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209U -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 Google Patents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209U
KR20180000209U KR2020160003982U KR20160003982U KR20180000209U KR 20180000209 U KR20180000209 U KR 20180000209U KR 2020160003982 U KR2020160003982 U KR 2020160003982U KR 20160003982 U KR20160003982 U KR 20160003982U KR 20180000209 U KR20180000209 U KR 201800002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road
snake
piec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리
Original Assignee
김승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리 filed Critical 김승리
Priority to KR2020160003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209U/ko
Publication of KR20180000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생동물의 도로 침입에 따른 로드 킬(Road Kill)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을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뱀류의 로드 킬을 방지하며 도로에 위치한 뱀은 유도울타리를 쉽게 통과하여 도로 밖(이하 '초지'라 함)으로 탈출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는 도로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져 고정된 지주들과, 지주와 지주의 사이를 연결하며 지주의 높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메시 규격이 점차 조밀하게 형성된 휀스와, 뱀이 휀스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반대편인 휀스의 일면에 장착되며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오름방지턱을 포함하며, 오름방지턱의 길이는 지주와 지주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INDUCING FENCE FOR PREVENTING ROAD-KILL OF SNAKE}
본 고안은 야생동물의 도로 침입에 따른 로드 킬(Road Kill)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을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뱀류의 로드 킬을 방지하며, 반대로 도로에 위치한 뱀은 유도울타리를 쉽게 통과하여 도로에서 안전한 장소(이하 '초지'라 함)로 진입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야생동물 중 토지를 따라 이동하는 포유류, 양서류 및 파충류는 임야, 산지, 초지 등에 건설된 도로를 통과하기 어려워 도로를 기준으로 양측의 생태계가 교란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야생동물이 도로를 통과하는 중에 로드 킬을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로드 킬을 피하고자 운전자가 차량을 급선회함에 따라 2차 추돌이 발생하는 경우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로변의 양측에 유도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함과 더불어 야생동물을 생태통로 쪽으로 유도함으로써 도로의 건설에 따른 생태계의 교란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유도울타리의 휀스 메시 규격에 따라 도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야생동물의 종류가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큰 메시의 휀스는 몸집이 큰 포유류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메시의 휀스는 작은 몸집의 양서류 및 파충류의 도로 진입을 방지한다.
하지만, 포유류의 도로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큰 메시의 휀스를 설치할 경우 양서류 및 파충류의 도로진입을 막을 수 없으며, 작은 메시의 휀스를 설치할 경우 휀스의 물량이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하고 휀스에 의해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유도울타리의 상부와 하부로 구분하여 하부에는 작은 메시의 휀스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큰 메시의 휀스를 설치하여 작은 몸집의 양서류 및 파충류가 유도울타리의 하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유도울타리의 상부에 큰 메시의 휀스를 설치함으로써, 경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메시 규격이 다른 이종 또는 삼종의 휀스를 설치하더라도 뱀은 머리 부위를 세워 뱀의 머리가 큰 메시의 휀스의 하단에 닿게 되면, 휀스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도울타리를 설치하더라도 뱀의 로드 킬을 방지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더불어 도로로 넘어간 뱀의 경우, 뱀이 휀스를 넘어 초지로 쉽게 진입할 수 없어 오히려 종래 유도울타리는 뱀의 로드 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8706호(공고일 2014년10월16일)
본 고안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뱀이 유도울타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뱀의 로드 킬을 방지함과 더불어 도로에 위치한 뱀은 유도울타리를 쉽게 넘어 안전한 초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는 도로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 고정된 지주들과, 지주와 지주의 사이를 연결하며 지주의 높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메시 규격이 점차 조밀하게 형성된 휀스와, 뱀이 휀스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반대편인 휀스의 일면에 장착되며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오름방지턱을 포함하며, 오름방지턱의 길이는 지주와 지주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름방지턱은 휀스와 접하는 평면부와 볼록하게 형성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며, 도로 쪽을 향한 휀스의 타면에 위치한 오름부는 휀스의 일면에 위치한 오름방지턱의 평면부에 고정되며 도로의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주커버부가 지주에 장착되며, 지주커버부의 위치는 지주의 양측 휀스에 장착된 오름방지턱과 동일한 위치로서 지주커버부와 오름방지턱이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휀스는 