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428B1 -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28B1
KR101704428B1 KR1020150135574A KR20150135574A KR101704428B1 KR 101704428 B1 KR101704428 B1 KR 101704428B1 KR 1020150135574 A KR1020150135574 A KR 1020150135574A KR 20150135574 A KR20150135574 A KR 20150135574A KR 101704428 B1 KR101704428 B1 KR 10170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opening
closing
frame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50135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사광선이나 우수를 막고 통풍 및 환기가 가능함은 물론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형(方形)의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미늘판이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루버를 형성하는 루버플레이트;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샤프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커버; 상기 각각의 개폐커버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링크편; 상기 각각의 링크편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링크편의 단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바; 상기 각각의 샤프트 양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홀더; 및 상기 각각의 개폐홀더 중 하나에 파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Hatch ventilation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광선이나 우수를 막고 통풍 및 환기가 가능함은 물론 간단한 조작만으로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치라고 하면 선박의 창구 및 승강구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특히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하기 위하여 갑판에 열려 있는 관통부를 통칭한다. 이러한 해치는 선체의 강도 및 안전상 필요한 최소한도의 크기로 제작되어지나, 크기가 큰 선체의 특성상 보편적으로 하역능률 향상의 견지에서 클수록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창 안으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 통로를 카고해치라고 하며, 해수가 선내에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치의 주위에 충분한 높이의 해치코밍을 설치하여 그 상부를 덮어씌우는 것을 해치커버라고 한다.
한편, 해치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직사광선이나 비를 막고 통풍 및 환기를 위해, 상기 해치커버 내측으로 방형(方形)의 중공이 형성된 프레임에 루버(louver)가 설치된다.
종래의 해치커버 중 선박 내부의 환기를 위해 배기관 등에 사용되는 해치커버는, 선체 벽면에 부착되며 환기를 위해서는 해치커버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하방으로 회전하여 차폐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해치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고 있으며, 개방시 해치커버를 상부로 들어올리기 위해 많은 힘이 필요하며, 강풍이 불 때에는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량이 많이 나가는 해치커버의 경우 하방으로 이동시켜 폐쇄할 때, 해치커버에 가속도가 붙어 해치커버가 파손되거나, 힌지부분의 파손으로 인해 해치커버가 파손되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해치커버는 개방시 벽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일정 공간을 요구하는데, 해치커버가 수직으로 회전하기 힘든 좁은 통로의 경우 상기와 같은 해치커버 자체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101966 A KR 10-1193899 B1 KR 20-0334166 Y1 KR 20-2015-0001719 U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 개방시 직사광선이나 우수를 막고 통풍 및 환기가 가능함은 물론 적은 힘으로도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경량 자재를 이용해 해치의 개방 및 폐쇄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치커버를 개방하지 못하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치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형(方形)의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미늘판이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루버를 형성하는 루버플레이트;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샤프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커버; 상기 각각의 개폐커버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링크편; 상기 각각의 링크편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링크편의 단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바; 상기 각각의 샤프트 양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홀더; 및 상기 각각의 개폐홀더 중 하나에 파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커버의 폐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커버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져 양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커버 양단부에는 합성고무 재질의 완충부재가 형성되어져, 서로 인접한 개폐커버 또는 걸림부재의 단부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맞닿는 부분을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미늘판은, 판 형상의 베이스로부터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늘판은 복수개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bending)되어 루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샤프트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반경에 대한 복원력(역회전하려는 힘)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환기장치 개방시 직사광선이나 우수를 막고 통풍 및 환기가 가능함은 물론 개폐커버가 반자동으로 동작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경량의 자재를 이용하여 개폐커버를 구성하므로 해치의 개방 및 폐쇄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해치커버를 개방하지 못하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치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2는 도1의 측면도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폐커버의 폐쇄(3a) 및 개방(3b) 상태를 나타내는 도1의 측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중 루버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형(方形)의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루버플레이트(200)와,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을 관총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300)에 축결합되는 개폐커버(400)와, 상기 샤프트(30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링크편(500)과, 