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578B1 -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578B1
KR101383578B1 KR1020120083262A KR20120083262A KR101383578B1 KR 101383578 B1 KR101383578 B1 KR 101383578B1 KR 1020120083262 A KR1020120083262 A KR 1020120083262A KR 20120083262 A KR20120083262 A KR 20120083262A KR 101383578 B1 KR101383578 B1 KR 101383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ing
washing
cleaning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78A (ko
Inventor
최명귀
Original Assignee
최명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귀 filed Critical 최명귀
Priority to KR102012008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5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06Brushes for cleaning bottles or hollow contain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컵, 잔, 젖병 등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 내부 벽면 및 내부 바닥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는, 손잡이, 일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연결대가 구비된 외부 설치부, 상기 외부 설치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외면 세척부, 상기 외부 설치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대에 결합되는 내부 설치부, 그리고 상기 내부 설치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물의 내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내면 세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 장치{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또는 잔은 차나 음료 따위를 따라 마실 때 사용하는 것이고, 젖병은 신생아 및 영아, 유아의 성장에 필요한 모유에 대용으로 분유를 수유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컵이나 잔 또는 젖병을 사용한 이유에는 사용자들의 건강을 위하여 청결한 위생상태가 필요하므로 항상 내부 및 외부를 깨끗히 세척해야 한다.
그러나 컵이나 잔 또는 젖병은 그 내부가 대단히 협소하여 손으로 자유롭게 세척을 할 수가 없어 내부 구석구석까지 깨끗한 세척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는 갖는 바의 하측 부분에 세척솔 또는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를 결합하여 컵이나 잔 또는 젖병의 내부 구석구석까지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세척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종래의 세척 장치는 컵이나 잔 또는 젖병의 내부와 외부를 동시에 세척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 효율이 저하되고 세척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09488호 (2006.07.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컵, 잔, 젖병 등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 내부 벽면 및 내부 바닥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는, 손잡이, 일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연결대가 구비된 외부 설치부, 상기 외부 설치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외면 세척부, 상기 외부 설치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대에 결합되는 내부 설치부, 그리고 상기 내부 설치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물의 내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내면 세척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설치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암 설치대, 그리고
상기 암 설치대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암 설치대의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암 설치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수 설치대를 포함한다.
상기 암 설치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 설치대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고정홀 부분에 위치하는 탄성 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몸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 설치대를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외면 세척부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면 세척부는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 설치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 설치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내면 세척부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 세척부는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는, 일측이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서브 세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설치부의 나선홈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는, 컵, 잔, 젖병 등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 내부 벽면 및 내부 바닥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어,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고 세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1)는 컵이나 잔 또는 젖병(이하 '세척 대상물'이라 함.) 등의 외부 벽면(802), 내부 벽면(803) 및 내부 바닥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10), 외부 설치부(20), 외면 세척부(30), 내부 설치부(40), 그리고 내면 세척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세척 장치를 사용하기 위하여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10)의 외면에는 파지홈들을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홈들 대신 점 형태 또는 빗살 무늬 형태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돌기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손잡이(10)를 고무 재질로 제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0)의 외면에 고 신축성의 쿠션재인 발포수지를 피복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 설치부(20)는 세척 대상물(80)을 세척할 경우 상기 세척 대상물(80)의 외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외부 설치부(20)는 일측이 손잡이(10)의 일측에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손잡이(10)의 전방을 향해 뻗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0)에는 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일부분을 손잡이(10)의 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설치부(20)와 손잡이(10)가 맞닿는 부분에는 접착제 또는 실리콘으로 마감처리하여 상기 외부 설치부(20)와 손잡이(1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설치부(20)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길이 방향 중 중앙부분의 일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내부 설치부(40)가 결합되는 연결대(20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대(201)는 그 일측이 상기 외부 설치부(20)에 접착제 따위로 고정되거나, 상기 외부 설치부(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일측에는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부 설치부(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은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외면 세척부(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에는 하나 이상의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내면에는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가 형성된다.
