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1190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1190A
KR20170141190A KR1020177021543A KR20177021543A KR20170141190A KR 20170141190 A KR20170141190 A KR 20170141190A KR 1020177021543 A KR1020177021543 A KR 1020177021543A KR 20177021543 A KR20177021543 A KR 20177021543A KR 20170141190 A KR20170141190 A KR 2017014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ted
toothbrush
head
bundl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아베
료스케 하치스카
아츠토 키무라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칫솔(10)은 식모면(3a)에 복수의 모다발(A, B)이 식설되어 있는 헤드부(3)와, 상기 헤드부(3)로부터 연장되는 핸들체(2)를 갖고, 상기 핸들체(2)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드부(3)의 치수가 13㎜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3)는 임의의 높이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다발(A)과,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가 상기 외측 모다발(A)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보다 낮은 높이인 내측 모다발(B)을 갖고, 복수의 상기 외측 모다발(A)이 복수의 상기 내측 모다발(B)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측 모다발(A) 및 상기 내측 모다발(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모길이가 다른 2개의 반모다발부(a1, a2)(b1, b2)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4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5-09233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현재에는 칫솔의 헤드부의 사이즈가 사용자의 기호 및 목적에 맞추어서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다. 구강 위생의 점에서는 「1치아씩, 정성스럽게 닦을 수 있는」 컴팩트 헤드가 일반적으로 적합하지만, 닦는 방법의 테크닉이 부족한 사람,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닦을 수 있는 것을 중시하고 있는 사람에 있어서는, 치경부, 치간 및 치면을 동시에 닦을 수 있는, 헤드부가 광폭으로 된 「와이드헤드형」의 칫솔이 적합할 경우가 있다.
이 「와이드헤드형」의 칫솔의 과제는, 복수의 청소 부위를 동시에 닦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성은 높지만, 각각의 부위의 「청소의 정밀도」, 특히 치간 및 치경부 등의 간극 부분의 청소에 대해서는 뒤떨어지기 쉬운 점에 있다. 이것은 닦고 싶은 장소 이외의 주변 부위에도 칫솔의 모끝이 닿아버려 물리적 간섭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존의 일반적인 크기의 칫솔에 있어서,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브러시 내에서 모끝에 고저차를 형성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것은 중앙의 식모의 높이가 주위의 식모의 높이보다 짧게 되어 있음으로써 치열을 걸쳐서 이를 닦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즉, 1개 치아의 상면 및 양 측면의 3면을 동시에 닦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14287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일반적인 크기의 칫솔에서는, 치경부, 치간 및 치면을 동시에 닦는 것이 어렵고, 복수의 청소 부위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닦는 것을 중시하고 있는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브러시 전체에 있어서의 쿠션성을 중시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도 양호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와이드헤드 사양에서 복수의 청소 부위를 동시에 닦을 수 있고, 개개의 간극 형상에 대하여도 높은 청소성 및 뛰어난 닿는 느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은, 식모면에 복수의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는 핸들체를 갖고, 상기 핸들체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드부의 치수가 13㎜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는 임의의 높이의 용모(用毛)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다발과,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가 상기 외측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보다 낮은 높이인 내측 모다발을 갖고, 복수의 상기 외측 모다발이 복수의 상기 내측 모다발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모길이가 다른 2개의 반모다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내측 모다발을 2개로 분리하는 복수의 중앙 모다발을 갖고, 상기 중앙 모다발의 모길이는 상기 외측 모다발의 모길이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한쪽의 반모다발부와 상기 내측 모다발의 한쪽의 반모다발부가 같은 모길이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 및 상기 내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의 모길이가 모두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끼리의 차, 상기 내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끼리의 차가, 각각 1㎜ 이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폭 방향의 1열을 구성하는 모다발의 수가 5개 이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모끝이 날카롭게 된 복수의 용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은 둘로 접힌 모다발의 사이에 끼워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식모 구멍에 박아넣어짐으로서 식설되고, 2개의 상기 반모다발부가 상기 평선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가장 외측에 존재하는 2개의 상기 식모 구멍에 있어서의,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10㎜ 이상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식모 구멍의 각 구멍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둘러싸인 식모 영역이 1.5㎠ 이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드헤드 사양에서 복수의 청소 부위를 동시에 닦을 수 있고, 개개의 간극 형상에 대하여도 높은 청소성 및 뛰어난 닿는 느낌의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모다발의 배열 패턴을 나타내는 헤드부의 평면도.
도 3은 평선 직모식에 있어서의 모다발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a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5a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5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6a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도 6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7a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b는 도 7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8a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도 8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9는 제 6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도 10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11a는 도 9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12a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b는 도 12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13a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b는 도 13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도 14a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b는 도 14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칫솔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모다발의 배열 패턴을 나타내는 헤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평선 직모식에 있어서의 모다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2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브러시 구성을 부분적으로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b는 도 4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다. 여기에서, 헤드부의 폭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일방향(반모다발부(a1, a2, b1, b2 …)의 배열순을 따르는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타방향을 -X방향으로 한다. 즉, 도 4b에서는 도 4a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체(2)와, 핸들체(2)에 이어설치된 헤드부(3)가 일체 성형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은 헤드부(3)가 광폭으로 된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이다.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이란 핸들체(2)의 연장 방향(Y방향)에 교차하는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3)의 폭치수(이하 단지 헤드폭이라고 한다.)가 13㎜ 이상 16㎜ 이하로 된 칫솔이다. 여기에서, 「헤드폭(=폭치수)」이란 X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3)의 최대폭을 나타낸다. 헤드폭은 가장 핸들체(2)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의 언저리로부터 헤드부(3)의 선단까지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3)와 핸들체(2)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 부분으로부터 헤드부(3)의 선단까지의 영역으로 한다.
