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653B1 - 바닥용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바닥용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653B1
KR100903653B1 KR1020080046904A KR20080046904A KR100903653B1 KR 100903653 B1 KR100903653 B1 KR 100903653B1 KR 1020080046904 A KR1020080046904 A KR 1020080046904A KR 20080046904 A KR20080046904 A KR 20080046904A KR 100903653 B1 KR100903653 B1 KR 10090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upling member
mop
adhesive tap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규
Original Assignee
임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규 filed Critical 임병규
Priority to KR1020080046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2Implements with several different 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먼지나 머리 가락을 접착하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와 세척용 걸레부재가 함께 바닥에 접착되어 청소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걸레부재가 하부면에 고정수단(400)에 의해 분리 및 고정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에 설치된 고정수단(400)을 작동시켜 걸레부재가 베이스판(100)의 바닥면에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캠축(310)과, 상기 캠축(31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밀대(300)와, 상기 밀대(300)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베이스판(100)의 상부를 덮는 덮개(200)로 구성된 바닥용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로 덮여져 있는 베이스판(100) 전면부 좌우 양측에 걸고리(510)가 돌출되어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500)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500)는 슬라이드홈(530)이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뚫어져 가이드돌기(110)에 의해 결합부재(500)가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안내토록 하고, 상기 조작돌기(520)와 슬라이드홈(530)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500)의 중간 외측부위에는 일정치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50)과, 상기 걸림턱(550)에 걸리어 더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된 결합부재(500)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40)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선단부 상부에는 결합부재(500)에 형성된 걸림턱(550)이 걸리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30)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부에는 탄성체(700)에 탄지되어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압판(71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베이스판, 가이드돌기, 덮개, 밀대, 캠축, 고정수단, 결합부재, 걸고리, 조작돌기, 슬라이드홈, 접착테이프

Description

바닥용 청소도구 {floor cleaning appliance}
본 발명은 바닥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먼지나 머리가락을 접착하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와 세척용 걸레부재가 함께 바닥에 접착되어 청소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바닥용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을 걸레질하는 일은 상당한 노동력을 요하는 일로, 예전에는, 사무실 등의 바닥 청소시에는 자루의 단부에 다수의 긴 천이 고착되어 있는 소위 대걸레를 사용하여 그 수고를 덜 수 있었으나, 일반 가정의 방이나 마루는 바닥에 무릎꿇은 자세로 걸레질을 하여야 했으므로 특히 가정 주부들에게 있어서 걸레질은 가사노동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걸레용 천을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정에서도 서있는 자세에서 걸레질을 할 수 있도록 한 플랩형 대걸레가 보급되어 대부분의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걸레는 물을 뭍혀서 하는 습식용 청소방법, 또는 물기 없이 먼지 를 모아지게 하는 건식 방법이 있다.
