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990A -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990A
KR20170142990A KR1020177028486A KR20177028486A KR20170142990A KR 20170142990 A KR20170142990 A KR 20170142990A KR 1020177028486 A KR1020177028486 A KR 1020177028486A KR 20177028486 A KR20177028486 A KR 20177028486A KR 20170142990 A KR20170142990 A KR 20170142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mount
sulfur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9781B1 (ko
Inventor
파트리시오 알프레도 로드리게스 세르다
후안 파블로 모랄레스 몬테시노스
Original Assignee
파트리시오 알프레도 로드리게스 세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0809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4299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트리시오 알프레도 로드리게스 세르다 filed Critical 파트리시오 알프레도 로드리게스 세르다
Publication of KR20170142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0 중량%까지의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머지 성분은 물, 상용화제, 계면활성제, 증량제, 보존제 및/또는 방향제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의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가수분해된 케라틴과 황을 기반으로 하여, 주로 복부 부위로 일컬어지는 신체에 대한 즉각적 또는 즉석의 측정 가능한 시각적 효과가 있는, 동반에 의해서 피부를 깊게 세정하기 위한 국소 적용되는 감량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생산 위험이 낮은 조성물인 화장품으로서 신규하다.
인간 사용을 위한 화장품 및 위생 제품은 깊은 피부 세정을 위한 포뮬레이션(formulation)의 개발을 향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깊은 피부 세정은 독소, 불순물, 환경 오염물의 제거 및 과도한 피부 및 모공의 붕괴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자연조건하에서, 케라틴의 성질은 표피 하이드로리피드 외피(epidermal hydrolipidic mantle)의 일부인 지질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특히, 화장료 조성물은 한편으로는 피부의 수화와, 다른 한편으로는 신선한 외관(활력 및 강건함)과 관련되어 있다. 황은 미용적인 피부 컨디셔너의 역할을 하여 가수분해된 케라틴의 작용을 촉진시킨다.
인체의 특정 부분으로부터 지방 조직의 선택적인 제거 과정 및 공지된 슬리밍(slimming) 과정에 대한 보충과 관련된 특허는 이미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신체의 특정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심미적 또는 미용적 목적을 위한 시닝 치료(thinning treatment)에 영향을 받는다.
미용 목적을 위한 체중 감량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있다. 광범위하게 알려진 한 가지 방법은 발한과 연루되어 있다. 이러한 치료는 사람이 땀을 흘리도록 설계된 특수 의복뿐만 아니라 스팀(steam)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사실 체액 보유로 인한 비대(obesity)를 없애는 데에만 효과적이다. 이러한 치료의 결과로 발생하는 단점은 그것이 반드시 갈증을 유발시키고, 다음으로, 이는 액체의 새로운 소비를 유도하여 액체 손실을 보충하게 하는 때에 발생한다. 따라서, 그러한 시닝의 결과는 대부분이 매우 일시적이다.
상기 기재와 관련하여, 대상체의 물리적인 운동은 흔히 다른 방법과 함께 매우 다양한 형태로 포함된다. 그러한 운동은 대상체에 의해서 또는 손 마사지 또는 기계적 마사지에 의해서 유도된 이동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 대상체는, 조직 내의 지방을 축적 대신에 지방 및 탄수화물의 대사에 유용한, 신체에 의한 에너지의 소비를 촉진시켜야 한다.
조직에 축적된 지방의 제거를 위해서 이용되는 유일한 진정한 기본 방법은 다이어트와 관련된 것들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는 고단백질 다이어트를 유지함으로써 탄수화물과 지방 섭취를 줄인다. 그러한 다이어트는 다이어트를 보다 즐겁게 해주는 보조적인 약물 치료에 의해서 보충되거나 보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조 치료는, 예를 들어, 행복감, 촉진 활성, 또는 식욕 부진을 생성시키는 특정의 의약을 섭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른 사람은 위 내로 팽윤되어 포만감을 주는 제품을 소비한다.
시닝을 위한 고단백질 함량의 다이어트의 기본 원리는, 신체에 조직의 대체에 필요한 단백질, 비타민 등을 주로 공급하지만, 의도적으로 에너지-생성 식품을 줄이는 것이다. 그 결과, 신체는 연결조직에 축적된 지방에서 발견되는 그의 에너지 식품의 저장물을 소비하게 된다.