일반적인 칫솔의 헤드폭은 9㎜∼11㎜이며, 이것에 비하면 헤드폭이 넓은 브러시이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부(3)는 헤드폭이 13㎜, 헤드 길이가 25㎜로 되어 있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에 있어서 헤드폭은 13㎜ 이상으로 되고, 예를 들면 13㎜∼16㎜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4㎜ 이상 1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헤드 길이는 예를 들면 15㎜∼26㎜로 된다. 또한, 「헤드 길이」란 Y방향에 있어서의 헤드부(3)의 최대폭을 나타낸다. 헤드부(3)는 지나치게 길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이 손상되기 쉽고, 지나치게 짧으면 식모되는 모다발의 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그 때문에 헤드부(3)의 길이 치수는 상기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헤드부(3)의 두께는 얇을수록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헤드부(3)의 강도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헤드부(3)의 두께는 핸들체(2)의 재질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5㎜∼5㎜가 바람직하고, 2㎜∼3㎜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3)의 1면측은 식모면(3a)으로 되어 있고, 복수개의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다. 헤드부(3)의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크기는 식모면(3a)의 면적에 거의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부(3)의 식모면(3a)에는 3개의 고저차를 형성한 모다발로 구성되는 브러시(4)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부(3)의 브러시(4)는 임의의 높이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외측 모다발(A)과,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가 외측 모다발(A) 내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 용모보다 낮은 높이인 내측 모다발(B)로 이루어지는 단차 형상 모다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모다발(B)에서는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가 낮은 용모가 외측 모다발(A) 내에서 가장 높이가 낮은 용모보다 더욱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
복수의 외측 모다발(A)은 식모면(3a)의 둘레가장자리(최외주)에 형성된 각 식모 구멍(5)에 식설됨으로써 내측 모다발군(1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서 설치되어, 외측 모다발군(11)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외측 모다발군(11)은 식모면(3a)의 최외주에 설치된 복수의 외측 모다발(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최외주보다 내측에 설치한 복수의 외측 모다발(A)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내측 모다발(B)은 식모면(3a)의 중앙측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6)에 식설되어, 내측 모다발군(12)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모 구멍(5, 6)이 격자 형상의 등피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격자 형상」으로 배열이란, X방향 및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식모 구멍(5, 6)끼리의 위치 X방향 및 Y방향에서 서로의 위치가 어긋난 배열이여도 좋고, X방향 및 Y방향의 어느 한쪽에서는 서로의 위치가 일치하는 배열이라도 좋다. 또한, 복수의 식모 구멍(5, 6)의 배치 간격은 등피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달라도 된다.
와이드헤드 사양의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에서는, 헤드부(3)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가장 외측에 존재하는 2개의 식모 구멍(5, 5)에 있어서의,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L)가 11㎜, 또는 그 이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16㎜ 이하이다. 상기 헤드폭은 X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식모 구멍(5, 5) 중, 한쪽의 식모 구멍(5)의 X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와, 다른쪽의 식모 구멍(5)의 X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이다.
또한, 헤드부(3)의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 구멍(5)의 각 구멍 가장자리의 외측을 연결해서 둘러싸인 식모 영역이 1.5㎠ 또는 그 이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2.8㎠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1㎠ 이상 2.6㎠ 이하이다. 식모 영역이 1.5㎠ 미만의 경우, 청소 부분을 광범위에서 닦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1개의 외측 모다발(A)은 서로 모길이가 다른 반모다발부(a1) 및 반모다발부(a2)를 갖고 있다. 반모다발부(a1)는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보다 길다. 1개의 내측 모다발(B)에 있어서도 서로 모길이가 다른 반모다발부(b1) 및 반모다발부(b2)를 갖고 있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는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보다 길다. 여기에서, 「모길이」란 식모면(3a)로부터 용모의 선단까지의 길이이다. 또한, 복수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는, 직모 오차에 따르는 각 용모의 모길이의 편차를 감안하여 각각 평균화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브러시(4)에서는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가 서로 같고, 전체로서 3단계의 모길이차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모다발군(11) 및 내측 모다발군(12)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모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즉 반모다발부(b1)보다 반모다발부(a1) 쪽이 모길이가 길기 때문에, 대략 중앙측을 향해서 헤드부(3)의 1면측으로 패이는 오목부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열 방향 중앙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짧아지는 반모다발부(a1, a2, b1, b2)에 의해 오목부 형상을 구성하는 부분과, 배열 방향에서 반모다발부의 길이가 서서히 짧아지는 것은 아니지만, 외측 모다발(A)와, 외측 모다발(A)보다 짧은 모길이의 반모다발부(b2)를 갖는 내측 모다발(B)에 의하여 오목부 형상을 구성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본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모다발(A)이 각각 평선(7)을 사이에 둔 한쪽의 반모다발부(a1)와 다른쪽의 반모다발부(a2)에서 고저차를 형성해서 식설된 용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내측 모다발(B)에 있어서도 각각 평선(7)을 사이에 둔 한쪽의 반모다발부(b1)와 다른쪽의 반모다발부(b2)에서 고저차를 형성해서 식설된 용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둘로 접힌 모다발의 사이에 평선(7)이 끼워넣어지고, 이 평선(7)이 식모 구멍(5)(식모 구멍(6))에 박아 넣어짐으로써 모다발이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식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평선(7)이 헤드부(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서 식모 구멍(5)(식모 구멍(6))에 박아 넣어져 있다. 각 평선(7)의 방향은 통일되어 있다.