상기 외면 세척부(30)는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거지를 할 경우 세제를 묻혀 사용할 수 있는 솔 또는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이다. 이때, 상기 외면 세척부(30)의 길이는 일반적인 젖병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젖병 및 상기 젖병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컵이나 잔 등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외면 세척부(30)의 형상은 원 형상, 직사각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면 세척부(30)의 양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이 각각 수용되는 고정홈(30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이 고정홈(31)에 수용되면 각각의 내면은 외면 세척부(30)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외면 세척부(30)의 전체 부분 중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 및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과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을 각각의 고정홈(301)에 수용한 다음 오므리게 되면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가 외면 세척부(30)의 관통홀과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외면 세척부가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의 끝 부분은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을 관통한 이후에는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의 끝 부분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2갈래 이상으로 나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의 나뉘어진 부분을 오므린 다음 상기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을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201b)를 외면 세척부 고정홀(201a)에서 빼낼 수 있어,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사이에 기 설치된 외면 세척부(30)가 잦은 사용으로 인해 손상되었을 경우 새로운 외면 세척부(30)로 교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을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외면 세척부(30)를 외부 설치부(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외면 세척부(30)의 중앙부분에 내부공간을 향해 관통되는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외부 설치부(2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설치부(40)는 끝단 부분이 상기 연결대(20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 설치부(20)와 평행을 이룬다. 이때 상기 내부 설치부(4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내면 세척부(50)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 설치부(40)는 세척 대상물(80)을 세척할 경우 상기 세척 대상물(8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내부 설치부(40)와 외부 설치부(20)의 사이에는 세척 대상물(80)의 내부 벽면(803) 및 외부 벽면(802)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내부 설치부(40)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내부 설치부(40)는 세척 대상물(80)의 크기에 따라 내부 바닥면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된다. 이러한 내부 설치부(40)는 암 설치대(41), 그리고 수 설치대(42)를 포함한다.
상기 암 설치대(41)는 일측에 개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411)와 연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 설치대(4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412)이 간격을 두고 관통형성된다. 상기 고정홀(412)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되는 걸림 돌기(422)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412)의 개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이 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수 설치대(42)는 상기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보다 조금 더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일부분이 상기 암 설치대(41)의 개방부(411)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암 설치대(41)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수 설치대(42)의 일부분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암 설치대(4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는 가변 된다.
즉, 상기 수 설치대(42)는 일부분이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 안쪽으로 이동될수록 암 설치대(4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지고, 이와 반대로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 바깥쪽으로 이동될수록 암 설치대(4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 설치대(42)의 일측 즉,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탄성 몸체(421), 그리고 걸림 돌기(422)가 더 포함되어 상기 수 설치대(42)를 고정시킨다.
상기 탄성 몸체(421)는 일측이 상기 수 설치대(42)에 고정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수 설치대(42)와 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수 설치대(42)와 떨어져 있는 나머지 부분의 타측은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홀(412) 부분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몸체(421)는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수 설치대(4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상기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에 삽입될 경우에는 수 설치대(42)의 절개홈(423)에 수용된 상태로 삽입된다.
상기 걸림 돌기(422)는 탄성 몸체(42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422)는 탄성 몸체(421)와 함께 암 설치대(41)의 내면(805)을 따라 이동하다가 암 설치대(41)의 고정홀(41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탄성 몸체(42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412)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수 설치대(42)가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에서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걸림 돌기(422)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 설치대(42)를 돌리게 되면 걸림 돌기(422)가 눌려져 상기 고정홀(412)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 설치대(42)를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 안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 다시 수 설치대(42)를 돌려 상기 탄성 몸체(421)가 고정홀(412)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 설치대(42)를 암 설치대(41)의 내부공간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림 돌기(422)는 암 설치대(41)의 내면(805)을 따라 이동하다가 다음에 위치한 고정홀(41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면 탄성 몸체(42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홀(412)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상기 수 설치대(42)는 암 설치대(41)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짧아진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세척 장치(1)를 통해 세척물을 세척할 경우 상기 내부 설치부(40)의 수 설치대(42)는 외부 설치부(20)의 길이보다 길게 한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세척 대상물(80)의 밑면을 잡고 세척할 경우 수 설치대(42)에 결합된 내면 세척부(50)를 하단을 통해 세척 대상물(80)의 내부 바닥면도 세척할 수 있으며, 외면 세척부(30)의 하측 일부분이 사용자의 손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수 설치대(42)의 일측에는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 설치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은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내면 세척부(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에는 하나 이상의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내면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421b)가 형성된다.
