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114B1 - 세정용구 세트 - Google Patents
세정용구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1114B1 KR101601114B1 KR1020140129212A KR20140129212A KR101601114B1 KR 101601114 B1 KR101601114 B1 KR 101601114B1 KR 1020140129212 A KR1020140129212 A KR 1020140129212A KR 20140129212 A KR20140129212 A KR 20140129212A KR 101601114 B1 KR101601114 B1 KR 101601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handle
- rod
- fixing
- c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손잡이; 제2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가 형성된 제1세정봉;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2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2세정봉; 및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3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3세정봉을 포함하는 세정용구 세트와 세정용구 세트에 포함 가능한 세정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용구 세트와 세정용구는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해 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용구 세트와 세정용구에 관한 것으로, 젖병과 같은 다양한 용기를 편리하게 세정할 수 있는 세정용구 세트와 세정용구에 관한 것이다.
세정용구는 젖병과 같은 다양한 용기를 세정하기 위한 용구로, 세정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 개발 방향은 주로 세정력 향상에 맞춰 있고, 세정력 향상 외에 사용자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 노력은 찾아보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정용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정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사항으로 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는 제1손잡이; 제2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가 형성된 제1세정봉;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2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2세정봉; 및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3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3세정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는 제1바디부와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일 측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또는 상기 제3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봉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부를 중심 축으로 상기 굴곡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바디부에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이 결합된다.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제1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의 일 측에는 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의 내측을 압박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세정부는 내부세정부와 외부세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세정부는 상기 내부세정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상기 내부세정부는 상기 외부세정부 보다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세정부는 상기 제2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고정부의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제2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세정부는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제2관통부에 상기 제2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2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돌기의 일 측에는 제2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홈의 내측을 압박하여 상기 제2고정돌기가 상기 제2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세정부는 제2내부세정부와 제2외부세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외부세정부는 상기 제2내부세정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상기 제2내부세정부는 상기 제2외부세정부 보다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세정부는 상기 제3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3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3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3고정부의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제3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세정부는 상기 제3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제3관통부에 상기 제3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제3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고정돌기의 일 측에는 제3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3홈의 내측을 압박하여 상기 제3고정돌기가 제3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세정부는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접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로부터 말단부를 향해 폭이 넓어지다 좁아지는 형상의 세정날개가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대칭형성되며, 상기 접철부에 의해 접힌 상태로 상기 제3절개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손잡이는 제2바디부와 제2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부는 일 측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또는 상기 제3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2커넥터부의 타 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구가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곡부의 일 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부는 일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봉이 형성되며, 상기 상입봉의 일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봉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삽입봉 사이에는 통상의 지지체가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주에 밀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일 측은 상기 지지체 외부로 노출되며 외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말 단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또는 상기 제3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커넥터부 또는 상기 제2커넥터부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정용구 세트는 상기 제1손잡이, 상기 제2손잡이, 상기 제1세정봉, 상기 제2세정봉, 및 상기 제3세정봉을 수용하는 포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용구 세트는 상기 제1손잡이, 상기 제2손잡이, 상기 제1세정봉, 상기 제2세정봉, 및 상기 제3세정봉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용설명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용구는 제1손잡이; 및 상기 제1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가 형성된 제1세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는 제1바디부와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일 측이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봉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부를 중심 축으로 상기 굴곡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바디부에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이 결합된다.