평선(7)의 각도는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헤드 길이 방향에 대하여, 0도 이상 4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45도 이상의 경우에는 헤드부(3)의 헤드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서 구덩이 형상의 미세한 단차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내측 모다발(B)에 있어서 둘로 접힌 모다발 중, 평선(7)을 경계로 했을 때의 한쪽을 반모다발부(b1)로 하고, 다른쪽을 반모다발부(b2)로 한다(도 3). 반모다발부(b1) 및 반모다발부(b2)는 평선(7)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반모다발부(b1)과 반모다발부(b2)는 서로의 모길이가 다르고, 반모다발부(b1) 쪽이 반모다발부(b2)보다 모길이가 길다(도 4a 및 도 4b).
외측 모다발(A)에 있어서 둘로 접힌 모다발의, 평선(7)을 경계로 했을 때의 한쪽을 반모다발부(a1)로 하고, 다른쪽을 반모다발부(a2)로 한다(도 3). 반모다발부(a1) 및 반모다발부(a2)는 평선(7)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반모다발부(a1)와 반모다발부(a2)는 서로의 모길이가 다르고, 반모다발부(a1) 쪽이 반모다발부(a2)보다 모길이가 길다(도 4a 및 도 4b).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는 8.5mil의 양단 ST모(모끝를 향해서 점차 지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용모)이며,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가 10.5㎜,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가 9.5㎜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는 8㎜∼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11㎜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0.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6mil∼10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7mil∼9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8.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의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의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가 11.5㎜,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가 10.5㎜로 되어 있다.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는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는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의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의 경우에는 이 것만은 아니다.
내측 모다발(B) 및 외측 모다발(A)에 있어서의 각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의 관계는, t(a1)>t(a2)=t(b1)>t(b2)를 만족시키고 있고,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가 같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을 포함하는 전체 모다발은, 식모 영역 내에 있어서 격자 형상(X방향 및 Y방향에서 이웃하는 모다발의 위치가 각각 다른 배치를 포함한다)의 등피치 간격으로 식설되어 있고,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으로 6열, 길이 방향(Y방향)으로 9열의 모다발이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헤드 길이」는, Y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식모 구멍(5, 5) 중 한쪽의 식모 구멍(5)의 Y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와, 다른쪽의 식모 구멍(5)의 Y방향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길이다.
본 실시형태의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10)은 헤드부(3)의 최외주에 위치하는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일부(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가,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일부(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보다 길고, 외측 모다발(A) 쪽이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길이보다 대개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모다발(A)보다 브러시(4)의 내측의 모다발이 오목부 형상으로 패이는 형상으로 되고, 그 결과,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에서 이를 감싸게 된다. 이 때문에, 브러시(4)의 모끝이 치간 등의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사양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3)에 식모된 모다발 중, 외측 모다발군(11) 중 헤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부분(15)(도 2 중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치경부의 청소를 담당하고, 외측 모다발군(11)의 헤드폭 방향으로 배열된 부분(14)(도 2 중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이 치간부의 청소를 담당한다. 한편, 내측 모다발군(12)은 치아를 지지해서 치면 청소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10)에 있어서, 브러시(4)를 구성하는 모다발의 모길이에 3단계의 고저차를 형성함으로써 구강 내의 청소 부위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모다발이 접촉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청소 부위에 대한 높은 청소성도 확보할 수 있다.
브러시(4) 내에서의 모길이 차가 2단계의 구성인 경우, 즉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이 각각 통상의 「등분 접힘」으로 한 모다발로 구성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은 브러시(4) 내에서의 모길이 차가 3단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매끄럽고 또한 압력에 대한 쿠션성을 가지면서, 브러시(4) 내측의 모다발을 패이게 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보다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청소 부위의 미세한 요철에 대한 모끝 피트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은 닦고 싶은 장소 이외의 주변 부위에도 모다발이 닿기 때문에, 하나의 헤드부(3) 내에서 물리적 간섭이 일어나기 쉽고, 형상이 다른 인접한 복수의 간극에 대하여 동시에 모끝를 닿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칫솔(10)에 의하면 와이드헤드 사양에서 복수의 청소 부위를 동시에 닦을 수 있음과 아울러, 구강 내에 있어서의 청소 부위의 다양한 간극 형상에 대하여 모끝 피트성이 높아, 높은 청소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칫솔(10)의 기능적 특징은 구강 내에 있어서의 청소 부위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브러시(4)의 모다발이 닿으므로, 「청소 효율성」을 갖추면서 치간이나 치경부의 간극을 정밀도 좋게 닦을 수 있는 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로서 외측 모다발(A)보다 굵은 용모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내측 모다발(B)이 치아 표면에 우선적으로 닿기 때문에, 확실히 식모 부분을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외측 모다발(A)은 보다 유연성을 가지고 청소 부위에 있어서의 간극에 모끝을 도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내측 모다발(B)보다 가는 용모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헤드부(3)의 식모면(3a)에는 3단계의 고저차를 형성한 모다발로 구성되는 브러시(4)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이 한정되지 않는다. 식모면(3a)에는 적어도 3개의 고저차를 형성한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으면 되고, 4단계 이상의 고저차를 형성해도 관계없다.
또한, 식모 구멍(5, 6)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진원 또는 타원 등의 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헤드부(3)의 전체에 있어서의 식모 구멍(5, 6)의 구멍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0구멍∼60구멍으로 된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1열을 구성하는 최대 구멍수는 6개이며, 헤드부(3)의 폭 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1열을 구성하는 최대 구멍수는 9개이다.