순수한 미용적 또는 심미적 관점에서, 이들 시닝 다이어트는 실패하는데, 그 이유는 신체가 매우 흔하게 미적으로 유리한 신체 부분으로부터의 모든 지방 저장물을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반면에, 심미적 관점에서 보기 좋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는 축적물은 온전하게 유지된다. 즉, 오로지 상당한 양의 지방이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미용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지방 축적물이 다이어트 치료에 영향을 받는 것이 매우 흔하다. 시닝 치료중인 여성에서, 그들은 얼굴과 가슴의 지방을 손실하지만, 복부와 허벅지의 지방 조직은 유지된다.
인체가 지방을 저장하고 다시 이를 재사용하는 기전은 간략한 형태로 설명될 수 있다. 지방은 혈액에 의해서 그들이 축적되는 연결조직으로 운반된다. 연결조직에 축적된 지방은 신체가 그들을 필요로 하는 때에 혈액에 의해서 수집된다. 연결조직으로부터 혈액으로의 지방의 수송을 위해서, 지방은 먼저 이의 성분인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방이 혈류중에 수송된다. 혈관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효소 리파아제가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분해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리파아제의 작용은 인슐린에 의해서 억제되며, 인슐인의 신체에 의한 분비는 다이어트에서의 탄수화물의 존재에 의해서 감소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달리 설명하면, 전분과 당의 섭취는 인슐인 분비를 촉진하고, 이는 이어서 리파아제의 작용을 억제한다. 이것은 대상체가 탄수화물이 풍부한 다이어트를 따르는 경우에 신체 내의 저장 지방 축적물이 그대로 유지되게 한다. 다이어트가 탄수화물이 낮으면, 인슐린 분비가 감소되어, 지방이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전환되고 혈류로 전달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분산되는 지방 조직의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해서 리파아제가 자유롭게 작용하게 한다.
이를 고려하여, "프로-시닝(pro-thinning)" 반응을 생성시키기 위한, 혈액 조성에의 개입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질 생합성을 억제하기 위해서(Nozawa et al., J. Biochem., 1973, 74 (6), 1157-1163) 및 지단백질 비율 및 콜레스테롤 혈증의 수준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2-(p-클로로페닐옥시)이소부티레이트(CPIB)가 1960년대에 연구되었다. 그러나 신체의 많은 다른 조건이 이들 인자와 연관되어 있고 이들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게다가, 순수한 심미적 이유를 위해서 혈액의 조성에 직접 개입하는 것에 대한 실제로 타당한 이유가 없다.
따라서, 정상의 혈액 균형에 개입하지 않으면서 지방 및 독소를 제거하는, 신체의 볼륨을 감소시키는 효과적이고 건강한 시닝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한 생분해성 연고를 사용하여 지방 조직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되게 하는 해결책으로서, 신체에 무해하고 또한 표피 순준으로 약간 침습적인 원료를 사용하는 솔루션(solution)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생산을 위한 두 가지 주요 성분,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황의 조합물에 관한 것이고, 독소, 불순물, 환경 오염물 및 피부의 살찐 부분 및 모공의 제거를 위한 피부의 깊은 세정을 위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심미적 문제, 예컨대, 새깅(sagging), 편재된 비만, 및 체중 감소 등을 치료하기 위해서 개발된 매우 다양한 제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첫 번째 적용 후에, 시각적 효과가 항상 입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을 배출시키는, 즉, 피부 또는 표피에서의 물의 보유를 감소시키는 많은 슬리밍 조성물(slimming composition)이 공지되어 있다. 그것은 생화학적 반응을 제한함으로써 작용할 것이고, 그에 의해서 지방산이 합성되고 글리세롤과 에스테르화되거나 그와 연결되어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지방 저장물을 형성시킬 것이다.
지방세포가 발견되는 피부의 깊은 층(진피)에 시닝 작용제(thinning agent)가 도달하기 어려움으로 인해서, 국소적인 시닝 작용을 위해서 사용되는 조성물이 다소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성물의 슬리밍 효율(slimming efficiency)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특정의 시잉 작용제의 생체이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매우 상이한 목적으로 미용에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왔지만 결코 함께는 사용되지 않았던 두 가지의 주요 구성요소를 조합함으로써 이러한 개선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발견하였다.