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제1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의 일 측에는 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의 내측을 압박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세정부는 내부세정부와 외부세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세정부는 상기 내부세정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상기 내부세정부는 상기 외부세정부 보다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바디부는 일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봉이 형성되며, 상기 상입봉의 일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봉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삽입봉 사이에는 통상의 지지체가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주에 밀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일 측은 상기 지지체 외부로 노출되며 외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말 단에 걸려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커넥터부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용구 세트와 세정용구는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해 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세정용구 세트에 의해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용기를 손쉽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세정봉에 포함되는 외부세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2세정봉 및 제2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3세정봉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3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3세정봉에 포함되는 제3세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세정봉에 포함되는 외부세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2세정봉 및 제2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3세정봉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3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3세정봉에 포함되는 제3세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세정용구"는 젖병과 같은 다양한 용기를 세정하기 위한 용구로, 예를 들어, 용기 세정용구, 젖병 세정용구, 젖꼭지 세정용구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세정"은 세척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또한, "세트"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요소가 하나의 군을 이루는 것으로, 하나의 단위로 포장될 수 있으며, 키트, 패키지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세정봉에 포함되는 외부세정부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와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2세정봉 및 제2손잡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3세정봉을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3세정봉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제3세정봉에 포함되는 제3세정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의 일 실시예는 제1손잡이(10), 제2손잡이(30),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및 제3세정봉(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손잡이(10), 제2손잡이(30),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및 제3세정봉(90)이 하나의 세정용구 세트(1)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용기를 손쉽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부를 손쉽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또는 제3세정봉(90)은 각각 제1손잡이(10) 또는 제2손잡이(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세정봉(90)은 제2세정봉(70) 보다 길이가 짧고, 제2세정봉(70)은 제1세정봉(50) 보다 길이가 짧으므로, 다양한 깊이를 갖는 용기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세정봉(50) 내지 제3세정봉(90) 각각을 상이한 방식으로 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제1손잡이(10) 또는 제2손잡이(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형식의 용기에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손잡이(10), 제2손잡이(30),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및 제3세정봉(90)은 포장재(20)로 포장될 수 있으며, 포장재(20)는 덮개(22)를 포함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재(20)의 일 측에는 제1손잡이(10), 제2손잡이(30),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및 제3세정봉(90) 각각을 수용하는 제1손잡이 수용부(21), 제2손잡이 수용부(23), 제1세정봉 수용부(25), 제2세정봉 수용부(27), 및 제3세정봉 수용부(29)가 각각 형성되어, 제1손잡이(10), 제2손잡이(30),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및 제3세정봉(90)가 서로 섞이지 않고 용이하게 포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재(20)는 투명소재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용이하게 제1손잡이(10) 등을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제1손잡이 및 제1세정봉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 세트에 포함되는 제1세정봉 및 제1손잡이가 조합된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 세트에 포함되는 제1세정봉 및 제1손잡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세정용구(2)는 제1세정봉(50) 및 제1손잡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정봉(50)은 제1손잡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51)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53)가 형성된다. 제1결합부(5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2손잡이(30)에도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정부(53)는 제1세정봉(50)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559)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551, 553)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55)에 고정된다. 이 때, '길이방향'은 제1세정봉의 타 측에서 일 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553) 내측에는 고정돌기(557)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551)에는 고정돌기(55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555)이 형성되며, 제1세정부(53)는 홈(555)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관통부(535, 539, 537)에 고정돌기(557)가 관통하여 제1고정부(55)에 고정되게 된다. 고정돌기(557)의 일 측에는 압박돌기(558)가 형성되어 고정돌기(557)가 홈(555)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압박돌기(558)가 홈(555)의 내측을 압박하여 고정돌기(557)가 보다 견고하게 홈(555)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세정부(53)는 내부세정부(533)와 외부세정부(5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세정부(531)는 내부세정부(533)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내부세정부(533)는 외부세정부(531) 보다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세정부(533)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외부세정부(531)에 의해 세정대상인 용기의 벽면을 보다 부드럽게 세정함과 동시에, 거친 표면을 갖는 내부세정부(533)에 의해 벽면에 강하게 부착한 오염물질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세정부(533)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세정부(53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접철부(536)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내부세정부(533)를 감쌀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10)는 제1바디부(11)와 제1커넥터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부(13)는 일 측이 제1결합부(51)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커넥터부(13)의 일 측은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제1삽입부(131)가 형성되고, 제1결합부(51)는 숫나사부로 이루어져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커넥터부(13)는 일 측이 제2결합부(도 6의 71), 또는 제3결합부(도 7의 91) 중 어느 하나에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넥터부(13)는 제1바디부(11)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제1바디부(11)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133)를 포함하는 봉 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바디부(11)를 중심 축으로 굴곡부(133)가 회전 가능하게 제1바디부(11)에 제1커넥터부(13)의 타 측이 결합된다. 이 때, '길이방향'은 제1바디부의 장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1바디부(11)는 일 측에 삽입구(111)가 형성되고, 제1커넥터부(13)의 타 측은 삽입구(111)에 삽입되는 삽입봉(135)이 형성된다.
