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732U -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 Google Patents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732U
KR20160001732U KR2020140008338U KR20140008338U KR20160001732U KR 20160001732 U KR20160001732 U KR 20160001732U KR 2020140008338 U KR2020140008338 U KR 2020140008338U KR 20140008338 U KR20140008338 U KR 20140008338U KR 20160001732 U KR20160001732 U KR 20160001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ent
gooseneck
rop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732U/ko
Publication of KR20160001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Abstract

본 고안은 구즈넥 벤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을 위치하며 로프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연결된 로프가 걸쳐져 힘과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풀리와, 상기 로프의 타단에 설치하며 룸 내부로 유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함으로서,
커버의 일측에 고정된 로프가 상기 풀리를 걸쳐진 상태로 룸의 내부까지 도달되어 있으므로 구즈넥 벤트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룸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룸 내부에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니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GOOSENECK VENT FOR PROTECTING AGAINST COLD WITH ADJUSTABLE OPENING AND CLOSING IN ROOM}
본 고안은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룸 상부에 자연환기용으로 설치되는 구즈넥 벤트 내부에 고정도르래와 로프를 이용하여 룸 내부에서도 벤트의 커버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통행 및 접근이 어려운 구역이거나 추운 지방에서도 쉽게 구즈넥 벤트의 커버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갑판에는 선실 또는 화물탱크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거나 내부 공기 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벤트(Vent)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선박용 에어 벤트는 선박에 수개가 장치되어 공기를 선박의 내부공기와 외부공기를 통풍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선박용 에어벤트는 원통형 파이프, 사각 덕트, 직관 또는 곡관 형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대형의 구즈넥형 벤트(거위목형 통풍구: Gooseneck Type Vent)의 경우를 예를 들면, 커버의 무게만 하여도 그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50kg에서 많게는 100kg에 이르러 작업자 한명으로는 커버의 개폐 및 볼트 고정이 불가능하여 적어도 2인 이상의 작업자에 의한 협력이 필요함에 따라 커버의 개폐 및 고정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3209 호를 출원하였으며, 출원된 고안의 내용은 구즈넥 벤트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이 커버를 열고 닫을 때 커버가 회동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전방의 커버와 후방의 균형추 간의 무게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게균형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커버를 열고 닫을 때 커버가 회동하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전/후방의 무게 균형을 조절하여 1인의 작업자에 의하여도 충분히 커버를 개폐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개폐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 외부에 설치된 자연 환기장치용 구즈넥 커버(200)를 열고/닫기 위해서는 룸 상부(외부)로 사람이 접근해야만 했으며, 북극과 같이 날씨가 추운 지방에서는 많은 얼음 알갱이와 눈이 데크에 쌓이게 되며, 외부에서 통행 및 접근이 어려운 구역이 많아 커버를 개폐하는데 어려운 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3209 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무게가 무거운 대형 규격의 커버를 들어올리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즈넥 벤트의 일측에 다수개의 풀리를 설치하며, 커버의 일측에 고정된 로프가 상기 풀리를 걸쳐진 상태로 룸의 내부까지 도달되어 있으므로 구즈넥 벤트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룸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룸 내부에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장치의 일측에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고정장치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환봉에 결착되어 있는 커버를 룸 내부에서 사용자가 로프를 잡아당기고 다시 풀으므로서 커버를 오픈하거나 잠금상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아래 제안된 구즈넥 벤트에 구비된 중량물의 커버를 룸내부에서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즈넥 벤트로서,
구즈넥 벤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을 위치하며 로프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연결된 로프가 걸쳐져 힘과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풀리와, 상기 로프의 타단에 설치하며 룸 내부로 유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에 의하면, 무게가 무거운 대형 규격의 커버를 들어올리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즈넥 벤트의 일측에 다수개의 풀리를 설치하여 1인의 작업자에 의하여도 충분히 커버를 개폐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 개폐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의 일측에 고정된 로프가 상기 풀리를 걸쳐진 상태로 룸의 내부까지 도달되어 있으므로 구즈넥 벤트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룸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룸 내부에서 손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구즈넥 벤트의 커버 개폐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발명의 구성요소인 구즈넥 벤트 본체, 커버 등의 기본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실시예에 따라 「'」로 각각 표현되며,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 커버 등의 하부 구성이 일 실시예와 동일할 경우에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의 사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구즈넥 벤트에 구비된 중량물의 커버를 룸 내부에서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즈넥 벤트의 커버 개폐구조로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즈넥 벤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20)의 일측을 위치하며 로프(4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30)와, 상기 고정장치(30)에 연결된 로프(40)가 걸쳐져 힘과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풀리(50)와, 상기 로프(40)의 타단에 설치하며 룸 내부로 유입되는 손잡이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10)는 단부가 ∩형 또는 S형 등으로 하향 절곡된 모든 형태의 벤트를 