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47Y1 -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 Google Patents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47Y1
KR200469347Y1 KR2020110001684U KR20110001684U KR200469347Y1 KR 200469347 Y1 KR200469347 Y1 KR 200469347Y1 KR 2020110001684 U KR2020110001684 U KR 2020110001684U KR 20110001684 U KR20110001684 U KR 20110001684U KR 200469347 Y1 KR200469347 Y1 KR 200469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sponge
cleaning brush
shaft
bottle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234U (ko
Inventor
전철
Original Assignee
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철 filed Critical 전철
Priority to KR2020110001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4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솔에 관한 것으로서, 스폰지가 결합되도록 샤프트에 형성된 중앙이 절개되어진 클립에 스폰지가 끼워져 클립의 상단을 조임링으로 끼임고정하여 스폰지를 고정토록 하고 조임링를 분리토록 함으로써 스폰지의 교환을 누구나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A washing brush for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유아용 젖병에 스폰지를 삽입한 후 스폰지를 회전시켜 젖병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폰지와 샤프트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스폰지의 교체작업에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척솔은 물병이나 젖병 등의 입구가 좁아 세척하기 힘든 용기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용도에 따라서 사용되는 세척솔의 종류가 다양하며, 특히 유아용 젖병에 사용할 경우에는 유아들은 면역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각별한 위생이 필요한 것이어서 일반 물병을 세척하는 세척솔과는 별개로 젖병용 세척솔을 따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젖병용 세척솔을 사용하여 젖병을 수시로 세척함으로써 젖병 내의 잔존물이나 찌꺼기 등을 깨끗하게 제거해 주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솔의 구조는 철사의 일측에 스폰지를 함께 꼬아서 제작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된 샤프트의 일측에 스폰지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하여 제작한 것이 있으나, 철사로 된 세척솔을 사용할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젖병의 내면이 철사의 긁힘에 의해 제품의 손상이 발생되고 또한 긁힌 부분으로 이물질이 끼는 등의 오히려 위생상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어서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로 된 세척솔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세척솔 역시 스폰지를 샤프트에 접착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기 살균을 위하여 뜨꺼운 물을 사용할 때 접착부가 녹으면서 위생상 좋지 않은 것이다.
또한 스폰지 재질은 합성수지 재질의 다공성 물질로서 반복적으로 여러 번 사용하게 될 경우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찢어지는 등의 쉽게 손상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젖병의 세척솔로 사용되는 용도상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스폰지가 항상 젖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대로 건조를 하지 않을 경우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세척솔을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샤프트와 스폰지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폰지만 교환이 어려워 세척솔 전체를 교환하게 될 경우 자원의 낭비는 물론이고 소비자의 구매비용에 대한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 샤프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스폰지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세척솔의 구조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가 형성된 샤프트(100)의 상단 부분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120)로 이루어진 클립(1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되어진 클립(110)에는 서로 맞물려지면서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130)와 결합홀(140)을 형성하고 스폰지(300)는 끼임홈(310)을 형성하여 클립(110)의 사이로 스폰지(300)를 끼운 상태에서 결합돌기(130)와 결합홀(140)을 끼움결합하여 클립(110) 사이에 끼워진 스폰지(300)를 고정토록 함으로써 스폰지(300)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세척솔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세척솔은 식품을 담는 용기를 세척하는데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고, 스폰지(300)가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샤프트는 플라스틱 재질 중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사용되는 것으로 무해한 재질은 PP(Polypropylene)와 PE(Polyethylene)가 있으며 PE의 경우에는 연질체여서 세척솔로 사용되는 샤프트로서의 제품으로는 부적합하여 대부분 경질체의 PP로 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구조는 클립(110)의 절개된 부분에 형성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홀(140)이 이미 