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397U -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 Google Patents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397U
KR20110010397U KR2020100004492U KR20100004492U KR20110010397U KR 20110010397 U KR20110010397 U KR 20110010397U KR 2020100004492 U KR2020100004492 U KR 2020100004492U KR 20100004492 U KR20100004492 U KR 20100004492U KR 20110010397 U KR20110010397 U KR 201100103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plate
rod
mop plate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088Y1 (ko
Inventor
함화정
이윤희
Original Assignee
함화정
이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화정, 이윤희 filed Critical 함화정
Priority to KR2020100004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8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47L13/59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with movable squeezing memb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더러워진 걸레포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세척 후 걸레포의 물기를 손쉽게 짜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의하면; 봉 형태로 연장되어 파지할 수 있는 밀대(10)와; 상기 밀대(10)의 하단에 중심부위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걸레-끼움홈(21)이 마련된 걸레-결착부재(20)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상기 걸레-결착부재(20)의 걸레-끼움홈(21)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부는 걸레포(40)로 감싸여진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걸레판(30)과; 상기 밀대(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밀대(10)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튜브형태의 슬라이드-손잡이(50)와; 상단은 상기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걸레판(30)의 앞면과 뒷면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5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레판(30)의 걸레포(40) 물기를 짜내는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A MOP}
본 고안은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바닥을 쓸면서 닦아내는 걸레판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주택은 주로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닦아 청소를 하여 무릎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픈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서구식 생활습관과 함께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인들은 쪼그려 앉은 상태로 바닥을 닦아내는 것을 기피하게 되며,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걸어다니면서 청소할 수 있는 여러가지 청소용품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청소용품은 진공청소기로 통칭되는 흡입식 전기청소기와, 본체 저면에 물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밀대걸레와, 진공청소기와 밀대걸레를 결합시킨 걸레식 진공청소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청소용품들은 통상적으로 본체의 중앙에 밀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본체가 바닥면을 왕복운동하여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청소용품들 중에서 종래 밀대걸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연장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밀대(1)와, 이 밀대(1)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걸레포(3)가 부착되는 취부판(2)으로 구성된다. 또한, 밀대(1)의 하단은 취부판(2)의 상측 중심부에서 축(4)결합되어 피벗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걸레포(3)는 벨크로테이프(일명, 매직테이프) 등을 통해 취부판(2) 하부를 감싸도록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걸레포(3)를 빨아 수분이 함유한 상태로 취부판(2)에 부착한 후, 밀대(1) 상단을 잡고 밀면서 바닥을 청소할 수 있다. 이 때, 밀대(1)를 누르면서 전후좌우로 밀거나 당기면, 물기에 의해 바닥이 닦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밀대걸레는 취부판(2)에서 더러워진 걸레포(3)를 매번 탈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더러워진 걸레포를 떼어낸 후 일일이 손으로 빨아야만 재사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더러워진 걸레포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세척 후 걸레포의 물기를 손쉽게 짜내 사용할 수 있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밀대걸레에서 걸레포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오래 사용한 걸레포를 빼낸 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 밀대걸레를 재사용할 수 있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봉 형태로 연장되어 파지할 수 있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하단에 중심부위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걸레-끼움홈이 마련된 걸레-결착부재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걸레-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부는 걸레포로 감싸여진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걸레판과; 상기 밀대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밀대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튜브형태의 슬라이드-손잡이와; 상단은 상기 슬라이드-손잡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걸레판의 앞면과 뒷면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레판의 걸레포 물기를 짜내는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걸레판이 탄성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바닥을 닦아낼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걸레-결착부재의 양측 상단에 각각 걸림홈이 오목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걸레판의 상단 양측면에 상기 걸레판의 상단이 상기 걸레-끼움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걸레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물기-제거유닛이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의 하단부에 연계되게 이루어지며 하단은 상기 걸레판의 뒷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와, 상기 브릿지부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레판의 뒷면에 밀착되는 압착부로 이루어진 제1집게부재와; 상단은 상기 제1집게부재의 브릿지부 