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1448B1 - 칫솔 헤드 - Google Patents

칫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1448B1
KR101741448B1 KR1020150153335A KR20150153335A KR101741448B1 KR 101741448 B1 KR101741448 B1 KR 101741448B1 KR 1020150153335 A KR1020150153335 A KR 1020150153335A KR 20150153335 A KR20150153335 A KR 20150153335A KR 101741448 B1 KR101741448 B1 KR 10174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pattern
extending
hair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849A (ko
Inventor
강기태
김성진
유승규
김창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Priority to KR102015015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448B1/ko
Priority to CN201610928784.3A priority patent/CN106805464B/zh
Publication of KR2017005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 뒤쪽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칫솔 헤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모면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1모다발과, 상기 식모면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모다발과 대응되는 역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2모다발과, 상기 식모면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자형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3모다발과, 상기 제3모다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제4모다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칫솔 헤드{TOOTHBRUSH HEAD}
본 발명은 칫솔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 뒤쪽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칫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크(plaque)는 치아의 표면에 들러붙어 생긴 끈끈하고 투명한 막으로, 치태(齒苔)라고도 한다. 플라크는 입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세균(박테리아)들이 타액 내의 특정 성분과 서로 엉겨 붙어 만들어지며, 치아, 보철물, 교정장치, 틀니 및 그 주변에서도 생긴다.
플라크 속에 있는 세균들은 독소와 유리산소를 만들어 잇몸을 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치아와 그 주변조직에 손상을 입힌다. 치아와 잇몸의 손상으로 염증이 생기면 붓고 피가 나며 구취를 발생시킨다. 특히, 치아와 잇몸과 사이가 벌어져 생긴 치주낭에 플라크가 쌓이게 되면 치아를 지탱하는 뼈까지 손상시키고 심한 경우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만든다.
따라서 평소 칫솔질을 통해 플라크를 제거해야 하는데,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치면(齒面, 치아의 표면), 치경(齒頸, 치아와 잇몸 사이), 치간(齒間, 치아와 치아 사이) 등 모든 영역으로까지 칫솔모가 도달하여야 한다.
그런데 통상의 칫솔모는 일률적으로 둥근 원통형 구조의 칫솔모다발로 구성되거나 칫솔모다발이 균일한 배열 패턴을 가지므로, 치면 세정력은 우수하지만 치경 세정력 및 치간 침투력이 떨어져 플라크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삼각형 칫솔모다발 및 마름모꼴 칫솔모다발을 식모한 칫솔의 칫솔모 식모구조(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6545호(2003.02.25.))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칫솔모 식모구조는 특정한 칫솔질 방법에만 효과를 보여 범용적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절한 칫솔모의 형상과 배열에 대한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06545호(2003.02.2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 뒤쪽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칫솔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칫솔 헤드는 식모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된 칫솔모다발을 포함한다. 칫솔모다발은, 상기 식모면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1모다발과, 상기 식모면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모다발과 대응되는 역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2모다발과, 상기 식모면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자형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3모다발과, 상기 제3모다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제4모다발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칫솔 헤드는, 식모면의 중앙부에 *자형 패턴의 제3모다발이 마련되고, 제3모다발의 둘레를 감싸도록 제4모다발이 배열되어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모면의 전단부에 사다리꼴 패턴의 제1모다발이 마련되어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 뒤쪽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으며, 식모면의 후단부에 역사다리꼴 패턴의 제2모다발이 마련되어 앞니와 송곳니의 뒤쪽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칫솔 헤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를 도시한 측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1)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핸들(100)과, 핸들(100)의 선단에 일체로 성형된 헤드(200)를 포함한다. 핸들(100)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헤드(200)는 칫솔모(300)가 식모되는 부분이다.
핸들(100)과 헤드(200)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ABS(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핸들(100)에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고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유연한 수지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칫솔모(300)는 헤드(200)의 식모면(210)에 식모되는 복수의 모다발(310~350)로 구성된다. 모다발(310~350)은 필라멘트의 묶음으로서, 다수의 필라멘트를 묶어 U자 형상으로 접고, 그 사이에 고정편(미도시)을 끼운 후 식모면(210)에 형성된 식모공(220)에 타입된다. 이러한 모다발(310~350)은 필라멘트를 통상 원형으로 묶은 것을 이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형, 장공형 등의 형상으로 묶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편을 이용하여 모다발(310~350)을 고정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열융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칫솔모(300)의 재료로는 폴리아미드(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칫솔모(300)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는 원형 또는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단부는 반구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테이퍼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에 식모된 칫솔모(300)를 살펴보도록 한다.
