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66U - 세척용 보조도구 - Google Patents

세척용 보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66U
KR20120006766U KR2020110002404U KR20110002404U KR20120006766U KR 20120006766 U KR20120006766 U KR 20120006766U KR 2020110002404 U KR2020110002404 U KR 2020110002404U KR 20110002404 U KR20110002404 U KR 20110002404U KR 20120006766 U KR20120006766 U KR 201200067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ngs
cleaning member
p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151Y1 (ko
Inventor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이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정 filed Critical 이희정
Priority to KR2020110002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5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10Tongs for crockery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부가 경량화되며, 모든 종류의 세척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분까지도 세척이 가능토록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며, 각각의 일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타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재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 타단의 집게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척용 보조도구{Washing Tool}
본 고안은 세척용 보조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화된 손잡이에 다양한 세척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장착된 세척부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용 보조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척용 도구에는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수세미형태와 막대 형상의 단부에 브러시(Brush)가 부착된 형태가 있다. 이 중에서 브러시가 부착된 형태의 세척용 도구는 젖병 등의 내부에 브러시가 부착된 단부를 삽입한 후 젖병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 등이 제거되도록 브러시가 회전되도록 막대를 회전시켜 세척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세척용 도구는 브러시를 통해 내부를 세척한 후 수세미와 같은 별도의 세척용 도구를 사용하여 외부를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이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러시 부분이 마모될 경우 교체를 하기 힘든 형태이거나 교체를 하지 못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새롭게 구매를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세척부재를 탈부착할 수 있는 세척용 도구이다.
도 1은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결합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척용 도구는 크게 세척부재(10), 손잡이부(20), 결합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부재(10)에는 관통 홈(12)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3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30)가 상기 세척부재(10)에서 빠져나오지 않도록 접착물질로 고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와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손잡이부(20) 걸림고리(22)의 빗면과 상기 결합부재(30)의 걸림턱(32) 빗면이 교차되어 결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24)를 기준으로 걸림고리(22) 후단부(26)에 힘이 가해지면, 전단부(28) 맨 앞인 걸림고리(22)가 들리게 되어 결합부재(30)의 걸림턱(3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척용 도구는 많은 세척 과정을 통해 상기 세척부재(10)가 닳았을 경우, 상기 결합부재(30)가 구비된 세척부재(10)로 교체해야하며, 상기 손잡이부(20)와 결합될 수 있는 세척부재(10) 제품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손잡이부(20)의 두께로 인해 파지시 지속적으로 손아귀에 힘을 가할 경우 힘이 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재(10)가 구비되는 손잡이부(10)와 결합부재(30)가 수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한 부분의 이물질을 쉽게 닦아낼 수 없으며, 끝 부분이 벌어지게 되어 올바른 세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부가 경량화되며, 모든 종류의 세척부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오목한 부분까지도 세척이 가능토록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며, 각각의 일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타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재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 타단의 집게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파지부에 탄성을 주며 소정의 위치에 걸릴 수 있도록 걸이 형태를 갖는 탄성 걸이부; 및 상기 세척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세척부재 외측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상단 집게부; 및 상기 세척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단 집게와 맞물리는 하단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단 집게부와 하단 집게부 내측에는 안쪽으로 밀려 들어온 세척부재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고정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집게부의 하단 집게부 끝 이전의 소정 위치는 맞물림의 최대 압력으로 오목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굴곡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세척부재는 관통되거나 관통되지 않은 형태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세척용 보조도구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경량화되어 손아귀 힘이 부족한 사용자들도 쉽게 세척동작이 가능하고, 슬릿이 형성된 모든 세척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세척부재를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결정할 수 있으며, 걸이부의 탄성력과 하단 집게부의 굴곡 면으로 인해 최대 압력으로 오목한 부분의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세척용 도구의 결합부재와 손잡이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 결합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단 집게부 굴곡 면에 의한 세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이 형성된 세척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용 보조도구는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며, 각각의 일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100)와, 상기 손잡이부(100) 타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부재(300)의 슬릿(slit)(302)에 상기 손잡이부(100) 타단의 집게부(13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100)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110)와, 상기 한 쌍의 파지부(110)에 탄성을 주며 소정의 위치에 걸 수 있도록 걸이 형태를 갖는 탄성 걸이부(120), 상기 세척부재(300)를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부(110)는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잘록한 모양을 갖으며, 상기 손잡이부(100) 전체는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300)는 슬릿(302)으로 삽입된 하단 집게부(134)와 세척부재(300) 외측을 덮는 상단 집게부(132)로 고정된다.
손잡이부(100)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를 구성되어, 세척부재(300) 전면이 세척물(400)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130)의 하단 집게부(134)의 끝 부분(136)은 등글게 처리되어 연질의 세척부재(300)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만약 끝 부분(136)이 일자이거나 각진 형태인 경우에는 세척시 연질의 세척부재(300)가 찢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재 결합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300)를 집게부(130)에 삽입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세척부재(300)에 형성된 슬릿(302) 공간으로 하단 집게부(134)를 삽입한다.
이때, 내측으로 힘을 주어 상단 집게부(132)와 이격이 생기도록 하여, 상기 상단 집게부(132)가 상기 세척부재(300) 외측면으로 덮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단 집게부(132)와 하단 집게부(134) 내측에는 안쪽으로 밀려 들어온 세척부재(300)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톱니 형상의 고정 돌기(140)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단 집게부 굴곡 면에 의한 세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130)의 하단 집게부(134) 끝 이전의 소정 위치는 맞물림의 최대 압력과 오목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굴곡 면(136)은 파지부(110)를 잡는 손아귀의 힘이 직접 전달되는 곳으로써, 곡면을 갖는 세척물(400)을 세척할 때 용이하다.
또한, 상단 집게부(132)는 손아귀의 힘에 의해 세척물(400)을 세척할 때, 하단 집게부(134)가 밖으로 쉽게 제쳐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이 형성된 세척부재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잡이부(100)에 결합하여 사용되는 세척부재(300)는 세척물(400)을 세척하기 위한 넓은 쪽 양면 중간에 평행하게 슬릿(302)이 형성되어 있는 모든 세척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재(300)는 넓은 쪽 일면이 닳으면 다른 쪽 면으로 돌려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부재(300)의 구입에 따른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슬릿(302)은 세척부재(300)를 관통되거나 관통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부재(30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데, 수세미용 스펀지인 경우에는 설겆이에 용이하며, 부드러운 천 재질이 추가된 경우에는 안경, 보석, 악세사리, 관상용 나뭇잎 등을 닦을 수 있으며, 스틸울이나 강철솔 등의 재질인 경우에는 눌러 붙은 이물질 또는 녹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부드러운 솔인 경우에는 채소 및 과일을 닦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와 곡선으로 형성된 경량화된 손잡이부(100)는 슬릿(302)이 형성된 모든 세척부재(300)를 결합 사용할 수 있으며, 하단 집게부(134)에 굴곡 면(136)으로 인해 굴곡을 갖는, 특히 오목한 세척물을 최대 압력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손잡이부 110 : 파지부
120 : 탄성 걸이부 130 : 집게부
132 : 외측 집게부 134 : 내측 집게부
136 : 굴곡 면 140 : 고정 돌기
300 : 세척부재 302 : 슬릿(slit)
400 : 세척물

