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349A -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349A
KR20170138349A KR1020170069124A KR20170069124A KR20170138349A KR 20170138349 A KR20170138349 A KR 20170138349A KR 1020170069124 A KR1020170069124 A KR 1020170069124A KR 20170069124 A KR20170069124 A KR 20170069124A KR 20170138349 A KR20170138349 A KR 2017013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astic
wire
fiber core
plastic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카즈 기모토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과제) 플라스틱 광파이버를 인장 강도가 양호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파이버 리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1 개 이상과,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 (2) 1 개 이상이,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고, 일괄 피복 (3) 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10).

Description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PLASTIC OPTICAL FIBER RIBBON}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광파이버의 사용 형태로서, 특허문헌 1 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구조의 광파이버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이 광파이버 케이블은, 플라스틱 광파이버 (51) 를 보강층 (52) 으로 피복하고, 추가로 컬러 코트층 등의 수지층 (53) 으로 피복하여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54) 으로 하고, 이것을 4 개 평행하게 배치하고 일괄 피복 (55) 을 실시하여 광파이버 리본 (56) 으로 하고, 추가로 최외피복층 (57) 으로 피복한 것이다.
광파이버 케이블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최외피복층 (57) 내에 텐션 멤버 (도시 생략) 등의 보강재를 함유시켜도 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파이버 케이블을 기기 등에 접속시킬 때에는, 선단 (先端) 부분의 최외피복층 (57) 을 제거하여 광파이버 리본 (56) 및 텐션 멤버를 각각 꺼내고, 광파이버 리본 (56) 을 기기 등과 접속시켜 고정시킴과 함께, 텐션 멤버를 적당한 부위에 고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05780호
플라스틱 광파이버는 유리제 광파이버에 비해 인장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인장 강도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이다. 종래의 구조에서는 접속 후, 사용 중의 인장 강도가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광파이버를 인장 강도가 양호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파이버 리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을 제공한다.
[1]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개 이상과,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 1 개 이상이,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고, 일괄 피복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2]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영률이 750 ∼ 2500 ㎫ 인, [1] 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3] 상기 플라스틱선의 외경이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크고, 그 차가 10 ㎛ 이상인, [1] 또는 [2] 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4] 상기 플라스틱선의 외경이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크고, 그 차가 10 ∼ 110 ㎛ 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5]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을 2 개 이상 갖고,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6] 상기 일괄 피복의 영률이 400 ㎫ 이상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7]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개 이상과,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 1 개 이상을 평행하게 또한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것들의 외주에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일괄 피복을 형성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8] 수지의 도포는, 코팅 다이에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및 플라스틱선을 입선하여 주행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7] 에 기재된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에 의하면, 플라스틱 광파이버를 인장 강도가 양호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측압에 의한 손실 증가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 도이다.
도 3 은,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의 신장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종래의 광파이버 케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라스틱선의 영률 및 광파이버 심선의 영률은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JIS-C 6837 에 준하여,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인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IS (제품명) 를 사용하여, 시료 길이 100 ㎜, 인장 속도 100 ㎜/min, 측정수 n = 5 로 측정을 실시하여, 응력-변형 곡선을 얻는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의 변형량 ε1 = 0.1 % 및 ε2 = 1 % 의 2 점 사이에 대응하는 응력-변형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영률을 산출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괄 피복의 영률은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값이다.
JIS-K 7161 에 준하여, 시험편은 JIS-K 7127 타입 5 에 준거한 것을 사용하여 영률을 측정한다. 시험편은, 일괄 피복을 형성하는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고 경화시켜 제작한다. 경화 조건은 0.3 J/㎠, 공기 중 경화로 막 두께는 250 ㎛ 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부호 1 은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이하, 광파이버 심선이라고도 한다), 부호 2 는 플라스틱선, 부호 3 은 일괄 피복, 부호 10 은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이하, 광파이버 리본이라고도 한다) 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리본 (10) 은, 2 개의 광파이버 심선 (1) 과, 2 개의 플라스틱선 (2) 을 평행하게 또한 일렬로 배치하고, 이것들의 외주에 일괄 피복 (3) 을 실시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광파이버 심선 (1) 및 플라스틱선 (2) 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 상에 존재하고, 서로 평행하다.
도 1 에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 (1) 의 길이 방향을 Z 방향 (도시 생략), Z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 (1) 및 플라스틱선 (2) 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을 X 방향, Z 방향 및 X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X 방향을 광파이버 리본 (10) 의 폭 방향, Y 방향을 광파이버 리본 (10) 의 두께 방향이라고도 한다.