하부 휀스와 중간부 휀스 및 상부 휀스로 구분되고, 오름방지턱은 하부 휀스와 중간부 휀스의 경계에 장착되며, 오름부는 중간부 휀스를 관통하여 도로의 지면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름부는 휀스의 타면에 접하여 오름방지턱의 평면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체결편과, 체결편에서 도로 쪽으로 연장된 연장편과, 연장편에서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 오름편을 포함하며, 오름편에는 뱀이 오름편을 타고 오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름부는 휀스의 타면에 접하여 오름방지턱의 평면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에서 도로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와, 연장부에서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 오름사다리를 포함하며, 오름사다리에는 가지부들이 양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오름방지턱에는 볼록하게 형성된 부위에 하향으로 형성된 차단부가 오름방지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는 휀스에 오름방지턱을 설치하여 뱀이 휀스를 넘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지주와 휀스 사이의 공간 또한 지주커버부로 뱀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종래의 유도울타리에 비해 뱀의 도로 진입을 어렵게 하여 뱀의 로드 킬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는 도로에 위치한 뱀의 경우 오름부를 통해 유도울타리를 넘어 쉽게 초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뱀의 로드 킬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를 초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울타리를 도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름방지턱의 턱과 지주커버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름방지턱과 오름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의 오름방지턱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오름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를 초지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울타리를 도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오름방지턱의 턱과 지주커버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오름방지턱과 오름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의 오름방지턱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오름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로변을 따라 휀스(110)의 폭 만큼의 간격을 두고 지주(120)들이 지면에 박혀 고정되고, 지주(120)와 지주(120)의 사이에 휀스(110)들이 설치 고정됨으로써, 도로변을 따라 유도울타리(100)가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설치되는 유도울타리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20)와 지주(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휀스(110)들은 메시 규격이 상호 다른 3종류의 휀스(110H, 110M, 110L)가 설치된다.
그 한 예로서, 하부에 위치한 하부 휀스(110L)는 4mm*4mm의 메시 크기로 지면에서 하부 휀스(110L)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약 40cm이고, 중간부 휀스(110M)는 25mm*50mm의 메시 크기로 하부 휀스(110L)와의 경계에서 중간부 휀스(110M)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약 40cm이며, 상부 휀스(110H)는 100mm*150mm의 메시 크기로 중간부 휀스(110M)와의 경계에서 상부 휀스(110H)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약 100cm이다. 이 경우 유도울타리(100)의 휀스(110) 총높이는 약180cm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3종 휀스의 유도울타리의 구조에 있어서, 하부 휀스(110L)의 하단은 지면에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양서류 및 파충류의 통과를 방지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는 하부 휀스(110L)와 중간부 휀스(110M)의 경계부위에 오름방지턱(130)을 설치함으로써, 휀스(110)에 접근한 뱀이 머리를 들어 세우더라도 오름방지턱(130)에 걸려 중간부 휀스(110M)에 도달할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름방지턱(130)은 하부 휀스(110L)와 중간부 휀스(110M)의 경계부위에 접하여 고정되는 반원의 단면 구조를 갖는 턱(131)과, 휀스(110)에 턱(131)을 고정시키면서 도로의 지면 쪽으로 연장된 오름부(133)를 포함하며, 지주(120)의 외주면 1/2를 감싸며 양측 휀스(110)에 장착된 오름방지턱(130)을 연결하는 반원의 단면 구조를 갖는 지주커버부(139)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오름방지턱(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름방지턱(130)은 반원의 단면 구조로 휀스(110)에 접하는 평면부(131H)와, 초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라운드부(131R)를 포함하며, 오름방지턱(130)의 길이는 지주(120)와 지주(120) 사이의 거리 즉 휀스(110)의 폭만큼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지주(120)에는 휀스(110)에 장착된 오름방지턱(130)의 높이에 맞춰 지주커버부(139)가 장착되는데, 지주커버부(139)는 오름방지턱(130)과 같은 반원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지주(120)를 감쌀 수 있도록 지주(120)의 외주면 1/2을 감싸는 만곡된 형태이다.
따라서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를 휀스(110)에 위치시킬 경우 오름방지턱(130)의 양단은 양측 지주(120)에 근접하며, 이 상태에서 지주커버부(139)를 지주(120)에 장착하면 휀스(110)에 장착된 오름방지턱(130)과 지주(120)에 장착된 지주커버부(139)의 높이가 일치하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오름방지턱(130)과 지주커버부(139)는 동일하게 초지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지주커버부(139)로 지주(120)를 감싸는 이유는 뱀이 오름방지턱(130)을 넘어가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 후에 이어서 설명하고 있다.