Claims (6)

  1.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며, 각각의 일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 타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재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 타단의 집게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부;
    상기 한 쌍의 파지부에 탄성을 주며 소정의 위치에 걸릴 수 있도록 걸이 형태를 갖는 탄성 걸이부; 및
    상기 세척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부는,
    상기 세척부재 외측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상단 집게부; 및
    상기 세척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단 집게와 맞물리는 하단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집게부와 하단 집게부 내측에는 안쪽으로 밀려 들어온 세척부재가 밖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고정 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하단 집게부 끝 이전의 소정 위치는 맞물림의 최대 압력으로 오목한 부분을 세척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굴곡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관통되거나 관통되지 않은 형태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
KR2020110002404U 2011-03-23 2011-03-23 세척용 보조도구 KR200465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04U KR200465151Y1 (ko) 2011-03-23 2011-03-23 세척용 보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404U KR200465151Y1 (ko) 2011-03-23 2011-03-23 세척용 보조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66U true KR20120006766U (ko) 2012-10-05
KR200465151Y1 KR200465151Y1 (ko) 2013-02-05

Family

ID=4750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404U KR200465151Y1 (ko) 2011-03-23 2011-03-23 세척용 보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30U (ko) 2017-12-07 2019-06-17 박화순 집게형 설거지기구
KR102110077B1 (ko) * 2019-06-07 2020-05-12 김준웅 주방용기 세정구
WO2023227480A1 (de) * 2022-05-24 2023-11-30 Jemako Produktion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laschenförmigen hohlkörper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608U (ko) * 1994-03-17 1995-10-16 유정운 컵 세척기
KR101089800B1 (ko) * 2008-12-31 2011-12-08 국우람 세척용 브러시
KR20110000353U (ko) * 2009-07-07 2011-01-13 김민지 세척 도구
KR20110017074A (ko) * 2009-08-13 2011-02-21 김환동 탄력 접이식 용기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30U (ko) 2017-12-07 2019-06-17 박화순 집게형 설거지기구
KR102110077B1 (ko) * 2019-06-07 2020-05-12 김준웅 주방용기 세정구
WO2023227480A1 (de) * 2022-05-24 2023-11-30 Jemako Produktionsgesellschaft Mbh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flaschenförmigen hohlkörp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151Y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151Y1 (ko) 세척용 보조도구
US10602904B2 (en) Cleaning tool with chainmail abrader
US9682408B2 (en) Cleaning tool device
AU2010100143A4 (en) Grooming apparatus
US7469442B1 (en) Scrubber with removable washing element
JP2011024976A (ja) スプレー付きヘアーブラシ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JP5317311B1 (ja) 取っ手付き金属たわし
US11266288B2 (en) Double-handle mop
KR20110000353U (ko) 세척 도구
CN214964954U (zh) 搓背器
CN205530050U (zh) 一种公共道路护栏机械式清洁装置
KR200355308Y1 (ko) 피부세정 보조기구
JP2005074164A (ja) 束子
JP2015066420A (ja) 小さな子供の靴が洗いやすい柄の球形たわし
KR200494345Y1 (ko) 각질제거용 타월고정구
KR200491268Y1 (ko) 변기 청소용 집게
KR200493330Y1 (ko) 세정기구
KR200450019Y1 (ko) 간편한 손가락 수세미
KR20110010397U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JP3139722U (ja) 焼肉鉄板の洗浄具
KR20110009767U (ko) 식기 세척용 장갑
JP4374583B2 (ja) ポケットのあるたわし
JP3132293U (ja) 保持バンド付き亀の子タワシ
JP3202593U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