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166Y1 -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 Google Patents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166Y1
KR200334166Y1 KR20-2003-0026023U KR20030026023U KR200334166Y1 KR 200334166 Y1 KR200334166 Y1 KR 200334166Y1 KR 20030026023 U KR20030026023 U KR 20030026023U KR 200334166 Y1 KR200334166 Y1 KR 200334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nut
plate body
bushing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20-2003-0026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선박용 환기 창문을 대비하여 구조와 사용 방법이 다르고 편리성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판체(10)의 상하와 좌·우측에 대칭형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관(22)들과, 상기 판체(10)의 지지관(22)들과 상기 차양식 통풍틀(5)의 사이에 각기 조립되어 상기 판체(10)를 선체(1) 안쪽으로 항상 밀고 있는 압축스프링(21)들과, 상기 지지관(22)들 안에 각기 끼워진 채 회전하는 너트(25)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부싱(23)들과, 상기 부싱(23)의 윗면에 조립되어 너트(25)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와샤(24)들과, 상기 부싱(23)의 안으로 조립되고 또한 볼트(20)에 조립된 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판체(10)의 가장자리가 상기 테(6)에서 접촉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유도하는 너트(25)들과, 상기 부싱(23) 안에 조립되는 너트(25)를 나사·조립한 채 머리의 반대쪽 단부는 브라키트(3)와 용접·고정되어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볼트(20)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Window for Water Vessel to be delicate setting}
본 고안은 선박용 환기 창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선박용 환기 창문을 대비하여 구조와 사용 방법이 다르고 편리성과 안전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종래의 보편적인 선박용 환기 창문은, 선체(1)에 형성된 구멍(2)의 안쪽 가장자리에 사각 형태로 돌출된 테(6)의 안쪽에 고정된 브라키트(3)들의 내측으로 외부의 곤충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걸름망(4)이 고정되고 그 위로는 도면과 같이 햇빛이 차단되면서 외부에서 내부가 관찰되지 않는 차양식 통풍틀(5)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테(6)의 전체에 접촉되는 패킹(11)이 가장자리로 고정된 판체(10)의 일측을 상기 테(6)와 힌지로 조립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힌지의 반대쪽에는 판체(10)를 테(6)와 고정시키는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있어서, 판체(10)는 상하로 혹은 좌우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나비 너트 혹은 레버식 록(lock) 등 보편적인 것을 채택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창문은 중량이 꽤 무거운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열거나 아래에서 위로 열거나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열거나 혹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열도록 되어 있는데, 일일이 잠금장치들을 풀고 힘을 주어서 연 다음, 환기를 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 힌지에 의해 열린 채 테(6)에 고정되어 있는 판체(10)는 선박의 롤링과 피칭 작용에 의해 흔들리게 되고 다시 닫히는 경우도 발생되며 이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하여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열려져 있는 판체(10)는 안정적이지 못하여 시각적으로도 불안감을 불러일으키고 거추장스러운 문제가 있고, 잠금장치를 풀고 난 다음 판체를 제껴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다시 닫아서 잠그기도 불편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상기 창문은 작은 틈새를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가 없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작은 틈새를 계속 유지시켜서 선박 외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그러나 갑작스럽지는 않게 선박 내부로 진입하여 항상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하여야 하지만, 종래의 창문은 구조상 일단 열어서 젖혀야 하기 때문에 작은 틈새를 유지시킨 채 고정시킬 수가 없어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미세하게 틈새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열어서 젖히지 않고 환기를 시킬 수 있어 종래 선박용 환기 창문에서 비롯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선박용 