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491A -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491A
KR20170140491A KR1020160072736A KR20160072736A KR20170140491A KR 20170140491 A KR20170140491 A KR 20170140491A KR 1020160072736 A KR1020160072736 A KR 1020160072736A KR 20160072736 A KR20160072736 A KR 20160072736A KR 20170140491 A KR20170140491 A KR 20170140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display panel
las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461B1 (ko
Inventor
강민수
서광재
정명석
허용식
민경일
박준식
성태현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61B1/ko
Priority to US15/418,848 priority patent/US10686161B2/en
Priority to TW110131233A priority patent/TWI820474B/zh
Priority to CN201710414127.1A priority patent/CN107492598B/zh
Priority to CN202111197759.XA priority patent/CN113937246A/zh
Priority to TW106118533A priority patent/TWI740957B/zh
Priority to EP17175364.3A priority patent/EP3255483B1/en
Priority to JP2017114711A priority patent/JP6937171B2/ja
Publication of KR2017014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91A/ko
Priority to US16/879,988 priority patent/US11476449B2/en
Priority to US17/967,363 priority patent/US1194396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4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being an insulat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01L51/5253
    • H01L51/5281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 B23K2103/172Multilayered materia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non-metallic
    • B23K2203/1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27/32
    • H01L2251/558
    • H01L2251/56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의 측면은 상기 제1 필름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헤이즈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회로부는 적어도 제어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유기 발광층의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이즈 영역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의 측면은 상기 제1 필름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지지 필름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을 출력한다. 상기 지지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 필름의 측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측면을 정의하는 단면은 상기 지지 필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표시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다수의 표시 소자를 형성하여 다수의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모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하는 상기 모기판의 제2 면에 제1 모필름 및 제2 모필름을 각각 부착하여 표시 모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필름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소자들 단위로 상기 표시 모기판을 절단하여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광이 출력되는 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모필름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표시 모기판을 절단할 경우, 제2 필름의 상면에 형성되는 헤이즈 영역의 폭이 감소한다. 즉, 제2 모필름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표시장치의 영상 표시면에 형성되는 헤이즈 영역 폭이 상당히 크게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절단선 I-I` 및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5W 세기의 레이저를 6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10W 세기의 레이저를 3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20W 세기의 레이저를 2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30W 세기의 레이저를 2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2차례 레이저 조사 공정을 통해 나타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례 레이저 조자 공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각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일부가 간략하거나 과장되게 표현되었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도시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절단선 I-I` 및 Ⅱ-Ⅱ`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평면상에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상기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A)은 상기 표시 영역(D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NA)이 상기 표시 영역(DA)의 일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 영역(DA)의 다른 측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상기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A) 내에는 패드 영역(PD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 영역(PDA)은 연성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되는 영역이고, 상기 표시 장치(1000)는 패드 영역(PDA)을 통해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 자리에는 헤이즈 영역(H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표시 영역(DA)을 정의하는 4개의 변 중 상기 비표시 영역(NA)과의 사이에 위치한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들에 상기 헤이즈 영역(HA)이 형성된다. 만약, 상기 비표시 영역(NA)이 상기 일측변 이외의 다른 측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헤이즈 영역(HA)이 형성된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00), 제1 필름(200) 및 제2 필름(30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 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플라즈마 표시 소자(plasma display element), 전기영동 표시 소자(electrophoretic display element), MEMS 표시 소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element)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소자(electrowetting display element) 등일 수 있다. 여기서는 표시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제1 면(101)과 상기 제1 면(101)에 반대하는 제2 면(102)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제2 면(101)을 통해 상기 표시소자로부터 발생된 상기 광을 출력한다. 상기 제1 필름(200)은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제1 면(101)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름(300)은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제2 면(102)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제1 필름(200)과 상기 표시패널(100) 사이에 배치된 제1 점착제(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필름(200)은 상기 표시패널(100)을 지지 및 보호하는 지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thenylene oxide MPP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 필름(300)은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선편광층 및 λ/4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 상에 선편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선편광층과 λ/4 위상 지연층을 차례대로 통과한 외광은 편광 필름의 하부(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100)의 캐소드)에서 반사되어 λ/4 위상 지연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층을 투과하지 못하고 소멸된다.