즉, 헤드부(3)의 길이 방향(Y방향)에 있어서 브러시(4)를 구성하는 모다발열(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에 존재하는 복수의 식모 구멍(5, 6)에 의해서 구성되는 모다발열)의 대부분이,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으로 5개 이상(도 2에 있어서는 6개)의 구멍수를 갖는 배열이다. 이들 복수의 식모 구멍(5, 6은)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헤드부(3)의 길이 방향(Y방향)에 있어서 브러시(4)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다발열의 대부분이,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에서 1열을 구성하는 최대 구멍수는, 식모 구멍(5, 6) 합쳐서 6개 이상 8개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3)의 길이 방향(Y방향)에서 1열을 구성하는 최대 구멍수는 7개 이상 11개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3)의 길이 방향(Y방향)으로 식모 구멍(5, 6) 합쳐서 9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식모 구멍(5, 6)은 헤드부(3)의 길이 방향(Y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헤드부(3)의 폭 방향(X방향)에서 1열을 구성하는 최대 구멍수가 4개 이하인 열이 헤드부(3)에 많이 존재할 경우, 외측 모다발(A)과 내측 모다발(B)의 역할이 불명확하게 된다.
또한, 식모 구멍(5, 6)의 직경은 구하는 모다발의 굵기에 따라 결정되고, 예를 들면 1㎜∼3㎜로 된다.
또한, 식모 구멍(5, 6)의 배열 패턴은 먼저 서술한 배열 패턴에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부(3)에 오목부 형상을 갖는 브러시(4)를 구성할 수 있는 배열 패턴이면 된다.
도 2 및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헤드폭 방향 -X측에서, 모길이가 같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가 대향하는 배열 패턴으로 되어 있지만, 외측 모다발(A)의 한쪽의 반모다발부(a1)가 내측 모다발(B)의 한쪽의 반모다발부(b1)보다 모길이가 긴 것이 담보되어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배열 패턴에는 상기 외에 3종류 존재한다. 예를 들면,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를 대향시켜도 좋고,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2)를 대향시켜도 좋고,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2)와 외측 모다발의 반모다발부(a2)를 대향시켜도 좋다.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 및 반모다발부(a2)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및 반모다발부(b2) 중, 어느 반모다발부(a1, a2, b1, b2)끼리를 대향시킬지는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4가지의 배열 패턴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보다 길므로, 거시적으로 보면 칫솔의 헤드폭 방향에서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파성 패턴끼리에 있어서의 사용성 및 기능면에 명확한 차는 없다.
또한, 식모 구멍의 구멍 지름(모다발 지름)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외측 모다발(A)은 간극으로의 높은 침입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식모 구멍의 직경을 1.0㎜∼1.6㎜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모다발(B)은 치면 청소를 담당함과 아울러 치아를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식모 구멍의 직경을 1.4㎜∼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모다발의 용모 지름도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외측 모다발(A)은 간극으로의 높은 침입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4mil∼8mil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모다발(B)은 치면 청소 및 치아를 지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보다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6mil∼10mil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 모다발 내의 단차는 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1㎜∼2㎜가 좋다. 단차가 지나치게 적으면 쿠션성이 저하하고, 잇몸에 대한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얻어지기 어렵다. 단차가 지나치게 크면 간극에 들어가는 모끝의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청소성이 저하한다.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 차는 0.5㎜∼2㎜가 바람직하다. 모길이 차가 지나치게 적으면 헤드부(3)의 외주로부터 중앙에 걸친 오목부 형성이 얕아지고, 치아를 감싸서 외측 모다발(A)의 모끝을 간극에 도달하게 할 수 없다. 한편, 반모다발부(a1)와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 차가 지나치게 크면 오목부 형성이 지나치게 깊어져 버려, 치아 형상을 따른 모끝 피트감이 저하한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20)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지만, 브러시의 고저차가 4단계로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a 및 도 4b와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5a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20)은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반모다발부(a1) 및 반모다발부(a2)와,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반모다발부(b1) 및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를 모두 다르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t(a1), t(a2), t(b1), t(b2))가 t(a1)>t(a2)>t(b1)>t(b2)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가 11.5㎜,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가 10.5㎜로 되어 있다.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는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는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는 8.5mil의 양단 ST모(모끝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용모)이며,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가 9.5㎜,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가 8.5㎜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는 8㎜∼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11㎜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9.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6mil∼10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7mil∼9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8.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반모다발부(a1, a2, b1, b2) 사이의 모길이 차(M1, M2, M3)가 모두 같고, 여기에서는 1㎜의 모길이 차로 되어 있다. 모길이 차(M1, M2, M3)는 0.5㎜∼1.5㎜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의 차가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에 있어서의 모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앞의 제 1 실시형태의 칫솔(20)에 비교해서 압력 부하에 대한 쿠션성이 증가하고, 보다 부드러운 닿는 느낌의 칫솔(10)이 얻어진다.