상기 링크편(500)의 단부와 힌지결합되는 링크바(600)와, 상기 샤프트(300)의 양단부에 축결합되는 개폐홀더(700)와, 상기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레버(800)를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00)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해치의 둘레부를 따라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및 폐쇄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이미지가 형성된 표지판(9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한 레버(800)와 연동하여 개폐커버(40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가 식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4에 예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표지판(900)에는 개방을 의미하는 'OPEN'과 폐쇄를 의미하는 'CLOSE'가 이격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버(800)의 끝단부 위치를 보고 개폐커버(400)의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표지판(900)의 양단부에는 상기 레버(800)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한 쌍의 걸림돌기 사이로 상기 레버(800)의 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레버(800)의 작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루버플레이트(2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미늘판(220)이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루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미늘판(220)은 상부에서 하부로 들어오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루버플레이트(200)의 미늘판(22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의 베이스로부터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미늘판(220)은 복수개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bending)되어(도5에서 'B'로 표기된 부분) 루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환기장치에 루버를 형성함에 있어 용접이 필요없는 간단한 작업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루버를 레이저 커팅 및 벤딩 공정으로 자동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오작(誤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플레이트(200)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2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메쉬(240)는 격자형상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이물질이나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샤프트(300)는 상기 루버플레이트(200)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데, 복수개가 형성될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개폐커버(40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샤프트(300)에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의 중공부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0)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커버(400)의 폐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재(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복수의 개폐커버(400)가 밀실을 위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개폐커버(4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개폐커버(400)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져 양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폐커버(400)가 수직으로 위치할 때 양단부 끝단이 서로 겹치도록 위치하게 되므로 밀실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샤프트(300)와 축결합된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회전이 용이하며, 회전 중심이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있는 회전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개폐커버(400) 양단부에는 합성고무 재질의 완충부재가 형성되어져, 서로 인접한 개폐커버(400) 또는 걸림부재(120)의 단부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맞닿는 부분이 보다 견고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링크편(500)은 상기 각각의 개폐커버(400)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작은 조각 형태로서, 복수개의 개폐커버(400)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링크바(600)는 상기 각각의 링크편(500)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링크편(500)의 단부와 각각 힌지결합된다. 즉, 하나의 링크편(5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링크편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다른 링크편에 고정결합된 개폐커버(400)가 서로 연동하여 동일한 반경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홀더(700)는 상기 각각의 샤프트(300) 양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홀더(700)는 샤프트(300)의 회전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300)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720)와, 상기 샤프트(300)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7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 반경에 대한 복원력(역회전하려는 힘)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740)과, 상기 케이스(720)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볼플런저(760)를 포함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개폐홀더(700)는 샤프트(300)가 일정 반경 회전하면 상기 볼플런저(760)에 의해 일정 위치에서 걸림 지지되며, 레버(800)를 통해 상기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리턴스프링(740)이 탄성복원되어 샤프트(300)가 다시 본래의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홀더(700)는 반자동으로 동작하여 상기 샤프트(30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므로 개폐커버(400)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개폐홀더(700)는 상기 샤프트(300)의 양단부 모두에 개별 적용되어 복수개의 샤프트(300)가 보다 정확한 회전 반경으로 연동돌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레버(800)는 상기 각각의 개폐홀더(700) 중 하나에 파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한다. 즉,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복수개의 샤프트(300) 중 가장 위쪽에 하나의 개폐홀더(700)에만 장착되며, 상기 레버(800)가 장착되는 개폐홀더(700)에만 볼플런저(760)가 적용되고, 나머지 개폐홀더(700)에는 리턴스프링(740)만 적용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항이다.
