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52Y1 -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252Y1
KR200469252Y1 KR2020110006820U KR20110006820U KR200469252Y1 KR 200469252 Y1 KR200469252 Y1 KR 200469252Y1 KR 2020110006820 U KR2020110006820 U KR 2020110006820U KR 20110006820 U KR20110006820 U KR 20110006820U KR 200469252 Y1 KR200469252 Y1 KR 2004692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extension rod
pressing lever
pressure lever
lin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839U (ko
Inventor
이동희
류기운
민정석
이명덕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6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5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체의 통기구에 배치되고, 통기구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댐퍼;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각 댐퍼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축; 상기 각 회전축과 2절 링크 구조로 결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연장 로드; 및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조인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조인트부에 의해 연장 로드에서 접히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IR VENT OF SHIP}
본 고안은 가압 레버의 분실을 방지하고 통기구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람이나 화물을 이송시키는 해상 구조물이다. 선박에는 발전기, 추진장치, 전자장치 및 전기장치 등 다양한 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선박에는 각종 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들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선박에는 탑승객이나 승무원을 위한 공간 들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박의 공간들에는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통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통기구에는 통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통기구 개폐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통기구 개폐장치는 다수의 판형 댐퍼들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댐퍼들은 가압 레버에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통기구 주변에는 가압 레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연결봉이 가압 레버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가압 레버에는 연결봉이 삽입되고, 연결봉이 회전됨에 따라 가압 레버가 회전된다. 가압 레버가 회전됨에 따라 댐퍼들이 회전되면서 통기구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한편, 해상인명안전협약(SOLAS)이 국제회의를 거쳐 채택되었다. 해상인명안전협약에 의하면, 선박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었을 때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를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선박에는 통기구 개폐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연결봉은 가압 레버와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므로, 연결봉이 장시간 동안 보관시 분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연결봉은 통기구의 측면 또는 벽면 등에 비치되므로, 선박의 진동에 의해 소음을 야기할 수 있었다.
화재 등 긴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승무원들이 당황하여 연결봉을 찾기 곤란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재시 발생되는 독성 가스나 연기가 공간에 채워진 상태인 경우 연결봉을 찾아 가압 레버에 삽입하기 곤란해질 수도 있다.
연결봉을 찾지 못하거나 분실한 경우에는, 가압 레버를 잡고 직접 회전시키려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압 레버를 움직이는 힘이 부족하여 댐퍼를 회전시킬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가압 레버를 회전시키기 곤란할 경우, 승무원들이 신속히 대피하지 못하여 인명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비상 사태에서 통기구가 폐쇄되지 않은 경우, 공기가 통기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화재가 여러 공간으로 급속도로 확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가압 레버의 분실 가능성을 해소하고, 댐퍼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통기구에 배치되고, 통기구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댐퍼;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각 댐퍼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축; 상기 각 회전축과 2절 링크 구조로 결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연장 로드; 및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조인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조인트부에 의해 연장 로드에서 접히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의 끝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커넥터; 및 상기 다수의 커넥터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커넥터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링크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는 상기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접힐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가압 레버의 끝단부의 양측에서 가압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서포터; 상기 한 쌍의 서포터의 체결홀과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삽입되도록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하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더에는 상기 가압 레버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고정홀에 대응되도록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레버와 고정 홀더의 핀홀에는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 레버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된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 레버가 끼워지도록 "ㄷ" 형태의 고정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링크암에는 상기 댐퍼가 통기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암이 더욱 하강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강제한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강제한장치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링크암에 결합되고, 상기 댐퍼가 통기구를 폐쇄할 만큼 링크암이 하강할 때에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암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압 레버의 분실 가능성을 해소하고, 댐퍼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통기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는, 다수의 댐퍼(110), 다수의 회전축(120), 링크부(130), 연장 로드(140), 및 가압 레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의 다양한 공간에는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통기구(10)가 마련될 수 있다. 통기구(10)의 전방에는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통기구(1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다수의 댐퍼(110)가 배열된다. 댐퍼(110)의 양측은 통기구(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댐퍼(110)는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댐퍼(110)의 폭방향 양측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댐퍼(110)가 통기구(10)를 폐쇄할 때에 절곡된 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댐퍼(110)는 회전됨에 의해 통기구(1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다수의 회전축(120)은 통기구(10)의 일측면(11)을 관통하여 상기 각 댐퍼(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회전축(120)은 통기구(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회전축(120)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130)는 각 회전축(120)과 2절 링크 구조로 결합된다. 링크부(130)는 다수의 커넥터(131)와 링크암(13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커넥터(131)는 다수의 회전축(120)과 일대일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31)는 회전축(120)과 수직하게 연결되어 통기구(10)의 일측면(1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131)는 링크암(135)에 비해 길이가 짧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31)는 회전축(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20)에 용접이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커넥터(131)는 힌지부(133)에 의해 링크암(135)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암(135)은 다수의 커넥터(131)에 연결되어 다수의 커넥터(13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링크암(135)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암(135)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로드(140)는 다수의 커넥터(131) 중 하나의 커넥터(131)에서 회전축(120)의 반대편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로드(140)는 하나의 커넥터(131)를 나머지 커넥터(131)들보다 길게 형성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로드(140)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커넥터(131)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장 로드(140)는 통기구(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승무원들이 통기구(10) 근처에서 이동할 때에 승무원들이 연장 로드(140)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장 로드(140)에는 연장 로드(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의 슬롯(14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141)은 연장 로드(140)의 끝단부측에 편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롯(141)의 주변은 모두 막혀 있다.