마사지를 행하는 때에 관찰되는 첫 번째 반응은 거위 피부(anserine skin)의 양상이다. 그것은 모낭 소공(follicular ostium)을 통한 전이의 축적 또는 자극을 나타낸다. 거위 피부는 거위 다리의 피부와 유사하게 건조하고 거친 피부의 양상에 상응한다. 마사지는 기공을 통한 이러한 반응을 선호한다. 그것은 제품을 유화시킴으로써 반복적으로 적용되는 영역의 순환을 활성화시킨다.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마사지 과정 동안에, 부위에서의 가스 및 독소의 축적이 발생한다. 이들은 피부를 통한 이러한 물질의 교환 및 방출을 야기하는 순환에 의해서 이끌린다.
소공 또는 거위 피부의 수준에서 모근의 활성화를 야기하는 이러한 치료로 인해서, 마사지 기간 동안의 홍반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어떠한 명백한 자극이 없다. 박판 형태의 건조한 표피의 박리 또는 표피탈락이 없다. 유일한 주목할 만한 효과는 모낭 소공의 수준에서의 활성화의 지속이다.
법의학에서의 거위 피부는 털세움(piloerection)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러한 거위 피부는 모낭의 세움근(erector muscle)의 불수의수축(involuntary contraction)이며 소름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작용에 의해서 모발을 피부 상에서 들어 올려지게 한다. 피부의 이러한 상태는 온도의 변화, 신경 반응에 의해서 발생된다. 구체적으로는, 그것은 차가운 공기 및 극적인 감정, 특히 공포에 대한 생리적 반응으로 여겨진다. 이는 황과 조합되어 모공의 현저한 확장을 생성시켜서, 피부에서 발견되는 노폐물의 신속한 배출 경로 및 가스의 신속한 제거 경로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황을 포함하는 슬리밍 치료를 위한 신규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범위로, 본 발명은 표면상으로 복부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기 신규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 범위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가스와 독소의 축적에 의해서 과도한 지방 세포 또는 볼륨(volume)을 함유하는 신체의 어떠한 일부에 적용 가능한 국소 감량 포뮬레이션으로 체중 감소를 생성시키기 위한 미용 과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방 아래 부위(Sub-mammary Region)로부터 수프라푸비언 부위(Suprapuvian Region) 및 뒷쪽 허리 부위(back Lumbar Region)까지.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eum muscle) 아래의 턱끝밑 또는 턱밑 영역(Submental or Submandibular area)에 위치된 지방에 특히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는 방법은 물을 적하시킴으로써 첨가함에 의해서 일정한 에멀션을 유지하는 마사지를 통한 경피 형태로 보호된다. 각각의 15 ml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60ml의 물이 요구된다. 마사지는 그 부위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체중 감량 마사지 때문이 아니다: 포뮬레이션은 일정해야 하는 러빙(rubbing) 및 치료되는 부위의 성형(shaping)에 의해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물은 순수한 물 또는 탈이온수로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물의 부분은 임의로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 또는 열수(thermal water)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미네랄 워터 또는 열수는 천연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추가의 구성요소로서 미량 원소 또는 메네랄뿐만 아니라 정제수, 탈염수 또는 증류수로부터 제조된 수성 미네랄로 강화된 미네랄 워터 또는 열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증량제, 세정제 및 보존제의 존재하의 수성 매질 중의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황의 상승작용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케라틴은 모발, 네일(nail) 또는 피부와 같은 우리의 조직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백질이다. 이들은 구조 및 구성요소가 상이한 알파 케라틴 및 베타 케라틴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알파 케라틴은, 내성을 부여하는, 황 브릿지를 형성하는 아미노산의 사슬들 사이에 시스테인 잔기를 함유한다. 두 번째 베타 케라틴은 이들 황 브릿지를 가지지 않으며, 따라서, 연장될 수 없다. 알파 케라틴은 포유동물 조직의 일부(모발, 양모, 뿔, 네일, 발톱 등)이다. 베타 케라틴은 더 견고하고, 파충류의 발톱 부분, 거북의 껍질, 조류의 깃털 및 부리이다.
