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385A - 루버 벤틸레이터 - Google Patents

루버 벤틸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385A
KR20170137385A KR1020160069455A KR20160069455A KR20170137385A KR 20170137385 A KR20170137385 A KR 20170137385A KR 1020160069455 A KR1020160069455 A KR 1020160069455A KR 20160069455 A KR20160069455 A KR 20160069455A KR 20170137385 A KR20170137385 A KR 2017013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open
housing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740B1 (ko
Inventor
윤진섬
김종호
정용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좁은 구획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 간섭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한번 조작으로 신속한 개폐 전환이 가능한 루버 벤틸레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개폐판; 하우징에 설치되고, 다수의 개폐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 부재; 및 다수의 개폐판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된 네트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버 벤틸레이터{LOUVER VENTILLATOR}
본 발명은 루버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구획에 설치 가능하고, 한번에(One-time) 개폐(Open/Close) 가능한 루버 벤틸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선박이나 해양 생산 설비에는 공기 순환, 빗물과 파도의 유입 방지 및 곤충 또는 조류 등 외부 이물질의 유입 방지, 화재시 타 구획으로의 전화 차단 등을 위하여 통풍 장치가 설치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7586호(2012.01.25.공개)에는 선박용 통풍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선박용 통풍 장치는 하우징의 개폐를 위해 하우징에 커버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커버 회전을 위한 충분한 공간 확보를 필요로 하며 좁은 구획에는 설치가 불가하였다. 또한 커버가 개방 상태인 경우 돌출 형태로 인해 커버가 외부 간섭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커버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함에 따라 개폐에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KR 10-2012-0007586 A
본 발명은 좁은 구획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외부 간섭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한번 조작으로 신속한 개폐 전환이 가능한 루버 벤틸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개폐판;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개폐판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된 네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루버 벤틸레이터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개폐 부재를 고정시키는 개폐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 부재의 상변부와 하변부는 각각 상기 개폐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루버 벤틸레이터는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개폐판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관통공에 타단이 구속된 개폐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버 벤틸레이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개폐 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된 도르래;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의 타측에 제공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개방 와이어; 상기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폐쇄 와이어;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개폐 레버의 상부 측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마련된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개폐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폐쇄 와이어의 작동시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개방 와이어의 작동시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개폐판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상기 제1 개폐판을 제외한 제2 개폐판에 토크를 가하도록, 상기 제2 개폐판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루버 벤틸레이터는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최상부 측의 개폐판에 하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내면에 상변부가 고정된 상부 네트; 및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최하부 측의 개폐판에 상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면에 하변부가 고정된 하부 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좁은 구획에도 설치 및 작동이 가능하고, 외부 간섭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적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신속한 개폐 전환이 가능한 루버 벤틸레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와이어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원격 개폐 전환이 가능한 루버 벤틸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의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루버 벤틸레이터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는 하우징(110), 다수의 개폐판(120a,120b), 다수의 회전축(130a), 다수의 힌지축(130b), 개폐 부재(140), 개폐 스토퍼(150), 가이드 부재(160), 다수의 개폐 레버(170), 그리고 다수의 네트 부재(18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에 설치된 루버 벤틸레이터(100)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루버 벤틸레이터는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뿐 아니라 건축물 등의 통풍구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선박의 내부 공간(예를 들어 거주구, 폭로부)과 연통되게 선체(10)에 설치된다. 선박은 유조선,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유람선, 컨테이너선, 시추선, 잭업리그(jack-up rig), 부유식 저장재기화설비(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부유식 액화천연가스설비(Floating Liquid Natural Gas),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혹은 그 밖의 다양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과 같은 부유체로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선박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111)를 갖는다.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통풍을 위해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루버 벤틸레이터(10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前面)을 차폐시키는 덮개를 갖지 않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의 회전 공간 또는 미닫이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도 되고, 하우징(110)에 덮개를 고정 및 해제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본 실시 예의 루버 벤틸레이터(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별도의 덮개를 추가로 가질 수도 있다.
다수의 개폐판(120a,120b)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를 개폐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다수의 개폐판(120a,120b)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개폐판(120a,120b)은 각각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컨대, 개폐판(120a,120b)은 하우징(110)의 양측면에 관통된 구멍에 중심축이 삽입되어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수의 개폐판(120a,120b)은 제1 개폐판(120a)들과, 제2 개폐판(120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판(120a)은 개폐 레버(170)가 고정된 회전축(130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회전축(130a)은 제1 개폐판(120a)에 각각 고정되어 제1 개폐판(120a)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제2 개폐판(120b)은 개폐 레버(170)가 고정되지 않은 힌지축(130b)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개폐판(120a)과 제2 개폐판(120b)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개폐 부재(140)는 하우징(110)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제1 개폐판(120a)들을 회전시켜 개폐 작동시킨다. 개폐 부재(14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142)들이 형성된다. 관통공(142)에는 회전축(130a)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개폐 레버(170)의 타단이 관통된다. 이에 따라 개폐 레버(170)의 타단은 개폐 부재(140)의 관통공(142)에 구속된 상태가 된다.
