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802B1 - 세척용 브러시 - Google Patents

세척용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802B1
KR101955802B1 KR1020170081547A KR20170081547A KR101955802B1 KR 101955802 B1 KR101955802 B1 KR 101955802B1 KR 1020170081547 A KR1020170081547 A KR 1020170081547A KR 20170081547 A KR20170081547 A KR 20170081547A KR 101955802 B1 KR101955802 B1 KR 10195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mber
clamping
cleaning
fix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671A (ko
Inventor
김건휘
Original Assignee
김건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휘 filed Critical 김건휘
Priority to KR1020170081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0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08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disc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클리닝부재가 청소면과 가압 밀착되는 면적을 대폭 넓힐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 후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있으며 손을 대지 않고 손잡이부에 탈착시킬 수 있는 전용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가 개시된다. 상기 세척용 브러시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전체 면적으로 전용 클리닝부재를 청소면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청소면의 세척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된 전용 클리닝부재를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있고, 전용 클리닝부재를 손을 대지 않고 손잡이부에 클램핑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의 클램핑 시 전용 클리닝부재에 포함되어 있는 세척 세제가 손에 묻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전용 클리닝부재를 손을 대지 않고도 휴지통이나 변기 속에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척용 브러시{BRUSHES FOR CLEANING}
본 발명은 세척용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는 변기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는 변기의 경우 각종 세균들이 번식함과 동시에 곰팡이가 끼거나 물 때 등이 생기게 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자주 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는 변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변기에 세척제를 도포한 후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또는 물 때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에 적신 브러쉬를 이용하여 문지른 후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브러시는 통상적으로 손잡이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강모로 제작된 브러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브러시의 경우 사용 후에 변기 물속에 넣고 휘저어 세척하거나 물을 뿌려 헹구어서 세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에 강모가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일반적인 브러시의 경우 변기 세척 후 물로 수 회 이상 헹구어 세척을 하게 되면 대부분의 오물들이 제거되기는 하지만, 수차례의 헹굼 후에도 강모 사이에 일부의 오물들이 남아있게 됨으로써 보관 중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손잡이에 세척용 세제를 포함하고 있는 일회용 전용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세척용 브러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회용 전용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세척용 브러시의 경우 손잡이를 이용하여 전용 클리닝부재의 끝단부를 파지하여 변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잡이에 의해 전용 클리닝부재가 가압되는 면적이 매우 작아 전용 클리닝부재가 변기에 접촉되는 면적 또한 매우 작음으로써 변기 세척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용 클리닝부재가 변기에 밀착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최근에는 전용 클리닝부재 중앙부에 결합구가 부착되어 있는 세척용 브러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결합구의 경우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됨으로써 전용 클리닝부재의 제작단가를 대폭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구의 경우 물에 분해되지 않음으로써 사용 후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3874호(2006.06.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닝부재가 청소면과 가압 밀착되는 면적을 대폭 넓힐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척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있으며 손을 대지 않고 손잡이부에 탈착시킬 수 있는 전용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개구부가 마련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과, 상기 제2 개구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시키는 클램핑 수단 및,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소정간격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클램핑 수단을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클리닝부재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가압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어 벌어져 있는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에 클램핑 되도록 하는 클램핑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가압 돌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압 돌출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가압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 홀은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클램핑 수단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확장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는 로드부와, 상기 손잡이부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로드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및, 상기 로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를 제2 개구부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시키는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클램핑부를 강제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보조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보조 확장부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클램핑 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상기 클램핑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상기 클램핑부가 배출될 시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클램핑부를 강제적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부에 돌출 형성된 확장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는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는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 되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용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가 적층되어 적어도 일부가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세척 세제용 화합물에 함침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청소면에 밀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부에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한 쌍의 가이드 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 사이에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지지판과, 상기 탄성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 및, 상기 탄성 지지판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이 탄성적으로 소정간격 모아지도록 한 후 상기 고정 턱을 지나가게 되면 상기 탄성 지지판이 원상 복원됨에 따라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돌기가 고정 턱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 지지판이 탄성적으로 모아질 시 상기 탄성 지지판이 보다 용이하게 모아지도록 상기 탄성 지지판에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지지판과, 상기 탄성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과, 상기 탄성 지지판에 마련되는 돌출 홀 및, 상기 돌출 홀을 일부가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에 의해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가압되어 압축된 후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을 지나가게 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는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전체 면적으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를 청소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가 청소면과 가압 밀착되는 면적을 대폭 넓혀 청소면의 세척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용 클리닝부재가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를 적층하여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시켜 제작됨과 동시에,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고정부가 전용 클리닝부재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와 동일한 물분해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된 전용 클리닝부재를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고정부가 전용 클리닝부재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를 평평한 장소에 올려놓거나 바닥에 놓은 후 사용자가 전용 클리닝부재에 손을 대지 않고 손잡이부만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수단을 사용하여 클램핑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의 클램핑 시 전용 클리닝부재에 포함되어 있는 세척 세제가 사용자 손에 묻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클램핑 수단의 조작부만 슬라이딩 이동시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외부로 클램핑부만 배출시키기만 하면 사용자가 오염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를 손에 대지 않고도 휴지통이나 변기 속에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클램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전용 