케라틴 단백질은 잘 알려져 있고, 양모 또는 깃털과 같은 여러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된다. 케라틴은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상처 치료(wound care), 정형외과 재료의 포뮬레이션(formulation)에, 영양 보충제로서, 그리고 폴리머 필름의 생산에의 사용을 포함한 광범위하게 다양한 적용에 사용된다.
케라틴은 많은 양의 시스테인, 즉, 자연에서의 황 브릿지에 필요한 매우 독특한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한 공유 결합은 케라틴 내의 단백질을 고도로 가교시켜 이황화물 결합을 형성시킨다. 이들은 많은 생물학적 조직에서의 기초적 구조 성질을 제공하는 고도로 정돈된 단백질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라틴 단백질은 가수분해되어 충분한 용해도를 부여하고 포뮬레이션에의 포함을 용이하게 한다. 케라틴은 특징적으로 고도로 단백질에 존재하는 시스테인 때문에 본질적으로 불용성이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948,876호는 염색 과정에서 보조제로서 사용을 위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서 생성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수분해된 케라틴의 사용은 상처용 스펀지; 비료 또는 완하제(laxatives)와 같이 매우 다양하다. 이의 적용은 때로는 치료에 유용한 골드 화합물(gold compound)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를 사용하는 GB481164의 경우에서; 경량 시멘트의 생산(GB1108488)에서, 방염제의 생산에의 투입물(GB717109)로서 또는 소화제(fire extinguishing agent)(JPS53135199)로서; 수계 잉크 조성물(JPH06107997)로서와 같이, 화장료를 벗어난다. 적용은 또한 오일을 분산시키기 위한 기포제(foaming agent)로서 발견되었다(US6734146호). 미국특허 제6367550호, 제6454004호, 제6793730호, 제6547871호 및 제6454008호에서, 다양한 석유 및 산업 적용에서의 케라틴의 사용예가 있다.
케라틴과 황을 포함하는 발명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특허 출원 US2004210039호는 환원제로서의 황화나트륨을 사용한 케라틴의 가용화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케라틴과 분자 황을 조합하는 것은 결코 기재되지 않았다.
황은 간 기능과 같은 많은 신체 기능을 지지하고 인체의 자연 청소에 기여한다. 일정한 혈당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화기능을 유지하고 지방 및 탄수화물의 대사를 개선시켜야 한다. 이의 미용적 사용은 피부, 모발 및 네일의 건강과 직접 연관되어 있다: 그것은 피부에 축적되는 독소, 화이팅 박테리아(fighting bacteria) 및 균류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바이오설퍼(BioSulphur)는 물에 매우 혼화성이며 또한 낮은 몰 질량의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에 용해되는 황 기반 제품이다. 그것은 표피와 매우 용이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지방산의 도움으로 안정화된 마이크로미터 황에 상응한다. 지방산이 이들의 친수성 특성으로 인해서 피부와 매우 상용성이므로, 황은 분자 황에 비해서 피부에 더 우수하게 분산된다. 이것은 피부로의 우수한 침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바이오설퍼는 피지샘의 과도한 분비를 정상화하여, 몇 가지 사용을 지명하자면, 지성 피부 또는 지루피부염의 문제를 국소적으로 퇴치할 수 있다. 그것은 온화한 구충, 방부, 및 각질용해 작용을 한다. 바이오설퍼는 하이드로알코올 로션(hydroalcoholic lotion), 액체 에멀션, 샴푸, 마스크, 크림, 연고, 및 캐필러리 배쓰(capillary bath)의 형태로 사용된다.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때에, 그에 따라서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즉, 피부와 상용성인 국소 적용을 위해서, 표피와 또한 상용성인 오일의 사용이 요구된다.