2 개의 광파이버 심선 (1) 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다. 이들 2 개의 광파이버 심선 (1) 을 사이에 끼우도록 2 개의 플라스틱선 (2) 이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광파이버 심선 (1) 과 플라스틱선 (2) 은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파이버 심선 또는 플라스틱선의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다는 것은, 제조 오차의 허용 범위로서, 인접하는 광파이버 심선 또는 플라스틱선의 외면 간의 최단 거리가 5 ㎛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괄 피복 (3) 은 광파이버 심선 (1) 및 플라스틱선 (2) 의 외면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광파이버 리본 (10) 의 두께 방향 (Y 방향) 의 양측 외면에 오목홈 (11)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심선 (1) 은, 1 개의 플라스틱 광파이버 (1a) 와, 그 외주를 피복하는 보강층 (1b) 으로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보강층 (1b) 주위에 추가로 다른 피복층을 형성해도 된다.
플라스틱 광파이버 (1a) 는 코어-클래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 분포형 (GI 형) 광파이버, 단계 굴절률형 (SI 형) 광파이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싱글 모드 광파이버, 멀티 코어 광파이버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플라스틱 광파이버 (1a) 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보강층 (1b) 의 재료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불화비닐리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파이버 심선 (1) 이 보강층 (1b) 주위에 다른 피복층을 갖는 경우, 다른 피복층의 재료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나 전자선 경화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파이버 심선 (1) 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00 ∼ 750 ㎛ 가 바람직하고, 245 ∼ 4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파이버 심선 (1) 의 영률은 750 ∼ 25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 250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200 ∼ 2500 ㎫ 가 더욱 바람직하고, 1400 ∼ 2000 ㎫ 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파이버 심선 (1) 의 영률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광파이버 리본 취급시에 손실 증가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고, 상한치 이하이면 광파이버 심선의 전송 손실의 증가가 억제된다.
플라스틱선 (2) 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선 (2) 의 영률은 3000 ㎫ 이상이고, 4000 ㎫ 이상이 바람직하며, 60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 (2) 의 영률이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광파이버 리본 (10) 이 길이 방향의 인장력을 받았을 때의 손실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플라스틱선 (2) 의 영률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본 제조시의 피복 안정성 면에서는 150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 (2) 의 외경은 200 ∼ 800 ㎛ 가 바람직하고, 250 ∼ 45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파이버 심선 (1) 의 외경과 플라스틱선 (2) 의 외경의 차의 절대치는 0 ∼ 110 ㎛ 가 바람직하고, 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5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플라스틱선 (2) 의 외경이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의 외경보다 크면, 광파이버 리본 (10) 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측압이 가해졌을 때에, 광파이버 심선 (1) 에 전해지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플라스틱선 (2) 과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의 외경의 차는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경의 차의 상한치는, 리본 가공시의 피복 안정성 면에서는 1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5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 (2) 은 광 전송 기능을 갖지 않는다. 균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의 연신체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 (2) 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는 경화 후의 영률이 상기의 범위 내이면 되고, 연신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나일론,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선 (2) 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일괄 피복 (3) 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전자선 경화형 수지가 바람직하다.
일괄 피복 (3) 에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수지가 바람직하다.
일괄 피복 (3) 의 영률은 4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는 400 ∼ 1000 ㎫ 가 바람직하고, 500 ∼ 8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괄 피복 (3) 의 영률이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이면 리본 취급시에 분리 등의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고, 상한치 이하이면 광파이버 심선의 리본화 후의 전송 손실의 증가가 억제된다.
일괄 피복 (3) 의 두께는, 광파이버 심선 (1) 의 중심을 통과하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일괄 피복 (3) 의 두께를 y1, 플라스틱선 (2) 의 중심을 통과하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일괄 피복 (3) 의 두께를 y2, 광파이버 심선 (1) 및 플라스틱선 (2) 의 중심을 통과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일괄 피복 (3) 의 두께를 x1 로 하면, y1 및 y2 는 3 ∼ 50 ㎛ 가 바람직하고, 5 ∼ 2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1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y1 과 y2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x1 은 3 ∼ 50 ㎛ 가 바람직하고, 5 ∼ 2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1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파이버 리본 (10) 은, 광파이버 심선 (1) 과 플라스틱선 (2) 을 평행하게 또한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것들의 외주에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일괄 피복 (3) 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수지의 도포는, 코팅 다이에 광파이버 심선 (1) 및 플라스틱선 (2) 을 입선 (入線) 하여 주행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코팅 다이의 출구의 금형 형상에 의해 광파이버 리본 (10) 의 단면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리본 (10) 은, 광파이버 심선 (1) 과 고(高)영률의 플라스틱선 (2) 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 또 광파이버 심선 (1) 과 플라스틱선 (2) 을 분리하지 않고서 광파이버 리본 (10) 상태에서 기기 등과의 접속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후, 사용 중의 인장 강도도 우수하다.