또한,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오프셋 식모에 의해서 구성되는 브러시(4)의 단차는 다단으로 될수록 쿠션성이 향상한다. 그 때문에, 각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끝과 청소 부위의 형상이 합치되어 있지 않아어도 브러시(4)의 모끝이 움직이는 자유도와 쿠션성을 이용하여 닦을 때에 유연하게 모끝을 피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30)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형태 와 마찬가지로 브러시의 고저차는 4단계이지만,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보다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쪽이 모길이가 길고,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의 모길이 차가 2㎜로 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의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a 및 도 4b와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6a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앞의 제 2 실시형태의 칫솔에서는 외측 모다발 내 및 내측 모다발 내에 있어서의 모길이 차가 각각 1㎜로 되어 있었던 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칫솔(30)은 각 모다발 내에 있어서의 모길이 차가 각각 2㎜ 차로 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개 외측 모다발(A)보다 내측 모다발(B) 쪽이 모길이가 짧지만,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보다 길고,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2)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2)보다 짧다. 즉, 각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t(a1), t(b1), t(a2), t(b2))가 t(a1)>t(b1)>t(a2)>t(b2)의 관계를 만족시키고 있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가 11.5㎜,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가 9.5㎜로 되어 있다.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는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는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는 8.5mil의 양단 ST모(모끝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용모)이며,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가 10.5㎜,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가 8.5㎜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는 8㎜∼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11㎜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0.5㎜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6mil∼10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7mil∼9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8.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 a2)끼리의 모길이 차(M1)는 2㎜이며,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b2)끼리의 모길이 차(M2)도 2㎜로 되어 있다.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끼리에서 모길이가 다른 점은 제 2 실시형태와 같지만,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의 고저차가 2㎜로 길다.
이것에 의해, 외측 모다발(A) 내에 있어서의 반모다발부(a1, a2)끼리, 내측 모다발(B) 내에 있어서의 반모다발부(b1, b2)끼리의 돌출량이 크기 때문에, 브러시(4) 전체에 있어서 모끝이 움직이는 자유도와 쿠션성이 증가하고, 간극으로의 청소성 및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향상한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로 브러시의 고저차는 3단계이지만, 외측 모다발의 모길이가 모두 같은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a 및 도 4b와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7a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40)은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모든 용모의 모길이가 같고, 반모다발부(a1, a2)의 모길이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모다발이 등분 접힘으로 식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t(a1), t(a2), t(b1), t(b2))가 t(a1)=t(a2)>t(b1)>t(b2)을 충족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 및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가 모두 11.5㎜로 되어 있다.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 및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는 어느 것이나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는 8.5mil의 양단 ST모(모끝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용모)이며,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가 10.5㎜,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가 9.5㎜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는 8㎜∼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11㎜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0.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6mil∼10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7mil∼9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8.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이와 같이, 칫솔(40)은 헤드부(3)의 외측 모다발(A)이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지만, 외측 모다발(A)의 각 반모다발부(a1, a2)는 내측 모다발(B)의 각 반모다발부(b1, b2)보다 길므로, 거시적으로 보면 헤드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4) 전체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제 5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브러시의 고저차는 3단계이지만, 내측 모다발의 모길이가 모두 같은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a 및 도 4b와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8a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50)은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모든 용모의 모길이가 같고, 반모다발부(b1, b2)의 모길이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모다발이 등분 접힘으로 식설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반모다발부(a1, a2, b1, b2)의 모길이(t(a1), t(a2), t(b1), t(b2))가 t(a1)>t(a2)>t(b1)=t(b2)를 충족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 및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모두 9.5㎜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t(b1)) 및 반모다발부(b2)의 모길이(t(b2))는 8㎜∼1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9㎜∼11㎜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9.5㎜가 가장 바람직하다.
내측 모다발(B)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6mil∼10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7mil∼9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8.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가 11.5㎜,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가 10.5㎜로 되어 있다.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는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t(a2))는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t(a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외측 모다발(A)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칫솔(50)은 외측 모다발(A)의 각 반모다발부(a1, a2)의 모길이가 내측 모다발(B)의 각 반모다발부(b1, b2)의 모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보면 헤드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다발의 배열 패턴과 다르고, 중앙 모다발군에 의해 내측 모다발군이 2개로 나뉘어져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4a 및 도 4b와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 6 실시형태의 칫솔의 헤드부(3)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도 10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Y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또한, 도 10a는 도 9의 B-B'선을 따르는 정확한 단면도와는 약간 다르지만, 외측 모다발 및 내측 모다발에 있어서의 각 반모다발부의 관계(모길이 차)를 알기 쉽게 도시한 것이다.
도 11a는 도 9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60)은 헤드부(3)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모다발군(12)을 2개로 분리하는 중앙 모다발군(13)을 갖고 있다.
헤드부(3)는 헤드부(3)의 외주에 배열된 외측 모다발군(11)과,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 있어서 헤드폭 방향에 걸쳐서 열을 이루는 중앙 모다발군(13)과, 외측 모다발군(11) 및 중앙 모다발군(13)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인 2개의 내측 모다발군(12, 12)을 갖는다.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의 모다발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같다.
중앙 모다발군(13)은 외측 모다발(A)과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복수의 중앙 모다발(C)로 구성되어 있고,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모다발부(c1, c2)의 모길이(t(c1), t(c2))가 t(c1)>t(c2)를 충족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모다발(C)의 반모다발부(c1)의 모길이(t(c1))가 11.5㎜, 반모다발부(c2)의 모길이(t(c2))가 10.5㎜이다.
