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4608A - 탈부착식 빨대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4608A
KR20200124608A KR1020200045687A KR20200045687A KR20200124608A KR 20200124608 A KR20200124608 A KR 20200124608A KR 1020200045687 A KR1020200045687 A KR 1020200045687A KR 20200045687 A KR20200045687 A KR 20200045687A KR 20200124608 A KR20200124608 A KR 20200124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traw
magnetic material
substrate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972B1 (ko
Inventor
전주엽
Original Assignee
전주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엽 filed Critical 전주엽
Priority to JP202156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73994B2/ja
Priority to PCT/KR2020/005413 priority patent/WO2020218864A1/ko
Priority to CN202020638228.4U priority patent/CN212995909U/zh
Publication of KR20200124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608A/ko
Priority to US17/506,267 priority patent/US202200311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 형상의 두 기재를 자력에 의해 간편히 조립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탈부착식 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는 서로 대응하는 두 장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과 다른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두 기재의 결합에 의해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가 정의되며, 상기 상단 개구 및 상기 하단 개구를 통해 내부로 용액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의 일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재의 타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와 다른 하나의 기재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자기력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빨대{DETACHABLE STRAW}
본 발명은 탈부착식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동일 형상의 두 기재를 자력에 의해 간편히 조립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탈부착식 빨대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오남용에 대한 우려와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친환경 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오남용에 따른 사회적으로 환경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인지한 각국 정부도 일부 커피숍과 패스트푸드 업체 등에 각종 플라스틱 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유명 커피숍은 음료의 종류에 따라 뚜껑 일부를 열어서 마실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거나, 종이 빨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빨대를 대체하고 있다.
이와 함께, 종이 빨대 또는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실리콘 빨대 및 스테인리스 빨대 등에 대한 일반 소비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재사용이 가능한 만큼 빨대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나, 빨대의 경우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세척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탈부착식 빨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후 분해하여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빨대 내부 공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빨대의 조립 및 분해하는데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조립 및 분해 난이도가 낮은 탈부착식 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대응하는 두 장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과 다른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두 기재의 결합에 의해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가 정의되며, 상기 상단 개구 및 상기 하단 개구를 통해 내부로 용액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의 일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재의 타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와 다른 하나의 기재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자기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탈부착식 빨대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 역시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자기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된 경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기재의 타 측에 마련된 수용부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타 측에 마련된 수용부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에 대응하는 다른 하나의 기재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의 내측에는 자기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기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재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마련될 수 있다.
종이 빨대의 경우 액체에 장시간 침지시킬 경우 종이가 액체를 흡수하여 재사용이 불가하다는 점에서 플라스틱 오남용을 넘어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물론, 종이 빨대는 커피숍이나 패스트푸드 업체에서 도입하기에 적합한 재사용 가능한 빨대라고 보여진다.
본 발명은 종이 빨대의 대체 목적보다는 현재 시중에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빨대라고 출시되어 있는 다양한 소재의 빨대, 예를 들어, 실리콘 빨대나 스테인리스 빨대에 대한 문제점을 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아무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빨대라 할지라도 사용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빨대 내부 공간의 오염이 심해질 경우 재사용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사용 후 분해하여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빨대 내부 공간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는 두 기재의 결합면에 위치하는 돌출부 및 수용부의 끼움 결합뿐만 아니라 두 기재의 결합면에 각각 구비된 자기재 및/또는 금속재 사이의 자기력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된 두 기재가 약한 힘에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내부로부터 음료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식 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다.
도 8은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탈부착식 빨대(100)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100)는 서로 대응하는 두 장변(110a, 110a')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재(110, 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편의상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기재(110, 110')가 결합되어 빨대(100)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원에서 정의된 기재 사이의 결합 방식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하나의 빨대(100)를 구성하는 기재(110, 110')의 수는 두 개를 초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기재(110, 1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어도 두 개의 기재(110, 110')는 암수 구분이 없으며, 이에 따라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110)만으로 탈부착식 빨대(100)를 조립하거나, 다른 하나의 기재(110')만으로 탈부착식 빨대(100)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는 편의상 적어도 두 개의 기재(110, 110') 중 어느 하나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도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이상, 적어도 두 개의 기재(110, 110') 중 어느 하나의 기재와 관련된 설명은 다른 하나의 기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를 제1 기재(110)라 하며, 이에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기재를 제2 기재(110')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탈부착식 빨대(100)는 상기 제1 기재(110)의 두 장변(110a)과 상기 제2 기재(110')의 두 장변(110a')이 맞닿아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의 결합에 의해 상단 개구(h) 및 하단 개구(미도시)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개구(h) 및 상기 하단 개구를 통해 내부로 용액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상단 개구(h) 및 상기 하단 개구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과 상기 상단 개구(h) 및 상기 하단 개구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또는 디자인적인 요구에 따라 대칭적인 단면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길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상단 개구(h) 및 상기 하단 개구의 크기 역시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측은 굽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의 결합이 형성되는 빨대의 형상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굽은 형상 또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내부 세척을 전제로 한 반영구적 재사용을 위해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소재(예를 들어, 목재, 플라스틱, 실리콘, 테프론, 스테인리스, 합금, 세라믹, 유리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단에는 홈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홈부(120)는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단에 끼워진 실리콘 또는 고무 마개 또는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단을 보호하기 위해 끼워진 팁을 고정하기 위해 소정의 깊이만큼 파여진 홈을 형성한다.