상단부위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걸레판의 앞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와, 상기 브릿지부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레판의 앞면에 밀착되는 압착부로 이루어진 제2집게부재와; U 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제1,제2집게부재의 브릿지부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제1,2집게부재의 압착부를 상기 걸레판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집게부재의 브릿지부 상단에 상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제2집게부재의 압착부 사이틈을 벌리기 위한 누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의하면; 더러워진 걸레포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슬라이드-손잡이를 잡고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 물기-제거유닛이 걸레포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걸레판에 씌워진 걸레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세척 후 걸레포의 물기를 손쉽게 짜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의하면, 밀대를 잡고 가볍게 누르면서 걸레판(걸레포)을 통해 바닥을 쓸어내면, 걸레판이 탄성 변형되면서 걸레포가 바닥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청소바닥을 빗자루 타입으로 쓸어내면서 닦아내어 이의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에 의하면; 걸레포가 씌워진 걸레판을 걸레-결착부재에 착탈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오래 사용한 걸레판을 빼낸 후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환하여 밀대걸레를 재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대걸레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에서 걸레판 및 이의 장착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에서 걸레판 및 물기-제거유닛의 조립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의 측면도로, 걸레포 세척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의 측면도로, 제2집게부재의 누름부를 눌러 제1,제2집게부재의 사이틈을 인위적으로 벌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의 세척 및 이의 사용 상태 등을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구성 설명>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는 걸어다니면서 청소바닥을 쓸어냄과 동시에 닦아내는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연장된 밀대(10)와, 이 밀대(1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걸레-끼움홈(21)이 마련된 걸레-결착부재(20)와, 이 걸레-결착부재(20)의 걸레-끼움홈(21)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부는 걸레포(40)로 감싸여진 걸레판(30)과, 밀대(10)의 하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슬라이드-손잡이(50)와, 이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걸레판(30)의 걸레포(40) 물기를 짜내기 위한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밀대(10)는 봉 형태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걸어다니면서 이를 잡고 청소바닥을 쓸어내면서 닦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안테나 방식으로 구성한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밀대(1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부재(11)가 씌워져 있다.
그리고 걸레-결착부재(2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10)의 하단에 중심부위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상측 중앙에 결합구(23)가 마련되며, 하부에는 걸레판(30) 상단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걸레-끼움홈(21)이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또한, 걸레-결착부재(20)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걸림홈(22L)(22R)이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걸레판(30)의 고정고리(31L)(31R)를 각각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걸레판(30)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걸레-결착부재(20)의 걸레-끼움홈(21)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부에는 걸레포(40)로 감싸여진 사각 플레이트로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걸레판(3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가볍게 누르더라도 하단부위가 탄성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바닥을 닦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걸레포(40)는 물을 흡수하며 이물질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 극세사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걸레판(30) 전체를 감싸도록 씌워져 있다. 또한, 걸레판(30)의 상단부 양측면에는 걸레판(30) 상단이 걸레-끼움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22L)(22R)에 걸려 걸레판(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31L)(31R)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즉, 걸레판(30)을 걸레-끼움홈(21)에 끼운 후 고정고리(31L)(31R)를 걸림홈(22L)(22R)에 각각 걸어 고정하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걸레판(30)은 걸레-결착부재(2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각각의 고정고리(31L)(31R)를 걸림홈(22L)(22R)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걸레판(30)을 아래측으로 잡아당기면 걸레-결착부재(20)로부터 걸레판(30)이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이를 새로운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손잡이(50)는 물기-제거유닛(60)을 상하로 이동시켜 걸레판(30)의 걸레포(40) 물기를 짜내기 위한 것으로, 밀대(10)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밀대(10)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튜브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6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단이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걸레판(30)의 뒷면과 앞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손잡이(5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걸레판(30)의 걸레포(40) 물기를 짜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60)은 걸레판(30)의 뒷면 물기를 짜내기 위한 제1집게부재(61)와, 이 제1집게부재(61)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걸레판(30)의 앞면 물기를 짜내기 위한 제2집게부재(62)와, 이 제1집게부재(61)와 제2집게부재(62)를 걸레판(3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63)로 이루어져 있다.