삽입봉(135)의 일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봉절개부(137)가 형성되어, 삽입봉절개부(137)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136, 138)로 이루어진 고정부(139)가 형성된다. 이 때, '길이방향'은 삽입봉의 장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1바디부(11)와 삽입봉(135) 사이에는 통상의 지지체(15)가 위치하고, 지지체(15)의 내측에는 삽입봉(135)이 삽입되어 회전하고, 지지체(15)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삽입구(111)의 내주에 밀착하여 고정되며, 고정부(139)의 일 측은 지지체(15) 외부로 노출되며 외 측으로 단턱(134)이 형성되어 지지체(15)의 말 단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삽입봉(135)이 지지체(15)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하되, 단턱(134)에 의해 지지체(15)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1커넥터부(13)는 제1바디부(11)에 결합된 상태로 용이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체(15)의 외측면에는 지지체돌기(153)가 형성되고, 삽입구(111)의 내측면에는 지지체돌기(153)에 대응하는 삽입구홈(113)이 형성되어, 지지체(15)가 제1바디부(11)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봉, 지지체, 및 제1바디부를 적용함으로써, 제1바디부를 중심 축으로 굴곡부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제1바디부에 제1커넥터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삽입봉, 지지체, 및 제1바디부에 의해, 목적하는 기능을 갖는 세정용구를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삽입봉을 지지체에 결합한 후, 제1바디부를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조립물은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9)는 한 쌍의 탄성체(136, 138)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탄성체 사이에 삽입봉절개부(137)가 형성되므로, 고정부(139)가 지지체(15)의 내측에 삽입시 각각의 탄성체(136, 138)는 삽입봉절개부(137)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며, 삽입 이후에는 삽입봉절개부(137) 외측방향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139)가 지지체(15)의 내측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33)가 제1바디부(11)를 중심 축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그에 따라 제1세정부(53)가 회전하게 되어 세정 대상이 되는 용기의 내측면을 회전 운동에 의해서도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굴곡부(133)의 일 측에는 고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리부(132)는 굴곡부(133) 회전시 손잡이로 작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32)는 주방 등에서 수납시 걸이에 거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제2손잡이 및 제2세정봉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세정봉(70)은 제1세정봉(50) 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제1세정봉(50)과 동일성 범위의 것일 수 있다.
즉, 제2세정봉(70)은 제2손잡이(3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71)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2세정부(73)가 형성된다. 제2결합부(71)는 선택적으로 제1손잡이(10)에도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세정부(73)는 제2세정봉(70)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759)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751, 753)로 이루어진 제2고정부(75)에 고정된다.
제2고정부(75) 역시 제1고정부(55)와 동일하게 한 쌍의 탄성체(751, 753)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753) 내측에는 제2고정돌기(757)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751)에는 제2고정돌기(75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홈(755)이 형성되며, 제2세정부(73) 역시 제1세정부(53)와 동일하게 제2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제2관통부에 제2고정돌기(757)가 관통하여 제2고정부(75)에 고정되게 된다. 제2고정돌기(757)의 일 측에는 제2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제2홈(755)의 내측을 압박하여, 제2고정돌기(757)가 제2홈(755)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압박돌기는 압박돌기(558)와 동일성 범위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세정부(73)는 제1세정부(53)와 동일하게 제2내부세정부(733)와 제2외부세정부(7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외부세정부(731)는 제2내부세정부(733)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제2내부세정부(733)는 제2외부세정부(731) 보다 거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내부세정부(733)보다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 제2외부세정부(731)에 의해 세정대상인 용기의 벽면을 보다 부드럽게 세정함과 동시에, 거친 표면을 갖는 제2내부세정부(733)에 의해 벽면에 강하게 부착한 오염물질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내부세정부(733)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외부세정부(73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접철부(736)에 의해 접힌 상태로 제2내부세정부(733)를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만 상이한 제2세정봉(70)을 제1세정봉(50) 대신 제1손잡이(10)에 결합함으로써, 보다 낮은 깊이를 갖되, 회전운동에 의해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세정봉(50)과 제2세정봉(70)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한편, 제2손잡이(30)는 제2바디부(31)와 제2커넥터부(33)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부(33)는 일 측이 제2결합부(7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바디부(31)는 제2커넥터부(33)의 타 측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삽입구(311)가 일 측에 형성된다. 