헵탄산 또는 옥탄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4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산의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식물성 탄화수소, 또는, 예를 들어, 피마자유, 해바라기 오일, 옥수수 오일, 참기름, 헤이즐럿 오일, 살구씨 오일, 아라라 오일(arara oil), 조조바 오일(jojoba oil)이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비히클로서 가능한 후보 중 일부이다.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해서, 특히 피마자유가 선택된다. 피마자유 중의 하이드록실기는 독특한 물리적 성질의 조합의 원인이다. 이들은 비교적 높은 밀도 및 점도, 지방족 용매에서는 오히려 제한되는, 어떠한 비율에서의 알코올에의 우수한 용해도를 지닌다. 이러한 오일의 안정성은 점도에 대한 절대 표준으로서의 사용에 의해서 입증된다. 이의 하이드록실기로 인해서, 이러한 오일은 극성의 성질을 갖고 있고, 이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천연 및 합성 수지, 왁스, 폴리머 및 엘라스토머(elastomer)를 가소시킨다. 그것은 또한 우수한 윤활 성질뿐만 아니라, 염료, 안료 및 충전재를 습윤 및 분산시키는 상당한 능력을 갖고 있다.
콘(cone)은 화장품을 규제하고 있는 모든 국제 규범을 충족시키고 있는 인체에 무해한 원료로 제조된 감량 포뮬레이션이다. 그것은 벌꿀 색, 및 걸쭉한 질감을 갖고 있다. 그것은 저자극성이고 인체에 무해한 포뮬레이션이라는 것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포뮬레이션은 모낭 소공 수준에서 작용하여 홍반, 자극 또는 표피탈락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박리 없이 거위 피부를 생성시킨다.
포뮬레이션은 삼투에 의한 가스 및 독소의 인력에 기인하여 신체 둘레의 감소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된 실시예에서, 서 있는 환자 또는 누워있는 환자를 고려한 각각의 영역에서 작업 시간 및 양상에 의해서 차별되는 경피 적용이 고려된다. 적용은 주당 1회 또는 여러 회 수행된다. 선택된 시험 신체 부위는 영역 1: 암홀 부위(Armhole area), 가슴, 허리, 배꼽부위 및 하복부; 영역 2: 좌우 팔; 영역 3: 컨츄어 레그(Contour Legs), 좌우 다리에 상응한다.
권장 원안은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전에 환자 크기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에, 마사지를 수행하기 위해서 물을 떨어뜨려서 필요한 가습을 생성시키면서,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서 포뮬레이션을 사용하여 20분 동안 마사지를 적용시킨다. 20분 후에, 얻은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새로운 크기 측정치가 기록된다.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를 크림 또는 로션으로 닦아내서 그 부위를 세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포뮬레이션이 더 우수하게 고정되고 피부에 더욱 용이하게 침투될 것이다.
얻은 결과는 감량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해서 20분 동안의 일정한 마사지를 한 서 있는 환자에서 최상의 성능이 얻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치료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한 걸친 20분 동안의 마사지는 신체 평균에서 작은 변화를 생성시킨다. 가장 효과적인 결과는 첫 번째 5분의 마사지 내에 발생하고 20분까지 서서히 증가한다. 이러한 시간 후에, 치료된 부위에서의 추가의 감소가 기록되지 않는다.
복부가 매우 큰 환자의 경우에, 그러한 부위에서의 마사지 시간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포뮬레이션은 물을 점적하여 첨가함으로써 에멀션을 유지하면서 마사지를 통해서 경피 형태로 적용된다. 결과를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일정한 에멀션이 유지되어야 한다. 평균적으로, 15ml의 포뮬레이션이 적용되고, 원안에 따르기 위해서 대략 60ml의 물이 요구된다.
허리 둘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국소 적용을 위한 제품(그것이 편재된 지방 과다가 있는 이러한 부위에 사용되는 경우에)은 보충제가 복합적 치료제가 되게 하여 이러한 파라미터를 최적화되게 하고, 그에 따라서, 심혈관 위험의 감소를 달성한다.
전체적으로 치료되는 환자들의 경우에, 환자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대사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 이들은 절충된 복합적 병인에 좌우되는 보완적인 약리학적 치료를 따르도록 권고되었다.