습식의 경우 물을 자주 뭍혀야 하고 걸레를 빨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마른 걸레로 세척하는 경우 습식에 비해 번거로움이 덜한 반면, 완전한 먼지 제거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롤 형식으로 권취된 접착테이프를 이용해 바닥에 떨어진 먼지나 머리가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도구가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건식 걸레나 습식 걸레 및 접착 테이프식 청소용구는 각각 별도로 제작 및 판매됨은 물론, 사용시에도 별도로 필요한 용도의 것을 선택하여 청소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청소 작업이 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주부들로 하여금 많은 번거로움을 느끼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걸레들을 용도에 맞춰 따로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갖도록 하는 단점도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걸레에 의한 세척효과와 아울러 접착 테이프에 의한 청소효과를 동시에 갖을 수 있도록 한 청소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빠른 청소 작업시간에도 깨끗하게 먼지와 머리가락 등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구 구입비 절감으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청소용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걸레부재가 하부면에 고정수단(400)에 의해 분리 및 고정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에 설치된 고정수단(400)을 작동시켜 걸레부재가 베이스판(100)의 바닥면에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캠축(310)과,
상기 캠축(31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밀대(300)와, 상기 밀대(300)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베이스판(100)의 상부를 덮는 덮개(200)로 구성된 바닥용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로 덮여져 있는 베이스판(100) 전면부 좌우 양측에 걸고리(510)가 돌출되어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500)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500)는 슬라이드홈(530)이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뚫어져 가이드돌기(110)에 의해 결합부재(500)가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안내토록 하고,
상기 조작돌기(520)와 슬라이드홈(530)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500)의 중간 외측부위에는 일정치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50)과, 상기 걸림턱(550)에 걸리어 더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된 결합부재(500)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40)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선단부 상부에는 결합부재(500)에 형성된 걸림턱(550)이 걸리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30)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부에는 탄성체(700)에 탄지되어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압판(71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500)의 걸고리(510)가 돌출된 외측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결합부재(500)를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520)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외부로 인출이 이루어진 결합부재의 걸고리에 접착테이프의 좌우 양측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후 봉형상의 밀대를 잡고 서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접착테이프에 의해 먼지와 머리가락이 제거되어 짐과 동시에 베이스판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물걸레에 의해 바닥의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편리하면서도 깨끗하게 먼지와 머리가락 등을 완전하고 바닥으로부터 빠르게 제거할 수 있어 청소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발명이다.
또,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된 테이프를 떼어내서 롤 상태의 점착테이프 직경이 줄어들더라도 스프링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텐션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과의 접촉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에 롤타입의 접착테이프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외부로 결합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베이스판 내부로 결합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베이스판 외부로 결합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실시예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다.
삭제
본 발명은 바닥용 청소도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덮개(200)로 덮여져 있는 베이스판(100)의 좌우 양측에 물걸레와 같은 걸레부재가 바닥면에 정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 및 해제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00)이 캠축(310)의 회전상태에 따라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축(310)에는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봉타입이 밀대(30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덮개(200)로 덮어져 있는 베이스판(100)의 전면 좌우 양측에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걸고리(5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500)가 탄성체(700)의 탄성력이 가압판(710)을 통해 일정하게 전달받으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걸고리(510)에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의 좌우 양측단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걸고리(510)가 접착테이프(600)의 양측에 뚫어진 구멍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이유는 결합부재(500)는 길이가 길면서도 비교적 두께가 얇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10)에 슬라이드홈(530)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유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비교적 길이가 짧게 성형된 걸고리(510)의 길이만큼 좌우로 형성된 유격과 아울러 합성수지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걸고리(510)는 양측으로 약간 벌어진 후 접착테이프(600)의 양측 중앙부에 뚫어진 구멍에 끼워진 후 다시 자체탄성으로 복귀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착테이프(600)를 교체하거나 할 때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약간의 힘을 가하여 걸고리(510)가 형성된 결합부재(500)를 강제적으로 약간 벌어지게 한 후 이미 결합되어 있는 접착테이프(600)를 걸고리(510)에서부터 빼서 분리한 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부재(500)의 대략 중앙부는 탄성체(700)인 코일스프링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압토록 하고, 탄성체(700)의 하부에는 결합부재(500)와의 접척면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둥근 원판 내지 와셔부재로 된 가압판(710)이 위치된다.