개폐 부재(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개폐 레버(170)는 회전축(130a)과 개폐 부재(140) 사이의 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4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에 개폐 레버(17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관통공(142)의 크기(직경)는 개폐 레버(170)의 크기(직경)보다 약간 크게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60)는 개폐 부재(14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공된다. 가이드 부재(160)는 하우징(110)의 측면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160)의 구멍에는 볼트(또는 핀)가 삽입된다. 이 볼트는 개폐 부재(140)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장공(146)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에 너트(162)가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폐 부재(140)는 상부 측과 하부 측의 가이드 부재(1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개폐 스토퍼(150)는 하우징(110)의 측면 상단부에 설치되며, 개폐 부재(140)가 상승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개폐 부재(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개폐 스토퍼(150)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고정된 지지부(152), 지지부(152)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홀에 삽입된 고정핀(15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 부재(14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고정핀(154)을 이동시켜 개폐 부재(140)에 형성된 고정공(144)에 삽입시킴으로써 개폐 부재(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개폐 부재(140)가 하강한 상태에서, 개폐 레버(170)는 수평 방향으로 놓인 상태가 되고, 이때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는 도 1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폐쇄된 상태가 된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개폐판(120a,120b)들은 각각 경사판(122)과, 경사판(122)의 상단부로부터 상향 절곡된 상판(124)과, 경사판(122)의 하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된 하판(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개방 상태(오픈 상태)에서 빗물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개폐 부재(14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1 개폐판(120a)의 하판(126)은 제2 개폐판(120b)의 경사판(122) 하단부 또는 제2 개폐판(120b)의 하판(126) 부분에 접촉되고, 제1 개폐판(120a)의 상판(124)은 제2 개폐판(120b)의 경사판(122) 상단부 또는 제2 개폐판(120b)의 상판(124) 부분에 접촉되고, 제2 개폐판(120b)의 하판(126)은 제1 개폐판(120a)의 경사판(122) 하단부 또는 제1 개폐판(120a)의 하판(126) 부분에 접촉되고, 제2 개폐판(120b)의 상판(124)은 제1 개폐판(120a)의 경사판(122) 상단부 또는 제1 개폐판(120a)의 상판(124) 부분에 접촉되어, 개구부(111)를 폐쇄시키게 된다. 즉 'S' 또는 역 'Z' 형상의 회전형 개폐판을 다수 적용하여 개폐 부재(140)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각 개폐판 양 끝단이 상,하 개폐판의 경사판과 접촉하여 개구부(111)를 이중(2겹)으로 폐쇄시키게 된다.
네트 부재(180)는 인접한 두 개폐판(120a,120b) 사이에 개재된다. 네트 부재(180)의 제1 변부(상변부)는 힌지(184)에 의해 상부 측의 제1 개폐판(120a)(또는 제2 개폐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네트 부재(180)의 제2 변부(하변부)는 힌지(186)에 의해 하부 측의 제2 개폐판(120b)(또는 제1 개폐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개폐판(120a,120b)과 네트 부재(180) 간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84,186)는 개폐판(120a,120b)의 양단부 측에 제공되거나, 개폐판(120a,120b)의 중앙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 개폐판(120a,120b)에는 상부 측의 네트 부재(180)와 연결되는 힌지(186)와 하부 측의 네트 부재와 연결되는 힌지(184)가 각각 제공되며, 이때 두 힌지(184,186)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네트 부재(180)는 다수의 미세공(182)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 네트 구조의 타공판(Plate with Hole)으로 제공될 수 있다. 네트 부재(180)는 개폐판(120a,120b)의 개방 작동시에 조류 및 곤충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 부재(180)는 개폐 부재(140)의 작동에 의해 제1 개폐판(120a)들의 개방 동작시, 제1 개폐판(120a)들의 회전에 따라 제2 개폐판(120b)들의 개방을 유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 부재(180)는 개폐 부재(140)의 작동시 제2 개폐판(120b)에 토크(torque)를 가하여 제2 개폐판(120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힌지축(130b)과 나란한 제2 개폐판(120b)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가장 위쪽에 배치된 개폐판(120a)과 하우징(110)의 상단부 내면의 사이, 그리고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개폐판(120a)과 하우징(110)의 하단부 내면의 사이에는 각각 상부 네트(188)와 하부 네트(190)가 설치된다. 네트 부재(180)와 마찬가지로, 상부 네트(188)와 하부 네트(190) 역시 다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된 와이어 네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네트(188)는 상변이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되고, 하변은 개폐판(120b)의 양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네트(190)는 하변이 하우징(110)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변은 개폐판(120a)의 양단 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네트(188)와 하부 네트(190)는 개폐판(120a,120b)의 개방 작동시에 개폐판(120a,120b)과 하우징(110) 사이의 공간으로 조류 및 곤충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충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40)가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개폐판(120a,12b)들에 의해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는 이중(2겹)으로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를 개방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140)를 올린 후 개폐 스토퍼(150)에 의해 개폐 부재(140)를 고정시키면, 개폐 레버(170)들이 회전하면서 회전축(130a)들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0a)들에 고정된 제1 개폐판(120a)들이 회전하게 되어 하우징(110)의 개구부(111)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개폐판(120a,120b)은 개방 상태에서도 'S'자 형으로 유지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빗물 유입을 방지시킨다.
