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83Y1 - 집게형 설거지기구 - Google Patents

집게형 설거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83Y1
KR200489483Y1 KR2020170006282U KR20170006282U KR200489483Y1 KR 200489483 Y1 KR200489483 Y1 KR 200489483Y1 KR 2020170006282 U KR2020170006282 U KR 2020170006282U KR 20170006282 U KR20170006282 U KR 20170006282U KR 200489483 Y1 KR200489483 Y1 KR 200489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grip
sleeve
gripping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430U (ko
Inventor
박화순
Original Assignee
박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화순 filed Critical 박화순
Priority to KR2020170006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8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세미부재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식기류를 용이하게 설거지할 수 있으며, 사용 전후에 수세미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을 물론 사용 시에 수세미부재의 임의이탈이 방지되고 탄성집게부의 좌우유동까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슬릿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분할연결부와, 상기 분할연결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집게부와, 상기 탄성집게부에 착탈가능하게 파지되는 수세미부재와, 상기 분할연결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의 임의분리 방지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가 오므라든 상태로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게형 설거지기구{PORCEPS TYPE DISHES WASHING APPARATUS}
본 고안은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세미부재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식기류를 용이하게 설거지할 수 있도록 한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를 세척하는 설거지를 위해 수세미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수세미로는 금속재 수세미 또는 합성수지재 수세미가 많이 이용되다가 최근에는 직물재 수세미 또는 스펀지형 수세미로 대체되고 있다.
효과적인 설거지를 위해 주방용 세제를 수세미에 묻혀 사용하거나 설거지통 내의 물에 풀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주방용 세제가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게 되어 피부손상을 유발한다.
친환경 주방용 세제의 개발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고무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세제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무장갑의 착용은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353호(2011.01.13. 공개)에는 서로 대응하는 두 집게 부분을 가지는 집게와, 상기 두 집게 부분을 오므리면 서로 맞닿도록 상기 두 집게 부분에 장착된 수세미를 포함하는 세척 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6766호(2012.10.05. 공개)에는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한 쌍이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며, 각각의 일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연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 타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재의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 타단의 집게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보조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게형 설거지기구의 경우에는 두 집게 부분에 장착된 수세미에만 주방용 세제가 묻게 되고 집게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는 주방용 세재개 묻지 않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설거지를 하는 동안 사용자가 계속 두 집게 부분이 오므라들어 수세미가 맞닿도록 힘을 가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7652호(2003.03.17. 공고)에는 스텐레스사가 권회된 수세미부와, 합성수지로 성형화된 수세미 고정용 베이스부와, 지주부 및 파지부가 일체로 구성된 손잡이로 구성됨으로써, 수세미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익 및 만족감 향상과 식기 세척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손이 닿지 않은 구석진 곳 등의 세척 및 청소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세미로 잘 닦이지 않는 녹이나 음식물 찌꺼기가 눌러 붙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세척용 수세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설거지기구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세척대상물이 담겨있는 싱크대의 개수통 등의 물에 손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한 식기, 조리용기 등을 설거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수세미부가 닳을 경우에 설거지기구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0353호(2011.01.13.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6766호(2012.10.05. 공개)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07652호(2003.03.17. 공고)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세미부재를 간편하게 파지하여 식기류를 용이하게 설거지할 수 있도록 한 집게형 설거지기구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 전후에 수세미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을 물론 사용 시에 수세미부재의 임의이탈이 방지되고 탄성집게부의 좌우유동까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집게형 설거지기구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과제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슬릿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분할연결부와, 상기 분할연결부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집게부와, 상기 탄성집게부에 착탈가능하게 파지되는 수세미부재와, 상기 분할연결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의 임의분리 방지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가 오므라든 상태로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를 포함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슬릿의 시작지점에 제 1 원형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슬릿의 중간지점에 제 2 원형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슬릿의 끝지점 상하에는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의 전방 이동시에 서로 엇갈리게 맞물리면서 상기 탄성집게부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다단치합스토퍼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집게부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수세미부재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기가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지돌기는 삼각형으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세미부재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공성 스펀지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은 직사각형 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의 전방단부에는 좌우로 확장되어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의 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집게부의 후방단부에는 상하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의 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2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의하면, 손잡이부로부터 분기형성되는 탄성집게부에 수세미부재가 착탈가능하게 파지됨에 따라, 설거지를 하는 동안 손잡이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 주방용 세제나 물이 묻는 일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의하면, 탄성집게부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세미부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탄성집게부에 형성된 파지돌기에 의해 수세미부재의 임의이탈까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의하면, 사용 전후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기만 하면 탄성집게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어 수세미부재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사용 시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기만 하면 탄성집게부가 오므라든 상태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고장됨에 