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745B1 - 선박용 해치 환기구 - Google Patents

선박용 해치 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745B1
KR101623745B1 KR1020140164149A KR20140164149A KR101623745B1 KR 101623745 B1 KR101623745 B1 KR 101623745B1 KR 1020140164149 A KR1020140164149 A KR 1020140164149A KR 20140164149 A KR20140164149 A KR 20140164149A KR 101623745 B1 KR101623745 B1 KR 10162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shaft
clos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4016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4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대칭되도록 상단면 및 하단면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폐날개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는 링크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링크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 끝단에 설치되는 링크바와,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구동 시키는 작동레버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단 또는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작동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에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는 작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바는, 상기 작동바 고리를 상기 작동레버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레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링크바 및 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연동되어 구동하여, 상기 샤프트에 체결된 개폐날개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 내측을 개방 또는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에 관한 것.

Description

선박용 해치 환기구{LOUVER AIR VENT FOR HATCH COVER}
본 발명은, 선박용 해치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치커버 전방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외부방향으로 마련되는 표시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라고 하면 선박의 창구 및 승강구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하기 위하여 갑판에 열려 있는 관통부를 통칭한다. 해치는, 선체의 강도 및 안전상 필요한 최소한도의 크기로 제작되어지나, 크기가 큰 선체의 특성상 보편적으로 하역능률 향상의 견지에서 클수록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창 안으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 통로를 카고해치라고 하며, 해수가 선내에 흘러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치의 주위에 충분한 높이의 해치코밍을 설치하여 그 상부를 덮어씌우는 것을 해치커버라고 한다.
한편, 종래의 해치커버 중 선박 내부의 환기를 위해 배기관 등에 사용되는 해치커버는, 선체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며, 환기를 위해서는 해치커버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하방으로 회동하여 차폐된다. 이러한 경우 사랍의 수작업에 의해 해치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있으며, 개방시 해치커버를 상부로 들어올리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며, 강풍이 불때는,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는 해치커버의 경우 해치커버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폐쇄할 때, 해치커버에 가속도가 붙어 해치커버가 파손되거나, 힌지부분의 파손으로 인해 해치커버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발명인 선박용 해치커버 장치에 관한 내용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5195호(2013.12.19)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치커버를 개방할 때, 해치커버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구성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는 해치커버를 개방하는데 애로사항이 발생하였다.
인용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45195(2013.12.19)
본 발명의 선박용 해치 환기구는, 해치커버를 구성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며,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표시부에 의해 해치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날개에 의해 해치 내부로 빗물 등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프레임 날개 사이에 마련되는 와이어메쉬에 의해 해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는,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대칭되도록 상단면 및 하단면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폐날개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는 링크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링크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 끝단에 설치되는 링크바와,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구동 시키는 작동레버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단 또는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작동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에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는 작동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바는, 상기 작동바 고리를 상기 작동레버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프레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레버의 구동에 의해 상기 링크바 및 링크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연동되어 구동하여, 상기 샤프트에 체결된 개폐날개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프레임 내측을 개방 또는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날개 전방에는, 상기 프레임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판상형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날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날개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레버 전방의 상기 프레임 일측에는, 상기 개폐날개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링크바 상단에는,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 중심을 관통하는 설치되는 표시바가 마련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링크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표시부에 상기 개폐날개의 개방 또는 폐쇄를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날개 후단에는, 상기 개폐날개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프레임 날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 하단 또는 상단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개폐날개의 폐쇄각도를 한정하는 프레임 스토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날개 양끝단에는, 상기 개폐날개 양끝단을 감싸며 형성되는 연질부재의 완충부재가 더 마련되어, 서로 인접하는 개폐날개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의 흡수 및 개폐날개 사이의 간격을 밀실하게 만들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용 해치 환기구는, 해치커버를 구성하지 않아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며,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는 표시부에 의해 해치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 날개에 의해 해치 내부로 빗물 등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고, 프레임 날개 사이에 마련되는 와이어메쉬에 의해 해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작동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작동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표시부 정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선박용 해치 환기구는, 장방형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20)와,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대칭되도록 상단면 및 하단면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폐날개(3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0) 일측 끝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는 링크(4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링크(40)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40) 끝단에 설치되는 링크바(50)와, 상기 샤프트(20) 일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20)를 회전구동 시키는 작동레버(60)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단 또는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작동바 고리(72)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에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74)가 마련되는 작동바(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선박용 해치 환기구에는, 프레임(10)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은, 장방형 형성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사각틀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 내측에는, 샤프트(20)가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샤프트(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10) 내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40)가 체결된다.