치료의 결과는 제품이 새깅의 미용적 인자에서의 명확한 이익, 편재된 지방 과다의 감소, 신체 치수의 감소, 심혈관 위험의 감소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15 중량% 이하의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황을 함유하는 국소-적용된 미용적 감량 조성물이 보호되는 것이 요구되며, 나머지 성분은 주로 물, 상용화제(compatibilizer), 계면활성제, 증량제, 보존제 및/또는 향미제(flavoring agent)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가수분해된 케라틴의 양은 1 내지 10%이고, 황의 양은 0.1 내지 4%이며, 상기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미터 입자 크기를 지닌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 1 계면활성제로서 10 내지 45 중량%의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 설페이트 및 제 2 계면활성제로서 10 내지 45 중량%의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을 함유한다. 세정제로서 1 내지 5%의 범위의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가 사용되고, 증량제로서 메틸 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PEG-120)가 1 내지 10% 범위, 바람직하게는 7%의 농도로 사용된다.
화장료 조성물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추가의 성분으로, 방부제로서 DMFT 히단토인(1,3-비스(하이드록시메틸)-5,5-디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이 1 내지 10% 범위, 바람직하게는 2%의 농도로 고려되며, 보존제로서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ATE)가 0,5 내지 4%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의 농도로 사용되고, 상용화제로서 피마자유가 0,5 내지 1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9%의 농도로 사용된다. 화장료 조성물의 악취를 피하기 위해서, 0,1%의 향미제가 첨가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선택된 성분들의 각각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서 콘시스턴스(consistency)를 고려하여 조절되어서, 실시예들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중유, 유중수 에멀션, 로션, 겔, 에멀션 또는 소프(soap)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성상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20 내지 7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30 내지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신체 시닝 조성물이고, 이는 지방세포를 감소시키고, 추가로, 포뮬레이션을 허리, 히프 및/또는 허벅지에 적용하는 경우에, 셀룰라이트 및/또는 오렌지 필(orange peel)을 포함한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는 작용을 하고/거나 외형을 말라 보이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신체의 살찐 부위에 적용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양은 조성물 100g당 성분의 g으로 표현된다.
실시예 1: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Figure pct00001
실시예 2: 1%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4% 황.
Figure pct00002
실시예 3: 3%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3% 황.
Figure pct00003
실시예 4: 4%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2% 황.
Figure pct00004
실시예 5: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1% 황.
Figure pct00005
실시예 6: 7%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5% 황.
Figure pct00006
실시예 7: 10%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5% 황.
Figure pct00007
실시예 8: 식물 추출물과 함께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Figure pct00008
실시예 9: 식물 추출물과 함께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Figure pct00009
실시예 10: 식물 추출물과 함께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Figure pct00010
실시예 11: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로션).
Figure pct00011
실시예 12: 5%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0,1% 황. (소프).
Figure pct00012
하기 표는 바람직하게는 실시예 7에 기재된 감량 포뮬레이션을 사용한 연구에 주어진 20명의 대상의 둘레 측정(센티미터)의 결과를 요약하고 있다. 각각의 대상은 상이한 병인을 나타내어 방법의 보편성을 반영하고 있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이들 데이터는 서 있는 대상에서 치료를 수행하는 때에 최상의 결과가 달성되고, 연구된 부위의 둘레의 실질적인 감소가 항상 얻어지는 것을 밝히고 있다. 달성된 감량은 1 내지 3.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 c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1 cm이었다. 평균적으로, 일부 부위에서 놀랍게도 10 내지 15%의 감량이 달성되고 다른 부위에서는 5% 이상이 달성되는 것으로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백분율은 약제학적 조성물을 적용하여 치료하기 전의 치수로 나누고 100을 곱한 관찰된 cm로의 차이로서 이해된다.