상기 제1 점착제(400)는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제1 면(101)에 상기 제1 필름(200)을 점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점착제(400)는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의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상기 제1 면(101)과 상기 제2 면(102)을 연결하는 측면(103)을 더 구비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 상기 표시패널(100)의 측면(103) 및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은 각각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2 필름(300)의 상기 측면(303)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1 경사 각도(θ1)라 정의할 때, 상기 제1 경사 각도(θ1)는 90°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측면(103)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2 경사 각도(θ2)라 정의하고,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의 연장선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3 경사 각도(θ3)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경사 각도(θ2, θ3)는 90°보다 작을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경사 각도(θ2, θ3)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에 인접하여 상기 제1 필름(200)의 하면(201)에는 제1 버(BU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는 제2 버(BU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BU1, BU2)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2 버(BU2)의 사이즈가 상기 제1 버(BU1)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BU1, BU2)에 인접하여 상기 제1 필름(200)의 하면(201) 및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는 옐로우 영역(Y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옐로우 영역(YA)만을 나타내었다.
상기 헤이즈 영역(HA)은 상기 제2 버(BU2)가 형성된 영역 및 상기 옐로우 영역(YA)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헤이즈 영역(HA)의 폭은 1㎛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제1 면(101) 및 상기 제2 면(102)에 수직하고, 상기 제1 면(101)에서 상기 제2 면(102)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DR1)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이즈 영역(HA)의 폭은 상기 표시패널(100)을 평행한 두 변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나타나는 상기 헤이즈 영역(HA)의 상기 제2 방향(DR2)으로의 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1)는 제2 점착제(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점착제는(500)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제2 면(102)과 상기 제2 필름(3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필름(300)을 상기 제2 면(102)에 점착시킨다. 상기 제2 점착제(500)는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의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1),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101) 및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은 상기 표시장치(1001)의 단면(ST)을 정의한다. 상기 단면(ST)은 상기 제1 필름(200),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상기 제2 필름(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면(102)의 법선 방향(즉,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면(ST)은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상기 표시장치(100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표시장치(1001)의 좌측 단면(ST)만을 도시하였으나, 우측 단면은 상기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단면(ST)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 단면(ST)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할 때, 상기 우측 단면은 상기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DR3)과 대칭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2)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제1 단면(ST1) 및 제2 단면(ST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1)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과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단면(ST2)은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단면(ST1, ST2)은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상기 표시장치(100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ST1)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을 제4 방향(DR4)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단면(ST2)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을 제5 방향(DR5)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방향(DR1)과 상기 제4 방향(DR4)의 각도를 제4 경사 각도(θ4)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DR1)과 상기 제5 방향(DR5)의 각도를 제5 경사 각도(θ5)로 정의한다. 상기 제4 및 제5 경사 각도(θ4, θ5)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4 경사 각도(θ4)가 상기 제5 경사 각도(θ5)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표시장치(1002)의 좌측 제1 및 제2 단면(ST1, ST2)만을 도시하였으나, 우측 제1 및 제2 단면은 상기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기 좌측 제1 및 제2 단면(ST1, ST2)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측 제1 및 제2 단면은 상기 제1 방향(DR1)을 기준으로 상기 제4 및 제5 방향(DR4, DR5)과 각각 대칭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3)는 상기 제2 필름(300)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600), 상기 제1 필름(200)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지지필름(700) 및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과 상기 제1 필름(200) 사이에 배치된 제3 점착제(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호 필름(600)은 상기 제2 필름(30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필름(30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보호 필름(6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thenylene oxide MPP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은 상기 제1 필름(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장치(1003)의 최외곽에서 상기 표시장치(1003)의 내부 구성 요소를 보호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thenylene oxide MPP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점착제(800)는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을 상기 제1 필름(200)에 점착시킨다.