중앙 모다발(C)을 구성하는 용모는 7.5mil의 양단 ST모이며, 반모다발부(c1)의 모길이(t(c1))가 11.5㎜, 반모다발부(c2)의 모길이(t(c2))가 10.5㎜로 되어 있다. 중앙 모다발(C)을 구성하는 용모의 굵기는 4mil∼8mil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6mil∼8mil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7.5mil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이것은 「보통」의 경도의 칫솔인 경우이며, 「부드러움」의 칫솔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반모다발부(c1)의 모길이(t(c1))는 9㎜∼13㎜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10㎜∼12㎜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한 1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반모다발부(c2)의 모길이(t(c2))는 반모다발부(c1)의 모길이(t(c1))로부터 0.5∼3㎜의 범위에서 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모다발부(c1)의 모길이(t(c1))와의 모길이 차가 1∼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앙 모다발군(13)이 헤드폭 방향의 양쪽 외측 가장자리측에 위치하는 2개의 외측 모다발(A)끼리를 연결하도록 해서 이들 사이에서 열을 이룸으로써 내측 모다발군(12, 12)의 주위가 외측 모다발군(11)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과 같아진다. 이것에 의해, 헤드부(3)의 길이 방향으로 2개의 오목부 형상의 패임이 형성된다. 따라서, 브러싱시에 각 패임 부분이 하나의 치아의 주위를 감싸도록 해서 피팅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중앙 모다발(C)이 X방향으로 1열로 늘어서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중앙 모다발(C)이 X방향으로 복수열(2열 이상 3열 이하) 늘어선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복수의 중앙 모다발(C)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이웃하는 중앙 모다발(C)이 Y방향으로 서로의 위치를 다르게 한 배치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60)에 의하면, 중앙 모다발군(13)에 의해 치간 청소를 담당하는 모다발이 증가하는 것에 더해서, 외측 모다발군(11)의 패임 영역이 약 1치아분으로 축소됨으로써 보다 간극으로의 모끝 피트성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중앙 모다발(C)로 구성되는 모다발군이 1열만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열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중앙 모다발(C)을 구비한 구성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적당하게 응용할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이서서,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고, 외측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는 ST모이지만, 내측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가 스트레이트모인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3과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2a는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70)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측 모다발(A)로서 모끝을 향해서 점차 지름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용모가 사용되어 있지만, 내측 모다발(B)로서 모끝의 둥금부를 제외하고 지름이 거의 동일한 스트레이트모가 사용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칫솔(70)에 의하면,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b2)가 모두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끝의 치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치면 청소성이 향상한다.
[제 8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같지만, 외측 모다발이 스트레이트모 및 ST모의 혼합모로 구성되고, 내측 모다발이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3과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3a는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80)은 브러시(4)를 구성하는 모다발 중, 가장 모길이가 긴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만이 ST모로 되고 그 이외의 반모다발부(a2, b1, b2)가 스트레이트모로 되어 있다. 즉,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및 반모다발부(b2)는 모두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모다발(A)은 한쪽만이 각 용모의 모끝에 걸쳐서 끝이 날카롭게 된 편단 ST모를 2개로 접힘으로 해서 평선(7)을 사이에 두고 식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80)에 의하면, 가장 모길이가 긴 반모다발부(a1)의 모끝이 각 용모의 모끝에 걸쳐서 끝이 날카롭게 되어 있음으로써 높은 간극 청소성은 확보된다. 한편, 그 이외의 반모다발부(a2, b1, b2)가 모두 스트레이트모므로, 치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치면의 청소 효율이 향상한다.
[제 9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칫솔의 기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브러시를 구성하는 모든 모다발이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공통인 개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도 1∼도 3과 공통인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4a는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도 14a 중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의 확대도이며, 헤드부의 폭 방향 일방측(-X측)에 위치하는 모다발을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칫솔(90)은 브러시(4)를 구성하는 모든 모다발이 스트레이트모로 되어 있다. 즉, 외측 모다발(A)의 각 반모다발부(a1, a2) 및 내측 모다발(B)의 각 반모다발부(b1, b2)의 모두가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90)에 의하면,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에 있어서의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가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치면의 청소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칫솔(90)은 거시적으로 보면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드헤드 사양의 칫솔에 의하면, 많은 모다발로 복수의 청소 부위를 닦을 수 있기 때문에 청소 효율 이 뛰어남과 아울러, 잇몸에 대한 부드러운 닿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9,및 비교예 1∼4의 칫솔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의거하여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제 9 실시형태를 기초로 하는 실시예 1∼9의 칫솔(D1∼D9)을 제작했다. 여기에서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 모다발의 배열 패턴이 각각 다른, 2종류∼4종류의 칫솔(D1(1)∼D9(4))을 준비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사양에 의거하여 비교예 1∼5의 칫솔(E1∼E4)을 제작했다. 비교예에 있어서도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칫솔(E1(1)∼E4(4))을 준비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칫솔(E1)은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이 모두 11.5㎜로 같은 모길이로 되어 있다.
비교예 2의 칫솔(E2)은 외측 모다발(A)보다 내측 모다발(B) 쪽이 짧은 모길이를 갖고, 어느 모다발(A, B)이나 동일 모다발 내에서 모길이가 같은 용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 a2)는 각각 11.5㎜,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b2)가 각각 10.5㎜이다.
비교예 3의 칫솔(E3)은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이 동일한 구성으로 되고, 한쪽의 반모다발부(a1, b1)가 11.5㎜, 다른쪽의 반모다발부(a2, b2)가 10.5㎜이다.
비교예 4의 칫솔(E4)은 실시예 1 (1)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고, 헤드폭이 12㎜이며, 헤드폭 방향으로 4열, 헤드 길이 방향으로 9열의 모다발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실시예 1∼9의 칫솔(D1∼D9), 및 비교예 1∼4의 칫솔(D1∼D4)에 있어서의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에 대해서 각각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는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평가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6.0 이상을 ◎+, 5.5 이상을 ◎, 평균점 5.0 이상을 ○+, 평균점 4.5 이상을 ○, 평균점 4.0 이상을 ○-, 평균점 3.5 이상을 △, 평균점 3.0 이상을 △-, 평균점 3.0 미만을 ×로 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음.
비교예 1과 비교했을 경우의 「치간·치경부의 오염을 떨어뜨린 느낌」을 평가한다.