여기서, 상기 레버(800)를 작동시키면 하나의 샤프트(300)만 구동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개폐커버(400)와 링크편(500) 및 링크바(600)에 의해 복수개의 샤프트(300)가 서로 연동하여 동일한 회전 반경으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환기장치 개방시 직사광선이나 우수를 막고 통풍 및 환기가 가능함은 물론 개폐커버가 반자동으로 동작하여 적은 힘으로도 개방 및 폐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경량의 자재를 이용하여 개폐커버를 구성하므로 해치의 개방 및 폐쇄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해치커버를 개방하지 못하는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하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해치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프레임
120: 걸림부재
200: 루버플레이트
220: 미늘판
240: 와이어메쉬
300: 샤프트
400: 개폐커버
500: 링크편
600: 링크바
700: 개폐홀더
720: 케이스
740: 리턴스프링
760: 볼플런저
800: 레버
900: 표지판

Claims (7)

  1. 방형(方形)의 중공부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미늘판이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루버를 형성하는 루버플레이트;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측면을 관통하여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샤프트에 축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중공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커버;
    상기 각각의 개폐커버 일측에 고정결합되는 링크편;
    상기 각각의 링크편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링크편의 단부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링크바;
    상기 각각의 샤프트 양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개폐홀더; 및
    상기 각각의 개폐홀더 중 하나에 파지 가능한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제공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샤프트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반경에 대한 복원력(역회전하려는 힘)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볼플런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커버의 폐쇄 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는 단면이 마름모 형태로 이루어져 양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 양단부에는 합성고무 재질의 완충부재가 형성되어져, 서로 인접한 개폐커버 또는 걸림부재의 단부가 서로 맞닿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맞닿는 부분을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미늘판은,
    판 형상의 베이스로부터 “└┘”형상으로 절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미늘판은 복수개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bending)되어 루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플레이트의 내측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와이어메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7. 삭제
KR1020150135574A 2015-09-24 2015-09-24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KR10170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74A KR101704428B1 (ko) 2015-09-24 2015-09-24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574A KR101704428B1 (ko) 2015-09-24 2015-09-24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428B1 true KR101704428B1 (ko) 2017-02-09

Family

ID=5815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574A KR101704428B1 (ko) 2015-09-24 2015-09-24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8973A (zh) * 2019-03-07 2019-06-1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风雨密百叶窗
CN114352557A (zh) * 2022-01-21 2022-04-15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风机及船舶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896U (ko) * 1987-01-23 1988-07-26
KR200209528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KR200334166Y1 (ko) 2003-08-12 2003-11-22 주식회사 태건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KR20110101966A (ko) 2010-03-10 2011-09-16 김영진 선박용 해치커버의 에어벤트
KR101193899B1 (ko) 2010-11-29 2012-10-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치 커버의 루버 벤트 자동 잠금 장치
KR20140011457A (ko) * 2012-07-17 2014-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20150001719U (ko) 2013-10-28 2015-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작성이 향상된 선박의 루버 통풍구용 커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5896U (ko) * 1987-01-23 1988-07-26
KR20010011199A (ko) * 1999-07-26 2001-02-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경보 방법
KR200209528Y1 (ko) *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334166Y1 (ko) 2003-08-12 2003-11-22 주식회사 태건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KR20110101966A (ko) 2010-03-10 2011-09-16 김영진 선박용 해치커버의 에어벤트
KR101193899B1 (ko) 2010-11-29 2012-10-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치 커버의 루버 벤트 자동 잠금 장치
KR20140011457A (ko) * 2012-07-17 2014-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20150001719U (ko) 2013-10-28 2015-05-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작성이 향상된 선박의 루버 통풍구용 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8973A (zh) * 2019-03-07 2019-06-1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风雨密百叶窗
CN109898973B (zh) * 2019-03-07 2024-03-19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风雨密百叶窗
CN114352557A (zh) * 2022-01-21 2022-04-15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风机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428B1 (ko)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EP2561224B1 (en) Tower section closure
KR20170021985A (ko) 루버가 구비된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US20140290553A1 (en) Marine docking stations
CA2832539C (en) Screen corner attachment
EP2555966B1 (de) Schiff mit einem in einem raster angelegtem befestigungsmittel auf der ladefläche
JP2017087886A (ja) 船舶用ハッチ換気装置
KR200473446Y1 (ko) 선박용 루버장치
CN205469647U (zh) 船用防海盗登船装置
CN106697195A (zh) 船舶用舱口换气装置
CN202012996U (zh) 一种外开式菌形通风筒
JP2015218573A (ja) 津波救命カーボート
JP6542404B1 (ja) ベントポスト兼用コンテナシート
CN104989196A (zh) 一种单柱双点内开式隐形安全门连杆机构
KR101623745B1 (ko) 선박용 해치 환기구
KR20140015982A (ko) 밸러스트 탱크의 공기 배출구용 도어
CN204877161U (zh) 一种单柱双点内开式隐形安全门
CN104963606A (zh) 一种单柱双点内开式隐形安全门
KR102514794B1 (ko) 원거리 개폐형 루버벤트
CN208683058U (zh) 一种人孔盖和桩靴
CN216546576U (zh) 一种用于船用舱盖的通风盖板
DE102012202845B4 (de) Transportverpackung
KR20160001732U (ko)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CN220786113U (zh) 一种集装箱船货舱扇环型通风帽装置
WO2008071880A3 (fr) Équipement facilitant la mise en place des dispositifs destinés a rendre solidaires des conteneurs superposés embarqués sur un nav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