상기 표시장치(1003)의 단면(ST3)은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1),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101),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으로 정의된다. 상기 단면(ST3)은 상기 제1 필름(200),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상기 제2 필름(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면(102)의 법선 방향(즉,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면(ST3)은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상기 표시장치(100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면(ST3)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외측으로 기울어진 제3 방향(DR3)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 및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하면(701)에는 제1 버(BU1)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에 인접하여 상기 보호 필름(600)의 상면(601)에는 제2 버(BU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BU1, BU2)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상기 제2 버(BU2)의 사이즈가 상기 제1 버(BU1)의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4)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제1 단면(ST4) 및 제2 단면(ST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4)은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단면(ST5)은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단면(ST4, ST5)은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상기 표시장치(1002)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ST4)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을 제4 방향(DR4)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단면(ST5)이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을 제5 방향(DR5)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 방향(DR1)과 상기 제4 방향(DR4)의 각도를 제4 경사 각도(θ4)로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DR1)과 상기 제5 방향(DR5)의 각도를 제5 경사 각도(θ5)로 정의한다. 상기 제4 및 제5 경사 각도(θ4, θ5)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제4 경사 각도(θ4)가 상기 제5 경사 각도(θ5)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5)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제1 단면(ST6) 및 제2 단면(ST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면(ST6, ST7)은 서로 연결된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4)은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면(ST5)은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면(ST6, ST7) 각각은 실질적으로 반포물선 형상(half Parabolic Shape)을 가질 수 있지만, 상기 제1 및 제2 단면(ST6, ST7)의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6)의 접선 기울기는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으로부터 상기 표시 패널(100)로 진행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면(ST7)의 접선 기울기는 상기 제2 필름(300)으로부터 상기 보호 필름(600)으로 진행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면(ST6)을 정의하는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의 기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의 접선 기울기는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의 접선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의 접선 기울기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측면(103)의 접선 기울기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2 단면(ST7)을 정의하는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의 접선 기울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의 접선 기울기는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의 접선 기울기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면(ST6)의 접선 기울기의 변화는 상기 제2 단면(ST7)의 접선 기울기의 변화보다 크다. 즉, 상기 제1 단면(ST6)의 곡률은 상기 제2 단면(ST7)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6)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적어도 세 개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1006)는 제1 내지 제4 단면(ST8, ST9, ST10, ST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8)은 상기 하부 지지필름(700)의 측면(70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면(ST9)은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 및 상기 표시패널(100)의 측면(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8)은 상기 제3 점착층(800)의 측면(8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면(ST9)은 상기 제1 점착층(400)의 측면(4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면(ST10)은 상기 제2 점착층(500)의 측면(503)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단면(ST11)은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 및 상기 보호 필름(600)의 측면(6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면(ST8)의 연장선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6 경사 각도(θ6)라 정의하고, 상기 제2 단면(ST9)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7 경사 각도(θ7)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및 제7 경사 각도(θ2, θ3)는 90°보다 작을 수 있고, 특히, 상기 제6 경사 각도(θ6)는 상기 제7 경사 각도(θ3)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면(ST10)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8 경사 각도(θ8)라 정의하고, 상기 제4 단면(ST11)의 연장선과 상기 제2 면(102)이 이루는 각도를 제9 경사 각도(θ9)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8 및 제9 경사 각도(θ8, θ9)는 90°보다 클 수 있고, 특히, 상기 제8 경사 각도(θ8)는 상기 제9 경사 각도(θ9)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내지 제4 단면(ST8, ST9, ST10, ST11)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층의 측면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들을 도시하였으나,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단면 구조들 이외에도,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이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필름(300)의 상기 측면(303)이 상기 제2 면(102)에 대해서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범주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된 단면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10), 구동층(120), 유기발광 소자층(130), 및 봉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표시 패널(100)의 제1 면(101)을 제공한다. 베이스 기판(110)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구동층(12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한다. 구동층(120)은 다양한 신호 라인들, 예를 들어, 스캔 라인(미도시), 데이터 라인(미도시), 전원 라인(미도시), 발광 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층(12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은 하나의 화소(미도시) 마다 구비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구동층(120)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을 포함한다.