본원에서 참조된 모든 문헌은 본 문헌에 완전히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의 실행에서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을 본원에서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로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본 원이 이의 설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38)

  1. 20 중량%까지의 가수분해된 케라틴 및 마이크로미터-크기 황을 함유하며, 나머지로는 우세하게 물, 상용화제(compatibilizer), 계면활성제, 증량제(thickener), 보존제(preservative) 및/또는 향미제(flavoring agent)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감량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수분해된 케라틴의 양이 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황의 양이 0,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가수분해된 케라틴의 양이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 설페이트가 제 1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트리에탄올아민 도데실 설페이트가 10 내지 45%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 제 2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 10 내지 45%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가 세정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가 1 내지 5%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디소듐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게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틸 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PEG-120)가 증량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메틸 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PEG-120)가 1 내지 1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메틸 글루코오스 디올리에이트(PEG-120)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존제로서 DMDM, 히단토인 (1,3-비스(히드록시메틸)-5,5-디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DMDM, 히단토인이 1 내지 1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DMDM, 히단토인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존제로서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가 0.5 내지 4%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바메이트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마자유가 상용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피마자유가 0.5 내지 10%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피마자유의 양이 바람직하게는 4.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4. 청구항 1에 있어서,
    0.1%의 향미제가 추가로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5.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이 순수한 물, 탈이온수, 미네랄 워터(mineral water) 또는 열수(thermal wa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물이 순수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물이 탈이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물이 미네랄 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물이 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수성상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2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전제 중량에 대해서 30 내지 50 중량%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수중유 에멀션, 유중수 에멀션, 로션, 겔 또는 소프(soap)로부터 선택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신체 시닝 조성물(body thining composi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3. 지방 조직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34.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장료 조성물이 5 내지 20분 동안 신체의 지방질 부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셀룰라이트 및/또는 오렌지 필(orange peel)을 감소시키고/거나 외형을 시닝하기 위한 치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
  36. 청구항 34에 있어서,
    신체의 지방 부위가 바람직하게는 허리, 히프 및/또는 허벅지, 다리 및 팔 및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의 아래에 있는 턱밑샘(Submandibular) 또는 턱끝밑 부위(Submental area)에 위치하는 지방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조성물을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위치된 신체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신체의 수직 위치에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케어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화장 방법.
KR1020177028486A 2015-03-11 2016-02-29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KR10206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L593-2015 2015-03-11
CL2015000593A CL2015000593A1 (es) 2015-03-11 2015-03-11 Composición cosmética reductiva de aplicación tópica que contiene queratina, azufre, aceite de castor, surfactantes y agua.
PCT/CL2016/000008 WO2016141498A1 (es) 2015-03-11 2016-02-29 Composición cosmética reductiva de aplicación tópica que contiene queratina y azuf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90A true KR20170142990A (ko) 2017-12-28
KR102069781B1 KR102069781B1 (ko) 2020-01-23

Family

ID=5608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8486A KR102069781B1 (ko) 2015-03-11 2016-02-29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245224B2 (ko)
EP (1) EP3269349B1 (ko)
JP (1) JP6689298B2 (ko)
KR (1) KR102069781B1 (ko)
CN (1) CN108135796A (ko)
AR (1) AR103903A1 (ko)
BR (1) BR112017019365B1 (ko)
CL (1) CL2015000593A1 (ko)
CO (1) CO2017002490A2 (ko)
ES (1) ES2882030T3 (ko)
MX (1) MX370875B (ko)
PE (1) PE20180127A1 (ko)