7점: 매우 강하게 느낀다, 6점: 강하게 느낀다, 5점: 느낀다, 4점: 동등, 3점: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2점: 느끼지 않는다, 1점: 전혀 느끼지 않는다(다른 평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이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하면,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에 관해서 비교예보다 좋은 평가로 되었다. 패턴 (1)∼(4)는 모두 거시적으로 보면,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가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b2)의 모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헤드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에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쉽다고 하는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각 파생 패턴 사이에 있어서의 사용성 및 기능면에서의 명확한 차는 생기지 않는다.
실시예 2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이 양호하게 되고,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2의 칫솔(D2)은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 사이에서 모길이가 다르고, 이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비교해서 압력부하에 대한 쿠션성이 증가하여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향상했다.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각 파생 패턴간에 있어서의 사용성 및 기능면에서의 명확한 차는 생기지 않는다.
실시예 3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에 관해서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에 관해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실시예 3의 칫솔(D3)은,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 사이에서 모길이가 다른 점은 실시예 2와 같지만, 반모다발부(a2)보다 반모다발부(b1)의 모길이가 긴 것, 또한 동일 모다발 내에서의 단차가 2㎜로 긴 점이 다르다. 특히 후자는 사용면 및 기능면에서 차이를 부여하고 있고, 반모다발부의 돌출량이 크기 때문에 모끝이 움직이는 자유도와 쿠션성이 증가하여 간극으로의 청소성, 및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향상한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에 관해서 비교예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칫솔(D4, D5)은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 중 어느 하나가 「등분 접힘」으로 식설되어 있고, 각 모다발 내에서 단차가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브러시 전체에 있어서 거시적으로 보면 반모다발부(a1)의 모길이(>반모다발부(a2)의 모길이) 쪽이 반모다발부(b1, b2)의 모길이보다 길므로, 헤드폭 방향에서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로 치아를 싸고, 브러시의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실시예 6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이 특히 양호하게 되고,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에 관해서도 좋은 결과가 얻어졌다.
칫솔(D6)은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 이외에 중앙 모다발(C)을 갖고 있다. 중앙 모다발(C)에 의해 치간 청소를 담당하는 모다발이 증가한다. 또한, 헤드 길이 방향으로 2개로 분단되는 내측 모다발(B)의 패임 영역이 약 1치아분으로 축소됨으로써 보다 간극으로의 모끝 피트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7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이 양호하지만,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약간 저하한다. 칫솔(D7)은 내측 모다발(B)이 양단 스트레이트모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지만, 오프셋 식모에 의해 브러시 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모다발은 치면 청소를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은 비교예보다 확보되어 있다.
실시예 8에 나타내는 조건에 있어서도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은 양호하지만,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약간 저하한다. 칫솔(D8)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만이 ST모이며, 다른 반모다발부(a2) 및 내측 모다발(B)의 반모다발부(b1, b2)의 어느 것이나 스트레이트모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든 모끝이 ST모로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칫솔과 비교하여, 간극으로의 진입성 및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은 떨어진다. 그러나, 가장 긴 모길이를 갖는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의 모끝이 날카롭게 되어 있음으로써 비교예 1∼4에 비하면 간극으로의 진입성은 높다.
실시예 9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실시예 1의 조건을 기초로 해서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에 있어서의 모든 반모다발부(a1, a2, b1, b2)가 스트레이트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의 청소성은 저하한다. 그러나, 칫솔(D9)은 거시적으로 보면 중앙 부분이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싱시에 브러시 전체로 치아를 싸고, 모끝이 간극에 도달하기 쉬운 특징은 확보되어 있다.
비교예 1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의 모길이가 같기 때문에 치간 및 치경부의 청소성, 잇몸으로의 부드러운 닿는 느낌이 실시예보다 떨어지는 평가로 되었다.
비교예 2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은 서로의 모길이가 다르지만, 각각 등분 접힘으로 식설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전체의 단차 형성이 2단계이다. 그 때문에, 비교예 1과 비교해서 간극 청소성 및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개선되지만, 상기 각 실시예보다 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비교예 3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외측 모다발(A) 및 내측 모다발(B)의 모다발 구성이 같고, 서로의 반모다발부끼리가 같은 단차 폭으로 식설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 전체의 단차 형상이 2단계이다. 그 때문에, 내측 모다발군에 있어서 오목부 형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비교예 1과 비교해서 간극 청소성 및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개선되지만, 상기 각 실시예보다 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비교예 4에 나타내는 조건에서는, 실시예 1의 조건을 기초로 해서 헤드폭만을 축소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폭 방향의 모다발을 4열로 해서, 헤드폭을 12㎜로 했다. 이 경우, 모다발수가 적기 때문에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 또한, 쿠션성도 낮아진다. 이 때문에, 간극의 청소성이나 잇몸으로의 닿는 느낌은 상기 각 실시예보다 상당히 떨어지는 결과로 되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외측 모다발(A)과 내측 모다발(B)의 구멍 배열(격자·지그재그)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측 모다발(A)은 1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헤드폭에 여유가 있으면 모다발 지름을 조정한 다음, 복수열(예를 들면 2열)의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양단 ST모, 편단 ST모·양단 스트레이트모를 사용했지만, 양단 ST모에 있어서의 각 양단의 모끝 지름을 서로 다르게 해도 좋다. 또한, 모끝 형상도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 모길이가 높은 외측 모다발(A)의 반모다발부(a1)를 제외하고, 분기 모끝모를 사용해도 좋다.