활성층(211)은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막(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221)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은 게이트 전극(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게이트 전극(213)과 소스 전극(215) 사이 및 게이트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7)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막(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215)과 드레인 전극(217) 각각은 제1 절연막(221) 및 제2 절연막(223)에 구비된 콘택홀들(CH1, CH2)을 통해 활성층(21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 상에 배치된 보호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의 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게이트 전극(213)은 활성층(211)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게이트 전극(213)이 활성층(211)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의 활성층(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의 활성층(211)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L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LD)는 전면발광형으로 제공되어, 상부 방향(DR3)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LD)는 제1 전극(AE), 유기층(O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에 형성된 콘택홀(CH3)을 통해 드레인 전극(217)에 연결된다.
제1 전극(AE)은 화소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AE)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금속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ITO, Ag 또는 금속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단일층 구조, ITO/Mg 또는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층(O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층(OL)은 유기 발광층 이외에,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층(OL) 내부의 유기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유기발광층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제2 전극(CE)은 유기층(O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공통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이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CE)은 Li, Liq, Ca, LiF/Ca, LiF/Al, Al, Mg, BaF, Ba, A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보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은 상기 물질이 발광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 및 상기 막 상에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고, Mo, Ti, A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평면상에서 화소 영역(PA)의 경계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102)을 제공한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을 외부의 수분 및 공기들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봉지 기판(141)과 실링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미도시)는 봉지 기판(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봉지 기판(141)과 함께 유기발광 다이오드(LD)를 밀봉할 수 있다. 봉지 기판(141) 및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43)은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공간(143)은 질소 질소(N2)로 채워지거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충전 부재로 채워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봉지층(140)은 박막 형태의 유기막 및 무기막이 복수회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14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제2 면(102)을 제공한다.
도 10은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복수의 표시유닛(DU)을 포함하는 모기판(2000)을 형성한다. 상기 모기판(2000)은 상기 복수의 표시유닛들(DU)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표시유닛들(DU) 각각을 감싸도록 형성된 더미 영역(D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유닛들(DU) 각각은 표시소자들(미도시)이 형성된 영역으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표시소자들은 다양한 유형의 표시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일 예로 표시유닛들(DU)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영역(DM)에는 상기 표시소자들이 제공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표시유닛들(1000)은 하나의 기판을 공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영역(DM)은 제조 공정상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0에는 6개의 표시유닛들(DU)이 하나의 모기판(2000)에 포함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유닛들(DU)의 사이즈에 따라서 6개 보다 작거나 많은 표시유닛들(DU)이 하나의 모기판(20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유닛들(DU)을 플럭서블하도록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모기판(200) 역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절단선 Ⅲ-Ⅲ`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3개의 표시유닛들(DU)은 제2 방향(DR2)으로 이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표시유닛들(DU) 사이에는 상기 더미영역(D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유닛들(DU)은 점선들을 따라 절단되어 표시패널(100,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더미영역(DM)은 절단공정 이후 제거되는 부분들이다.
상기 표시유닛들(DU) 각각은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한다. 상기 모기판(2000)은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면(2001, 20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면(2001, 2002) 중 상기 제2 면(2002)은 상기 광이 방출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모기판(2000)이 절단되기 이전에, 상기 모기판(2000)의 상기 제1 및 제2 면(2001, 2002)에는 각각 제1 및 제2 모필름(2100, 220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필름(2100)은 제1 모점착제(2300)를 통해 상기 모기판(2000)의 상기 제1 면(2001)에 점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모필름(2200)은 상기 제2 모점착제(2400)를 통해 상기 모기판(2000)의 상기 제2 면(2002)에 점착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 모기판(2010)이 완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은 상기 제1 및 제2 모필름(2100, 2200) 이외에도 모보호 필름 및 모지지 필름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모필름(21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thenylene oxide MPP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모필름(2200)은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선편광층 및 λ/4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 상에 선편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선편광층과 λ/4 위상 지연층을 차례대로 통과한 외광은 편광 필름의 하부(예를 들어, 상기 표시패널(100)의 캐소드)에서 반사되어 λ/4 위상 지연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층을 투과하지 못하고 소멸된다.
