KR19990011244U KR200231310Y1 KR 200231310 Y1 KR200231310 Y1 KR 200231310Y1 KR 2019990011244 U KR2019990011244 U KR 2019990011244U KR 19990011244 U KR19990011244 U KR 19990011244U KR 200231310 Y1 KR200231310 Y1 KR 200231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cleaning
pad
fix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997U (ko
Inventor
손준빈
Original Assignee
손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준빈 filed Critical 손준빈
Priority to KR2019990011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1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1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들의 흡유에 이용하기 위하여 젓병(포유병)에 결합 사용되는 젖꼭지의 내주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젖꼭지 세척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유아용 젖꼭지(2)를 세척하는 세척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1)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이와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 분할편(11)(12)이 각각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대응 형성되고, 각 분할편으로는 고정을 위한 구멍(11a)(12a)이 각각 형성된 쿠션재의 세척용 패드(10) 및; 상기 세척용 패드(10)를 분리 가능하게 협착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 형성되고, 협착시 상기 분할편의 구멍(11a)(12a)에 관통되는 고정돌기(21a)와 고정공(22a)이 각각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협지편(21)(22)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0)로 구성하거나 협지편(21)(22)의 내 측면으로 협착돌조를 더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젖꼭지 세척구{Feeding bottle treats cleaner}
본 고안은 유아들의 흡유에 이용하기 위하여 젓병(포유병)에 결합 사용되는 젖꼭지의 내주면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젖꼭지 세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의 흡유에 이용되는 실리콘재의 젖꼭지는 통상적으로 유아들이 모유를 먹을 때 모체의 유두를 물고 젖을 먹는 것과 동일한 느낌을 주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젖꼭지는 대개 꼭지부분이 몸체부분에 비하여 그 내부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이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젓꼭지와 비슷한 형태의 세척용 솔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나, 이는 중앙의 철심을 중심으로 솔 부재를 꼬아 만들었기 때문에 제조가 복잡하고 또한 솔이 조밀하지 못하여 확실한 세척이 곤란하게 되고 솔 부재의 강도에 의해 세척 과정에서 젓꼭지의 내주면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으며, 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고온의 물에 삶아 세척하거나 아니면 물로 단순히 헹궈 내는 정도로 세척을 하였기 때문에 젖꼭지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지 못하여 비위생적이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젖꼭지의 형태와 동일하게 조립되는 세척용 패드를 손잡이의 협지편으로 협착하여 젖꼭지 내부에 삽설하여 돌려줌으로써 젓꼭지 내부가 신속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한 젖꼭지 세척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젖꼭지의 특징은, 유아용 젖꼭지를 세척하는 세척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이와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 분할편이 각각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대응 형성되고, 각 분할편으로는 고정을 위한 구멍이 각각 형성된 쿠션재의 세척용 패드 및; 상기 세척용 패드를 분리 가능하게 협착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 형성되고,협착시 상기 분할편의 구멍에 관통되는 고정돌기와 고정공이 각각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협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점에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세척용 패드는 스폰지임이 바람직하며, 상기 협지편의 각 내 측면으로는 세척용 패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돌조를 더 형성하여 세척시 패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확실하게 협착하여 주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젖꼭지 세척구의 조립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패드의 발췌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패드를 접은 상태의 세척구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젖꼭지 10: 세척용 패드
11, 12: 분할편 20: 손잡이
21, 22: 협지편 21a: 고정돌기
22a:고정공 21b, 22b: 협착돌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젖꼭지 세척구의 조립 사시도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들의 흡유에 사용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미 도시된 젖병에 체결되는 캡의 젖꼭지(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는, 상기 젖꼭지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로 협착되는 쿠션재의 세척용 패드(10)와, 이 패드를 협착 지지하기 위한 손잡이(20)로 구성되어 진다.
도2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척용 패드(10)는 외주면이 젖꼭지(1) 모양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각 분할편(11)(12)이 일체로 대응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분할편(11)(12)의 소정 위치로는 조립시 고정을 위한 구멍(11a)(12a)이 각각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용 패드(10)는 절첩이 용이하고 또한 협착에 따른 쿠션이 양호한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스폰지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용 패드(10)는 조립시 반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손잡이(20)의 상단으로 분할 형성된 협지편(21)(22)사이에 끼워져 협착되는 바, 일 측의 협지편(21)으로는 세척용 패드(10)의 협지시 분할편(11)(12)의 구멍(11a(12a)에 관통되는 고정돌기(21a)가 형성되어 있고, 타 측의 협지편(22)으로는 고정공(22a)이 각각 체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협지편(21)(22)의 내 측면으로는 세척용 패드(10)의 협착시 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돌조(21b)(22b)가 더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즉 도4와 같이 먼저 세척용 패드(10)의 분할편(11)(12)을 반으로 접은 다음 손잡이(20)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방으로 벌어진 양 협지편(21)(22) 사이로 끼운 후 협지편(21)(22)을 내 측으로 압착하여 준다. 그러면 이때 일 측의 협지편(21)으로 형성된 고정돌기(21a)가 분할편(11)(12)의 각 구멍(11a)(12a)에 관통되어 지면서 최종적으로 타 측의 협지편(22)으로 형성된 고정공(22a)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세척용 패드(10)는 각 분할편(11)(12)이 협지편(21)(22)에 의해 내측으로 강제 협착됨에 따라 도1과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 + '자 형태로 고정되어지는 것이며, 협착편(21)(22)을 강제로 분리시키지 않는 이상 세척용 패드(10)는 세척과정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협지편(21)(22)에 협착된 세척용 패드(10)는 협착돌조(21b)(22b)들에 의해 더욱 단단히 협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조립되어진다.