따라 수세미부재의 임의이탈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에 의하면, 중앙슬릿의 끝지점 상하에 각각 형성된 다단치합스토퍼돌기가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의 전방 이동시에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짐에 따라 탄성집게부의 좌우유동까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와, 손잡이부(1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슬릿(21)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분할연결부(20)와, 분할연결부(2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집게부(30)와, 탄성집게부(30)에 착탈가능하게 파지되는 수세미부재(40)와, 상기 분할연결부(2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4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3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40)의 임의분리 방지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30)가 오므라든 상태로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손잡이부(10)는 사용자가 설거지할 때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를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를 형성하는 구성부재이다.
손잡이부(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요철(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손잡이부(10)의 전방에는 분할연결부(20)가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분할연결부(20)는 수세미부재(40)를 실제 파지하는 탄성집게부(30)를 사용자의 손이 위치되는 손잡이부(10)로부터 이격시켜 사용자의 손에 주방용 세제 또는 물이 묻지 않도록 하는 구성부재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슬릿(21)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형성된다.
또한 분할연결부(20)에 의해 탄성집게부(30)에 수세미부재(40)의 파지에 적절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중앙슬릿(21)의 시작지점, 즉 손잡이부(10)와 분할연결부(20)의 연결지점에 제 1 원형관통공(23)이 형성됨과 동시에 중앙슬릿(21)의 중간지점에 제 2 원형관통공(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원형관통공(25)의 내경은 제 1 원형관통공(23)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할연결부(20)의 끝지점, 즉 전방단부 상하에는 다단치합스토퍼돌기(27, 27')가 돌출형성된다. 다단치합스토퍼돌기(27, 27')는 차후에 설명될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서로 상하밀착되어 엇갈리게 맞물려지면서 차후에 설명될 탄성집게부(30)가 수세미부재(40)를 vkw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분할연결부(20)의 전방에는 탄성집게부(30)가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탄성집게부(30)는 설거지를 위한 수세미부재(40)를 실제 파지하는 구성부재로, 중앙슬릿(21)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분할연결부(20)를 통해 수세미부재(40)의 파지에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며, 분할연결부(20)의 전방단부 중 최외측부로부터 서로 상하대칭되게 전방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탄성집게부(3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수세미부재(40)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기(31)가 돌출형성된다. 파지돌기(31)는 탄성집게부(30)에 의해 파지된 수세미부재(40)의 내측으로 파고들어 사용 중에 수세미부재(40)의 임의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악어이빨과 유사하게 삼각형으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탄성집게부(30)에는 수세미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파지된다. 수세미부재(40)는 실제 주방용 세제와 물을 흡수한 상태에서 식기류의 표면을 문질러 세척하는 구성부재이다.
수세미부재(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태의 다공성 스펀지(예: 허니컴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지돌기(31)를 포함하는 탄성집게부(30)에 의해 파지 가능하고 탄성집게부(30)에 의한 파지시에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면, 원기둥 등과 같은 형상에 무관하고 직물재 수세미 등과 같은 재질에 무관하게 공지된 다양한 형상과 재질의 수세미로도 형성될 수 있다. 수세미부재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오물이 다른 재질에 비해서 훨씬 덜 묻고 오물이 수세미부재 내부로 덜 스며들서 세척시 오물이 쉽게 떨어져 나갔다.
전술한 분할연결부(20)에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는 분할연결부(20) 상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탄성집게부(30)가 외측으로 더 벌어지게 하거나 또는 외측으로 더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면서 탄성집게부(30)의 탄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할연결부(20)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링으로 형성 가능하다.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이동 시에 세미부재(4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탄성집게부(3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이동 시에는 수세미부재(40)의 임의분리 방지를 위해 탄성집게부(30)가 오므라들어 수세미부재(40)를 파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유지시킨다.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분할연결부(20)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10)의 전방단부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1 스토퍼(13)가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집게부(30)의 후방단부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2 스토퍼(33)가 형성된다.
제 1 스토퍼(13)는 손잡이(10)의 전방단부에 좌우로 확장되도록 돌출형성됨에 따라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후방이동 시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후면 후방단부가 걸려져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제 2 스토퍼(33)는 탄성집게부(30)의 후방단부에 상하로 돌출됨에 따라 되어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방이동 시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상하면 전방단부가 걸려져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제 2 스토퍼(33)는 탄성집게부(30)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됨에 따라 탄성집게부(3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뿐만 아니라 제 2 스토퍼(33)는 탄성집게부(30)의 강한 오므림 시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전방으로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양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를 사용하여 설거지를 하는 경우에, 손잡이부(10)로부터 분할연결부(20)에 의해 이격되어 분기형성되는 탄성집게부(30)에 수세미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파지됨에 따라, 설거지를 하는 동안 손잡이부(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에 주방용 세제나 물이 묻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의 경우에는, 분할연결부(2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집게부(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별도의 힘을 들이지 않고도 수세미부재(4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탄성집게부(30)에 형성된 악아 이빨 형상의 파지돌기(31)에 의해 수세미부재(10)의 임의이탈까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의 경우에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가 분할연결부(2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 전후에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를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기만 하면 탄성집게부(30)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어 수세미부재(4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기만 하면 탄성집게부(30)가 오므라들어 수세미부재(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게 고정됨에 따라 수세미부재(40)의 임의이탈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형 설거지기구(1)의 경우에는, 중앙슬릿(21)의 끝지점 상하에 각각 형성된 다단치합스토퍼돌기(27, 27')가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방 이동시에 서로 엇갈리게 맞물려짐에 따라 탄성집게부(30)의 좌우유동까지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집게형 설거지기구
10 : 손잡이부
11 : 미끄럼방지요철
13 : 제 1 스토퍼
20 : 분할연결부
21 : 중앙슬릿
23 : 제 1 원형관통공
25 : 제 2 원형관통공
27, 27' : 다단치합스토퍼돌기
30 : 탄성집게부
31 : 파지돌기
33 : 제 2 스토퍼
40 : 수세미부재
50 : 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