환기 창문을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판체(10)의 상하와 좌·우측에 대칭형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관(22)들과, 상기 판체(10)의 지지관(22)들과 상기 차양식 통풍틀(5)의 사이에 각기 조립되어 상기 판체(10)를 선체(1) 안쪽으로 항상 밀고 있는 압축스프링(21)들과, 상기 지지관(22)들 안에 각기 끼워진 채 회전하는 너트(25)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부싱(23)들과, 상기 부싱(23)의 윗면에 조립되어 너트(25)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와샤(24)들과, 상기 부싱(23)의 안으로 조립되고 또한 볼트(20)에 조립된 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판체(10)의 가장자리가 상기 테(6)에서 접촉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유도하는 너트(25)들과,상기 부싱(23) 안에 조립되는 너트(25)를 나사·조립한 채 머리의 반대쪽 단부는 브라키트(3)와 용접·고정되어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볼트(20)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선박의 내부에서 바라 본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환기 유도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너트(25)를 좌회전 시켜서 환기가 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5, 도6은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볼트 21: 압축 스프링 22: 지지관 23: 부싱 24: 와샤
25: 너트 10: 판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창문을 선박의 내부에서 바라 본 정면의 상태인데 판체(10)만이 식별이 되며 너트(25)와 와샤(24) 그리고 볼트(20)의 머리 부분만 노출이 되어 있다. 이 상태는 도1과 같이 잠겨져 있을 수도 있고 도4와 같이 열려져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창문은 종래의 창문과 같이 열어 젖히거나 미닫이식으로 여닫는 것이 아니고 너트(25)를 풀면 열려서 외부의 공기가 선박 안으로 유입되고 반대로 너트(25)를 완전히 조이면 공기의 내외 흐름은 차단이 된다. 즉, 너트(25)의 조작만으로 인하여 판체(10)가 테(6)로부터 접촉되거나 떨어지도록 함으로서 선박의 내외로 공기의 흐름작용을 유도하는 것인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핀다.
먼저, 상기 판체(10)의 상하와 좌·우측에 도2와 같이 6개소를 나누어서 대칭형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관(22)들을 구비하되 반드시 6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4개 또는 8개로 변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관(22)들은 도면과 같이 압축 스프링(21)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키며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한다. 다음, 상기 판체(10)의 지지관(22)들과 상기 차양식 통풍틀(5)의 사이에 각기 압축 스프링(21)을 조립시켜서 상기 판체(10)를 실내 쪽으로 항상 밀고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너트(25)를 풀면 압축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해 판체(10)는 선박의 실내 쪽으로 이동됨으로서 결국 창문은 도4와 같이 열리게 되는 것인데, 이는 뒤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이어서 상기 지지관(22)들 안에 각기 끼워진 채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하는 너트(25)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부싱(23)을 조립시키는데, 이것은 녹이 슬지 않고 윤활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부싱용 재질은 주지관용의 것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굳이 선택하자면 테프론이나 오일레스 황동 부싱 등을 사용하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다음, 상기 부싱(23)의 윗면에 조립되어 너트(25)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와샤(24)를 구비하는데, 이것은 반드시 사용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다음, 도면과 같이 상기 부싱(23)의 안으로 조립되고 또한 볼트(20)에 조립된 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판체(10)의 가장자리가 상기 테(6)에서 접촉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유도하는 너트(25)에 볼트(20)를 조립시킴과 아울러 머리의 반대쪽 단부는 차양식 통풍틀(5)과 걸름망(4), 브라키트(3)를 관통하는 구멍(5a) 안으로 삽입시켜서, 브라키트(3)와 용접·고정되도록 하는 바, 본 고안을 기준하면 6개소에 상술한 부품들의 조립 및 볼트의 용접 작업을 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부품들이 조립되면 본 고안의 창문이 완성되는데, 도1과 같이너트(25)를 잠궈서 판체(10)의 패킹(11)이 선체(1)의 테(6)에 견고하게 접촉이 되면 수밀(water tight)가 된 채 공기도 통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환기를 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면 