PT (1) PT3269349T (ko)
UY (1) UY36581A (ko)
WO (1) WO2016141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4626B (zh) * 2018-12-24 2020-08-18 象山邱工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方便使用的座便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188868A (en) * 1968-12-31 1970-07-02 Georgina Wardenaar Velile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1164A (en) 1935-09-13 1938-03-04 Schering Kahlbaum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herapeutically valuable gold compounds
GB717109A (en) 1952-11-11 1954-10-20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nels and articles which include inorganic filamentsand cementitious compositions
SE344936B (ko) 1964-06-18 1972-05-08 Siporex Int Ab
JPS53135199A (en) 1977-04-28 1978-11-25 Shiyoubouchiyou Chokan Composition of protein fire extinguishing agnet
US4279996A (en) * 1978-10-09 1981-07-21 Seiwa Kasei Co., Ltd. Keratin hydrolyzate useful as hair fixatives
FR2521571B1 (fr) 1982-02-17 1986-07-18 Oreal Polymere keratinique a residus s-sulfocystei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composition de traitement correspondante
JPH06107997A (ja) 1992-09-29 1994-04-19 Pentel Kk 水性インキ組成物
JP4047441B2 (ja) * 1998-03-05 2008-02-13 株式会社資生堂 脂質分解促進剤および痩身用皮膚外用剤
JPH11335231A (ja) * 1998-05-20 1999-12-07 Shiseido Co Ltd 痩身用皮膚外用剤
US6454004B2 (en) 1999-07-15 2002-09-2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ementing casing strings in deep water offshore wells
US6367550B1 (en) 2000-10-25 2002-04-09 Halliburton Energy Service, Inc. Foamed well cement slurries, additives and methods
WO2003006531A1 (en) 2001-07-13 2003-01-23 Stichting Nederlands Instituut Voor Zuivelonderzoek Keratin-based products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s
US20030157194A1 (en) 2002-02-19 2003-08-21 Bass Ralph L. Method for treating cellulite
JP2006016383A (ja) * 2004-05-31 2006-01-19 Showa Denko Kk 痩身用皮膚外用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WO2009045556A1 (en) 2007-10-05 2009-04-09 Peter Coppola Treatment method for revitalizing hair and method of producing keratin protein treatment solution
WO2010105636A1 (en) 2009-03-17 2010-09-23 United Technologies Ut Ag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interleukin-1 alpha and peptides and cosmetic methods thereof
UA99990C2 (uk) 2009-03-17 2012-10-25 Общєство С Огранічєнной Отвєтствєнностью "Сєнгара" Інтерлейкін-1 бета в косметичних композиціях і способи його використання
PL2785420T3 (pl) * 2011-11-29 2018-08-31 Gelita Ag Kosmetyczne zastosowanie hydrolizatu kolagen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188868A (en) * 1968-12-31 1970-07-02 Georgina Wardenaar Velile Hair growth promot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9349A1 (en) 2018-01-17
JP2018507913A (ja) 2018-03-22
MX2017011539A (es) 2018-07-06
CO2017002490A2 (es) 2017-04-28
CL2015000593A1 (es) 2016-01-22
UY36581A (es) 2016-06-01
PE20180127A1 (es) 2018-01-18
BR112017019365A2 (pt) 2018-06-05
JP6689298B2 (ja) 2020-04-28
EP3269349A4 (en) 2019-01-09
KR102069781B1 (ko) 2020-01-23
US20180147130A1 (en) 2018-05-31
CN108135796A (zh) 2018-06-08
WO2016141498A1 (es) 2016-09-15
AR103903A1 (es) 2017-06-14
ES2882030T3 (es) 2021-12-01
PT3269349T (pt) 2021-07-29
US10245224B2 (en) 2019-04-02
MX370875B (es) 2020-01-08
EP3269349B1 (en) 2021-04-28
BR112017019365B1 (pt) 202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752B2 (en) Skin rejuvenation and defense systems and methods
TWI352595B (en) Cosmetic and cosmeceutical compositions for restor
ES2276339T3 (es) Utilizacion cosmetica de una composicion que comprende al menos una oxazolina, a titulo de principio activo, como adelgazante y/o para prevenir y/o tratar la celulitis.
JP2010105980A (ja) クズ澱粉を含有する化粧料
CN103989601B (zh) 一种焕颜保湿嫩肤面霜及其制备方法
CN108379126A (zh) 一种鸸鹋油护肤膏及其制作方法
KR20220114509A (ko) 세정제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올인원 세정제
CN105250173A (zh) 美白嫩肤护肤品
JP3991164B2 (ja) ナツメ抽出物および胡桃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07693439A (zh) 一种沙棘亮白保湿沐浴露
CN105106063A (zh) 含杜仲叶美白按摩霜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10014343A1 (en) Skin care composition
KR102069781B1 (ko) 케라틴 및 황을 함유하는 국소 적용 감량 화장료 조성물
RU258927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CN105919886A (zh) 一种速效修复皱纹的乳液及其制备方法
CN103385838A (zh) 祛斑美白乳液
RU2180214C1 (ru) Крем-скраб
CN106333908A (zh) 含前花青素的美白护肤霜
US20010014315A1 (en) Bar soap composition
CN102579279B (zh) 一种含竹鼠油的化妆品配方及制备工艺
JP5382969B2 (ja) アルギナーゼ活性促進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5943410A (zh) 一种速效修复皱纹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ITTO20070815A1 (it) Uso di alchilossazolidinone come agente cosmetico idratante e procedimento di idratazione della pelle
WO2021215942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emp 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