이후,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필름(2100) 측에서 상기 표시 모기판(2010)으로 레이저(LZ)가 조사된다. 상기 레이저(LZ)는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서는 상기 레이저(LZ)가 조사되어 절단될 영역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점선에 상기 레이저(LZ)가 조사되면,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은 상기 표시유닛들(DU) 단위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LZ)는 UV 레이저 및 CO2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LZ)는 상기 모기판(2000)의 상기 제1 모필름(2100) 측에서 상기 제1 면(2001)로부터 상기 제2 면(2002)으로 진행하는 방향(즉, 제1 방향)(DR1)으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은 상기 표시유닛들(DU) 단위로 절단되어 복수의 표시장치(1000)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표시장치(1000)는 상기 제1 필름(200)의 측면(203), 상기 표시 패널(100)의 측면(103) 및 상기 제2 필름(300)의 측면(303)을 정의하는 단면(ST)을 포함한다. 상기 단면(ST)은 상기 제1 필름(200), 상기 표시 패널(100) 및 상기 제2 필름(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면(102)의 법선 방향(즉, 상기 제1 방향)(DR1)에 대해서 상기 표시장치(100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절단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모필름(2100, 2200) 및 제1 및 제2 모점착제(2300, 2400) 역시 상기 표시유닛들(DU) 단위로 절단된다.
상기 레이저 공정에 의해서, 상기 제1 필름(200)의 상기 측면(203)에 인접하여 상기 제1 필름(200)의 하면(201)에는 제1 버(BU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필름(300)의 상기 측면(303)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는 제2 버(BU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BU1, BU2)의 사이즈는 상기 레이저 공정 진행 시 상기 레이저(LZ)의 세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2 버(BU2)에 인접하여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는 헤이즈 영역(H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이즈 영역(HA)의 폭 역시 상기 레이저 공정 진행 시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의 세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절단될 때, 상기 더미 영역(DM)과 상기 표시유닛(DU)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절단된다. 상기 레이저(LZ)가 상기 제1 면(2001) 측에서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벌어진 상기 더미 영역(DM)과 상기 표시유닛(DU)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방향(DR1)으로 진행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1 모필름(2100) 측에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할 경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되는 헤이즈 영역(HA)의 폭이 감소한다. 즉, 제2 모필름(2200)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헤이즈 영역(HA)의 폭이 상당히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5W 세기의 레이저(LZ1)를 6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12c를 참조하면, 5W 세기의 레이저(LZ1)를 1차례, 2차례 및 3차례 조사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 6차례 조사한 이후에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5W 세기의 레이저(LZ1)를 6차례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한 경우,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제1 헤이즈 영역(HA1)의 폭은 대략 27㎛로 나타났다.
여기서, 이처럼 여러 차례 레이저를 조사하는 공정을 멀티 패스 공정으로 정의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10W 세기의 레이저(LZ2)를 3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면, 10W 세기의 레이저(LZ2)를 1차례 및 2차례 조사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 3차례 조사한 이후에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10W 세기의 레이저(LZ2)를 3차례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한 경우,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제2 헤이즈 영역(HA2)의 폭은 대략 45㎛로 나타났다.
도 14a 및 도 14b는 20W 세기의 레이저(LZ3)를 2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20W 세기의 레이저(LZ3)를 1차례 조사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 2차례 조사한 이후에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20W 세기의 레이저(LZ3)를 2차례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한 경우,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제3 헤이즈 영역(HA3)의 폭은 대략 63㎛로 나타났다.