도 3은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3, 1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타 장변(110a, 110a')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114, 11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기재(110)의 상기 돌출부(113, 113')가 구비된 일 장변(110a, 110a')은 상기 제2 기재(110')의 상기 수용부(114, 114')가 구비된 타 장변(110a, 110a')과 맞닿아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재(110)의 상기 수용부(114, 114')가 구비된 타 장변(110a, 110a')은 상기 제2 기재(110')의 상기 돌출부(113, 113')가 구비된 일 장변(110a, 110a')과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상기 돌출부(113, 113')와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타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상기 수용부(114, 114')는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의 장변(110a, 110a')이 맞닿아 결합됨에 따라 온전한 빨대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는 각각에 마련된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의 끼움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된 두 기재는 상기 빨대(100)의 상하 방향 또는 상기 빨대(100)의 좌우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 중 빨대(100) 내부로부터 음료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3, 113')의 두께(또는 폭)는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의 단면의 두께(또는 폭)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돌출부(113, 113')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제2 기재(110')의 타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상기 수용부(114, 114')의 두께(또는 폭)는 상기 돌출부(113, 113')의 두께(또는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돌출부(113, 113')의 두께(또는 폭)가 불필요하게 클 경우, 상기 수용부(114, 114')의 두께(또는 폭)도 동시에 넓어져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단면의 두께(또는 폭)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돌출부(113, 113')의 두께(또는 폭)가 상기 제2 기재(110')의 타 장변(110a, 110a')에 구비된 상기 수용부(114, 114')의 두께(또는 폭)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4, 114')에 상기 돌출부(113, 113')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재질에 따라 수용부(114, 114')의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재질에 따라 억지끼움이 불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는 사용자에 의한 빨대 조립이 용이하며, 사용시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소정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자기재(111, 111', 112, 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기재는 상기 제1 기재(10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자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 구비된 자기재(111, 111', 112, 112')는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자기력(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용부(114, 114')에 상기 돌출부(113, 113')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자기재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113, 113')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제1 기재(110)의 돌출부(113, 113')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재(110')의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기재(110')의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자기재는 상기 제1 기재(110)의 돌출부(113, 113')의 내측에 구비된 자기재와 반대의 극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제1 기재(110)의 타 측에 마련된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재(110)의 수용부(114, 114')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재(110')의 돌출부(113, 113')의 내측에는 자기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기재(110)의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자기재는 상기 제2 기재(110')의 돌출부(113, 113')의 내측에 구비된 자기재와 반대의 극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13, 113') 및/또는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 구비된 자기재의 형상, 크기 및 배치 각도 등은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자기재(112, 112')는 상기 기재(110, 110')의 굴곡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 중 적어도 하나가 전도성을 나타낼 경우,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 중 적어도 하나에 자기재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가 전도성을 나타내는 나타낼 경우,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113, 113')에 각각 자기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110)가 전도성을 나타내는 나타낼 경우,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측에 마련된 돌출부(113, 113') 및 타 측에 마련된 수용부(114, 114')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재(110')의 수용부(114, 114') 및 돌출부(113, 113')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를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기재의 두께는 상기 기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돌출부(113, 113') 또는 상기 수용부가 구비된 영역을 향해 두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구배에 따라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적절한 내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13, 113')는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13, 113')는 상기 서브 몸체(116, 116')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몸체(116, 116')가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몸체(116, 116')와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115, 115')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115, 115')에는 상기 자기재(111, 111')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3, 113')의 타 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상기 자기재(112, 112')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재(110) 및/또는 상기 제2 기재(110')가 전도성을 나타낼 경우,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상기 자기재 또는 상기 금속재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는 각각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113, 113') 및/또는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자기재 역시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는 상기 돌출부(113, 113')와 상기 수용부(114, 114')의 끼움 결합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발생한 자기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의 고정력은 필요 시 사용자에 의해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기재(111, 111')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돌출부(113, 113')와 상기 수용부(114, 114') 역시 상기 복수의 자기재(111, 111')가 배치된 위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자기재(111, 111')와 교대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 사이에 적절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양 단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 사이에 상기 제1 기재와 상기 제2 기재가 맞닿는 면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A-A'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B-B' 절단면에 따라 절단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빨대에 사용된 기재의 일부 영역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의 양 단에는 각각 상기 돌출부(113, 113')와 상기 수용부(114, 114')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자기재 또는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생략될 수 있다. 