너트(25)를 풀어서 볼트(20)의 나사를 타고 볼트의 머리 쪽으로 너트(25)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압축 스프링(21)은 판체(10)를 강하게 밀고 있어서 너트(25)를 풀기 시작하면 판체(10) 가장자리의 패킹(11)은 테(6)로부터 분리되어 테(6)와의 사이에 공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선박 외부의 공기가 선박의 안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너트(25)를 조금씩만 풀면 테(6)와 패킹(11) 사이의 틈새가 작게 형성이 되고, 너트(25)를 풀어줄수록 상기 틈새는 커지기 때문에 본 고안의 창문은 메우 미세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이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너트(25)만을 조작하여 공기의 흐름을 일으키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힘이 거의 들지 않으며 손으로도 간단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무거운 판체(10)가 회전하거나 이동되거나 열려 젖히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서 사용하기에 안전하고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도5는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 중의 하나를 나타낸 것으로 상측의 테(6a)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하측의 테(6a-1)의 길이를 상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하여 주면 도5와 같이 선박의 실내를 향하여 하향 경사가 지는 창문을 만들 수도 있는데, 이러한 테의 변형 정도는 본 고안으로부터 극히 용이하게 설계 변경을 할 수 있는 정도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6 역시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기본 실시예에서 브라키트(3a)가 상기 테(6)의 외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너트(25a)와 볼트(20a), 지지관(22a), 압축 스프링(21a) 등의 부품들이 테(6)의 외부에 장치되도록 하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 테(6)의 외부 가장자리에 도면과 같이 브라키트(3a)를 용접시키되 상술한 바와 같이 6개소 혹은 4개소, 8개소 정도 형성시킨다. 이어서 와샤 타입으로 만들어진 채 지지관(22a)의 내측에 용접되는 지지쇠(24b)와 그 상면에 접촉된 채 삽입되는 와샤(24a), 부싱(23a)과 와샤(24a)가 조립된 지지관(22a)의 구멍 안으로 너트(25a)가 조립된 볼트(20a)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압축 스프링(21a)을 상기 볼트(20a)에 끼운 다음 상기 브라키트(3a)에 볼트(20a)를 용접시키고, 지지관(22a)의 측면에 직각으로 용접되어 있는 덧댐쇠(50)를 판체(10)의 가장자리에 맞추어 용접하면 도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는 너트(25a)를 볼트(20a)로부터 최대한으로 풀어 올려서 덧댐쇠(50)와 판체(10)의 용접을 용이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너트(25a)를 풀면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1a)의 탄발력에 의해 판체(10)는 테(6)로부터 분리되고 공기가 유통이 된다. 이 타입은 기본 실시예에 비하여 제작 및 설치가 다소 용이하며 보수하기에 편리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너트만 간단히 조작을 하면 선체의 테(6)와 판체(10) 사이에 틈새를 만들 수 있고 이 틈새는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그 상태로 유지가 되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선박 창문에 비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안전하며, 사용상태가 안정적이어서 종래의 선박 창문에서 비롯되었던 문제와 폐단을 해결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장자리 내측으로 패킹(11)이 고정되어 있는 문(門)형의 판체(10)와;
    상기 판체(10)의 상하와 좌·우측에 대칭형으로 용접 고정되는 지지관(22)들과,
    상기 판체(10)의 지지관(22)들과 상기 차양식 통풍틀(5)의 사이에 각기 조립되어 상기 판체(10)를 선체(1)의 실내 쪽으로 항상 밀고 있는 압축스프링(21)들과,
    상기 지지관(22)들 안에 각기 끼워진 채 회전하는 너트(25)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부싱(23)들과,
    상기 부싱(23)의 윗면에 조립되어 너트(25)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와샤(24)들과,
    상기 부싱(23)의 안으로 조립되고 또한 볼트(20)에 조립된 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21)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판체(10) 가장자리의 패킹(11)이 상기 테(6)에서 접촉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유도하는 너트(25)들과,
    상기 부싱(23) 안에 조립되는 너트(25)를 나사조립한 채 머리의 반대쪽 단부는 차양식 통풍틀(5)과 걸름망(4), 브라키트(3)를 관통하는 구멍(5a) 안으로 삽입되어 브라키트(3)와 용접·고정됨에 따라 상술한 전(全) 부품들이 분해 및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볼트(20)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환기 창문.