포함하며,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통기구(11)와, 상기 통기구(11)의 일측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커버(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통기구(11)의 전면에 배치되어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구(11)의 전면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즈넥 벤츠 본체(10)의 통기구(11) 단부를 커버(20)에 의하여 폐쇄하였을 경우, 파도 또는 기타 환경적인 여건에 의하여 선박이 기울어졌을 때 커버(20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벤트 본체(10)와 커버(20)를 체결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고정하는 방법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커버(20)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30)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로프(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프(40)는 일단이 상기 고정장치(30)에 묶여 상기 커버(2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20)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굵기를 가지며 섬유 또는 강선을 이용한다. 다만, 상기 로프(40)는 통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풀리(50)는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10)의 일면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다른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로프(40)를 걸 수 있도록 내측에 축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축바퀴는 단면이 평면한 것을 사용하거나, 로프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풀리(50)는 중량의 커버(20)를 손쉽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힘을 분산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풀리(5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즈넥 벤츠 본체(10)의 단부 형상에 따라 위치하며 대략 4개정도의 풀리(50)를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4개 이상 또는 4개 이하로 설치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60)는 상기 로프(40)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룸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룸 내부에서 손을 뻗었을 때 닿을 수 있도록 하며, 파지하기 편리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20)를 룸 내부에서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즈넥 벤트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2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20')의 일측을 위치하며 로프(40')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30')와, 상기 고정장치(30')에 연결된 로프(40')가 걸쳐져 힘과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풀리(50')와, 상기 로프(40')의 타단에 설치하며 룸 내부로 유입되는 손잡이부(6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고정장치(30')에는 상기 커버(20')를 잠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장치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환봉(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10')는 단부가 ∩형 또는 S형 등으로 하향 절곡된 모든 형태의 벤트를 포함하며,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하는 통기구(11')와, 상기 통기구(11')의 일측에 위치하며 후술되는 커버(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구(11')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환봉(70')을 포함한다.
상기 환봉(70')은 후술되는 고정장치(30')의 결착홈(32')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억지끼움식이 아닌 헐거울 끼움식으로 결착될 수 있도록 환봉(70')의 단면적은 상기 결착홈(32')의 단면적보다 작게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통기구(11)의 전면에 배치되어 힌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구(11)의 전면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장치(30')는 상기 커버(20')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장치(30)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후술되는 로프(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통공(31')과, 상기 고정장치(30')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환봉(70')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홈(32')과, 상기 고정장치(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장치(30')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장치(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일정한 위치까지만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토퍼(34')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40')는 일단이 상기 고정장치(30')의 통공(31')에 묶여 상기 커버(20)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20')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굵기를 가지며 섬유 또는 강선을 이용한다. 다만, 상기 로프(40')는 통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풀리(50')는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10')의 일면에 한개 또는 다수개 형성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다른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로프(40')를 걸 수 있도록 내측에 축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축바퀴는 단면이 평면한 것을 사용하거나, 로프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60')는 상기 로프(40')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룸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룸 내부에서 손을 뻗었을 때 닿을 수 있도록 하며, 파지하기 편리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 위치하는 커버(20')를 룸 내부에서도 개폐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조절방법은, 사용자가 손잡이(60')를 파지하여 로프(40')를 잡아당기게 되면, 커버(20')가 닫히면서 상기 커버(20')의 일측에 위치한 고정장치(30')가 스프링(33')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결착홈(32')에 환봉(70')이 걸리면서 잠금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즈넥 벤트가 잠김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바깥에서 커버(20')를 개폐할 수 없어 단속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커버(20')를 열려면 로프(40')를 잡아당겨 고정장치(30')가 다시 회동되어 환봉(70')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커버(20')에 연결된 로프(40')를 서서히 풀면 상기 커버(20')가 오픈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구즈넥 벤트 본체 20 : 커버
30 : 고정장치 40 : 로프
50 : 풀리 60 : 손잡이
70 : 환봉