클리닝부재가 클램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2 가압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보조 확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탄성 고정수단이 마련된 세척용 브러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탄성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클램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전용 클리닝부재가 클램핑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제2 가압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보조 확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는 손잡이부(110),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클램핑 수단(130), 전용 클리닝부재(140) 및, 탄성 고정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일측 끝단에는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기 손잡이부(110)의 타측에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반경 방향으로 제2 개구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 끝단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힘을 가하여 청소면과 클리닝부재나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아크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재로는 가정이나 각종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수세미, 걸레, 휴지, 키친 타올, 1회용 행주, 물티슈, 1회용 청소포 등과 같은 클리닝부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구부(112)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축 방향으로 후술되는 클램핑 수단(130)의 조작부(132) 보다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은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은 상기 손잡이부(1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은 상기 손잡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은 베이스부(121), 제1 가압 돌출부(122) 및, 클램핑 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2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되는 연통 홀(121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21)는 상기 연통 홀(121a)이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 끝단부에 상기 손잡이부(110)와 일체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21)는 상기 손잡이부(11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연통 홀(121a)이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110)의 일측 끝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1)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의해 클램핑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가압시켜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핑 홀(123)은 상기 제1 개구부(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에 관통 형성되어 벌어져 있는 후술되는 클램핑 수단(130)의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램핑 홀(123)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클램핑부(133)를 가압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상기 클램핑 수단(130)의 클램핑부(133)에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클램핑 홀(123)의 끝단부에는 확장 경사부(1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확장 경사부(124)는 상기 클램핑 수단(130)의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램핑 홀(123)에 삽입될 시 보다 용이하게 상기 클램핑 홀(123)을 따라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은 제2 가압 돌출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 돌출부(125)는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 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에 체결되는 제2 가압 돌출부(125)는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 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세척용 브러시(100)를 파지하고 화장실 변기 등을 청소할 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가 더 큰 면적으로 청소면에 가압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압 돌출부(125)를 사용하게 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세척용 브러시 보다 더 큰 면적의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수단(130)은 상기 제2 개구부(112)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손잡이부(1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끝단부가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핑 수단(130)은 로드부(131), 조작부(132) 및, 클램핑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131)는 상기 손잡이부(110)의 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32)는 상기 손잡이부(110)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개구부(112)에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32)는 상기 로드부(131)의 타측 끝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32)를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132)와 함께 상기 로드부(131)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드부(131)의 일측 끝단부에 연결된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며, 상기 조작부(132)를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132)와 함께 상기 로드부(131)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반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드부(131)의 일측 끝단부에 연결된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램핑부(133)에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132)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부(132)를 조작할 시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목부(132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133)는 상기 로드부(131)의 일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132)를 제2 개구부(112)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조작부(132)와 연결된 로드부(131)에 의해 밀려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조작부(132)를 상기 제2 개구부(12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로드부(131)에 의해 잡아당겨져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 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핑부(133)는 바디부(133a), 클램핑 턱(133b), 오목부(13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3a)는 피로강도가 매우 강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각판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턱(133b)은 상기 바디부(133a)의 일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이 상기 바디부(133a)의 양측 끝단부에서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바디부(133a)의 일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33c)는 상기 바디부(133a)의 중앙부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램핑 턱(133b)이 형성된 바디부(133a)의 양측을 상기 한 쌍의 오목부(133c)를 중심으로 상기 바디부(133a)의 중앙부 측으로 탄성적으로 접어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턱(133b)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13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3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3d)는 상기 클램핑 턱(133b)에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부(133)에 의해 클램핑되는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상기 돌출부(133d)에 의해 보다 강하게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보다 견고하게 상기 클램핑부(133)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클램핑부(133)는 가이드 돌출부(13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133e)는 상기 클램핑 턱(133b)의 반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부(133a)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돌출부(133e)의 일측에는 확장 경사부(124)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1330e)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라운드부(1331e)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133e)의 경사면(1330e)은 상기 클램핑부(133)가 클램핑 홀(123) 내부로 유입될 시 확장 경사부(124)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라운드부(1331e)는 상기 클램핑 홀(123)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램핑 홀(123) 외부로 배출될 시 상기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램핑 홀(123)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어 클램핑 홀(123)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클램핑 수단(130)는 상기 클램핑부(133)를 강제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보조 확장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보조 확장부(134)는 스토퍼(134a) 및, 확장 돌기(1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4a)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클램핑 홀(12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 돌기(134b)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상기 클램핑부(133)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외부로 상기 클램핑부(133)가 배출될 시 상기 스토퍼(134a)에 걸려 상기 클램핑부(133)를 강제적으로 더 벌려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부(133)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134a)는 상기 확장 돌기(134b)가 걸릴 시 상기 확장 돌기(134a)가 상기 스토퍼(134a)에 의해 밀려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게 상기 확장 돌기(134b)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에는 