또한 세척용 패드(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립의 역순으로 협지편(21)(22)의 고정돌기(21a)와 고정공(22a)을 강제로 해탈시켜 벌린 다음 새로운 패드를 이들 사이에 끼우고 재 협착하여 주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척구는 세척용 패드(10)가 손잡이(20)의 협지편(21)(22)에 협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젖병의 캡(1)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젖꼭지(1)의 내부로 세척용 패드(10)를 밀어 넣은 다음 손잡이(20)를 이용하여 돌려주면 되고 이때 젖꼭지(2)의 내주면은 이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세척용 패드(10)에 의해 꼭지부분과 몸체부가 동시에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되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척구에 의하면 스폰지와 같은 쿠션재의 세척용패드를 젖꼭지와 동일한 형태가 되게 손잡이의 협지편에 협착하여 주므로서 세척시 유동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척용 패드가 젖꼭지의 내부면을 골고루 신속하게 잘 세척하게 되고 또한 세척용 패드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도 있는 바, 협지편의 체결수단은 다양한 구조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공지의 유아용 젖꼭지(1)를 세척하는 세척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2)의 내주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이와 동일한 형태의 외주면을 갖는 분할편(11)(12)이 각각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대응 형성되고, 각 분할편으로는 고정을 위한 구멍(11a)(12a)이 각각 형성된 쿠션재의 세척용 패드(10) 및;
    상기 세척용 패드(10)를 분리 가능하게 협착 지지하기 위하여 분할 형성되고, 협착시 상기 분할편의 구멍(11a)(12a)에 관통되는 고정돌기(21a)와 고정공(22a)이 각각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협지편(21)(22)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세척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 패드(10)는 스폰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세척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편(21)(22)의 각 내 측면으로는 세척용 패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협착돌조(21b)(22b)가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젖꼭지 세척구
KR2019990011244U 1999-06-23 1999-06-23 젖꼭지 세척구 KR200231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244U KR200231310Y1 (ko) 1999-06-23 1999-06-23 젖꼭지 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244U KR200231310Y1 (ko) 1999-06-23 1999-06-23 젖꼭지 세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997U KR20010000997U (ko) 2001-01-15
KR200231310Y1 true KR200231310Y1 (ko) 2001-07-03

Family

ID=547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244U KR200231310Y1 (ko) 1999-06-23 1999-06-23 젖꼭지 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68Y1 (ko) * 2018-06-08 2019-08-28 이이화 젖꼭지 보관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977B1 (ko) * 2012-07-04 2014-04-18 오세우 세척용 브러시의 제조방법
KR101601114B1 (ko) * 2014-07-29 2016-03-08 주식회사 베베락 세정용구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68Y1 (ko) * 2018-06-08 2019-08-28 이이화 젖꼭지 보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997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1310Y1 (ko) 젖꼭지 세척구
JP2004515294A (ja) 哺乳瓶洗浄ブラシ
RU2754294C1 (ru) Детская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с присоединенной силиконовой трубкой
US9433329B2 (en) Wash cloth
KR200469347Y1 (ko)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1378901B1 (ko) 과일 착즙기
US6745913B2 (en) Liquid absorbent drink container device
KR20010096215A (ko) 세척솔용 회전손잡이
JP2010532698A (ja) 分離型哺乳瓶
KR101260420B1 (ko) 소아용 세안 타월
KR101383578B1 (ko) 세척 장치
KR200419820Y1 (ko) 훌라후프
KR100894868B1 (ko)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CN211883286U (zh) 一种筷子改装组件及组合式筷子
JP3619727B2 (ja) ほ乳瓶の乳首用洗浄具
CN203943259U (zh) 一种牙刷套
CA2917778A1 (en) Pacifier with sanitizing component
CN210931086U (zh) 一种幼儿用毛巾
RU27876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корма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выталкиванием
CN215936313U (zh) 围兜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120003155U (ko) 컵 닦이용 수세미
CN210643584U (zh) 一种方便成人反复试温卫生饭勺
KR200419069Y1 (ko) 위생 젓가락
KR200249063Y1 (ko) 젖병 청소용솔의 물방울 비산 방지용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