끼임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클립(110)을 다시 벌림이 어려워 사실상 스폰지(300)를 교체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샤프트(100)가 PP로 제작되는 것이고 PP는 딱딱한 경질체이므로 탄성력이 적어서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130)와 결합홀(140)이 끼임결합구조로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벌려서 분해하기가 힘들고 더욱이 사용자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클립(110)을 벌림에 의해 분해해야만 하기 때문에 힘을 가하기가 상당히 어려워 힘이 센 남성도 쉽게 분해하기가 어려운 것이며 특히 세척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주부들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세척솔의 스폰지(300) 교체작업이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매우 강한 힘으로 클립(110)을 분해하거나 도구를 이용하여 분해할 경우에도 클립(110)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짐에 의한 부러짐이나 휨현상 등의 변형이 발생되거나 클립(110)에 상처가 발생되어 결국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서 스폰지(300)의 교체가 어려워 세척솔의 스폰지(300)가 교체가능하게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교체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세척솔을 버린 후 다시 재구매를 하는 것이 반복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부담을 해결하지 못함과 동시에 버려지는 세척솔로 인해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잡이가 형성된 샤프트에 스폰지를 간단하게 끼움 조립할 수 있도록 클립의 상측에 탄성력을 가진 조임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분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혀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폰지의 교체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주방기구를 주로 사용하는 주부가 사용하여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가 형성된 샤프트에 스폰지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절개된 클립의 상단에 오목한 끼임테를 형성하고 상기 클립의 상단에 형성된 끼임테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탄성력을 가진 조임링을 결합토록 함으로써 크립의 절개된 사이에 스폰지를 끼운 상태에서 클립의 상단을 조임링으로 끼임고정토록 하여 쉽게 스폰지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의 절개되어진 내면에는 끼워진 스폰지의 긴밀한 밀착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동방지돌기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세척솔의 사용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는 굴곡부를 형성하여 샤프트와 손잡이가 서로 편심되게 축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샤프트와 손잡이의 결합구조가 공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토록 함으로써 스폰지를 용기에 넣고 샤프트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손잡이를 회전하면 스폰지가 고정된 샤프트가 회전되면서 스폰지가 용기 내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샤프트에 형성된 클립에 고정된 스폰지를 끼운 후 클립의 상단에 간단하게 끼임되는 조임링을 사용하여 분리 및 결합토록 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용이하고 동시에 스폰지의 교체가 용이하여 세척솔의 전체를 새로 구입할 필요없이 스폰지만을 교체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 비용절감을 하면서 용기의 청결과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의 회전으로 스폰지가 용기의 내벽을 회전하면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세척솔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세척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샤프트의 클립과 스폰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세척솔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의 세척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세척솔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손잡이(20)가 형성되고 상측에 스폰지(30)를 고정하도록 중앙이 절개되어 일측이 개구된 절개부(13)가 형성된 클립(12)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샤프트(10)로 구성되어 상기 클립(12)의 절개되어진 상단에 탄성력을 가진 끼임수단을 결합하여 벌어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형으로 절개되어진 클립(12)의 양 상단부에 소정높이로 조임링(16)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임테(14)를 형성하고 상기 끼임수단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의 고무링(16)으로 형성토록 하여 탄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끼워 고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클립(12)에 형성된 절개부(13)의 사이로 스폰지(30)를 끼우고자 할 경우 클립(12)을 벌려서 스폰지(30)를 끼운 후, 스폰지(30)가 클립(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절개되어진 클립(12)의 상단에 형성된 끼임테(14)에 조임링(16)을 끼워 클립(12)의 개구된 부분을 벌려지지 않도록 하여 클립(12)에 스폰지(30)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스폰지(30)를 교체할 경우에는 반대로 조임링(16)을 분리하여 스폰지(30)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12)이 형성된 