고정부(14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에 마련된 고정부(142)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외부로 배출되어 있는 클램핑부(133) 중간에 상기 고정부(142)를 위치시킨 후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클램핑 수단(1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클램핑부(133)가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됨으로써 상기 클램핑 수단(10)에 의해 클램핑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용 클리닝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바디부(141) 및, 고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41)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에 의해 가압되어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바디부(14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디부(141)는 원기둥 형태뿐만 아니라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42)는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의해 클램핑 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41)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4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의 상부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143)는 상기 고정부(142)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부(141)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클램핑 수단(130)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142)를 클램핑시킬 시 클램핑부(133)가 상기 고정부(142)를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부(133)를 정 위치로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142)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의 양측에 클램핑부(133)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14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14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홀(14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가이드 홀(14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41)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들이 적층되어 적어도 일부가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분해성 재료로는 셀룰로오스 재질의 부직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분해성 재료들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스펀지, 매직블록,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적어도 일부가 세척 세제용 화합물에 함침되어 세척 세제용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세척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만 사용하고도 세척 세제로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는 변기 등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탄성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탄성 고정수단이 마련된 세척용 브러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탄성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 고정수단(150)은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소정간격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상기 손잡이부(110)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 고정수단(150)은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수단(13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나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 탄성력에 의해 클램핑 수단(130)이 반자동으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 또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고정수단(150)은 탄성 지지판(151), 고정 턱(152), 고정 돌기(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판(151)은 상기 제2 개구부(1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은 상기 클램핑 수단(130)의 조작부(132)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로드부(131)의 끝단부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턱(152)은 상기 탄성 지지판의(151)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112)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110) 내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153)는 상기 탄성 지지판(151)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돌기(153)는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15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151)이 탄성적으로 소정간격 모아지도록 한 후 상기 고정 턱(152)을 지나게 되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이 원상 복원됨에 따라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탄성 고정수단(150)은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수단(13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상기 제2 개구부(112)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나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 탄성적으로 가압된 상기 탄성 지지판(151)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돌기(153)가 고정 턱(152)에 의해 소정간격 밀리게 됨으로써 클램핑 수단(130)이 반자동으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 또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 고정수단(150)은 절개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54)는 상기 고정 돌기(153)가 상기 고정 턱(152)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이 탄성적으로 모아질 시 상기 탄성 지지판(151)이 보다 용이하게 모아지도록 상기 탄성 지지판(151)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 고정수단(150)은 탄성 지지판(151), 고정 턱(152), 돌출 홀(155), 탄성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판(151)은 상기 제2 개구부(1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은 상기 클램핑 수단(130)의 조작부(132)의 반대측에 위차하도록 로드부(131)의 끝단부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턱(152)은 상기 탄성 지지판(151)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112)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110) 내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홀(155)은 상기 탄성 지지판(151)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6)는 상기 돌출 홀(155)을 일부가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판(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151)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56)는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152)에 의해 상기 돌출 홀(155)을 통해 탄성 지지판(151)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가압되어 압축된 후 상기 돌출 홀(155)을 통해 탄성 지지판(151)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152)을 지나가게 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돌출 홀(155)을 통해 탄성 지지판(151)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탄성 고정수단(150)은 클리닝부재를 클림팽 수단(13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상기 제2 개구부를(112)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나 상기 클램핑 수단(130)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130)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시 탄성적으로 가압된 상기 탄성부재(156)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돌출 홀(155)을 통해 탄성 지지판(151)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 즉 후술되는 돌출부(156b)가 상기 고정 턱(152)에 의해 소정간격 밀리게 됨으로써 클램핑 수단(130)이 반자동으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 또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56)는 탄성 지지부(156a) 및, 돌출부(15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156a)는 한 쌍의 탄성 지지판(15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156b)는 한 쌍이 상기 탄성 지지부(156a)의 양측 끝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일부가 상기 돌출 홀(155)을 통해 상기 탄성 지지판(15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 홀(155)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를 이용하여 화장실에 마련되어 있는 변기를 세척하는 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를 이용하여 화장실에 마련된 변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후 클램핑 수단(130)의 조작부(132)를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상기 조작부(132)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132)와 연결된 로드부(131) 또한 상기 조작부(132)와 연동되어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로드부(131)에 의해 클램핑부(133)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한 쌍의 클램핑 턱(133b)이 서로 밀착되어 있던 클램핑부(133)의 양측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부(133)의 양측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133)의 한 쌍의 클램핑 턱(133b)이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 양측에 위치하도록 세척용 브러시(1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조작부(132)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132)와 연결된 로드부(131)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133)가 견인되어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클램핑 홀(123)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탄성적으로 벌어져 있던 클램핑부(133)의 한 쌍의 클램핑 턱(133b)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턱(133b) 사이에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맞물려 클램핑 된다.