오름방지턱(130)의 라운드부(131R)가 초지 쪽을 향해 볼록하게 위치함에 따라 지면에서 머리를 세운 뱀이 오름방지턱(130)의 라운드부(131R)에 머리를 접하고 올라가려고 할 때에 머리가 라운드부(131R)의 외주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접혀져 뒤집히게 되어 머리의 하중에 의해 뱀의 머리부가 지면을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오름방지턱(130)의 라운드부(131R)는 뱀이 라운드부(131R)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오름방지턱(130)과 연결되어 지주를 감싸는 지주커버부(139)의 구성이 없을 경우, 뱀이 지주(120)와 오름방지턱(130)의 끝단 사이의 공간을 통해 라운드부(131R)의 상부로 올라가게 되는데, 지주커버부(139)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주커버부(139)가 지주(120)를 감쌈으로써, 뱀이 지주(120)와 휀스(110) 사이로 올라올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여 초지에서 도로 쪽으로 뱀이 넘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는 오름부(133)가 장착된다.
오름부(13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고정된 상태로 도로 쪽으로 하향 절곡되어 지면에 접하거나 근접해 위치한다.
오름부(133)는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고정되는 체결편(135)과, 체결편(135)에서 도로 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연장편(136)과, 연장편(136)의 끝단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오름편(137)을 포함한다.
체결편(135)과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 사이에는 휀스(110)가 위치하며, 체결편(135)과 평면부(131H)를 직결피스 등으로 체결함으로써, 오름부(133)와 오름방지턱(130)이 휀스(110)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체결편(135)에는 휀스(11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홈(135H)이 형성되며, 휀스(110)가 홈(135H)의 안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홈(135H)과 홈(135H)의 사이를 직결피스로 체결하여 오름방지턱(130)을 고정한다.
한편, 오름편(137)에는 관통공(137H)이 형성된다. 관통공(137H)은 체결편(135)의 직결피스와 대응한 위치로서, 관통공(137H)을 통해 직결피스를 체결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오름편(137)의 관통공(137H)은 도로에 위치한 뱀이 오름편(137)의 관통공(137H)을 통과하여 오름편(137)을 감으면서 올라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오름편(137)의 관통공(137H)을 감아 연장편(136)까지 올라온 뱀은 연장편(136)을 통해 중간부 휀스(110M)를 통해 초지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연장편(136)의 길이는 뱀이 오름편(137)의 관통공(137H)을 감아 올라올 수 있도록 약 10c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도울타리(100)는 초지에서 도로 쪽으로 넘어가려는 뱀이 통과할 수 있는 중간부 휀스(110M)의 하단까지 오르기 전에 설치된 오름방지턱(130)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지게 함으로써 뱀이 유도울타리(100)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지주(120)와 휀스(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뱀이 오르는 것을 지주커버부(139)로 차단함으로써, 뱀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설령 뱀이 우연히 유도울타리(100)를 통과하여 도로에 위치할 경우라 하더라도 종래에는 뱀이 통과할 수 없는 작은 메시 규격의 휀스가 설치되어 안전한 초지 쪽으로 되돌아올 수 없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오름방지턱(130)을 고정하는 기능과 더불어 뱀이 올라올 수 있는 오름부(133)를 설치함으로써, 뱀이 초지 쪽으로 되돌아올 수 있어 로드 킬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뱀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오름방지턱(130)의 라운드부(131R)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50)가 형성된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차단부(150)는 도 5에 보이듯이, 라운드부(131R)의 중간 아래에 하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150) 또한 머리를 세워 오르려고 하는 뱀이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오름부(133)에 있어서, 도 2 및 도 4에는 오름편(137)에 관통공(137H)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와 같은 구조 즉 평판이 아닌 바(bar)의 구조로서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고정되는 체결부(145)와, 체결부(145)에서 도로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6)와, 연장부(146)에서 하향으로 절곡된 오름사다리(147)에 있어서, 오름사다리(147)의 양측으로 가지부(149)가 형성되어 뱀이 쉽게 오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100 : 유도울타리
110 : 휀스
120 : 지주
130 : 오름방지턱
131 : 턱
133 : 오름부
135 : 체결편
136 : 연장편
137 : 오름편
139 : 지주커버부
145 : 체결부
146 : 연장부
147 : 오름사다리
149 : 가지부
150 : 차단부

Claims (7)

  1. 도로변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면에 세워 고정된 지주(120)들과,