Claims (5)

  1. 구즈넥 벤트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기구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일측을 위치하며 로프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에 연결된 로프가 걸쳐져 힘과 운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다수개 형성되는 풀리와, 상기 로프의 타단에 설치하며 룸 내부로 유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커버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로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환봉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홈과, 상기 고정장치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장치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장치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일정한 위치까지만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중량의 커버를 들어올리는 힘을 분산하기 위하여 상기 구즈넥 벤트 본체의 일면에 다수개 형성하며, 내측에 로프를 걸 수 있도록 축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바퀴는 단면이 평면한 것을 사용하거나, 로프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V자 모양의 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KR2020140008338U 2014-11-13 2014-11-13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KR201600017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38U KR20160001732U (ko) 2014-11-13 2014-11-13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38U KR20160001732U (ko) 2014-11-13 2014-11-13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32U true KR20160001732U (ko) 2016-05-23

Family

ID=5609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38U KR20160001732U (ko) 2014-11-13 2014-11-13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7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863A (zh) * 2016-08-21 2016-11-23 无锡宝宏船舶机械有限公司 鹅颈式自然通风管
CN110254685A (zh) * 2019-05-31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带有水密盖和防虫网的下垂型圆形风管出风口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3863A (zh) * 2016-08-21 2016-11-23 无锡宝宏船舶机械有限公司 鹅颈式自然通风管
CN110254685A (zh) * 2019-05-31 2019-09-20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带有水密盖和防虫网的下垂型圆形风管出风口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618B2 (ja) パーセルシェルフ構造
CN205366041U (zh) 多用途集装箱船舶及货舱通风系统
KR20160001732U (ko) 룸 내부에서 개폐 조절 가능한 방한용 구즈넥 벤트
US9409750B2 (en) Removable vehicle top lift system
KR102233701B1 (ko) 해치커버 개폐 장치
KR20150092660A (ko) 해치 커버
KR200485488Y1 (ko) 조작성이 향상된 선박의 루버 통풍구용 커버
KR20130007083U (ko) 환기구 개폐시스템
US20080047478A1 (en) Rat guard for ship
KR101998784B1 (ko) 자동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JP5325936B2 (ja) 通風筒開口カバーのヒンジ構造
KR20140003209U (ko) 구즈넥 벤트의 커버 개폐구조
US6322439B1 (en) Multi-directional vent hatch
KR101616331B1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CN210942132U (zh) 一种舱盖拉紧装置
NO332988B1 (no) Anordning for fysisk trening ved bruk av ett tau som er fort via en tauomstyring
JP2017087886A (ja) 船舶用ハッチ換気装置
KR20160002011U (ko) 벤틸레이터 기능을 갖는 계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618634B2 (ja) 側部全開式貨物自動車
KR20180067929A (ko) 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KR102514794B1 (ko) 원거리 개폐형 루버벤트
KR20150001304U (ko) 선박의 환기구 개폐도어 장치
US20080251305A1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KR20140003320U (ko) 선박용 스틸도어 휠 커버
CN218344313U (zh) 盖板的固定装置及运输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