삭제
이때, 상기 결합부재(500)는 슬라이드홈(530)이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타측 외측단부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결합부재(500)를 인입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돌기(520)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조작돌기(520)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 단부의 내측면에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 일측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걸고리(5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작돌기(520)와 슬라이드홈(530)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500)의 중간 외측부위에는 일정치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50)과, 상기 걸림턱(550)에 걸리어 더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된 결합부재(500)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4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재(500)가 원활하게 베이스판(100)의 내외부로 인입출 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인출이 이루어진 결합부재(500)가 자연적으로 베이스판(100)의 내부로 결합부재(500)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500)가 원활하게 베이스판(100)의 내외부로 인입출 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인출이 이루어진 결합부재(500)가 자연적으로 베이스판(100)의 내부로 결합부재(500)가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100)의 선단부 상부에는 결합부재(500)에 형성된 걸림턱(550)이 걸리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30)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판(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는 슬라이드홈(530)에 끼워져 결합부재(500)가 베이스판(100)의 외측으로 일정치 이상 이동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결합부재(500)가 안내되면서 원래위치로 원상 복귀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110)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0)에 결합부재(500)의 슬라이드홈(530)을 끼워주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재(500)가 가이드돌기(110)에 의해 지지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베이스판(100)의 내외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입출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상기 걸림돌기(130)에 결합부(500)에 형성된 걸림턱(550)이 걸리어 결합부재(500)가 베이스판(100)이 외부로 일정치 이상 인출되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500)의 타측부에 형성된 걸고리(510)는 베이스판(100)의 중앙부를 향하고 조작돌기(520)는 베이스판(100)의 외측부를 향하도록 슬라이드홈(530)이 가이드돌기(110)에 끼워져, 상기 결합부재(500)를 청소도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임으로 결합부재(500)를 베이스판(100)에 인입출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재(500)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인출시킨 후에는 결합부재(500)의 걸고리(510)에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 양측 구멍에 각각 결합시켜 청소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결합부재(500)를 베이스판(100)에 인입시에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를 결합부재(500)로부터 분리한 후 베이스판(100)에 지지돌기(540)의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결합부재(500)를 각각 베이스판(10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 일정량 회전시키고, 상기 베이스판(10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이 이루어진 결합부 재(500)를 다시 베이스판(100)의 후부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베이스판(100)이 내부로 결합부재(500)가 인입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베이스판(100)의 바닥면에 고정수단(400)을 이용해 물걸레와 같은 걸레부재를 고정시킨 후, 상기 걸레부재가 하부면에 고정수단(40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판(100)의 전면 외측 좌우로 결합부재(5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인출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500)는 조작돌기(520)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홈(530)이 가이드돌기(110)에 의해지지 안내되면서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인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이 이루어진 결합부재(500)는 지지돌기(540)와 걸림턱(500) 사이에 베이스판(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30)가 위치되는 상태까지 인출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판(100)의 외부로 걸림턱(550)이 걸림돌기(13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인출이 이루어진 결합부재(500)의 걸고리(510)를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 양측 중앙에 뚫어진 구멍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킨 후, 봉형상의 밀대(300)를 잡고 서서 청소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접착테이프(600)에 의해 먼지와 머리가락이 제거되어 짐과 동시에 베이스판(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물걸레와 같은 걸레부재에 의해 바닥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편리하면서도 깨끗하게 먼지와 머리가락 등을 완전하고 바닥으로부터 빠르게 제거되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착테이프(600)를 결합부재(500)에 결합시켜 청소를 수행중 상기 접착테이프(600)에 이물질이 붙어 상기 이물질이 붙어있는 부위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접착테이프(600)를 결합부재(500)에 붙여 계속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70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710)이 베이스판(100)의 하부 방향으로 결합부재(500)가 눌려지게 됨으로써, 반복되는 사용으로 두께가 얇아진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를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며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청소를 수행한 후에는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를 결합부재(500)의 걸고리(510)로 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베이스판(100)으로부터 걸레부재를 분리하고, 상기 걸레부재가 분리된 베이스판(100)의 내부 방향으로 접착테이프(600)가 분리되어진 결합부재(500)를 지지돌기(540)의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각각 베이스판(10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 일정량 회전시키고, 상기베이스판(10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량 회전이 이루어진 결합부재(500)를 다시 베이스판(100)의 후부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결합부재(500)가 슬라이드홈(530)이 가이드돌기(110)에 의해지지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베이스판(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인입 되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에 롤타입의 접착테이프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삭제