연장 로드(140)의 끝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가압 레버(150)의 삽입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장 로드(140)의 폭은 가압 레버(150)의 삽입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연장 로드(140)가 가압 레버(150)의 삽입홀에 흔들리지 않게 삽입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에는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조인트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에는 연장 로드(140)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삽입홀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 레버(150)는 내부가 채워진 봉형태로 형성되고 그 끝단부에 별도의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삽입홀에 연장 로드(140)가 삽입되었을 경우, 가압 레버(150)와 연장 로드(140)는 일체가 된다. 따라서, 가압 레버(150)를 회전시키면 가압 레버(150)와 연장 로드(140)는 동시에 회전된다. 이러한 가압 레버(150)는 회전축(120)에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용이하게 댐퍼(1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압 레버(150)가 연장 로드(140)의 끝단부에서 분리되었을 경우, 가압 레버(150)는 조인트부(151)에 의해 연장 로드(140)에서 접힐 수 있다. 이때, 가압 레버(150)를 회전시키더라도, 가압 레버(150)만 회전되고 연장 로드(140)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연장 로드(140)는 가압 레버(150)의 움직임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가압 레버(150)는 연장 로드(1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조인트부(15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회전 궤적은 통기구(10)의 일측면(11)과 평행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압 레버는 수직하게 접힌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 홀더(160)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는 조인트부(151)에 의해 연장 로드(140)와 항상 연결되므로, 가압 레버(150)가 분실될 수 없다.
링크암(135)에는 하강제한장치(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하강제한장치(170)는 댐퍼(110)가 통기구(10)를 폐쇄하도록 회전되었을 때에 링크암(135)이 더욱 하강하는 것을 제한한다. 하강제한장치(170)는 걸림턱(173)과 스토퍼(171)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73)은 통기구(10)의 일측면(11)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73)은 "ㄷ" 형태로 형성되어 링크암(135)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73)은 링크암(135)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링크암(135)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은 스토퍼(171)가 걸릴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71)는 링크암(135)에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71)는 걸림턱(173)의 상측에 배치된다. 링크암(135)이 상승됨에 따라 댐퍼(110)가 통기구(10)를 개방시키도록 경사지게 회전될 경우, 스토퍼(171)는 걸림턱(173)에서 떨어진다. 또한, 링크암(135)이 하강됨에 따라 댐퍼(110)들이 통기구(10)를 폐쇄시키도록 거의 수직하게 회전될 경우, 스토퍼(171)는 걸림턱(173)에 접촉되어 링크암(135)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스토퍼(171)와 걸림턱(173)은 링크암(135)의 하강 범위를 제한하여 댐퍼(110)들이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토퍼(171)와 걸림턱(173)은 댐퍼(110)들이 과도하게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20)이나 댐퍼(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조인트부의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인트부(151)는 한 쌍의 서포터(153), 볼트(155) 및 너트(15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터(153)는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의 양측에서 가압 레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서포터(153)는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 양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153)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53)에는 볼트(1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153a)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155)는 한 쌍의 서포터(153)의 체결홀(153a)과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에 삽입된다. 너트(157)는 볼트(155)에 체결되어 볼트(155)가 체결홀(153a)과 슬롯(14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인트부(151)는 한 쌍의 서포터(153), 볼트(155) 및 너트(15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포터(153)는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 양측을 절개함에 따라 가압 레버(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서포터(153)는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서포터(153)는 가압 레버(150)와 동일한 원주를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153)에는 볼트(1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홀(153a)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155)는 한 쌍의 서포터(153)의 체결홀(153a)과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에 삽입된다. 너트(157)는 볼트(155)에 체결되어 볼트(155)가 체결홀(153a)과 슬롯(14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조인트부(151)는 별도로 용접을 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압 레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인트부(151)는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에 삽입되도록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151)의 양단부는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부(151)는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 레버(150)의 끝단부에 용접될 수 있다.
