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916Y1 - 칫솔 헤드 - Google Patents

칫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916Y1
KR200462916Y1 KR2020110003999U KR20110003999U KR200462916Y1 KR 200462916 Y1 KR200462916 Y1 KR 200462916Y1 KR 2020110003999 U KR2020110003999 U KR 2020110003999U KR 20110003999 U KR20110003999 U KR 20110003999U KR 200462916 Y1 KR200462916 Y1 KR 200462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ead
toothbrush
length
brush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선
Original Assignee
박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선 filed Critical 박상선
Priority to KR2020110003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9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칫솔모가 입안 깊숙한 곳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칫솔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헤드부;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앙 부근에 밀집되어 형성되는 제1브러쉬부; 및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외곽 부근을 두르도록 형성되는 제2브러쉬부; 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부의 길이는 상기 제1브러쉬부의 길이의 150% 내지 250% 사이로 형성되어, 칫솔질 시에 상기 제2브러쉬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져 닦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고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물질까지 간섭하여 제거하며 누름에 따라 칫솔모의 높이가 낮추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칫솔 헤드{HEAD OF TOOTHBRUSH}
본 고안은 칫솔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칫솔모가 입안 깊숙한 곳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칫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구강 내부의 이빨 틈새 또는 잇몸과 이빨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 구조는 칫솔대의 일단부에 다수의 칫솔모가 식재된 형태로 형성된다.
보통, 칫솔을 이용하여 이빨을 닦는 경우에 이용자는 이빨 틈새 및 이빨과 잇몸 사이의 주변을 칫솔모로 닦아 간섭시킴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더불어, 칫솔 이용자는 이빨과 잇몸뿐만 아니라, 칫솔모를 이용하여 혓바닥을 닦게 되는데, 이 경우, 혓바닥을 닦는 방법은 입 냄새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칫솔 이용자가 칫솔모를 이용하여 혓바닥을 닦게 되는 경우, 혓바닥의 바깥쪽에서 안쪽 어느 정도 깊이까지는 종래의 칫솔모를 이용하여 별 무리없이 닦을 수 있다.
하지만, 칫솔모를 입안 안쪽 깊숙이 넣고 목젖 아래 부근의 혓바닥을 닦는 경우, 칫솔의 헤드가 목젖을 건드리게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칫솔 이용자는 구토감을 느끼게 된다.
그에 따라, 칫솔 이용자는 칫솔의 헤드가 목젖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칫솔모를 혓바닥에 강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칫솔모는 칫솔모의 길이가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으로 인해서, 칫솔모를 혓바닥에 강하게 밀착하여도 높이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칫솔 이용자는 입안 깊숙이 목젖 근처의 혓바닥을 닦게 되는 경우, 구역질이 느껴질 것을 감수하면서 혓바닥을 닦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나아가, 종래의 칫솔 헤드는 이빨을 닦는 경우, 칫솔 헤드의 칫솔모 단부들이 모두 동일 높이 상태로 배열되므로, 칫솔 헤드의 단부들은 구부러짐이 없는 상태로 이빨과 잇몸을 닦게 된다.
즉, 종래의 칫솔 헤드는 구부러질 수 있는 정도가 한정됨으로 인해서, 이빨과 잇몸을 닦을 수 있는 부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빨과 잇몸을 닦게 되는 경우, 칫솔모가 닦을 수 있는 부위의 면적이 종래의 칫솔모보다 대폭 늘어날 수 있는 칫솔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안 깊숙이 목젖 근처의 혓바닥까지 칫솔질을 하는 경우, 구역질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칫솔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칫솔 헤드는, 헤드부;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앙 부근에 밀집되어 형성되는 제1브러쉬부; 및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외곽 부근을 두르도록 형성되는 제2브러쉬부; 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부의 길이는 상기 제1브러쉬부의 길이의 150% 내지 250% 사이로 형성되어, 칫솔질 시에 상기 제2브러쉬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져 닦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고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물질까지 간섭하여 제거하며 누름에 따라 칫솔모의 높이가 낮추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칫솔보다 닦을 수 있는 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므로, 이빨과 입술 사이의 골 및 이빨 아랫 쪽의 깊숙한 부분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칫솔보다 닦을 수 있는 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므로, 잇몸과 입술 사이 등의 여러 부분을 보다 폭 넓게 마찰하여 증진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칫솔질을 하는 경우 헤드부가 목젖을 건드리지 않게 되므로, 칫솔 이용자가 구역질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와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 헤드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칫솔 헤드가 이빨과 잇몸 사이를 닦는 상태에 대한 모식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칫솔 헤드가 구강 내에 들어간 상태에 대한 모식도.