제2커넥터부(33)의 일 측에는 암나사부로 이루어진 제2삽입부(331)가 형성되고, 제2결합부(71)는 숫나사부로 이루어져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넥터부(33)의 타 측에는 제2커넥터부돌기(333)가 형성되고, 제2삽입구의 내 측에는 제2커넥터부돌기(333)가 고정되는 제2삽입구홈(313)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부(33)가 제2바디부(3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2커넥터부(33)는 일 측이 제1결합부(51) 또는 제3결합부(91)와도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제2결합부(71)와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커넥터부(33)를 적용함으로써, 제2손잡이(30)는 용이하게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또는 제3세정봉(90)과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2손잡이(30)는 그와 결합된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또는 제3세정봉(90)이 길이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을 통해 용기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운동에 비해 직선운동이 세정에 도움이 되는 용기의 경우, 제2손잡이를 적용하여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3세정봉(9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세정봉(90)은 제1손잡이(10) 또는 제2손잡이(30)에 일 측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91)가 형성된다. 또한, 제3세정봉(90)의 타 측은 제3세정부(93)가 형성된다. 또한, 제3세정봉(90)은 제2세정봉(70) 보다 길이가 짧아, 세정봉의 길이가 짧아야 세정이 용이한 용기, 예를 들어, 젖꼭지 등을 세정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제3세정부(93)는 제3세정봉(90)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3절개부(959)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951, 953)로 이루어진 제3고정부(95)에 고정된다. '길이방향'은 제3세정봉의 타 측에서 일 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3고정부(95)는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953) 내측에는 제3고정돌기(957)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951)에는 제3고정돌기(957)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홈(955)이 형성되며, 제3세정부(93)는 제3홈(955)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제3관통부(935, 937)에 제3고정돌기(957)가 관통하여 제3고정부(95)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3고정돌기(957)의 일 측에는 제3압박돌기(958)가 형성되어 제3고정돌기(957)가 제3홈(955)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3압박돌기(958)가 제3홈(955)의 내측을 압박하여 제3고정돌기(957)가 보다 견고하게 제3홈(955)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세정부(93)는 제1세정부(53)와는 상이하게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접철부(936)가 형성되고, 접철부(936)로부터 말단부를 향해 폭이 넓어지다 좁아지는 형상의 세정날개(934, 938)가 접철부(936)를 기준으로 대칭 형성되며, 접철부(936)에 의해 접힌 상태로 제3절개부(959)에 삽입된다.
탄성체로 이루어진 각각의 세정날개(934, 938)는 절개부(959)에 삽입되어 고정시 노출된 양 말 단이 각각 들어 올려지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하나의 판상 탄성체로 4방향으로 세정면이 형성되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용기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손잡이(10) 또는 제2손잡이(30)는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또는 제3세정봉(9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용기를 용이하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세정봉(50)과 제1손잡이(10)를 결합하여, 깊이가 깊고 회전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세정봉(50)과 제2손잡이(30)를 결합하여, 깊이가 깊고 직선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세정봉(90)과 제1손잡이(10)를 결합하여, 깊이가 깊지 않고 회전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3세정봉(90)과 제2손잡이(30)를 결합하여, 깊이가 깊지 않고 직선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세정봉(70)과 제1손잡이(10)를 결합하여, 깊이가 중간 정도이고 회전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세정봉(70)과 제2손잡이(30)를 결합하여, 깊이가 중간 정도이고 직선운동에 의한 세정이 바람직한 용기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세정방식이 요구되는 용기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세정봉과 손잡이 간의 결합은 나사결합에 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결합부(51), 제2결합부(71) 또는 제3결합부(91) 중 어느 하나는 제1커넥터부(13) 또는 제2커넥터부(33)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어렵지 않게 제1손잡이(10) 또는 제2손잡이(30)에 제1세정봉(50), 제2세정봉(70) 또는 제3세정봉(90)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세정부와 같이, 빈번한 교체의 필요성이 있으나, 교체가 쉽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세정용구 세트는 세정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유리하다. 즉, 세정봉이 손잡이와 용이하게 탈착 또는 결합이 가능하므로, 세정봉 자체를 교체하는 방식에 의해 세정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스폰지와 같은 세정부 자체를 교체하는 것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정부가 고정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경우, 세정부 만의 교체는 용이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세정봉 자체를 교체하는 방식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손잡이, 제2손잡이, 제1세정봉, 제2세정봉, 및 제3세정봉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용설명서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 세트에 포함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다양한 용기를 손쉽게 세정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설명서는 별도 용지에 작성하여 포장재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거나, 포장재 자체에 인쇄하는 등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 세트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제1손잡이와 제1세정봉을 결합한 것에 해당한다.
즉, 본 발명의 세정용구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2)는 제1손잡이(10)와 제1세정봉(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세정봉(50)은 제1손잡이(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51)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53)가 형성된다.