대신에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가 맞닿는 면 또는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가 맞닿는 면의 내측에 자기재(111, 111') 또는 상기 자기재(111, 111')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마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돌출부(113, 113') 및 상기 수용부(114, 114')의 내측에는 자기재(111, 111') 또는 상기 자기재(111, 111')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금속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제1 기재(110)와 상기 제2 기재(110')가 맞닿는 면에 자기재(111, 111')가 마련될 경우, 상기 자기재의 상부에는 상기 자기재를 커버하는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기재(110')가 맞닿는 상기 제1 기재(110)의 일 면에 상기 자기재(111, 111') 및 상기 자기재(111, 111')를 커버하는 코팅층이 마련된 경우, 상기 자기재(111, 111') 및 상기 코팅층에 의해 상기 제1 기재(110) 및 상기 제2 기재(110')가 들뜬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기재(110')의 일 면은 절곡된 형상을 가져 상기 자기재(111, 111') 및 상기 코팅층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서로 대응하는 두 장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과 다른 하나의 기재의 두 장변이 서로 맞닿아 결합되며,
    상기 적어도 두 기재의 결합에 의해 상단 개구 및 하단 개구가 정의되며, 상기 상단 개구 및 상기 하단 개구를 통해 내부로 용액이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의 일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기재의 타 장변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기재 중 어느 하나의 기재와 다른 하나의 기재는 상기 수용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로 자기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탈부착식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는 각각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탈부착식 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구비된 자기재를 포함하는,
    탈부착식 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내측에 자기재가 구비되며, 다른 하나의 내측에 상기 자기재와 자기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재가 구비되는,
    탈부착식 빨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재는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탈부착식 빨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기재가 배치된,
    탈부착식 빨대.
KR1020200045687A 2019-04-24 2020-04-16 탈부착식 빨대 KR10253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63178A JP7273994B2 (ja) 2019-04-24 2020-04-24 着脱式ストロー
PCT/KR2020/005413 WO2020218864A1 (ko) 2019-04-24 2020-04-24 탈부착식 빨대
CN202020638228.4U CN212995909U (zh) 2019-04-24 2020-04-24 可拆式吸管
US17/506,267 US20220031102A1 (en) 2019-04-24 2021-10-20 Detachable st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7894 2019-04-24
KR1020190047894 2019-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608A true KR20200124608A (ko) 2020-11-03
KR102534972B1 KR102534972B1 (ko) 2023-05-22

Family

ID=7319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87A KR102534972B1 (ko) 2019-04-24 2020-04-16 탈부착식 빨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31102A1 (ko)
JP (1) JP7273994B2 (ko)
KR (1) KR102534972B1 (ko)
CN (1) CN2129959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3487A1 (en) * 2020-12-15 2022-06-16 HumanGear, Inc. Straw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533A (ko) * 2015-06-12 2016-12-21 유주안 세척 가능 빨대
KR20180001331A (ko) * 2016-06-27 2018-01-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AU2018100814A4 (en) * 2018-06-19 2018-07-26 Chan, ka yee MRS Magnetic straw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5656B1 (en) * 1999-02-26 2001-10-23 Dash-It Usa Inc. Magnetic coupler and various embodiments thereof
WO2020034037A1 (en) * 2018-08-17 2020-02-20 DFO Global Performance Commerce Limited Drinking straw assembly
US10736448B2 (en) * 2019-01-05 2020-08-11 Cole K. Clark Eating utensil support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533A (ko) * 2015-06-12 2016-12-21 유주안 세척 가능 빨대
KR20180001331A (ko) * 2016-06-27 2018-01-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AU2018100814A4 (en) * 2018-06-19 2018-07-26 Chan, ka yee MRS Magnetic stra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30446A (ja) 2022-06-29
US20220031102A1 (en) 2022-02-03
KR102534972B1 (ko) 2023-05-22
CN212995909U (zh) 2021-04-20
JP7273994B2 (ja) 202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432B1 (ko)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USD802362S1 (en) Tumbler lid
US4524867A (en) Case for accommodating written material for presentation purposes
US5222622A (en)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a container and a utensil
KR20200124608A (ko) 탈부착식 빨대
CA137929S (en) Tray with lid
US9449529B2 (en) Educational dinnerware device
KR10046521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USD962006S1 (en) Plate with two removable serving sections
WO2020218864A1 (ko) 탈부착식 빨대
KR101426670B1 (ko)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JP5270785B1 (ja) 容器
JP4499833B1 (ja) 下敷き
CN112438552A (zh) 可重复使用的吸管
KR200297012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TWI687354B (zh) 杯蓋及其容器
WO2020044132A1 (en) Drinking straw
WO2022065442A1 (ja) ストロー用キャップ
KR200334897Y1 (ko) 이중 컵
US10414574B2 (en) Container for card(s) booklet-like items and having a symbolic person-like shape
KR200217592Y1 (ko) 화장품 용기
KR20160000432U (ko) 홍보용 물티슈 덮개
KR200402098Y1 (ko) 자동차용 키홀더
KR20200137720A (ko) 금속 분리형 빨대
JP2009273854A (ja) 箸おさ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