칫솔모(300)는,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뒤쪽을 세정하기 위한 제1모다발(310)과, 앞니와 송곳니의 뒤쪽을 세정하기 위한 제2모다발(320)과, 치면을 세정하기 위한 제3모다발(330)과, 치경 및 치간의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제4모다발(3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제1 내지 제4모다발(310~340)은 복수의 단위모다발(하나의 모다발 블록)로 이루어지며, 단위모다발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배열되어 전술한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제1모다발(310)은 단위모다발이 사다리꼴 패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제2모다발(310)은 단위모다발이 역사다리꼴 패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또한, 제3모다발(330)은 단위모다발이 *자형 패턴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제4모다발(340)은 제3모다발(3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다. 이때, 제1 내지 제4모다발(310~340)의 단위모다발은 동일한 형상, 즉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을 갖는다.
제1모다발(310)은 어금니의 뒤쪽에 부착된 플라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식모면(210)의 전단부에 위치된다. 또한, 제1모다발(310)을 구성하는 3개의 단위모다발(312~316)은 타원형의 어금니를 감쌀 수 있도록 사다리꼴 패턴으로 배열된다. 즉, 제1모다발(310)은, 전후로 연장된 제1-1모다발(312)과, 제1-1모다발(312)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며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1-3모다발(314,316)로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제1-2모다발(314,316)은 제1-1모다발(312)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제1모다발(310)은 대략 전후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데, 이는 어금니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제1모다발(310)이 전방으로 눕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어금니의 뒤쪽을 세정하기 위해 칫솔(1)을 기울일 경우 제1모다발(310)이 눌려지며 쉽게 변형되는데, 상술한 형태로 제작할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제2모다발(320)은 앞니와 송곳니의 뒤쪽에 부착된 플라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식모면(210)의 후단에 위치된다. 또한, 제2모다발(320)을 구성하는 3개의 단위모다발(322~326)은 제1모다발(310)과 대응되는 역사다리꼴 패턴으로 배열된다. 즉, 제2모다발(320)은 전후로 연장된 제2-1모다발(322)과, 제2-1모다발(322)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2-2모다발(324,326)로 구성된다.
상술한 패턴의 제2모다발(320)은 양치질을 할 때 앞니 및 송곳니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앞니의 뒤쪽 오목한 부분에 쌓인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3모다발(330)은 치면에 부착된 플라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식모면(21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자형 패턴을 갖는다. 제3모다발(330)은, 식모면(210)의 전후로 연장된 제3-1모다발(332)과, 제3-1모다발(332)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제3-2모다발(334)로 구성된다. 이때, 제3-1모다발(332)과 제3-2모다발(334)은 식모면(210)의 좌우로 연장된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자형 패턴을 이룬다.
상술한 패턴의 제3모다발(330)은 제3-1모다발(332)과 제3-2모다발(334)이 한 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양치질을 할 때 헤드(200)가 전후, 좌우, 상하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치면과의 접촉효율이 우수하며 치면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제4모다발(340)은 치경 및 치간에 쌓인 플라크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3모다발(3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3-1모다발(332)과 제3-2모다발(334) 사이마다 위치된 제4-1모다발(342)과, 제1모다발(310)과 제3모다발(330) 사이에 위치된 직사각형 패턴의 제4-2모다발(344)로 구성된다.
제4-1모다발(342)은 총 3세트로 구성된다. 즉, 제3모다발(330)의 전방 측에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단위모다발과, 제3모다발(330)의 양측에 위치되며 전후로 연장된 단위모다발과, 제3모다발(330)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전후으로 연장된 단위모다발로 구성된다.
제4-2모다발(344)은, 좌우로 연장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단위모다발과,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단위모다발이 직사각형 패턴을 이룬다.
상술한 패턴의 제4모다발(340)은 제4-1모다발(342)과 제4-2모다발(344)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모다발이 전후, 좌우 및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치질을 할 때 치경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치간에 쌓인 플라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칫솔모(300)의 모다발(310~340)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내지 제3모다발(310~330)은 제4모다발(34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내지 제3모다발(310~330)이 제4모다발(340)보다 0.5 내지 3.0㎜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모다발(310,320)을 길게 형성할 경우 칫솔이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뒤쪽, 앞니와 송곳니의 뒤쪽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제3모다발(330)을 길게 형성할 경우 주위의 모다발(제4모다발(340))보다 더 돌출되므로 치면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반면, 제4모다발(340)을 짧게 형성할 경우 양치질을 할 때 모다발(340)에 의한 자극을 줄여 치경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헤드(200)를 상하로 움직이며 양치질을 할 때 모다발(340)이 치아의 구석구석까지 세정할 수 있어 치간에 플라크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칫솔 100: 핸들
200: 헤드 210: 식모면
220: 식모공 300: 칫솔모