도 2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외부로 결합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삭제
도 3은 본 발명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베이스판 내부로 결합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
삭제
도 5는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베이스판 외부로 결합부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바닥용 청소도구의 실시예인 결합부재가 베이스판에 결합 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삭제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판 110 : 가이드돌기
130 : 걸림돌기 200 : 덮개
300 : 밀대 310 : 캠축
400 : 고정수단 500 : 결합부재
510 : 걸고리 520 : 조작돌기
530 : 슬라이드홈 540 : 지지돌기
541 : 경사면 550 : 걸림턱
600 : 접착테이프 700 : 탄성체
710 : 가압판

Claims (4)

  1. 걸레부재가 하부면에 고정수단(400)에 의해 분리 및 고정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에 설치된 고정수단(400)을 작동시켜 걸레부재가 베이스판(100)의 바닥면에 결합 및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캠축(310)과,
    상기 캠축(310)에 하부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밀대(300)와, 상기 밀대(300)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베이스판(100)의 상부를 덮는 덮개(200)로 구성된 바닥용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로 덮여져 있는 베이스판(100) 전면부 좌우 양측에 걸고리(510)가 돌출되어 롤타입의 접착테이프(6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500)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500)는 슬라이드홈(530)이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뚫어져 가이드돌기(110)에 의해 결합부재(500)가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안내토록 하고,
    조작돌기(520)와 슬라이드홈(530)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재(500)의 중간 외측부위에는 일정치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50)과, 상기 걸림턱(550)에 걸리어 더 이상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된 결합부재(500)가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지지돌기(540)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판(100)의 선단부 상부에는 결합부재(500)에 형성된 걸림턱(550)이 걸리어 더 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130)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500)의 상부에는 탄성체(700)에 탄지되어 탄성력을 제공받는 가압판(71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용 청소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46904A 2008-05-21 2008-05-21 바닥용 청소도구 KR10090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04A KR100903653B1 (ko) 2008-05-21 2008-05-21 바닥용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04A KR100903653B1 (ko) 2008-05-21 2008-05-21 바닥용 청소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653B1 true KR100903653B1 (ko) 2009-06-23

Family

ID=409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904A KR100903653B1 (ko) 2008-05-21 2008-05-21 바닥용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6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05Y1 (ko) * 1985-11-07 1988-05-28 함영식 걸레가 결합된 브러시 로울러
JPH09192070A (ja) * 1996-01-19 1997-07-29 Nitomuzu:Kk 清掃用具
KR20050118662A (ko) * 2005-12-03 2005-12-19 삼정크린마스터(주) 브러시 겸용 물걸레 청소구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05Y1 (ko) * 1985-11-07 1988-05-28 함영식 걸레가 결합된 브러시 로울러
JPH09192070A (ja) * 1996-01-19 1997-07-29 Nitomuzu:Kk 清掃用具
KR20050118662A (ko) * 2005-12-03 2005-12-19 삼정크린마스터(주) 브러시 겸용 물걸레 청소구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994B2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and method of cleaning mop material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KR101015537B1 (ko)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US8468644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floor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100924082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100903653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101273838B1 (ko) 청소기
KR100883551B1 (ko) 청소용 밀대걸레
KR101955429B1 (ko) 세척용 브러시
KR101397864B1 (ko) 탈착이 용이한 롤 브러시 고정형 청소기
JP2005103196A (ja) モップ基台
CN112932371A (zh) 一种快速挤水棉头拖把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KR101749050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1955802B1 (ko) 세척용 브러시
KR101471790B1 (ko) 롤 브러시 고정형 청소기
AU2015101062A4 (en) Multi-functional floor mop brush
KR100864015B1 (ko) 바닥용 청소도구
KR102534177B1 (ko) 청소 장치
KR101850512B1 (ko) 물걸레 청소기
US9131822B1 (en) Cantilevered cleaning device
CN214180341U (zh) 一种拖布清洗装置以及清洁水箱
JP2004016637A (ja) 洗浄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