이때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1 개폐판(120a)들의 회전에 따라 네트 부재(180)들을 통해 제2 개폐판(120b)들에 힘(F1)이 가해지게 되고, 이 힘(F1)과 네트 부재(180)의 힌지(184,186)와 제2 개폐판(120b)의 힌지축(130b) 사이의 거리를 곱한 값 만큼 제2 개폐판(120b)에 토크가 작용하게 되어, 제2 개폐판(120b)이 힌지축(130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 부재(140)의 작동시 제1 개폐판(120a)들과 제2 개폐판(120b)들이 일제히 회전하여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인 개구부(111)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로 한번에(One-time) 신속하게 전환시키게 된다.
하우징(110)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시킬 때에는 개폐 부재(140)에서 개폐 스토퍼(150)를 해제시켜 개폐 부재(140)를 내리는 작동만으로 제1 개폐판(120a)들과 제2 개폐판(120b)들이 개방 전환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하우징(110)이 폐쇄 상태로 한번에(One-time) 전환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개폐 부재(140)에 전체 개폐판들을 연결시키지 않더라도 모든 개폐판들을 네트 부재(180)를 이용하여 동시에 회전 동작시킬 수 있으며, 개폐 레버(170)들의 개수를 줄여 개폐 스토퍼(150), 가이드 부재(160) 등의 부품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100)는 개폐판들(120a,120b)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개폐 역할을 하여, 하우징(110)의 전면부(개방부)에 커버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좁은 구획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한번(One-time) 작동으로 통풍구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루버 벤틸레이터의 폐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루버 벤틸레이터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 측에는 와이어를 감은 도르래(200)가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측면부에는 브래킷(158)에 의해 홀더(holder)(156)가 개폐 레버(170)의 상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르래(200)의 일측에 감겨진 와이어(210)의 단부는 개폐 부재(140)의 상단에 고정되고, 도르래(200)의 타측에는 개방 와이어(230)가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개폐 부재(140)의 하단에는 폐쇄 와이어(220)가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홀더(156)는 탄성적으로 마련된 입출구(156a)와, 입출구(156a)를 통해 삽입된 개폐 레버(170)를 지지하는 지지부(156b)와, 개폐 레버(170)의 지지부(156b)로의 삽입을 유도하는 가이드부(156c)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구(156a)는 개폐 레버(170)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제공되고, 지지부(156b)는 개폐 레버(17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156c)는 입출구(156a)를 향하는 방향으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도시와 같이 루버 벤틸레이터(10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개방 와이어(230)를 하방으로 당기면, 와이어(210)로 장력이 가해져 개폐 부재(140)가 상승하게 되고, 루버 벤틸레이터(100)가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홀더(156)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어 개폐 레버(170)가 상승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부(156b) 내에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개폐 부재(14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개폐 부재(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루버 벤틸레이터(100)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가 폐쇄 와이어(220)를 당겨주게 되면, 개폐 레버(170)가 입출구(156a)를 통해 지지부(156b)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 부재(140)가 하강하게 되면서 루버 벤틸레이터(100)가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 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직접 접근이 불가한 구획에 루버 벤틸레이터(10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루버 벤틸레이터(10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선체 100: 루버 벤틸레이터
110: 하우징 111: 개구부
120a: 제1 개폐판 120b: 제2 개폐판
122: 경사판 124: 상판
126: 하판 130a: 회전축
130b: 힌지축 140: 개폐 부재
142: 관통공 144: 고정공
146: 장공 150: 개폐 스토퍼
152: 지지부 154: 고정핀
160: 가이드 부재 162: 너트
170: 개폐 레버 172: 개폐레버 헤드
180: 네트 부재 182: 미세공
184,186: 힌지 188: 상부 네트
190: 하부 네트

Claims (7)

  1.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다수의 개폐판;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개폐 작동시키는 개폐 부재; 및
    상기 다수의 개폐판 사이에 개재되고, 다수의 미세공이 관통 형성된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루버 벤틸레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개폐 부재를 고정시키는 개폐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루버 벤틸레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부재의 상변부와 하변부는 각각 상기 개폐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루버 벤틸레이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개폐판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개폐 부재의 관통공에 타단이 구속된 개폐 레버를 더 포함하는 루버 벤틸레이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개폐 부재와 와이어로 연결된 도르래;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도르래의 타측에 제공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개방 와이어;
    상기 개폐 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폐쇄 와이어;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개폐 레버의 상부 측에 설치되고, 탄성적으로 마련된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개폐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폐쇄 와이어의 작동시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서 이탈되고, 상기 개방 와이어의 작동시 상기 개폐 레버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상기 지지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홀더를 더 포함하는 루버 벤틸레이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개폐판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상기 제1 개폐판을 제외한 제2 개폐판에 토크를 가하도록, 상기 제2 개폐판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루버 벤틸레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최상부 측의 개폐판에 하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내면에 상변부가 고정된 상부 네트; 및
    상기 다수의 개폐판 중 최하부 측의 개폐판에 상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내면에 하변부가 고정된 하부 네트를 더 포함하는 루버 벤틸레이터.