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와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 헤드와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칫솔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칫솔 헤드가 이빨과 잇몸 사이를 닦는 상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칫솔 헤드가 구강 내에 들어간 상태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헤드부(10), 제1브러쉬부(20) 및 제2브러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헤드부(10)는 제1브러쉬부(20)와 제2브러쉬부(30)가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이 경우, 제1브러쉬부(20) 및 제2브러쉬부(30)가 헤드부(10)와 결합되는 일 예로서, 헤드부(10)는 일면에 다수의 칫솔모가 식재되는 식재홀이 형성되고, 식재홀에는 제1브러쉬부(20) 및 제2브러쉬부(30)가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러쉬부(20)는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된다. 이 경우, 칫솔모들은 서로 간에 이격되며, 헤드부(10)의 식재홀에 식재된다. 또한, 제1브러쉬부(20)는 당연히 복수 개의 칫솔모가 하나의 식재홀에 묶음 형태로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러쉬부(30)는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된다. 이 경우, 칫솔모들은 서로 간에 이격되며, 헤드부(10)의 식재홀에 식재된다. 또한, 제2브러쉬부(30)는 당연히 복수 개의 칫솔모가 하나의 식재홀에 묶음 형태로 식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의 150% 내지 250% 사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가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보다 길게 형성되는 이유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질을 하여 이빨(1a)과 입술(1b) 사이를 닦게 되는 경우, 칫솔모가 닦을 수 있는 면적을 최대한으로 늘리기 위함이다.
도 6에서는 칫솔 헤드의 제2브러쉬부(30)가 헤드부(10)의 양 측방으로 벌어지도록 구부려져 제2브러쉬부(30)가 닦을 수 있는 면적이 종래의 칫솔보다 월등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2브러쉬부(30)와 제1브러쉬부(20)는 이빨(1a)과 잇몸(1c)을 맛사지 하는 경우, 제2브러쉬부(30)에 의해 이빨(1a)과 잇몸(1c) 뿐만 아니라, 이빨(1a)과 입술(1c) 사이의 골(1d)이 형성된 부위까지도 폭 넓게 마사지하며 닦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종래의 칫솔보다 닦을 수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빨(1a)과 입술(1b) 사이의 골(1d)에 형성되는 이물질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는 종래의 칫솔보다 닦을 수 있는 면적이 대폭 증가하게 되므로, 잇몸과 입술 사이 등의 여러 부분을 보다 폭 넓게 마찰하여 증진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가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보다 길게 형성되는 이유는 칫솔질을 하여 목젖(1) 근처의 혓바닥(2)을 닦는 경우, 헤드부(10)가 목젖(1)을 건드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칫솔 헤드를 이용하여 목젖(1) 근처까지 헤드부(10)를 넣게 되는 경우, 제2브러쉬부(30)는 혓바닥(2)에 밀착되고, 칫솔 이용자는 제2브러쉬부(30)를 이용하여 혓바닥(2)을 맛사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보다 큰 길이로 형성되므로, 매우 큰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이때, 제2브러쉬부(30)는 칫솔 이용자가 칫솔모를 누르는 힘에 비례하여 곡률 반경도 크게 형성되고, 헤드부(10)는 매우 큰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진 제2브러쉬부(30)에 의해 목젖(1)을 건드리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칫솔 이용자는 헤드부(10)가 목젖(1)을 건드리지 않은 상태로 목젖(1) 근처까지의 혓바닥(2)을 닦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칫솔 이용자는 칫솔 헤드의 이용 시 구역질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만약,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가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지 않으면, 제2브러쉬부(30)가 구부러지는 곡률 반경은 적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2브러쉬부(30)가 이빨(1a)과 입술(1b) 사이의 골(1d)에 원활히 침투되지 못하고 또한 헤드부(10)가 목젖(1)에 닿아 칫솔 이용자에게 구역질을 유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의 150%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2)보다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제2브러쉬부(30)의 곡률 반경이 너무 커져 제2브러쉬부(30)의 칫솔모들이 중간에서 쉽게 끊어지거나 중간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브러쉬부(30)는 내구성이 떨어져 칫솔 헤드를 자주 교체해야 하므로, 제2브러쉬부(30)의 길이(D2)는 제1브러쉬부(20)의 길이(D1)의 250% 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브러쉬부(20)는 헤드부(10)의 중앙 부근에 밀집되고, 제2브러쉬부(30)는 제1브러쉬부(20)의 외곽 부근을 두르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브러쉬부(30)는 제1브러쉬부(20)의 외곽을 두른 상태에서 구부러지게 되는 경우, 제2브러쉬부(30)의 외측 방향에는 제2브러쉬부(30)의 구부러짐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게 된다.
덧붙여, 도면을 참조하면, 연결대(40)는 일단이 헤드부(10)와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50)와 결합된다.
이 경우, 연결대(40)의 타단에는 손잡이(50)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41)가 형성되며, 결합부(41)는 손잡이(50)에 형성되는 홀(5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50)는 연결대(4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결합부(41)가 삽입되는 홀(51)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헤드부
20 ; 제1브러쉬부
30 ; 제2브러쉬부
40 ; 연결대
50 ; 손잡이