도 15a 및 도 15b는 30W 세기의 레이저(LZ4)를 2차례에 걸쳐 조사했을 때 절단되는 과정과 헤이즈 영역의 폭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30W 세기의 레이저(LZ4)를 1차례 조사했을 때에는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되지 않았다. 2차례 조사한 이후에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이 완전히 절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30W 세기의 레이저(LZ4)를 2차례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한 경우,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된 제4 헤이즈 영역(HA4)의 폭은 대략 68㎛로 나타났다.
도 12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세기의 레이저를 여러 차례 조사하는 경우, 레이저 조사 횟수는 증가했다. 그러나,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의 절단 후 상기 제2 필름(300)의 상면(301)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헤이즈 영역(HA1)의 폭이 상기 제2 내지 제4 헤이즈 영역(HA2, HA3, HA4)의 폭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버(BU1, BU2)의 사이즈 역시 상기 레이저 세기가 낮은 경우 작게 형성된다. 절단되면서 벌어진 상기 더미 영역(DM)과 상기 표시유닛(DU) 사이의 간격들(d1, d2, d3, d4) 중 상기 레이저 세기가 낮은 경우에 가장 작게 나타났다.
도 16a 및 도 16b는 2차례 레이저 조사 공정을 통해 나타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에서 도 11c에 도시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하는 단계는,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세기는 상기 제1 세기보다 작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세기가 30W라면, 상기 제2 세기는 5W일 수 있다.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1 멀티 패스로 진행되고,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2 멀티 패스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멀티 패스는 상기 제1 멀티 패스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멀티 패스가 2 차례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라면, 상기 제2 멀티 패스는 5 차례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면, 상기 제1 모필름(2100)과 상기 모기판(2000)이 절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장치에는 반포물선 형상의 제1 단면(ST6)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2 모필름(2200)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장치에는 반포물선 형상의 제2 단면(ST7)이 상기 제1 단면(ST6)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의 세기 차이로 인해서 상기 제1 단면(ST6)과 상기 제2 단면(ST6)의 곡률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례 레이저 조자 공정을 나타낸 단면 구조를 나타낸 공정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에서 도 11c에 도시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절단하는 단계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세기는 상기 제1 세기보다 작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세기가 30W라면, 상기 제2 세기는 10W일 수 있다.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1 멀티 패스로 진행되고,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2 멀티 패스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멀티 패스는 상기 제1 멀티 패스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멀티 패스가 2 차례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라면, 상기 제2 멀티 패스는 4 차례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면, 상기 제1 모필름(2100)과 상기 모기판(2000)이 절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장치에는 제1 및 제2 단면(ST8, ST9)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2 모필름(2200)을 절단함으로써, 상기 표시 모기판(2010)을 완전히 절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장치에는 제3 및 제4 단면(ST10, ST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의 세기 차이로 인해서 상기 제1 단면(ST8)의 경사도는 상기 제3 단면(ST10)의 경사도보다 완만할 수 있고, 상기 제2 단면(ST9)의 경사도는 상기 제4 단면(ST11)의 경사도보다 완만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 제1 필름
300 : 제2 필름 400 : 제1 점착제
500 : 제2 점착제 600 : 보호필름
700 : 하부 지지필름 800 : 제3 점착제
110: 베이스 기판 120: 구동층
130: 유기발광 소자층 140: 봉지층
1000 ~ 1006 : 표시장치 2000 : 모기판
2010 : 표시 모기판 2100 : 제1 모필름
2200 : 제2 모필름

Claims (23)

  1.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을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제1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제2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필름의 측면은 상기 제1 필름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90°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1 필름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측면은 상기 제2 면에 대해서 90°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제2 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필름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제2 면의 경사 각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제1 점착제; 및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제2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필름이고,
    상기 제2 필름은 편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지지필름; 및
    상기 하부 지지필름을 상기 제1 필름에 점착시키는 제3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상면에는 상기 제2 필름의 상기 측면에 인접하여 헤이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헤이즈 영역의 폭은 1um 내지 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표시소자를 포함하고, 제1 면과 상기 제1 면에 반대하는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면을 통해 상기 광을 출력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배치된 지지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편광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측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 및 상기 지지 필름의 측면을 정의하는 단면은 상기 지지 필름,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에 대해서 표시장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지지 필름의 상기 측면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측면으로 정의되는 제1 단면;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측면으로 정의되는 제2 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단면의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1 단면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제1 점착제; 및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2 면에 점착시키기 위한 제2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을 보호하는 보호필름;
