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273Y1 -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 Google Patents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273Y1
KR200430273Y1 KR2020060022827U KR20060022827U KR200430273Y1 KR 200430273 Y1 KR200430273 Y1 KR 200430273Y1 KR 2020060022827 U KR2020060022827 U KR 2020060022827U KR 20060022827 U KR20060022827 U KR 20060022827U KR 200430273 Y1 KR200430273 Y1 KR 200430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bottle
cleaning
foam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문
Original Assignee
(주)서룡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룡상사 filed Critical (주)서룡상사
Priority to KR2020060022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6Threaded or screw connections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 및 영아 등이 사용하는 젖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에 대한 것으로, 특히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절곡 형상의 고정대 상측부를 벌어짐이 가능한 계지구로 형성하여, 그 계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세척폼을 끼워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계지구의 선단에는 세척모가 식모된 브러쉬 몸체를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드러운 세척폼에 의해 젖병 내부 측벽의 빠르고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단부의 브러쉬에 의해 젖병 바닥이나 코너부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그 세척 효과가 가일층 향상되면서도, 세척구의 분리가 가능하여 이들의 개별 소독이나 소제가 용이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세척폼이나 브러쉬의 손상이나 마모시 해당 부품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수명이 매우 연장되면서도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이다.
젖병, 세척구, 세척폼, 브러쉬, 고정대, 손잡이, 계지구

Description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Cleansing device for nursing bottl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계지부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계지부 선단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계지구와 단부 브러쉬 결합부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계지구와 단부 브러쉬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용 세척폼의 타실시예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용 세척폼의 또다른 실시예도
도 9는 종래의 젖병 세척구의 전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손잡이 2 : 고정대
3 : 계지구 4,4' : 계지돌기
5 : 삽입홈 6 : 끼움구
7 : 세척폼 8 : 세척모
9 : 브러쉬 몸체 10 : 수나사부
11 : 암나사공 12 : 록킹돌기
13 : 록킹홈 14 : 삽입공
본 고안은 유아 및 영아 등이 사용하는 젖병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갖는 고정대의 선단에 벌어짐이 가능한 계지구를 형성하여 이에 스폰지 등으로 된 세척폼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계지구의 상단에는 세척모가 식모된 브러쉬 몸체를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세척폼과 브러쉬에 의해 젖병의 내측을 고르고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하면서도 세척폼의 교환이나 브러쉬 몸체의 교환이 용이하여, 그 세척구의 소독이나 소제가 편리하면서도 부분적인 교체 사용을 통해 그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젖병은 신생아 및 영아, 유아의 성장에 필요한 모유의 대용으로 분유를 수유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사회의 발달과 개인중심화로 인하여 출산이 있은 후에도 출산 전의 몸매를 유지하기 위하거나 자연적 또는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신체적인 여건이 맞지 않거 나, 모유에 대한 인식부족 등 다양한 원인과 이유로 모유 수유보다는 분유 수유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사용하는 젖병은 그 내부에 콜로이드 상태로 미립자 형태의 분유를 사용하게 되므로 유아 및 영아들이 분유를 마신 후에는 유아 및 영아들의 건강을 위하여 청결한 위생상태가 필요하므로 항상 깨끗한 세척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젖병은 그 내부가 대단히 협소하여 손으로 직접 세척하기가 어려우므로 별도의 세척솔로 그 내부를 청소하고 있으나 역시 젖병은 그 내부가 협소하여 솔로 자유롭게 세척을 할 수가 없어 젖병의 구석구석까지 깨끗한 세척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렇게 젖병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세척용 브러쉬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손잡이(100)의 