한편,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제1 가압 돌출부(122) 보다 직경보다 큰 사이즈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세척할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부(133)에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 시키기 전에 상기 제1 가압 돌출부(122)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가압 돌출부(125)를 상기 제1 가압 돌출(122)부에 결합시킨 후 상술한 과정을 거쳐 클램핑부(133)에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 시킨다.
또한,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지 않고 수세미나 휴지, 각종 직물재질로 제작된 일반적인 클리닝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클램핑부(133)의 양측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부(133)의 한 쌍의 클램핑 턱(133b) 사이에 클리닝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조작부(132)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작부(132)와 연결된 로드부(131)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133)가 견인되어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클램핑 홀(123)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탄성적으로 벌어져 있던 클램핑부(133)의 한 쌍의 클램핑 턱(133b)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클램핑 턱(133b) 사이에 클리닝부재가 맞물려 클램핑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 수단(130)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파지한 손잡이부(110)를 이동시켜 세척하고자 하는 화장실에 마련된 변기의 청소면에 상기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가압하여 상기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청소면에 가압 밀착시킨다.
상기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청소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10)를 이동시켜 상기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청소면에 문질러 청소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적어도 일부에는 세척 세제용 화합물이 함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물에 적신 후 청소면에 가압하여 문지르게 되면 별도의 세척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청소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청소면의 세척을 완료한 다음에는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32)를 제2 개구부(112)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클램핑 홀(123) 내부에 위치한 클램핑부(133)를 상기 클램핑 홀(123)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클램핑부(133)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클램핑이 해제되어 상기 클램핑부(133)로부터 전용 클리닝부재(140)가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는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가 적층되어 적어도 일부가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에 버리게 되면 물에 의해 분해됨으로 사용한 전용 클리닝부재(1401)를 변기 속에 그대로 버린 후 변기 물을 내려 버리게 되면 변기가 막히는 현상 없이 변기 물에 의해 분해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는 클램핑 수단(130)에 의해 클리닝부재 또는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시킨 상태에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전체 면적으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청소면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140)가 청소면과 가압 밀착되는 면적을 대폭 넓혀 청소면의 세척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용 브러시(100)는 전용 클리닝부재(140)가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를 적층하여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시켜 제작됨과 동시에, 클램핑 수단(130)에 의해 클램핑되는 고정부(142)가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와 동일한 물분해성 재료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된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변기에 그대로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고정부(142)가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평평한 장소에 올려놓거나 바닥에 놓은 후 사용자가 전용 클리닝부재(140)에 손을 대지 않고 손잡이부(110)만 파지한 상태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클램핑 수단(130)을 사용하여 클램핑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클리닝부재(140)의 클램핑 시 전용 클리닝부재(140)에 함침되어 있는 세척 세제가 사용자 손에 묻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클램핑 수단(130)의 조작부(132)만 슬라이딩 이동시켜 클리닝부재 가압수단(120)의 외부로 클램핑부(133)만 배출시키기만 하면 사용자가 오염된 클리닝부재나 전용 클리닝부재(140)를 손에 대지 않고도 휴지통이나 변기 속에 버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손잡이부 (120) :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130) : 클램핑 수단 (140) : 전용 클리닝부재
(150) : 탄성 고정수단

Claims (19)

  1. 중공 형태로 형성되어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개구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개구부가 마련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상기 제2 개구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시키는 클램핑 수단; 및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소정간격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클램핑 수단을 상기 손잡이부에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는 로드부;
    상기 손잡이부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며 상기 로드부와 연결되는 조작부;
    상기 로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를 제2 개구부를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배출되어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조작부를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어 클리닝부재를 클램핑 시키는 클램핑부; 및