Claims (2)

  1. 헤드부;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헤드부의 중앙 부근에 밀집되어 형성되는 제1브러쉬부; 및
    다수의 수직된 일자형의 칫솔모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브러쉬의 외곽 부근을 두르도록 형성되는 제2브러쉬부; 로 구성되며,
    상기 제2브러쉬부의 길이는 상기 제1브러쉬부의 길이의 150% 내지 250% 사이로 형성되어,
    칫솔질 시에 상기 제2브러쉬부가 외측으로 용이하게 구부러져 닦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고 깊숙한 곳에 위치한 이물질까지 간섭하여 제거하며 누름에 따라 칫솔모의 높이가 낮추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 삭제
KR2020110003999U 2011-05-11 2011-05-11 칫솔 헤드 KR200462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99U KR200462916Y1 (ko) 2011-05-11 2011-05-11 칫솔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999U KR200462916Y1 (ko) 2011-05-11 2011-05-11 칫솔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916Y1 true KR200462916Y1 (ko) 2012-10-10

Family

ID=4756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999U KR200462916Y1 (ko) 2011-05-11 2011-05-11 칫솔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9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9876A (zh) * 2015-04-28 2018-01-02 狮王株式会社 牙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44A (ja) * 1997-04-25 1998-11-10 Taketo Shinozaki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44A (ja) * 1997-04-25 1998-11-10 Taketo Shinozaki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9876A (zh) * 2015-04-28 2018-01-02 狮王株式会社 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KR20120005449U (ko) 칫솔
JP2013506493A (ja) 可撓性歯ブラシ
KR101108295B1 (ko) 가변 칫솔모를 갖는 칫솔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TWM480302U (zh) 一體成型無縫隙刷具
KR200462916Y1 (ko) 칫솔 헤드
JP3163229U (ja) 歯間磨き歯ブラシ
KR101481532B1 (ko) U자형 칫솔
KR200468044Y1 (ko) 솔질과 닦는 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82971Y1 (ko) 전방위 칫솔모가 형성된 칫솔
JP3118045U (ja) 嵌め込み型歯間ブラシ
KR200462621Y1 (ko) 칫솔
KR101598695B1 (ko) 잇솔질 개량형 칫솔
KR200469882Y1 (ko) 칫솔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200468339Y1 (ko) 혀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구강 관리기구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KR200210811Y1 (ko) 어금니의 양치가 용이한 칫솔
CN201709689U (zh) 刷牙套
GB2521755A (en) Integral brush with no gaps between cleaning assembly and handl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0467404Y1 (ko) 칫솔
KR200432178Y1 (ko) 팔각형의 까칠까칠한 칫솔 모 칫솔
KR200436047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102

Effective date: 201209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