    지주(120)와 지주(120)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부 쪽 메시 규격에 비해 하부 쪽 메시 규격이 작게 형성된 휀스(110)와,
    뱀이 휀스(110)를 타고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반대편인 휀스(110)의 일면에 장착되며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오름방지턱(130)을 포함하며,
    오름방지턱(130)의 길이는 지주(120)와 지주(120)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오름방지턱(130)은 휀스(110)와 접하는 평면부(131H)와 볼록하게 형성된 라운드부(131R)를 포함하며,
    도로 쪽을 향한 휀스(110)의 타면에 위치한 오름부(133)는 휀스(110)의 일면에 위치한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고정되며 도로의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지주커버부(139)가 지주에 장착되며, 지주커버부(139)의 위치는 지주(120)의 양측 휀스(110)에 장착된 오름방지턱(130)과 동일한 위치로서 지주커버부(139)와 오름방지턱(13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4. 제2항에 있어서,
    휀스(110)는 하부 휀스(110)와 중간부 휀스(110) 및 상부 휀스(110)로 구분되고, 오름방지턱(130)은 하부 휀스(110)와 중간부 휀스(110)의 경계에 장착되며, 오름부(133)는 중간부 휀스(110)를 관통하여 도로의 지면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오름부(133)는 휀스(110)의 타면에 접하여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편(135)과, 체결편(135)에서 도로 쪽으로 연장된 연장편(136)과, 연장편(136)에서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 오름편(137)을 포함하며, 오름편(137)에는 뱀이 오름편(137)을 타고 오를 수 있도록 관통공(137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6. 제2항에 있어서,
    오름부(133)는 휀스(110)의 타면에 접하여 오름방지턱(130)의 평면부(131H)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145)와, 체결부(145)에서 도로 쪽으로 연장된 연장부(146)와, 연장부(146)에서 지면으로 하향 절곡된 오름사다리(147)를 포함하며, 오름사다리(147)에는 가지부(149)들이 양측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깥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오름방지턱(130)에는 볼록하게 형성된 부위에 하향으로 형성된 차단부(150)가 오름방지턱(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KR2020160003982U 2016-07-11 2016-07-11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KR201800002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82U KR20180000209U (ko) 2016-07-11 2016-07-11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82U KR20180000209U (ko) 2016-07-11 2016-07-11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09U true KR20180000209U (ko) 2018-01-19

Family

ID=6128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82U KR20180000209U (ko) 2016-07-11 2016-07-11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209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06B1 (ko) 2014-07-30 2014-10-16 김승수 가로대의 각도 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KR101538050B1 (ko) * 2014-05-16 2015-07-22 주식회사 동우에이스 로드킬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50B1 (ko) * 2014-05-16 2015-07-22 주식회사 동우에이스 로드킬 방지장치
KR101448706B1 (ko) 2014-07-30 2014-10-16 김승수 가로대의 각도 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270B1 (ko) 야생 동물 보호용 휀스
KR200436862Y1 (ko)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 및 식물 침입방지용차단판
JP3143199U (ja) マングース侵入防止フェンス
JP4898580B2 (ja) 乗越防止柵
KR20180000209U (ko) 뱀 종류의 로드킬 방지용 유도울타리
JP3932118B2 (ja) 有害動物の侵入防止装置
CN106535631B (zh) 用于抵挡陆地腹足动物的装置
KR20120096623A (ko) 동물 보호용 울타리
JP2019030243A (ja) ペット用フェンス
CN201834651U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护栏结构
CN101966961A (zh) 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护栏结构
KR101649932B1 (ko) 동물 차단용 가드레일 겸용 펜스
JP6319283B2 (ja) ネット式電気柵
KR200483212Y1 (ko) 중앙 분리대
JP6473326B2 (ja) 動物侵入抑止柵
JP2009254294A (ja) 動物防護柵
JP4761420B2 (ja) 有害動物の侵入防止装置
KR100975418B1 (ko) 생태 보호 울타리
JP7024964B2 (ja) 鳥類営巣防止具
JP2007129951A (ja) 侵入防止器
JP3161355U (ja) 害獣防止柵
KR100719297B1 (ko) 야생동물 유도 이동통로
KR10125839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KR101873435B1 (ko) 시공이 용이하고 지지력이 보강된 야생동물 유도 울타리
JP5384390B2 (ja) 獣害防止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