샤프트(1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특성상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절개되어진 클립(12)의 양단을 소정으로 벌려지도록 할 수 있게 되면서 스폰지(30)를 간편하게 빼거나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임링(16)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당기거나 가압한 상태에서 밀어내면 쉽게 분리가 되어 누구든지 쉽게 스폰지(30)의 교체가 간단하게 되면서 샤프트(1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임수단을 조임링(16) 대신에 캡형태의 마개(17)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클립(12)에 형성된 끼임테(14)에 끼임을 위하여 마개(17)의 내측 하단에는 돌출테(17a)를 형성하여 마개(17)를 클립(12)의 상단에 끼워 끼임테(14)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끼워지게 되는 것이고 분리할 때도 마개(17)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면 쉽게 분리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12)의 상단에 형성된 끼임테(14)의 하측으로 받침테(15)를 형성함으로써 조임링(16)이나 마개(17)가 끼워지면서 받침테(15)에 안착되어 분리,결합을 안정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12)의 절개되어진 절개부(13)의 양 내면에는 유동방지돌기(12a)를 형성하고 스폰지(30)에는 상기 유동방지돌기(12a)가 끼워지는 끼임홈(31)을 형성하여 스폰지(30)를 절개부(13)의 사이에 끼우면서 유동방지돌기(12a)를 스폰지(30)에 형성됨 끼임홈(31)에 끼워 클립(12)이 스폰지(30)의 좌,우측면을 가압하여 클립(12)과 스폰지(30)가 긴밀한 밀착으로 고정되게 하는 동시에 스폰지(30)가 클립(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돌기(12a)는 일정간격을 갖는 복수의 돌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고 클립(12)의 내면 전체를 요철면으로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폰지(30)는 클립(12)에 형성된 절개부(13)의 길이에 대비하여 두 배의 길이로 형성한 후 반으로 접어서 클립(12)에 끼워지도록 되는 것이고 스폰지(3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클립(12)에 끼웠을 때 스폰지(30)의 중앙이 클립(12)에 눌려지게 되면서 스폰지(30)의 외측은 벌어져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십자형상으로 되어 용기의 내벽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폰지(30)가 클립(12)에 끼워질 때 클립(12)의 끼임테(14)가 형성된 상단 부분을 반으로 절첩된 스폰지(30)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삽입홈(32)을 형성하여 클립(12)의 끼임테(14) 부분이 스폰지(30)의 삽입홈(32)에 끼워져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스폰지(30)를 약간 젖힌 후 클립(12)의 끼임테(14)에 조임링(16) 또는 마개(17)를 끼워 고정한 후 젖힌 스폰지(30)를 원위치시키면 스폰지(30)가 클립(12)의 상단을 완전히 감싸게 되어 용기를 세척할 때 노출되는 클립(12)의 상단 또는 마개(17)가 용기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되면서 마찰로 인한 긁힘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동시에 바닥면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솔을 사용할 때 용기 내벽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샤프트(10)와 손잡이(20)를 서로 편심으로 회전작동할 수 있게 분리결합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샤프트(10)의 클립(12)이 형성된 하측으로 굴곡부(11)를 형성하면 샤프트(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0)와 서로 편심되게 회전작동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샤프트(10)의 결합축(18)이 손잡이(20)의 결합홀(21)에 끼워지도록 하고 결합축(18)과 결합홀(21)에는 맞물려 걸려지는 단턱(19,2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단턱(19,22)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면 손잡이(20)와 샤프트(10)가 공회전이 가능토록 되어 손잡이(20)를 잡고 돌리면 스폰지(30)가 회전되면서 용기의 내벽세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샤프트(10)에 클립(12)이 형성되어진 하단으로 굴곡부(11)를 형성함과 동시에 손잡이(20)와 샤프트(10)가 공회전이 가능토록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30)를 용기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20)를 잡고 돌리면 손잡이(20)와 샤프트(10)가 서로 편심되어진 상태에서 회전되어지므로 스폰지(30)가 용기내에서 회전되면서 용기의 내벽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의 하단에 걸이부(23)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벽에 걸어 건조를 함과 동시에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샤프트 11: 굴곡부
12: 클립 13: 절개부
14: 끼임테 15: 받침테
16: 조임링 17: 마개
18: 결합축 19: 단턱
20: 손잡이 21: 결합홀
22: 단턱
30: 스폰지 31: 끼임홈
32: 삽입홈

Claims (8)