또한, 제1손잡이(10)는 제1바디부(11)와 제1커넥터부(13)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부(13)는 일 측이 제1결합부(51)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커넥터부(13)는 제1바디부(11)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제1바디부(11)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133)를 포함하는 봉 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바디부(11)를 중심 축으로 굴곡부가 회전 가능하게 제1바디부(11)에 제1커넥터부(13)의 타 측이 결합된다.
이상,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 세트에서 설명한 내용과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에 적용된다.
즉, 세정용구 세트에서와 달리, 제1손잡이가 제2세정봉과 결합, 제1손잡이가 제3세정봉과 결합, 제2손잡이가 제1세정봉과 결합, 제2손잡이가 제2세정봉과 결합, 제2손잡이가 제3세정봉과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내용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정용구에 적용되는 것이다.
1: 세정용구 세트 2: 세정용구
10: 제1손잡이 11: 제1바디부
13: 제1커넥터부 15: 지지체
20: 포장재 21: 제1손잡이 수용부
22: 덮개 23: 제2손잡이 수용부
25: 제1세정봉 수용부 27: 제2세정봉 수용부
29: 제3세정봉 수용부 30: 제2손잡이
31: 제2바디부 33: 제2커넥터부
50: 제1세정봉 51: 제1결합부
53: 제1세정부 55: 제1고정부
70: 제2세정봉 71: 제2결합부
73: 제2세정부 75: 제2고정부
90: 제3세정봉 91: 제3결합부
93: 제3세정부 95: 제3고정부
111: 삽입구 113: 삽입구홈
131: 제1삽입부 132: 고리부
133: 굴곡부 134: 단턱
135: 삽입봉 136, 138: 탄성체
137: 삽입봉절개부 139: 고정부
153: 지지체돌기 311: 제2삽입구
313: 제2삽입구홈 331: 제2삽입부
531: 외부세정부 533: 내부세정부
535, 537, 539: 관통부 536: 접철부
551, 553: 탄성체 555: 홈
557: 고정돌기 558: 압박돌기
559: 절개부 731: 제2외부세정부
733: 제2내부세정부 736: 접철부
751, 753: 탄성체 755: 제2홈
757: 제2고정돌기 759: 제2절개부
934, 938: 세정날개 935, 937: 제3관통부
936: 접철부 951, 953: 탄성체
955: 제3홈 957: 제3고정돌기
958: 제3압박돌기 959: 제3절개부
10: 제1손잡이 11: 제1바디부
13: 제1커넥터부 15: 지지체
20: 포장재 21: 제1손잡이 수용부
22: 덮개 23: 제2손잡이 수용부
25: 제1세정봉 수용부 27: 제2세정봉 수용부
29: 제3세정봉 수용부 30: 제2손잡이
31: 제2바디부 33: 제2커넥터부
50: 제1세정봉 51: 제1결합부
53: 제1세정부 55: 제1고정부
70: 제2세정봉 71: 제2결합부
73: 제2세정부 75: 제2고정부
90: 제3세정봉 91: 제3결합부
93: 제3세정부 95: 제3고정부
111: 삽입구 113: 삽입구홈
131: 제1삽입부 132: 고리부
133: 굴곡부 134: 단턱
135: 삽입봉 136, 138: 탄성체
137: 삽입봉절개부 139: 고정부
153: 지지체돌기 311: 제2삽입구
313: 제2삽입구홈 331: 제2삽입부
531: 외부세정부 533: 내부세정부
535, 537, 539: 관통부 536: 접철부
551, 553: 탄성체 555: 홈
557: 고정돌기 558: 압박돌기
559: 절개부 731: 제2외부세정부
733: 제2내부세정부 736: 접철부
751, 753: 탄성체 755: 제2홈
757: 제2고정돌기 759: 제2절개부
934, 938: 세정날개 935, 937: 제3관통부
936: 접철부 951, 953: 탄성체
955: 제3홈 957: 제3고정돌기
958: 제3압박돌기 959: 제3절개부
Claims (9)
- 제1손잡이;
제2손잡이;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1세정부가 형성된 제1세정봉;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2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2세정봉; 및
상기 제1손잡이 또는 상기 제2손잡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가 일 측에 형성되고, 타 측에 제3세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세정봉 보다 길이가 짧은 제3세정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는 제1바디부와 제1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부는 일 측이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또는 상기 제3결합부 중 어느 하나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부는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상기 제1바디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봉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부를 중심 축으로 상기 굴곡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바디부에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1바디부는 일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부의 타 측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봉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의 일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삽입봉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봉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삽입봉 사이에는 통상의 지지체가 위치하고,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는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지지체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삽입구의 내주에 밀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의 일 측은 상기 지지체 외부로 노출되며 외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체의 말 