상기한 조인트부(15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가압 레버의 하측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홀더의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홀더(160)에는 가압 레버(150)가 접힌 상태에서 가압 레버(150)의 하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홀더(160)는 브라켓(161) 및 그리퍼(16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61)은 통기구(10)의 일측면(11)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브라켓(161)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163)는 브라켓(161)에 볼트(155)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퍼(163)에는 가압 레버(15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163)는 고정홈(164)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가압 레버(15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라운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163)의 고정홈(164)은 통기구(10)의 전방측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레버(150)의 회전 궤적이 통기구(10)의 일측면(11)과 평행하므로, 고정홈(164)의 개구부가 가압 레버(150)의 회전 궤적에 위치된다.
가압 레버(150)의 하측에는 핀홀(159)이 형성되고, 그리퍼(163)의 양측에는 가압 레버(150)의 핀홀(159)대응되도록 핀홀(16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핀홀(159)과 그리퍼(163)의 핀홀(165)에는 고정핀(167)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167)은 가압 레버(150)가 그리퍼(16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통기구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홀더(160)는 "ㄷ" 형태로 절곡된 그리퍼(16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163)의 내부에는 고정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퍼(163)의 개구부는 통기구(10)의 전방측을 향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퍼(163)는 브라켓(161)에 용접 또는 볼트(1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하측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그리퍼(163)의 양측에는 가압 레버(150)의 핀홀에 대응되도록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레버(150)의 핀홀과 그리퍼(163)의 핀홀에는 고정핀(167) 삽입될 수 있다. 고정핀(167)은 가압 레버(150)가 그리퍼(16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 홀더(16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가압 레버(15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에 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평상시에는 통기구 개폐장치가 댐퍼(110)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실내 공간은 통기구(10)를 통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환기된다.
선박에 화재 등이 발생되면, 통기구 개폐장치를 조작하여 통기구(10)를 폐쇄시킬 수 있다. 통기구(10)가 폐쇄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통기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압 레버(150)를 조인트부(151)를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가압 레버(150)를 연장 로드(140)와 평행하게 회전시킨 후 가압 레버(150)의 삽입홀에 연장 로드(140)를 삽입한다. 이때, 조인트부(151)는 연장 로드(140)의 슬롯(141)을 따라 링크부(130) 측으로 이동된다.
가압 레버(150)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 레버(150)와 함께 연장 로드(140)가 회전된다. 연장 로드(140)는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연장 로드(140)의 힌지부(133)는 회전축(120)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으므로, 연장 로드(140)가 회전될 때에 링크암(135)이 아래로 이동된다.
링크암(135)이 아래로 이동되면, 링크암(135)에 결합된 커넥터(131)들로 모두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축(120)이 회전됨에 따라 댐퍼(11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댐퍼(110)가 반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되면, 댐퍼(110)들은 거의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댐퍼(110)들은 수직하게 회전되어 나란하게 배열되어 통기구(10)를 폐쇄시킨다. 이때, 댐퍼(110)의 폭방향 양측이 절곡되고, 인전한 댐퍼(110)의 절곡된 부분이 서로 겹치게 된다. 따라서, 통기구(10)의 밀폐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링크암(135)의 스토퍼(171)는 걸림턱(173)에 걸리게 되므로, 링크암(135)이 더 이상 아래로 이동되지 못한다. 링크암(135)이 정지됨에 따라 댐퍼(110)들 역시 정지하게 된다. 댐퍼(110)들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댐퍼(110)들은 인접한 댐퍼(110)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댐퍼(110)와 회전축(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박의 화재시 통기구 개폐장치를 조작하여 통기구(10)를 폐쇄시킬 수 있다. 선박의 공간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레버(150)는 항상 연장 로드(1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압 레버(150)를 분실할 위험이 없다. 나아가, 선박 화재시 통기구(10)를 폐쇄시키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통기구 110: 댐퍼
120: 회전축 130: 링크부
131: 커넥터 135: 링크암
140: 연장 로드 141: 슬롯
150: 가압 레버 151: 조인트부
160: 고정 홀더 170: 하강제한장치
171: 스토퍼 173: 걸림턱

Claims (11)

  1. 선체의 통기구에 배치되고, 통기구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댐퍼;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각 댐퍼의 일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회전축;