    상기 지지 필름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지지필름; 및
    상기 하부 지지필름을 상기 지지 필름에 점착시키는 제3 점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상면에는 상기 편광 필름의 상기 측면에 인접하여 헤이즈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헤이즈 영역의 폭은 1um 내지 100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을 방출하는 다수의 표시 소자를 형성하여 다수의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모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기판의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하는 상기 모기판의 제2 면에 제1 모필름 및 제2 모필름을 각각 부착하여 표시 모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필름 측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소자들 단위로 상기 표시 모기판을 절단하여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광이 출력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멀티 패스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 및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기는 상기 제1 세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1 멀티 패스로 진행되고,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는 제2 멀티 패스로 진행되며,
    상기 제2 멀티 패스는 상기 제1 멀티 패스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 모필름과 상기 모기판을 절단하고,
    상기 제2 세기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2 모필름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필름은 지지 필름이고,
    상기 제2 모필름은 편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UV 레이저 및 CO2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072736A 2016-06-10 2016-06-10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6A KR102548461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5/418,848 US10686161B2 (en) 2016-06-10 2017-01-3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10414127.1A CN107492598B (zh) 2016-06-10 2017-06-05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202111197759.XA CN113937246A (zh) 2016-06-10 2017-06-05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TW110131233A TWI820474B (zh) 2016-06-10 2017-06-05 顯示裝置
TW106118533A TWI740957B (zh) 2016-06-10 2017-06-05 顯示裝置
EP17175364.3A EP3255483B1 (en) 2016-06-10 2017-06-0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114711A JP6937171B2 (ja) 2016-06-10 2017-06-09 表示装置
US16/879,988 US11476449B2 (en) 2016-06-10 2020-05-2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967,363 US11943968B2 (en) 2016-06-10 2022-10-17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6A KR102548461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91A true KR20170140491A (ko) 2017-12-21
KR102548461B1 KR102548461B1 (ko) 2023-06-28

Family

ID=5906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36A KR102548461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686161B2 (ko)
EP (1) EP3255483B1 (ko)
JP (1) JP6937171B2 (ko)
KR (1) KR102548461B1 (ko)
CN (2) CN113937246A (ko)
TW (2) TWI7409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1286A (zh) * 2018-05-15 2019-11-2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1342539B2 (en) 2019-02-21 2022-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461B1 (ko) 2016-06-10 2023-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53831B2 (en) * 2016-10-07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closed-curve cutting line
CN106585069A (zh) * 2016-12-23 2017-04-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面板及丝网印刷机制作柔性基板、面板的方法
JP6887799B2 (ja) * 2016-12-26 2021-06-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04133B1 (ko) * 2018-02-20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535554B1 (ko) * 2018-06-28 2023-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84519B1 (ko) * 2019-07-16 2020-03-04 주식회사 오플렉스 자외선(uv) 경화형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10112434A (ko) * 2020-03-04 2021-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07792A (ko) * 2020-07-10 2022-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6171395A (zh) * 2020-08-03 2023-05-26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及包含该光学层叠体的光学膜的图像显示装置
CN112164308B (zh) * 2020-08-27 2022-09-0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522A (ko) * 2009-11-27 2011-06-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KR20110096122A (ko) * 2008-11-17 2011-08-29 글로벌 오엘이디 테크놀러지 엘엘씨 에지 광추출을 갖는 타일형 oled 디바이스
JP2013186984A (ja) * 2012-03-07 2013-09-19 Panasonic Corp 複合基板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40095621A (ko) * 2013-01-24 2014-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96691A (ko) * 2012-12-18 2015-08-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KR20160063251A (ko) * 2014-11-26 2016-06-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3368B (en) * 2005-06-03 2009-08-1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JP5011676B2 (ja) * 2005-08-12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を備える機器