용모의 단면 형상도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 핸들체 3 : 헤드부
3a : 식모면 4 : 브러시
5, 6 : 식모 구멍 7 : 평선
A : 외측 모다발 B : 내측 모다발
C : 중앙 모다발
10, 20, 30, 40, 50, 60, 70, 80, 90, D1∼D9, E1∼E4 : 칫솔
t(a1), t(a2), t(b1), t(b2), t(c1), t(c2), : 모길이
a1, a2, b1, b2, c1, c2 : 반모다발부
M1, M2 : 모길이 차

Claims (10)

  1. 식모면에 복수의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 되는 핸들체를 갖고,
    상기 핸들체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드부의 치수가 13㎜ 이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는 임의의 높이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다발과, 하나의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가 상기 외측 모다발 내에서 가장 높이를 갖는 용모보다 낮은 높이인 내측 모다발을 갖고,
    복수의 상기 외측 모다발이 복수의 상기 내측 모다발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해서 설치되고,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서로 모길이가 다른 2개의 반모다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내측 모다발을 2개로 분리하는 복수의 중앙 모다발을 갖고,
    상기 중앙 모다발의 모길이는 상기 외측 모다발의 모길이와 같은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한쪽의 반모다발부와 상기 내측 모다발의 한쪽의 반모다발부가 같은 모길이로 되어 있는 칫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 및 상기 내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의 모길이가 모두 다른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끼리의 차, 상기 내측 모다발의 각 반모다발부끼리의 차가 각각 1㎜ 이상인 칫솔.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폭 방향의 1열을 구성하는 모다발의 수가 최대 5개 이상인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모끝이 날카롭게 된 복수의 용모를 포함하는 칫솔.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다발 및 상기 내측 모다발은 2개로 졉혀진 모다발 사이에 끼워넣어진 평선이 상기 식모면에 형성된 식모 구멍에 박혀 들어감으로써 식설되고, 2개의 상기 반모다발부가 상기 평선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칫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폭 방향 양측에서 가장 외측에 존재하는 2개의 상기 식모 구멍에 있어서의, 외측의 구멍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10㎜ 이상인 칫솔.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식모 구멍의 각 구멍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둘러싸인 식모 영역이 1.5㎠ 이상으로 되어 있는 칫솔.
KR1020177021543A 2015-04-28 2016-04-28 칫솔 KR20170141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2333 2015-04-28
JP2015092333A JP6712120B2 (ja) 2015-04-28 2015-04-28 歯ブラシ
PCT/JP2016/063412 WO2016175304A1 (ja) 2015-04-28 2016-04-28 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90A true KR20170141190A (ko) 2017-12-22

Family

ID=5719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543A KR20170141190A (ko) 2015-04-28 2016-04-28 칫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12120B2 (ko)
KR (1) KR20170141190A (ko)
CN (1) CN107529876B (ko)
MY (1) MY192139A (ko)
WO (1) WO2016175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1103B2 (ja) * 2018-08-24 2024-04-03 小林製薬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20215306A1 (zh) * 2019-04-26 2020-10-29 龙昌日用品工业(南宁)有限公司 牙刷
JP2021083937A (ja) 2019-11-29 2021-06-0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WO2021131527A1 (ko) * 2019-12-26 2021-07-01
JP7413010B2 (ja) * 2019-12-26 2024-01-1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779U (ko) * 1975-05-23 1976-11-30
JPS63172330U (ko) * 1987-04-30 1988-11-09
JPH0289925U (ko) * 1988-12-28 1990-07-17
CA2242863A1 (en) * 1996-01-19 1997-07-24 Theo Gotjamanos Toothbrush
JP2000014451A (ja) * 1998-06-30 2000-01-18 Lion Corp 歯ブラシ
JP2000296024A (ja) * 1999-04-13 2000-10-24 Taihei Kogyo Kk 歯ブラシ
JP2003009953A (ja) * 2001-06-28 2003-01-14 Taihei Kogyo Kk 歯ブラシの製造方法
WO2008047492A1 (fr) * 2006-10-17 2008-04-24 Toshio Nishino Brosse à dents permettant un brossage simultané des deux arcades dentaires
JP5211074B2 (ja) * 2007-12-27 2013-06-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GB0822855D0 (en) * 2008-12-15 2009-01-21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 Novel device
KR200462916Y1 (ko) * 2011-05-11 2012-10-10 박상선 칫솔 헤드
KR102235228B1 (ko) * 2013-04-01 2021-04-0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JP2015036042A (ja) * 2013-08-12 2015-02-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9876B (zh) 2021-01-08
MY192139A (en) 2022-07-29
CN107529876A (zh) 2018-01-02
JP6712120B2 (ja) 2020-06-17
WO2016175304A1 (ja) 2016-11-03
JP2016209016A (ja)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1190A (ko) 칫솔
KR101786155B1 (ko) 칫솔
KR102539341B1 (ko) 칫솔
KR101640274B1 (ko)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653B1 (ko) 칫솔
JP5779413B2 (ja) 歯ブラシ
JP2011036658A (ja) 毛構成
CN105744856A (zh) 口腔护理器具
CN103763980A (zh) 正齿牙刷
KR20180018477A (ko) 칫솔
JP6141835B2 (ja) 歯ブラシ
JP5690523B2 (ja) 歯ブラシ
JP5851115B2 (ja) 歯ブラシ
JP6827096B2 (ja) 歯ブラシ
JP7162409B2 (ja) 歯ブラシ
JP2015036042A (ja) 歯ブラシ
CN206227929U (zh) 牙刷
JP7117901B2 (ja) 歯ブラシ
CN209965576U (zh) 一种牙刷头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KR200467404Y1 (ko) 칫솔
KR101741444B1 (ko) 칫솔 헤드
KR101741448B1 (ko) 칫솔 헤드
TW202126218A (zh) 牙刷
TWM413394U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