    상기 각 회전축과 2절 링크 구조로 결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이 형성된 연장 로드; 및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조인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부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연장로드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가압 레버의 끝단부의 양측에서 가압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체결홀이 형성된 한 쌍의 서포터;
    상기 한 쌍의 서포터의 체결홀과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의 끝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커넥터;
    상기 다수의 커넥터가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커넥터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링크암; 및
    상기 댐퍼가 통기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링크암이 더욱 하강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강제한장치을 포함하며,
    상기 하강제한장치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링크암에 결합되고, 상기 댐퍼가 통기구를 폐쇄할 만큼 상기 링크암이 하강할 때에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링크암의 하강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연장 로드의 슬롯에 삽입되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가 상기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하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버에는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홀더에는 상기 가압 레버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레버의 고정홀에 대응되도록 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 레버와 고정 홀더의 핀홀에는 고정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 레버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된 그리퍼를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는,
    상기 통기구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 레버가 끼워지도록 "ㄷ" 형태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10. 삭제
  11. 삭제
KR2020110006820U 2011-07-26 2011-07-26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KR200469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20U KR200469252Y1 (ko) 2011-07-26 2011-07-26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20U KR200469252Y1 (ko) 2011-07-26 2011-07-26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9U KR20130000839U (ko) 2013-02-05
KR200469252Y1 true KR200469252Y1 (ko) 2013-10-01

Family

ID=5073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20U KR200469252Y1 (ko) 2011-07-26 2011-07-26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2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514B1 (ko) * 2015-07-07 2016-12-06 광성(주) 결빙 방지용 세퍼레이터를 갖는 선박용 공기 통풍 장치
KR101678308B1 (ko) * 2015-07-07 2016-12-06 광성(주) 결빙 방지용 루버를 갖는 선박용 공기 통풍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82Y1 (ko) * 2013-10-10 2018-02-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마그네틱 홀더를 이용한 댐퍼 블레이드 개폐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9U (ko) * 1989-05-26 1991-01-07
JPH1019359A (ja) * 1996-06-28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ンパー装置
KR200209528Y1 (ko)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380529Y1 (ko) * 2005-01-11 2005-03-30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개폐식 투명루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9U (ko) * 1989-05-26 1991-01-07
JPH1019359A (ja) * 1996-06-28 1998-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ンパー装置
KR200209528Y1 (ko) 2000-08-11 2001-01-15 주식회사동양공조 역류방지용 댐퍼
KR200380529Y1 (ko) * 2005-01-11 2005-03-30 한국 창호 자동화 주식회사 전동실린더개폐식 투명루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514B1 (ko) * 2015-07-07 2016-12-06 광성(주) 결빙 방지용 세퍼레이터를 갖는 선박용 공기 통풍 장치
KR101678308B1 (ko) * 2015-07-07 2016-12-06 광성(주) 결빙 방지용 루버를 갖는 선박용 공기 통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9U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252Y1 (ko) 선박의 통기구 개폐장치
US20090042504A1 (en) Tunnel cover for a tunnel for controlled ventilation of gas
JP6576470B2 (ja) 空調用室内機
CA3053377C (en) Arc resistant exhaust and intake for drives and switchgear
JP2010514475A5 (ko)
PT2616330T (pt) Navio com dispositivo de ventilação
US20150116934A1 (en) Power system enclosure
CN205321771U (zh) 防爆智能气瓶柜
US20170028233A1 (en) Fire damper for ventilating fan
PT2179768E (pt) Dispositivo corta-fogo e de extracção de fumos
CN206017924U (zh) 油田加热炉用重力式防爆门
JP4983404B2 (ja) 換気装置
CN216497136U (zh) 一种电气设备用灭火装置
KR101360139B1 (ko) 압력조절 밸브
CN208800895U (zh) 一种分区除尘摆动式开启结构
KR20170137519A (ko) 방화용 댐퍼 제어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JP2012177501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通風装置
KR101194378B1 (ko) 선박용 통풍 장치
KR101912079B1 (ko) 화재대피용 비상문
KR20150076520A (ko) 선박의 유닛 캐빈 디퓨저 설치 구조
KR200410841Y1 (ko) 중량차이를 이용한 밸런싱 개폐식 방화플랩
CN205715876U (zh) 排烟防火阀
CN207437849U (zh) 一种具有压杆保险的止回阀
CN214037024U (zh) 一种连杆式止回阀温感装置
JP3123814U (ja) 通気調整可能型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