제1집게부재(61)는 상단이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연계되게 이루어지며 하단은 걸레판(30)의 뒷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61a)와, 이 브릿지부(61a)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레판(30)의 뒷면에 일정구간 가로방향으로 밀착되는 압착부(61b)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2집게부재(62)는 상단이 제1집게부재(61)의 브릿지부(61a) 상단부위에 피벗(PIVOT)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은 걸레판(30)의 앞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62a)와, 이 브릿지부(62a)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걸레판(30)의 앞면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밀착되는 압착부(62b)로 정의된다. 제1집게부재(61)와 제2집게부재(62)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이들의 압착부(61b)(62b)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각 걸레판(30)의 걸레포(40)와 일정구간 면접촉하면서 이를 압박하여 물기를 용이하게 짜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63)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금속 와이어(스프링강)를 U 형태로 밴딩하여 제1집게부재(61)와 제2집게부재(62)의 브릿지부(61a)(62a)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제1,제2집게부재(61)(62)의 압착부(61b)(62b)가 걸레판(30) 앞면과 뒷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손잡이(50)를 잡고서 이를 강제로 내리거나 올려야만 물기-제거유닛(60)의 제1,제2집게부재(61)(62)가 걸레판(30) 뒷면과 앞면에 압착되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또한, 제2집게부재(62) 브릿지부(62a)의 상단부에는 상측방향으로 외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제2집게부재(61)(62)의 사이틈을 벌릴 수 있는 누름부(62c)가 마련된다. 이 누름부(62c)는 걸레판(30)의 착탈 시 제1,제2집게부재(61)(62)의 사이 틈을 벌려 걸레판(30)을 용이하게 빼내거나 끼워 넣기 위한 것으로, 이의 사용 상태는 작동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사용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사용 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닥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밀대(10)를 잡고 걸레판(30)을 물이 담겨진 물통에 완전하게 담근다. 그리고 물통에서 걸레판(30)을 꺼낸 후 한손으로는 밀대(1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슬라이드-손잡이(50)를 잡고서, 슬라이드-손잡이(50)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킨다(도 5 내지 도 7참조).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손잡이(50)와 함께 물기-제거유닛(60)의 제1,제2집게부재(61)(62) 압착부(61b)(62b)가 걸레판(30)에 밀착되면서 걸레포(40)를 짜낸다. 즉, 탄성부재(63)의 탄성력에 의해 제1,제2집게부재(61)(62)의 압착부(61b)(62b)가 걸레판(30) 앞면과 뒷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하로 이동하여 걸레포(40)에 흡수된 물기를 짜낸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손잡이(50)를 잡고 상하로 반복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걸레판(30)을 감싸고 있는 걸레포(40)를 세척하면서 물기를 용이하게 짜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레포(40)를 세척한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밀대(10)를 잡고 걸어다니면서 바닥면을 쓸면서 닦아낼 수 있다. 이때, 걸레판(30)은 앞 또는 뒤로 탄성 변형되면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청소 바닥에 걸레포(40)가 밀착되어, 빗자루와 같이 이물질을 쓸어내면서 청소바닥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다.