KR1020160069455A 2016-06-03 2016-06-03 루버 벤틸레이터 KR10186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55A KR101864740B1 (ko) 2016-06-03 2016-06-03 루버 벤틸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455A KR101864740B1 (ko) 2016-06-03 2016-06-03 루버 벤틸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385A true KR20170137385A (ko) 2017-12-13
KR101864740B1 KR101864740B1 (ko) 2018-06-07

Family

ID=6094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455A KR101864740B1 (ko) 2016-06-03 2016-06-03 루버 벤틸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3177A (zh) * 2017-12-19 2018-06-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在舱壁人孔处放置风机的承托装置
KR102096225B1 (ko) * 2019-08-21 2020-04-03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루버 블레이드 개폐장치
CN114132477A (zh) * 2021-11-24 2022-03-04 天长市平安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防潮型船用循环风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771A (ko) * 2007-11-16 2009-05-20 황만석 환기창
KR20110058762A (ko) * 2011-05-02 2011-06-01 서한호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20120007586A (ko) 2010-07-15 2012-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 장치
KR101518288B1 (ko) * 2014-01-09 2015-05-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히트 트레이싱용 루버 벤틸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771A (ko) * 2007-11-16 2009-05-20 황만석 환기창
KR20120007586A (ko) 2010-07-15 2012-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 장치
KR20110058762A (ko) * 2011-05-02 2011-06-01 서한호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101518288B1 (ko) * 2014-01-09 2015-05-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히트 트레이싱용 루버 벤틸레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3177A (zh) * 2017-12-19 2018-06-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在舱壁人孔处放置风机的承托装置
CN108163177B (zh) * 2017-12-19 2023-08-08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在舱壁人孔处放置风机的承托装置
KR102096225B1 (ko) * 2019-08-21 2020-04-03 주식회사 동양이엔지 루버 블레이드 개폐장치
CN114132477A (zh) * 2021-11-24 2022-03-04 天长市平安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防潮型船用循环风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40B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740B1 (ko) 루버 벤틸레이터
US9217315B2 (en) Subsea well template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KR20110134256A (ko) 풍력 에너지 장치의 나셀의 패널
US20120000665A1 (en) Well template and method for use thereof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KR200473446Y1 (ko) 선박용 루버장치
KR20120130095A (ko) 해양 플랫폼을 위한 압력 경감 패널
US11598318B2 (en) Assembly and method for preventing exposure of personnel to an opening defined by a surface of a wind turbine
KR101635160B1 (ko) 사장교형 다중 힌지 가동교의 에너지 저감 구동방법
KR101968578B1 (ko) 권양기 커버
KR101682277B1 (ko) 협소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문풀 해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1032965A (ja) ハッチカバー装置
KR20130059837A (ko) 선박의 문풀 구조
JP3133621U (ja) 真空チャンバ、および真空成膜装置
KR101778465B1 (ko) Rcs 감소용 스크린용 망 및 이를 이용한 구명정 출입구 도어
JP2007068913A (ja) スライド式防火シャッタ
JP4120987B2 (ja) 自動通船ゲート
KR101400008B1 (ko) 대상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선박용 리프팅 장치
PL124370B1 (en) Loading apparatus
KR101789767B1 (ko) 독립 자가 수밀 방식 플립형 제수문 항만장비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KR101701763B1 (ko) 데릭
KR200464234Y1 (ko) 권양기 캐노피
KR101148075B1 (ko) 선박용 보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