상기 내면 세척부(50)는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설거지를 할 경우 세제를 묻혀 사용할 수 있는 솔 또는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이다. 이때, 상기 내면 세척부(50)의 길이는 일반적인 젖병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젖병 및 상기 젖병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컵이나 잔 등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내면 세척부(50)의 형상은 원 형상, 직사각형상,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면 세척부(50)의 양측 중앙부분에는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이 각각 수용되는 고정홈(50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이 고정홈(501)에 수용되면 각각의 내면은 내면 세척부(50)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내면 세척부(50)의 전체 부분 중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 및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과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421b)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을 각각의 고정홈(501)에 수용한 다음 오므리게 되면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421b)가 내면 세척부의 관통홀과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내면 세척부(50)가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421b)의 끝 부분은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을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을 관통한 이후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에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의 끝 부분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2갈래 이상으로 나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의 나뉘어진 부분을 오므린 다음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을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421b)를 내면 세척부 고정홀(421a)에서 빼낼 수 있어,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사이에 기 설치된 내면 세척부가 잦은 사용으로 인해 손상되었을 경우 새로운 내면 세척부(50)로 교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을 생략한 상태에서 상기 내면 세척부(50)를 수 설치대(42)에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보충하면 상기 내면 세척부(30)의 중앙부분에 내부공간을 향해 관통되는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여 내부 설치부(4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면 세척부(30)가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a)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20b)의 사이에 설치되고, 내면 세척부(50)가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a)과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42b)의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내면 세척부(50)와 외면 세척부(30)가 마주보는 부분은 접촉 된다. 이때, 상기 외면 세척부(30)와 내면 세척부(50)를 본원발명과 같이 원형상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50)의 전체 부분 중 외면 세척부(30)와 접촉되는 부분은 외면 세척부(30)의 윤곽에 맞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내면 세척부(50)가 세척 대상물(8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세척 대상물(80)의 벽면(801)이 상기 내면 세척부(50)와 외면 세척부(30)의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내면 세척부(50)와 외면 세척부(30)는 세척 대상물(80)의 벽면(801)의 두께만큼 벌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내면 세척부(50)는 세척 대상물(80)의 내부 벽면(803)에 밀착되며 상기 외면 세척부(30)는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0)를 잡고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내면 세척부(50)는 세척 대상물(80)의 내부 벽면(803)을 세척하게 되고 상기 외면 세척부(30)는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을 세척하게 된다.
즉, 한 손으로 손잡이(10)가 위로 가도록 잡은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는 세척 대상물(80)의 아랫부분을 잡고 외면 세척부(30)와 내면 세척부(50)의 사이에 상기 세척 대상물(80)의 벽면(801)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손잡이(10)를 잡은 손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 및 내부 벽면(803)을 동시에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 장치(1)는 고정부(60), 그리고 서브 세척부(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0)는 일측이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일측면에 접착제 따위로 결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외부 설치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60)는 상기 고정부(60)는 외면 세척부(30)와 손잡이(10)에 위치한다.