    상기 클램핑부를 강제적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보조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확장부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클램핑 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 및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측으로 상기 클램핑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외부로 상기 클램핑부가 배출될 시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클램핑부를 강제적으로 벌려줄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부에 돌출 형성된 확장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확장 돌기가 걸릴 시 상기 확장 돌기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밀려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게 상기 확장 돌기와 마주하는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마련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된 클리닝부재를 가압하는 제1 가압 돌출부; 및
    상기 제1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가압 돌출부에 관통 형성되어 벌어져 있는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에 클램핑 되도록 하는 클램핑 홀을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은,
    상기 제1 가압 돌출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압 돌출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가압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홀은,
    상기 클램핑 수단의 끝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시 상기 클램핑 수단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확장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를 따라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벌어져 있는 끝단부가 클리닝부재 가압수단 내부로 삽입되면서 밀착되는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 되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전용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복수개의 물분해성 재료가 적층되어 적어도 일부가 압축 접합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세척 세제용 화합물에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청소면에 밀착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의해 클램핑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클리닝부재는,
    상기 바디부에 한 쌍의 가이드 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홀 사이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의 상부면에서부터 하부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용 브러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지지판;
    상기 탄성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 및
    상기 탄성 지지판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이 탄성적으로 소정간격 모아지도록 한 후 상기 고정 턱을 지나가게 되면 상기 탄성 지지판이 원상 복원됨에 따라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 돌기가 고정 턱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탄성 지지판이 탄성적으로 모아질 시 상기 탄성 지지판이 보다 용이하게 모아지도록 상기 탄성 지지판에 형성된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개구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클램핑 수단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지지판;
    상기 탄성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개구부 주변에 위치한 손잡이부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 턱;
    상기 탄성 지지판에 마련되는 돌출 홀; 및
    상기 돌출 홀을 일부가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탄성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에 클리닝부재를 클램핑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램핑 수단을 클리닝부재 가압수단의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 턱에 의해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가압되어 압축된 후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을 지나가게 되면 원상 복원되어 상기 돌출 홀을 통해 탄성 지지판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기 고정 턱에 걸리게 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척용 브러시.
KR1020170081547A 2017-06-28 2017-06-28 세척용 브러시 KR10195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47A KR101955802B1 (ko) 2017-06-28 2017-06-28 세척용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547A KR101955802B1 (ko) 2017-06-28 2017-06-28 세척용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71A KR20190001671A (ko) 2019-01-07
KR101955802B1 true KR101955802B1 (ko) 2019-05-30

Family

ID=6501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47A KR101955802B1 (ko) 2017-06-28 2017-06-28 세척용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80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956A (ja) * 1997-04-08 1998-10-20 Lion Corp 掃除具
US7159265B2 (en) 2003-07-08 2007-01-09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replaceable brush head
US7958590B2 (en) * 2006-12-29 2011-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tool handle for use with a disposable toilet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71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008B2 (en) Cleaning brush with replaceable/disposable brush head
CA2578755A1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WO2005046418A1 (en) Cleaning brush with disposable/replaceable brush head
US8607400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KR101955429B1 (ko) 세척용 브러시
KR101955802B1 (ko) 세척용 브러시
JP2006312095A (ja) 洗浄具
KR20120031864A (ko) 청소 도구
JP3105217U (ja) 柄付き清掃具
KR101273838B1 (ko) 청소기
JP3870849B2 (ja) 洗浄具
KR200489483Y1 (ko) 집게형 설거지기구
JP7185447B2 (ja) 清掃具
KR100903653B1 (ko) 바닥용 청소도구
US9131822B1 (en) Cantilevered cleaning device
WO20130093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debris from a drain strainer
JP3103649U (ja) 汚れ落とし用具およびそのセット
KR200491268Y1 (ko) 변기 청소용 집게
JP2022052238A (ja) 清掃用具
JP3140187U (ja) 清掃用具
JP4339965B2 (ja) 掃除具
KR200261910Y1 (ko) 빗자루와 쓰레받기가 결합된 청소용구
KR101805707B1 (ko) 봉 걸레
JP3208692U (ja) トイレ清掃具
KR102534177B1 (ko)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