JP5201854B2 (ja) * 2007-03-07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JP5295691B2 (ja) * 2007-09-27 2013-09-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65790B1 (ko) * 2008-09-29 2011-09-20 (주)와이티에스 편광필름 절단용 레이저 노즐장치
KR101058548B1 (ko) * 2009-03-27 2011-08-23 (주)하드램 레이저를 이용하는 다중 절단방법
JP2010243556A (ja) 2009-04-01 2010-10-2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788646B2 (ja) * 2009-06-25 2015-10-07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複合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081945A (ja) * 2009-10-05 2011-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elパネル及びパネル接合型発光装置
JP2011107556A (ja) * 2009-11-20 2011-06-02 Technology Research Association For Advanced Display Materials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1605034B1 (ko) * 2010-01-15 2016-04-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절단 방법
KR101073563B1 (ko) 2010-02-08 2011-10-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1848A (ko) * 2010-04-14 2018-07-1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패턴화된 경사 중합체 필름 및 방법
KR101383207B1 (ko) 2011-05-02 2014-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6540B1 (ko) * 2011-12-28 2018-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60541B1 (ko) * 2012-07-13 2019-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제조 방법
US9673014B2 (en) 2012-07-13 2017-06-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JP5685567B2 (ja) * 2012-09-28 2015-03-18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000043B1 (ko) 2012-10-31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745B1 (ko) * 2012-11-14 2019-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소자 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성 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2104608B1 (ko) * 2013-05-16 2020-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102007B2 (en) * 2013-08-02 2015-08-11 Rofin-Sinar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aser filamentation within transparent materials
KR20150043605A (ko) 2013-10-11 2015-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절단 방법
KR20150086763A (ko) * 2014-01-20 2015-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750140B2 (en) 2014-03-14 2017-08-29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204786B1 (ko) * 2014-05-21 2021-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JP2015221739A (ja) * 2014-05-23 2015-12-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175991B1 (ko) * 2014-12-26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01014B1 (ko) * 2015-07-01 2022-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1874B1 (ko) * 2015-11-26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2548461B1 (ko) * 2016-06-10 2023-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122A (ko) * 2008-11-17 2011-08-29 글로벌 오엘이디 테크놀러지 엘엘씨 에지 광추출을 갖는 타일형 oled 디바이스
KR20110059522A (ko) * 2009-11-27 2011-06-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JP2013186984A (ja) * 2012-03-07 2013-09-19 Panasonic Corp 複合基板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50096691A (ko) * 2012-12-18 2015-08-2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KR20140095621A (ko) * 2013-01-24 2014-08-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63251A (ko) * 2014-11-26 2016-06-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1286A (zh) * 2018-05-15 2019-11-22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KR20190131154A (ko) * 2018-05-15 2019-1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11223025B2 (en) 2018-05-15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616210B2 (en) 2018-05-15 2023-03-28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342539B2 (en) 2019-02-21 2022-05-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76449B2 (en) 2022-10-18
US11943968B2 (en) 2024-03-26
TWI820474B (zh) 2023-11-01
US20200287168A1 (en) 2020-09-10
EP3255483B1 (en) 2019-01-30
US20230035717A1 (en) 2023-02-02
CN113937246A (zh) 2022-01-14
TW201809836A (zh) 2018-03-16
EP3255483A1 (en) 2017-12-13
US20170358781A1 (en) 2017-12-14
US10686161B2 (en) 2020-06-16
TW202204992A (zh) 2022-02-01
CN107492598B (zh) 2021-11-02
JP2017220459A (ja) 2017-12-14
CN107492598A (zh) 2017-12-19
TWI740957B (zh) 2021-10-01
KR102548461B1 (ko) 2023-06-28
JP6937171B2 (ja) 202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40491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25062B2 (en) Display device having film with protruding portion
KR10263259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71196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lm having a groove and a burr
US2012026764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7347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