  2. 가장자리 내측으로 패킹(11)이 고정되어 있는 문(門)형의 판체(10)와;
    덧댐쇠(50)에 의해 상기 판체(10)의 상하와 좌·우측에 대칭형으로 용접 고정되며 안쪽에는 압축 스프링(21a)을 지지하는 지지쇠(24b)가 용접되고 그 위로 와샤(24a)가 조립되어 있는 지지관(22a)들과,
    테(6)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용접 고정된 브라키트(3a)와 상기 지지관(22a) 사이에 조립된 채 상기 판체(10)를 선체(1)의 실내 쪽으로 항상 밀고 있는 압축스프링(21a)들과,
    상기 지지관(22a)들 안에 각기 끼워진 채 회전하는 너트(25)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는 부싱(23a)들과,
    상기 부싱(23a)의 윗면에 조립되어 너트(25a)의 회전 운동을 부드럽게 안내하는 와샤(24a)들과,
    상기 부싱(23a)의 안으로 조립되고 또한 볼트(20a)에 조립된 채 정회전과 역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21a)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판체(10) 가장자리의 패킹(11)이 상기 테(6)에서 접촉 및 분리가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유도하는 너트(25a)들과,
    상기 부싱(23a) 안에 조립되는 너트(25a)를 나사조립한 채 머리의 반대쪽 단부는 상기 브라키트(3a)와 용접·고정됨에 따라 상술한 전(全) 부품들이 분해 및 이탈이 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축의 역할을 하는 볼트(20a)들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환기 창문.
KR20-2003-0026023U 2003-08-12 2003-08-12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KR200334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23U KR200334166Y1 (ko) 2003-08-12 2003-08-12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023U KR200334166Y1 (ko) 2003-08-12 2003-08-12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166Y1 true KR200334166Y1 (ko) 2003-11-22

Family

ID=4941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023U KR200334166Y1 (ko) 2003-08-12 2003-08-12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1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701B1 (ko) 2010-09-03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확산 방지 창
KR101704428B1 (ko) 2015-09-24 2017-02-09 엠티코리아(주)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KR102517202B1 (ko)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알루미늄 각창 커버 가공 베드
KR102631845B1 (ko) 2023-11-02 2024-01-31 주식회사 청진 선박용 알루미늄 각창 자동버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701B1 (ko) 2010-09-03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재 확산 방지 창
KR101704428B1 (ko) 2015-09-24 2017-02-09 엠티코리아(주) 선박용 해치 환기장치
KR102517202B1 (ko) 2022-10-24 2023-04-03 주식회사 청진 알루미늄 각창 커버 가공 베드
KR102631845B1 (ko) 2023-11-02 2024-01-31 주식회사 청진 선박용 알루미늄 각창 자동버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26473A1 (fr) Dispositif combine formant crapaudine reglable pour axe de charniere de porte et ancrage reglable pour barre de torsion
US4918783A (en) Adjustable wheel structure
KR200334166Y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선박용 환기 창문
US4945579A (en) Drain valve activator assembly
US5342018A (en) Single-handle faucet
JP4627162B2 (ja) 容器
US20050273919A1 (en) Adjustable tank lever
US4943104A (en) Opening and closing controls of roofs for vehicles
CN206511027U (zh) 一种挡风玻璃支架
US5339923A (en) Rotating mechanism for a crystal ball
CN100529284C (zh) 解扣杆装置
KR101708811B1 (ko) 머쉬룸 환풍기
CN212473773U (zh) 三轮车摇摆器和三轮车
JP2010090640A (ja) 窓開閉装置および建具
KR100355475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2591900B2 (ja) 折畳式自転車
EP0451095B1 (de) Klosettsitz mit einer Unterdusche
JP2008231690A (ja) 窓開閉装置及び窓
JP3363474B2 (ja) 便座及び便蓋の取付け構造
AU6243300A (en) A louvre operating mechanism comprising link members, a rack member and a gear member
CN110500431A (zh) 排水器及其排水控制方法
JPH10211122A (ja) 便座及び便蓋の支持装置
CN212802911U (zh) 一种防脱出的铰链
JPH0221660Y2 (ko)
KR20032254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화문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