상기 샤프트(20)에는, 개폐날개(30)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날개(3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대칭되도록 상단면 및 하단면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날개(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날개(30)가 수직방향(도 4에서)으로 위치할 때, 상기 개폐날개(30)의 일측은, 상부방향(도 4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우측방향(도 4에서)으로 사선으로 절곡된 후 다시 좌측방향(도 4에서)으로 사선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폐날개(30)의 타측은, 하부방향(도 4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좌측방향(도 4에서)으로 사선으로 절곡된 후 다시 우측방향(도 4에서)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개폐날개(30)가 수직방향(도 4에서)으로 위치할 때, 상기 개폐날개(30)의 양끝간이 서로 겹치도록 위치시켜, 상기 개폐날개(30) 가 밀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날개(30)가 도 4에서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할때는, 상기 개폐날개(30) 구조적 특징에 의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10)을 폐쇄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40), 링크바(50) 및 작동레버(60)에 의해 상기 샤프트(20)가 회전구동을 하게 되면 상기 개폐날개(3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도 4에서) 하방 경사지게 위치하면서 상기 프레임(10)을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날개(30)는, 상기 샤프트(2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는,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상기 개폐날개(30)가 회동하여, 상기 개폐날개(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샤프트(20) 일측 끝단에는, 링크(40)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링크(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20) 일측 끝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된다. 즉, 상기 링크(40) 일측은 상기 샤프트(20) 일측 끝단과 고정 체결되고, 타측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바(50)에 고정 체결된다.
또한, 상기 링크(40)는, 상기 샤프트(20)에 각각 마련된다. 즉, 상기 샤프트(20)의 설치장소에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바(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샤프트(20)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40) 끝단에는, 링크바(50)가 마련된다. 상기 링크바(5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링크(40)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40) 끝단에 설치된다. 즉, 상기 링크바(50)는, 동일간격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40) 끝단에 형성되는 중공과 체결되어 상기 링크(40)를 동일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샤프트(20) 일측에는, 작동레버(60)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레버(60)는,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20)를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작동레버(60)는, 일측이 상기 샤프트(20) 끝단에 고정 체결되며, 상기 작동레버(60) 타측의 위치변화에 따라 상기 샤프트(20)가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레버(60) 일측은 상기 샤프트(20)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작동바 고리(72)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마련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작동바(7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60)를 작동하여 상기 샤프트(20)를 회전구동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인 선박용 해치 환기구에는 작동바(70)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바(7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단 또는 하단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작동바 고리(72)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에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74)가 마련된다. 즉, 상기 작동바(70)는,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휴대되며, 상기 손잡이(74)가 사용자에게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 고리(72)를 상기 작동레버(60) 타측의 홀에 삽입하여 상기 작동레버(60)의 타측을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작동레버(60), 링크바(50), 링크(40), 샤프트(20) 및 개폐날개(3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작동바(70) 고리를 상기 작동레버(60) 상단(도 5에서)의 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70)를 우측방향(도 5에서) 이동시켜 상기 작동레버(60)를 우측방향(도 5에서)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샤프트(2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샤프트(20)가 회동하게 되면, 최상단(도 5에서)의 링크(40)의 좌측끝단(도 5에서)이 상부(도 5에서)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링크(40) 끝단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링크바(50)도 상부(도 5에서)로 이동하게 되면서 각각의 상기 샤프트(20)가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샤프트(20)에 의해 상기 샤프트(20)에 고정된 상기 개폐날개(3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프레임(10) 내측이 개방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인 선박용 해치 환기구의 개방작동을 설명하였으며, 폐쇄작동은, 상기 작동레버(60)를 좌측으로(도 5에서) 이동시켜 상기 샤프트(2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폐쇄하게 되며, 자세한 구동은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작동한다.
상기 프레임(10) 전방에는, 프레임 날개(12)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 날개(12)는,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10)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판상형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프레임 날개(12)는, 판상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10) 우측에서 좌측(도 4에서)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상기 프레임(10) 전방에서 내측으로 들어오는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날개(12) 사이에는, 와이어메쉬(14)가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메쉬(14)는, 상기 프레임 날개(12)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 격자형상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프레임(10)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레버(60) 전방의 상기 프레임(10) 일측에는, 표시부(80)가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80)는, 상기 프레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개폐날개(30)의 개폐여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표시부(80) 중심에는, 홀이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표시바(62)가 위치하여 상기 표시바(62)의 위치에 의해 상기 개폐날개(30)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링크바(50) 상단에는, 표시바(62)가 마련된다. 상기 표시바(62)는, 상기 프레임(10)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80) 중심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표시바(62)는, 상기 표시부(80) 중심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링크바(50)가 상기 프레임(10)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동되러 이동하여 상기 표시부(80)에 상기 개폐날개(30)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 날개(12) 후단에는, 프레임 날개 스토퍼(16)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 날개 스토퍼(16)는, 상기 프레임 날개(12)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날개(30)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프레임 날개 스토퍼(16)는, 상기 개폐날개(30)의 하단(도 4에서)이 상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각도를 한정하여 상기 개폐날개(30)의 개방각도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 내측 하단 또는 내측 상단 중 어느 한곳에는, 프레임 스토퍼(18)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 스토퍼(18)는, 상기 프레임(10) 내측 하단 또는 내측 상단 중 어느 한곳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날개(30)의 폐쇄각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프레임 스토퍼(18)는, 상기 개폐날개(30)가 시계반대 방향(도 4에서)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10) 내측을 폐쇄할 때, 상기 개폐날개(30)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레임(10) 내측을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폐날개(30) 양끝단에는, 완충부재(32)가 마련된다. 상기 완충부재(32)는, 상기 개폐날개(30) 양끝단을 감싸며 각각 형성되고, 연질부재 마련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개폐날개(30)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의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날개(30) 사이의 간격을 밀실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2 : 프레임 날개
14 : 와이어메쉬
16 : 프레임 날개 스토퍼
18 : 프레임 스토퍼
20 : 샤프트
30 : 개폐날개
32 : 완충부재
40 : 링크
50 : 링크바
60 : 작동레버
62 : 표시바
70 : 작동바
72 : 작동바 고리
74 : 손잡이
80 : 표시부