상기 서브 세척부(70)는 상기 고정부(60)의 외주연에 결합된다. 상기 서브 세척부(70)는 일반적으로 설거지를 할 경우 세제를 묻혀 사용할 수 있는 솔 또는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이다. 상기 서브 세척부(70)는 중앙부분에 내부공간을 향해 관통되는 고정홈(70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701)에 고정부(6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세척부(70)는 손잡이(804)가 달린 세척 대상물(80)을 세척할 경우 손잡이(804)의 내부에 위치된 세척 대상물(80)의 외부 벽면(802) 및 손잡이(804)의 내면(805)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일측 즉 상기 고정부(6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나선홈(20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고정부(60)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설치부(20)의 나선홈(202)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 대상물(80)에 손잡이(804)가 달려있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 설치부(20)에서 고정부(60)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세척 대상물(80)에 손잡이(804)가 달려있을 경우 상기 외부 설치부(20)에 고정부(6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세척 장치 10,804 : 손잡이
20 : 외부 설치부 201 : 연결대
202 : 나선홈 20a :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
201a : 외면 세척부 고정홀 20b :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
201b :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 30 : 외면 세척부
301,501,701 : 고정홈 40 : 내부 설치부
41 : 암 설치대 411 : 개방부
412 : 고정홀 42 : 수 설치대
421 : 탄성 몸체 422 : 걸림 돌기
423 : 절개홈 42a :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
421a : 내면 세척부 고정홀 42b :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
421b :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 50 : 내면 세척부
60 : 고정부 70 : 서브 세척부
80 : 세척 대상물 801 : 벽면
802 : 외부 벽면 803 : 내부 벽면
805 : 내면

Claims (6)

  1. 손잡이,
    일측이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연결대가 구비된 외부 설치부,
    상기 외부 설치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세척 대상물의 외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외면 세척부,
    상기 외부 설치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대에 결합되는 내부 설치부, 그리고
    상기 내부 설치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세척 대상물의 내부 벽면을 세척할 수 있는 내면 세척부,
    일측이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서브 세척부
    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내부 설치부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암 설치대, 그리고
    상기 암 설치대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암 설치대의 내부공간에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암 설치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수 설치대
    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암 설치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 설치대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고정홀 부분에 위치하는 탄성 몸체, 그리고
    상기 탄성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몸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수 설치대를 고정시키는 걸림 돌기
    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평행을 이루도록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외면 세척부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상기 외면 세척부 고정홀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외면 세척부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면 세척부는 상기 제1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제2외면 세척부 고정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 설치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평행을 이루도록 수 설치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하나 이상의 내면 세척부 고정홀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에는 상기 내면 세척부 고정홀에 각각 관통설치되는 내면 세척부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면 세척부는 상기 제1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과 상기 제2내면 세척부 고정 유닛의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 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외부 설치부의 일측에는 나선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외부 설치부의 나선홈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세척 장치.
KR1020120083262A 2012-07-30 2012-07-30 세척 장치 KR10138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2A KR101383578B1 (ko) 2012-07-30 2012-07-30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2A KR101383578B1 (ko) 2012-07-30 2012-07-30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78A KR20140016078A (ko) 2014-02-07
KR101383578B1 true KR101383578B1 (ko) 2014-04-09

Family

ID=5026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62A KR101383578B1 (ko) 2012-07-30 2012-07-30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90A (ko) 2018-06-20 2019-12-30 김영희 세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947B1 (ko) * 2018-07-16 2021-01-08 정순우 컵 세척도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30U (ko) * 2010-11-29 2011-01-21 김수호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20120003155U (ko) * 2010-10-28 2012-05-08 나인혁 컵 닦이용 수세미
KR20120069641A (ko) * 2012-05-22 2012-06-28 이희정 세척용 보조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155U (ko) * 2010-10-28 2012-05-08 나인혁 컵 닦이용 수세미
KR20110000730U (ko) * 2010-11-29 2011-01-21 김수호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20120069641A (ko) * 2012-05-22 2012-06-28 이희정 세척용 보조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090A (ko) 2018-06-20 2019-12-30 김영희 세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78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79593A1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35354A1 (en) Bottle brush
WO2006110920A3 (en) Souvenir toothbrush, holder and soap dish
US20140013529A1 (en) Dual action bottle brush
KR20130121879A (ko) 식기 세척기
KR101383578B1 (ko) 세척 장치
CN102488486A (zh) 多功能的洗碗刷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20090070834A (ko) 젖병 세척용 랙
KR200430273Y1 (ko) 분할 조립이 가능한 젖병 세척구
KR101379506B1 (ko) 병 세척용구
KR200198365Y1 (ko) 세척솔용 회전손잡이
KR101089800B1 (ko) 세척용 브러시
JP4713226B2 (ja) 穴あきスポンジ
KR200463110Y1 (ko) 컵 닦이용 수세미
KR101245417B1 (ko) 다용도 수세미
JP2009022700A (ja) 形状自在スポンジ
KR20140002175U (ko) 다용도 식기 세척기
KR20200000820U (ko) 빨대 세척기
KR101911547B1 (ko) 아기 식탁용 커버
KR20190002465U (ko) 위생컵
KR100894868B1 (ko) 아크릴 사를 이용한 젖병 세척기
JP2017056366A (ja) ボトル用洗浄具
KR102120542B1 (ko) 실 길이로 만든 세척기구
US20140013610A1 (en) Drying w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