그리고 걸레포(40)가 다시 더러워진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레판(30)을 물통에 담근 상태에서 슬라이드-손잡이(50)를 잡고 이를 상하로 반복 이동하면 걸레포(40)가 용이하게 세척된다. 따라서 더러워진 걸레포(40)를 직접 잡지 않고서도 세척 및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를 장기간 사용하여 걸레포(40)가 낡아진 경우에는 걸레판(30)을 교체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고정고리(31L)(31R)들을 걸림홈(22L)(22R)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집게부재(62)의 누름부(62c)를 아래로 눌러(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제1집게부재(61)와 제2집게부재(62)의 사이틈을 벌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걸레판(30)을 아래측으로 잡아당기면 걸레-결착부재(20)의 걸레-끼움홈(21)에서 걸레판(30)이 쉽게 분리된다. 그리고 새로운 걸레판을 분해의 역순으로 걸레-결착부재(20)에 끼워 조립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밀대걸레를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밀대 20..걸레-결착부재
21..걸레-끼움홈 30..걸레판
31L,31R..고정고리 40..걸레포
50..슬라이드-손잡이 60..물기-제거유닛
61..제1집게부재 62..제2집게부재
63..탄성부재

Claims (5)

  1. 봉 형태로 연장되어 파지할 수 있는 밀대(10)와;
    상기 밀대(10)의 하단에 중심부위가 장착되며 하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걸레-끼움홈(21)이 마련된 걸레-결착부재(20)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부가 상기 걸레-결착부재(20)의 걸레-끼움홈(21)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부는 걸레포(40)로 감싸여진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걸레판(30)과;
    상기 밀대(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밀대(10)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튜브형태의 슬라이드-손잡이(50)와;
    상단은 상기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걸레판(30)의 앞면과 뒷면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구간 밀착되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5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레판(30)의 걸레포(40) 물기를 짜내는 집게 형태의 물기-제거유닛(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30)은 탄성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바닥을 닦아낼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결착부재(20)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걸림홈(22L)(22R)이 오목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걸레판(30)의 상단 양측면에는 상기 걸레판(30)의 상단이 상기 걸레-끼움홈(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22L)(22R)에 걸려 상기 걸레판(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31L)(31R)가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제거유닛(60)은;
    상단이 상기 슬라이드-손잡이(50)의 하단부에 연계되게 이루어지며 하단은 상기 걸레판(30)의 뒷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61a)와, 상기 브릿지부(61a)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레판(30)의 뒷면에 밀착되는 압착부(61b)로 이루어진 제1집게부재(61)와;
    상단은 상기 제1집게부재(61)의 브릿지부(61a) 상단부위에 피벗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걸레판(30)의 앞면 중앙부위로 연장된 브릿지부(62a)와, 상기 브릿지부(62a)의 하단에서 좌우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레판(30)의 앞면에 밀착되는 압착부(62b)로 이루어진 제2집게부재(62)와;
    U 형태로 밴딩되어 상기 제1,제2집게부재(61)(62)의 브릿지부(61a)(62a)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제1,2집게부재(61)(62)의 압착부(61b)(62b)를 상기 걸레판(3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부재(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게부재(62)의 브릿지부(62a) 상단에는 상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제2집게부재(61)(62)의 압착부(61b)(61b) 사이틈을 벌리기 위한 누름부(62c)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KR2020100004492U 2010-04-29 2010-04-29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KR200461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92U KR200461088Y1 (ko) 2010-04-29 2010-04-29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492U KR200461088Y1 (ko) 2010-04-29 2010-04-29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397U true KR20110010397U (ko) 2011-11-04
KR200461088Y1 KR200461088Y1 (ko) 2012-07-03

Family

ID=4713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492U KR200461088Y1 (ko) 2010-04-29 2010-04-29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28B1 (ko) *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79Y1 (ko) 2012-07-03 2013-10-23 이윤희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543Y1 (ko) * 2003-08-14 2003-12-18 홍현숙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KR200376049Y1 (ko) * 2004-11-19 2005-03-11 이기성 걸레 착탈식 밀대걸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228B1 (ko) *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088Y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561A (en) Wringer mop with auxiliary cleaning elements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20090139041A1 (en) Squeeze mop
CA2629118C (en) Bendable dust mop
US9386898B2 (en) Washing combination for the cleaning of floors or other planar surfaces
JP2014212837A (ja) 床又は他の平坦な面を清掃するための洗浄用アセンブリ
JP2023078357A (ja) 多機能モップ付きスティッククリーナー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CA2703657A1 (en) Squeeze mop
AU2011253596B2 (en) Enhanced sponge mop
KR100924082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US20100313368A1 (en) Cleaning head with fixing device for cleaning apparatus
KR101153622B1 (ko) 걸래 파지장치가 구비된 밀대
CN211155614U (zh) 一种免手洗拖把
JP3133906U (ja) 迅速乾燥可能なモップ
KR200209751Y1 (ko)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JP3241196U (ja) 多機能フラットモップ
KR200489483Y1 (ko) 집게형 설거지기구
KR200399296Y1 (ko) 방충망용 청소용구
CN215305605U (zh) 一种可翻转拖把
CN211324687U (zh) 一种折叠清洁杆
KR200213099Y1 (ko) 걸레 착탈수단을 갖는 밀대
KR200365689Y1 (ko) 틈새 청소기구
CN201529095U (zh) 多用途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