단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세정용구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제1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세정부는 상기 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관통부에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부에 고정되는 세정용구 세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의 일 측에는 압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홈의 내측을 압박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홈에 고정되는 세정용구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부는 내부세정부와 외부세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세정부는 상기 내부세정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감싸며, 상기 내부세정부는 상기 외부세정부 보다 거친 표면을 갖는 세정용구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정부는 상기 제3세정봉의 타 측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제3절개부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3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3고정부의 상기 한 쌍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 내측에는 제3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탄성체에는 상기 제3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세정부는 상기 제3홈에 대응하는 대응부에 형성된 제3관통부에 상기 제3고정돌기가 관통하여 제3고정부에 고정되는 세정용구 세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정부는 판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되 중앙에 접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로부터 말단부를 향해 폭이 넓어지다 좁아지는 형상의 세정날개가 상기 접철부를 기준으로 대칭형성되며, 상기 접철부에 의해 접힌 상태로 상기 제3절개부에 삽입되는 세정용구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의 일 측에는 고리부가 형성되는 세정용구 세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420858237.9U CN204503700U (zh) | 2014-09-26 | 2014-12-30 | 一种清洗用具套装及清洗用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5692 | 2014-07-29 | ||
KR20140005692 | 2014-07-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502A KR20160014502A (ko) | 2016-02-11 |
KR101601114B1 true KR101601114B1 (ko) | 2016-03-08 |
Family
ID=5535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9212A KR101601114B1 (ko) | 2014-07-29 | 2014-09-26 | 세정용구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111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905Y1 (ko) * | 2001-06-27 | 2001-11-16 | 남상우 | 젖병 소제용 세척기 |
KR200443407Y1 (ko) * | 2008-10-22 | 2009-02-10 | 정봉옥 | 조립형 젖병 세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1310Y1 (ko) * | 1999-06-23 | 2001-07-03 | 손준빈 | 젖꼭지 세척구 |
KR200225412Y1 (ko) | 2000-12-01 | 2001-06-01 | 이상웅 | 젖병 바닥세척용 청소구 |
KR101386977B1 (ko) * | 2012-07-04 | 2014-04-18 | 오세우 | 세척용 브러시의 제조방법 |
-
2014
- 2014-09-26 KR KR1020140129212A patent/KR1016011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905Y1 (ko) * | 2001-06-27 | 2001-11-16 | 남상우 | 젖병 소제용 세척기 |
KR200443407Y1 (ko) * | 2008-10-22 | 2009-02-10 | 정봉옥 | 조립형 젖병 세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502A (ko) | 2016-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754461A (zh) | 一种试管密封盒 | |
JP2008101971A (ja) | 拭き取り検査キット | |
AU2015261697A1 (en) | Cutting Board | |
KR101601114B1 (ko) | 세정용구 세트 | |
US20140263317A1 (en) | Bottle Cap Replacement | |
JP2012162312A (ja) | 自助具一体型蓋付き保存容器 | |
KR102569878B1 (ko) | 화장용 브러쉬 | |
KR100748373B1 (ko) | 밀폐용기의 실링 | |
KR101651841B1 (ko) | 다기능 버터 용기 | |
KR20170115904A (ko) |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 |
JP2016202648A (ja) | 化粧品用チューブ容器、及び化粧品用チューブ容器の蓋 | |
JP6179847B2 (ja) | 収納ケース | |
KR20180001192U (ko) | 내용물 분리 및 합체 가능 보온병 | |
KR20130003648U (ko) | 수조 청소용 스크래퍼 | |
CN204503700U (zh) | 一种清洗用具套装及清洗用具 | |
JP3198934U (ja) | 紙容器解体器 | |
TWM566554U (zh) | Disposable interdental brush | |
CN204587641U (zh) | 易拉盖及易拉密封装置 | |
KR20130048000A (ko) | 물감 용기 | |
JP3124387U (ja) | エナメルリムーバー容器 | |
KR20180057027A (ko) | 보조 뚜껑 | |
CN208758126U (zh) | 一种盖子及去胶装置 | |
CN202874317U (zh) | 带清洁刀的试管刷 | |
CN213097367U (zh) | 具有密封功能的用餐工具 | |
KR200339815Y1 (ko) | 절단형 플라스틱 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