하부에 꼬임강선(101)이 삽입되어 있고, 전기한 꼬임강선(101)은 두 가닥의 강선이 나선형으로 꼬여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꼬임부에는 다수의 세척모(102)(102')가 함께 삽입 식재되어 있어 강선의 꼬임력에 의해 세척모(102)(102')가 고정되게 한 것이며, 전기한 꼬임강선(101)의 하부에는 별도의 스폰지(103)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브러쉬를 이용하여 젖병 내부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다수의 세척모(102)(102')를 수회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승강시키며 젖병 내부의 측주면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스폰지(103)로는 젖병 하부 바닥면을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젖병 세척용 브러쉬는 꼬임강선에 세척모를 삽입하여 고정한 것으로, 꼬임강선의 특성상 상기한 세척모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세척모의 간격에 의해 젖병 내부 세척시 젖병 내부 전주면을 세척시키지 못하므로 수회 반복적으로 젖병 내부를 세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세척용 브러쉬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폰지는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쉽게 마모 및 손상되므로 그 사용수명이 매우 짧아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세척모 틈새 사이에는 미세한 분유 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잔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유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세척을 통해 제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분유 찌꺼기는 세척모의 틈새와 식모틈새에 위치하여 외관상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그냥 방치해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상기 잔존하는 분유 찌꺼기는 다음 세척할 때까지 그대로 방치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분유 찌꺼기가 부패되면서 균이 번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젖병의 세척 후 상기 세척모가 식모된 강선의 식모 틈새에는 물기가 잔존하므로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세균이 더욱더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므로 유아 및 영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절곡 형상의 고정대 상측부를 벌어짐이 가능한 계지구로 형성하여, 그 계지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세척폼을 끼워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계지구의 선단에는 세척모가 식모된 브러쉬 몸체를 결합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부드러운 세척폼에 의해 젖병 내부 측벽의 빠르고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단부의 브러쉬에 의해 젖병 바닥이나 코너부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그 세척 효과가 가일층 향상되면서도, 세척구의 분리가 가능하여 이들의 개별 소독이나 소제가 용이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세척폼이나 브러쉬의 손상이나 마모시 해당 부품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수명이 매우 연장되면서도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젖병 세척구의 전체사시도이다.
하단에 회전식 손잡이(1)를 갖는 절곡 형상의 고정대(2)를 구비하고, 그 고정대(2)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분할된 계지구(3)를 형성하여, 그 계지구(3)의 대향 내측면에는 서로 엇갈려 형성된 계지돌기(4)(4')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구(3)의 선단에는 삽입홈(5)과 끼움구(6)를 각각 대향 형성하여 서로 면접되게 하되,
상기 계지구(3)의 내측에는 절반이 접혀 끼워지는 세척폼(7)을 삽입하여 그 계지돌기(4)(4')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계지구(3)의 선단에는 방사상의 세척모(8)를 갖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세척폼(7)은 발포된 스폰지로 구성하거나, 일측면에는 스폰지로 구성하고 타측면에는 거친 루프사로 된 수세미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측에는 스폰지로 된 세척폼을 끼워 넣고 그 하측에는 상기 스폰지 보다 큰 기공을 갖는 발포성 스폰지를 끼워 넣어, 상하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스폰지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계지구(3)의 선단에는 분할 형성된 수나사부(10)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에는 암나사공(11)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하거나,