플라스틱선 (2) 을 투명성이 높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투명성이 높은 광파이버 리본 (10) 을 실현할 수 있다. 혹은,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선 (2) 을 원하는 색조로 착색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리본은, 2 개의 광파이버 심선과 2 개의 플라스틱선을 구비하지만, 광파이버 심선은 1 개여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광파이버 심선을 2 개 이상 구비하면, 다심 (多芯) 일괄 접속이 가능한 광파이버 리본이 얻어진다. 광파이버 심선을 2 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 이들 광파이버 심선의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으면, 다심 일괄 접속에 있어서의 축 맞춤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광파이버 리본을 구성하는 광파이버 심선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케이블 세경화 면에서는 8 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4 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은 1 개여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라스틱선은 광파이버 심선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광파이버 심선과 광파이버 심선 사이에 플라스틱선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광파이버 리본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선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리본화시의 피복 안정성 면에서는 5 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3 개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선의 외면은, 이것에 인접하는 광파이버 심선 또는 플라스틱선의 외면과 접하고 있어도 되고,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광파이버 리본은, 광파이버 리본의 두께 방향의 양측 외면에 오목홈 (11) 이 형성되어 있지만, 두께 방향의 양측 외면 중 일방 또는 양방이 오목홈 (11) 을 가지지 않는 평탄면이어도 된다. 적어도 일방의 외면에 오목홈 (11) 이 형성되어 있으면, V 홈을 갖는 고정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V 홈에 대한 위치 맞춤이 용이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인장력에 의한 손실 증가량]
시마즈 제작소 제조의 인장 시험기 오토그래프 AG-IS (제품명) 를 사용하여, JIS-C 6823 에 준하여 인장력에 의한 손실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측정 대상인 광파이버 리본 (이하, 피측정 샘플이라고 한다) 을 6 m 의 길이로 절단한 것을 준비하고, 그 양단을 각각 인장 시험기의 맨드릴 (직경 150 ㎜) 에 3 바퀴 감아 고정하였다. 양 맨드릴 간의 거리는 1 m 이다. 피측정 샘플의 일방의 말단은 여진 (勵振) 장치를 개재하여 파장 850 ㎚ 의 LED 광원에 접속시키고, 타방의 말단은 수광기에 접속시켰다. 초기 파워 (P0), 및 소정의 인장력을 가하였을 때의 광 파워 (P1) 를 측정하고, 그 차로부터 인장력을 부하하였을 때의 광 손실을 산출하였다.
[신장량]
JIS-C 6837 에 준하여 상기 인장력에 의한 손실 증가량의 측정시에 있어서의 응력/변형 곡선을 얻었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으로부터 피측정 샘플의 신장량을 산출하였다.
[측압에 의한 손실 증가량]
도 2 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하여, JIS-C 6821 에 준하여 측압 부하에 의한 손실 증가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피측정 샘플 (40) 을 3 m 의 길이로 절단한 것을 준비하고, 그 중앙부를 1 쌍의 플레이트 (41, 42) 사이에 끼움과 함께, 일방의 플레이트 (41) 의 외면을 따라 피측정 샘플 (40) 을 U 자 형상으로 굽혔다. 피측정 샘플 (4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41, 42) 의 평탄면의 길이는 100 ㎜, 플레이트 양단의 곡면 (41a) 의 곡률 반경은 5 ㎜ 로 하였다. 즉 피측정 샘플 (40) 의 굽힘 반경은 5 ㎜ 로 하였다. 피측정 샘플 (40) 의 일방의 말단은 여진 장치 (도시 생략) 를 개재하여 파장 850 ㎚ 의 LED 광원 (43) 에 접속시키고, 타방의 말단은 수광기 (44) 에 접속시켰다. 먼저 초기 파워 (P0) 를 측정하고, 이어서 플레이트 (41, 42) 에 의해 50 N/100 ㎜ 의 하중 (측압) 을 가하였을 때의 광 파워 (P1) 를 측정하고, 그 차로부터 측압을 부하하였을 때의 광 손실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광파이버 심선을 2 개와, 플라스틱선 (재질 : PET) 을 2 개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구조의 광파이버 리본을 제조하였다. 광파이버 심선 및 플라스틱선의 외경과 영률은 표 1 과 같다 (이하 동일).
일괄 피복의 재질은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영률은 560 ㎫ 이다. 일괄 피복의 두께는, 오목홈 이외의 부분은 거의 균일하고 5 ㎛ 로 하였다.