Claims (7)

  1. 칫솔모다발이 식모면에 다양한 패턴으로 배열된 칫솔 헤드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의 전단부에 마련되고, 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1모다발;
    상기 식모면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모다발과 대응되는 역사다리꼴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2모다발;
    상기 식모면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자형 패턴을 갖도록 배열된 제3모다발; 및
    상기 제3모다발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제4모다발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모다발은, 전후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1-1모다발과, 상기 제1-1모다발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1-2모다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모다발은, 전후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2-1모다발과, 상기 제2-1모다발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2-2모다발로 구성되며,
    상기 제3모다발은, 전후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3-1모다발과, 상기 제3-1모다발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의 제3-2모다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3-1모다발과 상기 제3-2모다발은 상기 식모면의 좌우로 연장된 가상선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4모다발은, 상기 제3-1모다발과 상기 제3-2모다발 사이마다 위치된 제4-1모다발과, 상기 제1모다발과 상기 제3모다발 사이에 위치된 직사각형 패턴의 제4-2모다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4모다발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4-1모다발은 상기 제3모다발의 전방 측에 위치되고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단위모다발, 상기 제3모다발의 양측에 위치되며 전후로 연장된 복수의 단위모다발 및 상기 제3모다발의 후방 측에 위치되고 전후로 연장된 복수의 단위모다발로 구성되고,
    상기 제4-2모다발은 좌우로 연장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단위 모다발과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단위모다발이 직사각형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모다발은 상기 제4모다발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모다발은 상기 제4모다발보다 0.5 내지 3.0㎜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
KR1020150153335A 2015-11-02 2015-11-02 칫솔 헤드 KR10174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35A KR101741448B1 (ko) 2015-11-02 2015-11-02 칫솔 헤드
CN201610928784.3A CN106805464B (zh) 2015-11-02 2016-10-31 牙刷刷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335A KR101741448B1 (ko) 2015-11-02 2015-11-02 칫솔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49A KR20170051849A (ko) 2017-05-12
KR101741448B1 true KR101741448B1 (ko) 2017-05-31

Family

ID=5874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335A KR101741448B1 (ko) 2015-11-02 2015-11-02 칫솔 헤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1448B1 (ko)
CN (1) CN10680546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5Y1 (ko) * 2003-02-20 2003-07-22 씨제이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 모양의 강모 다발을 갖는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816U (zh) * 1992-05-13 1992-10-28 王孝离 不等高锯齿形牙刷
JP2002010834A (ja) * 2000-06-29 2002-01-15 Tsujimura Kikai Kk 歯ブラシ
US20060026784A1 (en) * 2002-08-09 2006-02-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202269590U (zh) * 2011-10-10 2012-06-13 王帅 一种牙刷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5Y1 (ko) * 2003-02-20 2003-07-22 씨제이 주식회사 타원형 단면 모양의 강모 다발을 갖는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49A (ko) 2017-05-12
CN106805464B (zh) 2018-11-16
CN106805464A (zh)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38Y1 (ko) 칫솔
KR101376353B1 (ko) 구강 관리기구
JP2011036658A (ja) 毛構成
WO2017083283A1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JP2008029397A (ja) 歯ブラシ
KR101741448B1 (ko) 칫솔 헤드
KR101769410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CN209983699U (zh) 硅胶咬合式儿童电动牙刷头
KR101741444B1 (ko) 칫솔 헤드
KR101741443B1 (ko) 칫솔 헤드
KR101798975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1741486B1 (ko) 칫솔 헤드
KR101444003B1 (ko) 치은열구 칫솔
JP6071386B2 (ja) 歯ブラシ
KR101865043B1 (ko) 칫솔
KR101780003B1 (ko) 절곡칫솔모가 구비되는 칫솔
KR101798969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20150134921A (ko) 잇솔질 개량형 칫솔
KR101769405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1798960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JP2005218555A (ja) 混毛ブラシ
KR200469883Y1 (ko) 칫솔
KR101798963B1 (ko) 칫솔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JP4688344B2 (ja) 歯ブラシ
KR200261103Y1 (ko) 의치 세척용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