  1. 손잡이(20)와 일체로 형성되어진 샤프트(10)의 상측으로 스폰지(30)가 탈착가능하게 되어 스폰지(3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30)를 고정하도록 샤프트(10)에 ∪자형으로 절개되어 일측이 개구된 절개부(13)가 형성된 클립(12)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12)의 절개되어진 상단에 끼임테(14)를 형성하고 상기 끼임테(14)에 끼임수단을 결합하여 적은 힘으로 분리,결합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스폰지(30)의 교환이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수단은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로 형성된 조임링(16)으로 형성하여 탄성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끼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테(14)에 끼워지는 끼임수단을 내측 하단에 돌출테(17a)를 형성한 캡 형태의 마개(17)를 결합하여 간단하게 분리,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2)의 상단에 형성된 끼임테(14)의 하측으로 받침테(15)를 형성하여 조임링(16)이나 마개(17)가 끼워지면서 받침테(15)에 안착되어 안정되게 분리,결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2)의 절개되어진 양 내면에 스폰지(30)가 긴밀한 밀착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클립(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돌기(12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스폰지(30)에 끼임홈(3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30)는 반으로 절첩되어 상단에 클립(12)에 형성된 끼임테(14)가 끼워져 내측으로 위치되게 삽입홈(32)을 형성하여 클립(12)의 상단이 스폰지(30)로 완전히 덮어지도록 형성되어 세척시 마찰로 인한 용기의 흠집을 방지하는 동시에 바닥면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와 클립(12)이 형성된 샤프트(10)의 중간에 굴곡부(11)가 형성되어 샤프트(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20)와 서로 편심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0)와 손잡이(20)는 공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20110001684U 2011-02-28 2011-02-28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469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84U KR200469347Y1 (ko) 2011-02-28 2011-02-28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84U KR200469347Y1 (ko) 2011-02-28 2011-02-28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34U KR20120006234U (ko) 2012-09-05
KR200469347Y1 true KR200469347Y1 (ko) 2013-10-08

Family

ID=5073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84U KR200469347Y1 (ko) 2011-02-28 2011-02-28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91Y1 (ko) * 2017-09-01 2018-12-26 주식회사 더화이트 세척구가 구비된 청소장치
KR20200020135A (ko) * 2018-08-16 2020-02-26 김유정 궐련형 전자담배 청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977B1 (ko) * 2012-07-04 2014-04-18 오세우 세척용 브러시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54U (ja) * 1991-04-26 1993-04-06 キクロン株式会社 コツプ等の洗い具
KR200430273Y1 (ko) 2006-08-25 2006-11-13 (주)서룡상사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KR20100001620U (ko) * 2008-08-05 2010-02-16 이겸수 청소솔
JP2010188063A (ja) 2009-02-20 2010-09-02 Mameita:Kk 柄付き摺洗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054U (ja) * 1991-04-26 1993-04-06 キクロン株式会社 コツプ等の洗い具
KR200430273Y1 (ko) 2006-08-25 2006-11-13 (주)서룡상사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KR20100001620U (ko) * 2008-08-05 2010-02-16 이겸수 청소솔
JP2010188063A (ja) 2009-02-20 2010-09-02 Mameita:Kk 柄付き摺洗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91Y1 (ko) * 2017-09-01 2018-12-26 주식회사 더화이트 세척구가 구비된 청소장치
KR20200020135A (ko) * 2018-08-16 2020-02-26 김유정 궐련형 전자담배 청소장치
KR102160040B1 (ko) * 2018-08-16 2020-09-25 김유정 궐련형 전자담배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34U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060B1 (en) Portable interdental brush
KR200469347Y1 (ko)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US20140013529A1 (en) Dual action bottle brush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JP3722799B2 (ja) 哺乳瓶洗浄ブラシ
RU2417037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редства для чистки зубов с держателем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20120006237U (ko)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0685173B1 (ko)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KR200482876Y1 (ko) 실리콘으로 형성된 세정용 솔
KR20120006766U (ko) 세척용 보조도구
KR200225412Y1 (ko) 젖병 바닥세척용 청소구
KR200469348Y1 (ko) 세척시 스폰지가 형성된 샤프트의 회전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세척솔
JP6586397B2 (ja) 洗浄具
KR101062766B1 (ko) 젖병 세척용 솔
US201300143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bris from a Drain Strainer
KR101353360B1 (ko) 치간 세척구
KR200231310Y1 (ko) 젖꼭지 세척구
KR102199478B1 (ko)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컵
JP3619727B2 (ja) ほ乳瓶の乳首用洗浄具
TWM495777U (zh) 卡合式替換牙刷
KR200225432Y1 (ko)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KR200289220Y1 (ko) 혀크리너
KR100432908B1 (ko) 젖병 세척용 솔
JP2008161633A (ja) 舌苔除去具
KR20190002746U (ko) 각질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