계지구(3)의 선단에는 록킹돌기(12)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에는 록킹홈(13)을 갖는 삽입공(14)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젖병 세척구는 절곡 형상으로 된 고정대(2)의 하단에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손잡이(1)가 끼워져 있고, 그 고정대(2)의 상측에는 벌어짐이 가능한 형상의 계지구(3)가 일체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대(2)의 상기 계지구(3)에는 스폰지 등으로 된 세척폼(7)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계지구(3)의 선단에는 세척모(8)를 갖는 브러쉬 몸체(9)가 결합되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척구에 있어 상기 계지구(3)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선단이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어 상기 벌어진 상태의 계지구(3) 내측에 세척폼(7)을 끼워 고정하면 되는 것인데, 상기한 세척폼(7)은 보다 풍성한 상태를 연출하기 위해 스폰지 등으로 된 세척폼(7)의 중간부를 접어 이를 삽입하게 되면 다수의 측단면이 노출면으로 작용하여 젖병의 내부를 보다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계지구(3)의 내측 대향면에는 서로 엇갈려 형성된 계지돌기(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계지돌기(4)(4')가 스폰지 등으로 된 세척폼(7)으로 파고들면서 상기한 세척폼(7)이 유동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계지구(3)의 선단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는 삽입홈(5)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끼움구(6)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이들 삽입홈(5)과 끼움구(6)의 대응 결합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계지구(3)가 서로 엇갈려 밀리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삽입홈(5)과 끼움구(6)의 역활은 후술하는 브러쉬 몸체(9)를 고정하는 단계에서 보다 뛰어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계지구(3)의 선단에는 서로 분할된 형태의 수나사부(10)를 형성하고, 그 수나사부(10)에 체결되는 브러쉬 몸체(9)의 하부에는 대응의 암나사공(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분할상의 계지구(3) 선단의 수나사 부(10)를 서로 면접하여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한 브러쉬 몸체(9)의 암나사공(11)을 나사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수나사부(10)가 엇갈려 있거나 어긋나 있을 경우에는 상기한 브러쉬 몸체(9)의 나사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삽입홈(5)과 끼움구(6)가 서로 계지 결합되어 이들의 어긋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계지구(3)의 선단에 체결되는 브러쉬 몸체(9)에는 전체면에 걸쳐 방사상으로 세척모(8)가 식모되어 있는 것으로서, 반구형의 단부는 젖병의 바닥부나 코너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계지구(3)와 브러쉬 몸체(9)의 결합구조를 도 6의 도시와 같이, 계지구(3)의 선단에 탄력상의 록킹돌기(12)를 형성하고, 브러쉬 몸체(9)의 하부에는 록킹홈(13)을 갖는 삽입공(14)을 형성하여, 상기 록킹돌기(12)를 그 삽입공(14)에 밀어 넣으면 상기한 록킹돌기(12)가 삽입공(14) 내의 록킹홈(13)에 탄력적으로 안치되면서 이들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 세척구를 이용하여 젖병의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 세척구는 스폰지 등으로 된 세척폼(7)을 사용하여 계지구(3)에 끼워 넣는 것으로서, 보다 풍성한 형태를 연출하면서도 다분할되는 단면부를 통해 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해 패드 형태의 세척폼(7)을 반으로 접어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상기한 세척폼(7)을 단순한 스폰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도 7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는 스폰지로 구성하고 타측에는 거친 루프사로 된 수세미로 구성하여 이를 접어 사용하는 경우 스폰지와 수세미가 반복 형성된 세척폼(7)을 얻을 수 있어 그 세척 효과가 배가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세척폼(8)을 상,하로 분할 형성하되 상측에는 고밀도로 된 스폰지로 된 세척폼(7)을 접어 끼워 넣고 그 하측에는 보다 기공이 큰 형태의 발포성 스폰지로 된 세척폼(7)을 접어 고정함으로써, 상하 서로 다른 밀도로 된 스폰지에 의해 젖병 내측 하단에 집중되는 분유나 우유 퇴적물이 효과적으로 소제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젖병 세척구는 주지한 바와 같이 각기 분리가 가능하므로 상기한 세척구를 분할하여 틈새나 체결부 등을 청결하게 소제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인 것이며, 해당의 부품 즉 세척폼(7)이나 브러쉬 몸체(9)가 마모되거나 손상된 경우에는 이들만을 교환하고 나머지의 부품은 연속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는, 부드러운 세척폼에 의해 젖병 내부 측벽의 빠르고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단부의 브러쉬에 의해 젖병 바닥이나 코너부가 빠르고 효과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그 세척 효과가 가일층 향상되면서도, 세척구의 분리가 가능하여 이들의 개별 소독이나 소제가 용이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세척폼이나 브러쉬의 손상이나 마모시 해당 부품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수명이 매우 연장되면서도 매우 경제적인 특징을 갖는 것이다.