Claims (8)

  1.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슬릿(21)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분할연결부(20);
    상기 분할연결부(20)의 전방에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탄성집게부(30);
    상기 탄성집게부(30)에 착탈가능하게 파지되는 수세미부재(40); 및
    상기 분할연결부(2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4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3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이동 시에는 상기 수세미부재(40)의 임의분리 방지를 위해 상기 탄성집게부(30)가 오므라든 상태로 외측으로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슬릿(21)의 시작지점에 제 1 원형관통공(23)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슬릿(21)의 중간지점에 제 2 원형관통공(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슬릿(21)의 끝지점 상하에는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방 이동시에 서로 엇갈리게 맞물리면서 상기 탄성집게부(30)의 좌우유동을 방지하는 다단치합스토퍼돌기(27, 27')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집게부(3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수세미부재(40)의 파지를 위한 파지돌기(3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파지돌기(31)는 삼각형으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부재(40)는 사각기둥 형태의 다공성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은 직사각형 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0)의 전방단부에는 좌우로 확장되어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1 스토퍼(13)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집게부(30)의 후방단부에는 상하로 돌출되어 상기 집게탄성조절용 이동슬리브(50)의 전방이동을 차단하는 제 2 스토퍼(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설거지기구.
KR2020170006282U 2017-12-07 2017-12-07 집게형 설거지기구 KR200489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82U KR200489483Y1 (ko) 2017-12-07 2017-12-07 집게형 설거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282U KR200489483Y1 (ko) 2017-12-07 2017-12-07 집게형 설거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30U KR20190001430U (ko) 2019-06-17
KR200489483Y1 true KR200489483Y1 (ko) 2019-06-26

Family

ID=6700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282U KR200489483Y1 (ko) 2017-12-07 2017-12-07 집게형 설거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8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562A (ja) * 2009-10-13 2011-04-28 Tatsuo Ishikawa 柄付洗浄具
JP2015112468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シーモス 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洗浄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652Y1 (ko) 2002-12-31 2003-03-17 구재열 손잡이가 구비된 다목적 세척용 수세미
KR20110000353U (ko) 2009-07-07 2011-01-13 김민지 세척 도구
KR200465151Y1 (ko) 2011-03-23 2013-02-05 이희정 세척용 보조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3562A (ja) * 2009-10-13 2011-04-28 Tatsuo Ishikawa 柄付洗浄具
JP2015112468A (ja) * 2013-12-12 2015-06-22 株式会社シーモス 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洗浄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30U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98B2 (en) Washing combination for the cleaning of floors or other planar surfaces
KR101629924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KR200489483Y1 (ko) 집게형 설거지기구
JP4808766B2 (ja) 清掃用具の払拭体分離機構
US20170127891A1 (en) Device for cleaning a slat of a shutter having a specific lateral profile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KR101955429B1 (ko) 세척용 브러시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KR101955802B1 (ko) 세척용 브러시
KR200491268Y1 (ko) 변기 청소용 집게
JP3224680U (ja) 洗浄拭き取り具
JP3224680U6 (ja) 洗浄拭き取り具
AU2015101062A4 (en) Multi-functional floor mop brush
WO2005048805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AU2008101311A4 (en) Mop head with scrubbing element
KR101618970B1 (ko) 클리닝 디바이스
KR20180001802U (ko) 머리카락 거르개와 작은 솔이 부착된 쓰레받기
KR102666799B1 (ko) 목욕용 때밀이기구
JP2014042558A (ja) 清掃具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20090091418A (ko) 고무장갑
KR200398618Y1 (ko) 장갑
KR101805707B1 (ko) 봉 걸레
KR200350913Y1 (ko) 수세미를 겸비한 고무장갑.
KR200328243Y1 (ko) 손잡이를 갖는 물걸레 청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