얻어진 광파이버 리본에 대해, 상기의 방법으로 인장력에 의한 손실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또, 상기의 방법으로 신장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3 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이하 동일).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플라스틱선을 표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선 (재질 : 나일론) 으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플라스틱선을 표 1 에 나타내는 플라스틱선 (재질 : 폴리카보네이트) 으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플라스틱선 2 개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광파이버 심선의 수를 4 개로 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Figure pat00001
표 1 및 도 3 의 결과로부터,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을 광파이버 심선과 일괄 피복한 실시예 1, 2 는, 인장력이 부하되었을 때의 신장이 억제되고, 인장 응력에 의한 손실 증가도 충분히 작게 억제되었다. 특히 실시예 1 은 인장력이 15 N 일 때에도 신장량이 3 % 이하로 억제되어, 인장 강도가 우수하다.
이에 반하여, 플라스틱선의 영률이 2000 ㎫ 인 비교예 1 은, 신장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작고, 인장 응력에 의한 손실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도 작다.
(실시예 3 ∼ 5)
실시예 1 에 있어서 플라스틱선의 외경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얻어진 광파이버 리본에 대해, 상기의 방법으로 측압에 의한 손실 증가량을 측정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 의 결과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선의 외경이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큰 실시예 4, 5 는, 측압에 의한 손실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1 :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a : 플라스틱 광파이버
1b : 보강층
2 : 플라스틱선
3 : 일괄 피복
10 :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11 : 오목홈

Claims (8)

  1.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개 이상과,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 1 개 이상이,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평면 상에서 서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고, 일괄 피복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영률이 750 ∼ 2500 ㎫ 인,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선의 외경이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크고, 그 차가 10 ㎛ 이상인,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선의 외경이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경보다 크고, 그 차가 10 ∼ 110 ㎛ 인,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을 2 개 이상 갖고, 상기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의 외면이 서로 접하고 있는,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피복의 영률이 400 ㎫ 이상인,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1 개 이상과, 영률이 3000 ㎫ 이상인 플라스틱선 1 개 이상을 평행하게 또한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이것들의 외주에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시켜 일괄 피복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8. 수지의 도포는, 코팅 다이에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및 플라스틱선을 입선하여 주행시키는 방법으로 실시하는 제 7 항에 기재된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의 제조 방법.
KR1020170069124A 2016-06-07 2017-06-02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KR20170138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13630 2016-06-07
JP2016113630A JP2017219683A (ja) 2016-06-07 2016-06-07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リボ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349A true KR20170138349A (ko) 2017-12-15

Family

ID=6048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24A KR20170138349A (ko) 2016-06-07 2017-06-02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68008B2 (ko)
JP (1) JP2017219683A (ko)
KR (1) KR201701383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9725A (zh) * 2021-05-10 2021-07-30 信达科创(唐山)石油设备有限公司 带有彩色识别带的封装管缆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203B2 (ja) * 1991-07-11 2000-07-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ケーブル
US5457762A (en) * 1994-06-13 1995-10-10 Siecor Corporation Fiber optic ribbon
JPH08211236A (ja) * 1995-02-06 1996-08-2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法
US6577797B2 (en) * 2001-05-09 2003-06-1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Optical fiber ribbon assembly with strain relief
KR20040052408A (ko) * 2002-12-17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장재를 포함하는 리본 광섬유
JP2006208650A (ja) * 2005-01-27 2006-08-10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2007163651A (ja) * 2005-12-12 2007-06-28 Fujikura Ltd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2010128168A (ja) * 2008-11-27 2010-06-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9475239B2 (en) * 2011-11-01 2016-10-25 Corning Cable Systems Llc Cables with extruded access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JP2014205780A (ja) 2013-04-12 2014-10-30 旭硝子株式会社 透明難燃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透明難燃光ファイバリボンおよび透明難燃光ファイバ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1045A1 (en) 2017-12-07
US10268008B2 (en) 2019-04-23
JP2017219683A (ja)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0202B2 (en) Rollable optical fiber ribbon
US10007078B2 (en) Optical fiber ribbon
US7532796B2 (en) Fiber optic ribbons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fracture regions
JP6609577B2 (ja) 光ファイバコードの製造方法
JP2010117592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4777568B (zh) 光缆
KR20170138349A (ko) 플라스틱 광파이버 리본
WO2012036031A1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TW201319653A (zh) 光纖
US9977179B2 (en) Plastic optical fiber ribbon
WO2022131099A1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2005222080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及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の製造方法
WO2023234355A1 (ja) 光ファイバリボン
JP200615444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
JP201500490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13103858A1 (en) Multi-fiber patchcord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7155617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US8870473B2 (en) Method of terminating a fiber optic cable
JP4172626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JP2006208650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EP3690507B1 (en) An aerial micromodule optical cable
JPH095592A (ja) 光ファイバコード
JP2012208433A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