Claims (6)

  1. 하단에 회전식 손잡이(1)를 갖는 절곡 형상의 고정대(2)를 구비하고, 그 고정대(2)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분할된 계지구(3)를 형성하여, 그 계지구(3)의 대향 내측면에는 서로 엇갈려 형성된 계지돌기(4)(4')를 형성하고, 상기 계지구(3)의 선단에는 삽입홈(5)과 끼움구(6)를 각각 대향 형성하여 서로 면접되게 하되,
    상기 계지구(3)의 내측에는 절반이 접혀 끼워지는 세척폼(7)을 삽입하여 그 계지돌기(4)(4')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계지구(3)의 선단에는 방사상의 세척모(8)를 갖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이 결합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2. 제 1항에 있어서,
    세척폼(7)은 발포된 스폰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3. 제 1항에 있어서,
    세척폼(7)은, 일측에는 스폰지로 구성하고 타측에는 거친 루프사로 된 수세 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4. 제 1항에 있어서,
    세척폼(7)은, 상측에는 고밀도로 된 스폰지를 끼워 넣고 그 하측에는 상기 스폰지 보다 큰 기공을 갖는 발포성 스폰지를 끼워 넣어, 상하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스폰지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5. 제 1항에 있어서,
    계지구(3)의 선단에는 분할 형성된 수나사부(10)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에는 암나사공(11)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6. 제 1항에 있어서,
    계지구(3)의 선단에는 록킹돌기(12)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브러쉬 몸체(9)의 하단에는 록킹홈(13)을 갖는 삽입공(14)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을 통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KR2020060022827U 2006-08-25 2006-08-25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KR200430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27U KR200430273Y1 (ko) 2006-08-25 2006-08-25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27U KR200430273Y1 (ko) 2006-08-25 2006-08-25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273Y1 true KR200430273Y1 (ko) 2006-11-13

Family

ID=4177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27U KR200430273Y1 (ko) 2006-08-25 2006-08-25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27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68B1 (ko) * 2007-08-14 2009-04-24 서연화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KR100962796B1 (ko) * 2008-05-06 2010-06-10 정영호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1062766B1 (ko) 2008-11-10 2011-09-06 이상웅 젖병 세척용 솔
KR200469347Y1 (ko) 2011-02-28 2013-10-08 전철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469348Y1 (ko) 2011-02-28 2013-10-11 전철 세척시 스폰지가 형성된 샤프트의 회전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세척솔
KR101370610B1 (ko) * 2012-04-30 2014-03-06 최신규 팽이용 와인더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68B1 (ko) * 2007-08-14 2009-04-24 서연화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KR100962796B1 (ko) * 2008-05-06 2010-06-10 정영호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1062766B1 (ko) 2008-11-10 2011-09-06 이상웅 젖병 세척용 솔
KR200469347Y1 (ko) 2011-02-28 2013-10-08 전철 스폰지의 교환이 용이한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200469348Y1 (ko) 2011-02-28 2013-10-11 전철 세척시 스폰지가 형성된 샤프트의 회전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세척솔
KR101370610B1 (ko) * 2012-04-30 2014-03-06 최신규 팽이용 와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0273Y1 (ko)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US2225331A (en) Rubber bristled toothbursh
US8336156B1 (en) Baby bottle microfiber drying wand
KR100962796B1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US20140013529A1 (en) Dual action bottle brush
JP2004515294A (ja) 哺乳瓶洗浄ブラシ
CN201370641Y (zh) 设有牙签与牙间刷的洁牙器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TWM480302U (zh) 一體成型無縫隙刷具
KR101248037B1 (ko) 내열성 연질 탄력재로 성형된 수세미
KR100685173B1 (ko)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KR100698468B1 (ko) 탄력성 비산방지구를 갖는 젖병 세척용 브러쉬
KR101386969B1 (ko) 젖꼭지 세척용 브러시
KR200447175Y1 (ko) 유아욕조
KR200422446Y1 (ko) 기능성 칫솔
US2230171A (en) Toothbrush
KR100894868B1 (ko)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CN204519747U (zh) 一种外出携带用的安全婴幼儿护理牙刷
US9510666B1 (en) Training toothbrush
JP7002814B1 (ja) 歯ブラシ
CN219070729U (zh) 一种牙刷座
KR200225432Y1 (ko)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KR200497595Y1 (ko) 카드형 치간치솔 어셈블리
KR200234847Y1 (ko) 기능성 칫솔
CN202190923U (zh) 一种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