Claims (6)

  1.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고, 양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대칭되도록 상단면 및 하단면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개폐날개;
    서로 인접하는 개폐날개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의 흡수 및 인접하는 개폐날개 사이의 간격을 밀실하게 만들어 주도록 상기 개폐날개 양끝단을 감싸는 연질의 완충부재;
    상기 프레임 내측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지는 판상 형상으로 상기 개폐날개 전방에 설치되는 프레임 날개;
    상기 프레임 날개 사이에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메쉬;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각각 독립적으로 체결되는 링크;
    판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링크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 끝단에 설치되는 링크바;
    상기 샤프트 일측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구동 시키는 작동레버;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이 상단 또는 하단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 끝단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는 작동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에게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는 작동바;
    상기 작동레버 전방의 상기 프레임 일측에 상기 개폐날개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표시부;
    상기 링크바 상단에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표시바;
    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바의 이동을 통해서 상기 작동레버, 링크바, 링크 및 샤프트가 상호 연동되어, 상기 샤프트에 체결된 개폐날개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 내측을 개방 또는 개폐시키고, 상기 표시바가 상기 표시부에 상기 개폐날개의 개방 또는 폐쇄를 표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날개 후단에는,
    상기 개폐날개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프레임 날개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내측 하단 또는 상단 중 어느 한곳에는,
    상기 개폐날개의 폐쇄각도를 한정하는 프레임 스토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구.
  6. 삭제
KR1020140164149A 2014-11-24 2014-11-24 선박용 해치 환기구 KR10162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49A KR101623745B1 (ko) 2014-11-24 2014-11-24 선박용 해치 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149A KR101623745B1 (ko) 2014-11-24 2014-11-24 선박용 해치 환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745B1 true KR101623745B1 (ko) 2016-05-24

Family

ID=5611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149A KR101623745B1 (ko) 2014-11-24 2014-11-24 선박용 해치 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7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551Y1 (ko) * 2002-10-01 2003-02-12 주식회사현대밸브 급속배기변이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
KR200475035Y1 (ko) *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551Y1 (ko) * 2002-10-01 2003-02-12 주식회사현대밸브 급속배기변이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
KR200475035Y1 (ko) * 2013-10-10 2014-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방연댐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505B2 (ja) ハッチカバーの昇降と水平移動を電動ウインチにより一連に駆動するハッチカバー開閉装置
CN105383680B (zh) 飞机舱门应急滑梯预位触发机构
ES2935833T3 (es) Puerta de arrastre con medios de ajuste
CN103832544B (zh) 船舶用舱盖装置
KR101191665B1 (ko) 선박의 화물 적재용 도어
CN104118533B (zh) 具有包括两个打开选择的船尾舱口的船
CN105951919B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
KR20170021985A (ko) 루버가 구비된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KR101623745B1 (ko) 선박용 해치 환기구
JP6759469B2 (ja) トラック荷台のカバー装置
KR20110101966A (ko) 선박용 해치커버의 에어벤트
WO2019037157A1 (zh) 一种船舱盖
JP2017087886A (ja) 船舶用ハッチ換気装置
KR101704428B1 (ko)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KR20170137385A (ko) 루버 벤틸레이터
EP2623412A1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CN106697195A (zh) 船舶用舱口换气装置
JP5253594B1 (ja) 船倉用弁装置
KR200469252Y1 (ko)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US9557145B2 (en) Vehicle equipped with a door protection device ensuring an optimization of the opening clearance
KR101770421B1 (ko) 웨더 타이트 댐퍼
KR101763256B1 (ko) 이중 회동개폐식 댐퍼
CN210653609U (zh) 一种带操纵杆的矩形通风帽
US3467164A (en) Cover for a part vertical,part horizontal opening
CN205396448U (zh) 连杆式艇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