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029A - 곤충 스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곤충 스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029A
KR20170134029A KR1020160065679A KR20160065679A KR20170134029A KR 20170134029 A KR20170134029 A KR 20170134029A KR 1020160065679 A KR1020160065679 A KR 1020160065679A KR 20160065679 A KR20160065679 A KR 20160065679A KR 20170134029 A KR20170134029 A KR 2017013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ck
insect
dough
edible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임
Original Assignee
최선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임 filed Critical 최선임
Priority to KR102016006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029A/ko
Publication of KR2017013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63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 곤충을 분쇄하여 식용 곤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에 상기 세절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 220℃의 오븐에서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곤충 스낵은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과 같은 향이 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재료의 유용성분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의 향미가 가미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곤충 스낵은 시럽 도포의 유무 및 시럽 종류에 따라 그 맛과 향이 달라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곤충 스낵 제조방법{Production method of insect snacks}
본 발명은 곤충 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 곤충을 분쇄하여 식용 곤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에 상기 세절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 220℃의 오븐에서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는 식량부족으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강에 이롭지 않은 유전자 변형 농작물을 개발하여 생산하고 있으며, 많은 수확량을 얻기 위해 환경을 해치는 화학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오염으로 사람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에너지 문제, 가뭄, 홍수, 폭우 등의 기후 변화의 문제, 기후 변화와 관련된 온실가스의 문제 등으로 인해 세계의 생산곡물이 감소하고 있으며, 감소한 세계 생산곡물의 1/3이 가축의 먹이로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많은 가축은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를 다량 발생시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증가시키고 있어 심각한 환경 및 자원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축산물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을 살리며 양질의 대체식량자원을 개발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곤충이 이 문제를 해결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곤충은 육류에 비해 단백질 함유량이 평균 2배 이상 높으며 무기질,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지방의 대부분이 수용성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어 곤충이 함유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축산물에서 얻어지는 단백질의 대체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식용 곤충의 영양학적 가치는 매우 다양하며 이는 종이 다양하며 이는 동일한 식용 곤충 종 내에서도 곤충의 변태 시기 및 서식지와 식습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며 대부분의 음식처럼 적용된 준비 및 가공방법도 영양소 구성에 영향을 준다.
인간이 곤충을 먹기 시작한 것은 인류가 탄생한 시기와 같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미국이나 멕시코에서 발견된 똥 화석이 선사시대의 인류가 곤충을 식용으로 했다는 증거로 똥 화석의 성분 중에 딱정벌레 애벌레, 머릿니, 진드기 등이 발견되었다.
한국의 경우 메뚜기, 번데기, 누에가 식약청 승인을 받아 일반식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4년 7월과 9월에 각각 식약청으로부터 한시적 식용 곤충으로 인정받은 갈색거저리와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식용곤충을 섭취하는 나라는 중국, 태국,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잠비아 등 전 세계 20억 명에 달하는 인구가 대략 1900여종의 식용곤충을 음식으로 섭취한다고 알려져 있다. 2003년 이후 유엔농업식량기구(FAO)는 전세계 국가와 긴밀하게 협의하여 식용곤충식의 확대와 개발 필요성에 대해 끊임없이 홍보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영구, 미국, 일본 등 많은 나라들이 식용곤충식 활성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특히 CNN, TIME지 등의 보도매체를 통해 그간 식용곤충에 부정적이었던 서구권에서도 식용곤충의 식용화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74649호(굼벵이를 주원료로 하는 스낵의 제조방법),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493916호(곤충의 식용화 방법, 그 식용화된 곤충, 이러한 식용화된 곤충을 이용한 식품용 반죽의 제조방법) 및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8063호(메뚜기를 함유한 건강기능성 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가 공지되었다.
KR 10-1474649 B1 (2014.12.12) KR 10-1493916 B1 (2015.02.10) KR 10-20120098063 A (2012.09.05)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스낵은 식용 곤충 분말의 양을 줄여 식용 곤충을 섭취하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는 소비자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곤충 스낵은 시럽의 도포 유무 및 시럽 종류에 따라 다양한 맛을 나타내는 곤충 스낵을 소비자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스낵 제조방법은 식용 곤충을 분쇄하여 식용 곤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에 상기 세절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 220℃의 오븐에서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낵 반죽을 성형할 때 굵은 소금을 적당량 뿌리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용 곤충은 밀웜,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 곤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에 의해 제조된 곤충 스낵에 시럽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시럽을 도포한 곤충 스낵을 2 ~ 10분 동안 180 ~ 22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진 당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지는 액상 당류 100 중량부에 대해 레몬 원액, 구연산 또는 비타민을 1 ~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혼합물을 95 ~ 105℃의 온도에서 1 ~ 10분 동안 가열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곤충 스낵은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과 같은 향이 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재료의 유용성분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재료의 향미가 가미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곤충 스낵은 시럽 도포의 유무 및 시럽 종류에 따라 그 맛과 향이 달라져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곤충 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스낵 제조방법은 식용 곤충을 분쇄하여 식용 곤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에 상기 세절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 220℃의 오븐에서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낵 반죽을 과자로 성형한 다음 굵은 소금을 뿌셔서 적당히 간을 하게 되면 맥주 안주로 적합한 스낵이 된다.
또한 상기 식용 곤충은 밀웜,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 곤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처리 단계에 의해 제조된 곤충 스낵에 시럽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시럽을 도포한 곤충 스낵을 2 ~ 10분 동안 180 ~ 22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진 당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지는 액상 당류 100 중량부에 대해 레몬 원액, 구연산 또는 비타민을 1 ~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한 혼합물을 95 ~ 105℃의 온도에서 1 ~ 10분 동안 가열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식용곤충 가공단계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식용곤충을 견과류와 혼합하여 강정을 제조하기 전 식용곤충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곤충을 볶거나 덖는 과정을 실시하기 전 전기쇼크법에 의해 식용곤충을 즉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쇼크법을 실시하는 것은 식용곤충을 가공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중 위협을 느끼고 타액을 분비하여 역겨운 냄새를 풍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기쇼크는 식용곤충을 담은 용기에 물을 부어 놓고 14 ~ 16Hz의 전류를 4 ~ 6초 동안 흐르게 하여 식용곤충을 즉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류를 14Hz 미만으로 6초 초과하여 식용 곤충에 충격을 가할 경우 전류가 낮아 식용곤충이 적으로부터의 방어 행동으로 타액을 분비하여 역겨운 냄새를 풍길 수 있으며, 16Hz 초과로 4초 미만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식용곤충을 죽이는 경우, 전류가 높아 식용곤충의 상태가 변화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기 충격에 의해 식용곤충을 죽이는 것은 식용곤충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용곤충이 위협을 느껴 타액을 분비하여 역겨운 냄새를 풍겨 완제품의 풍미를 저해하는 것에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완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쇼크법에 의해 즉사한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곤충을 각각 볶거나 덖는 과정을 통해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는 온도는 100 ~ 150℃에서 10 ~ 20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용곤충을 100℃ 미만, 10분 미만 볶을 경우 식용곤충 건조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바삭한 식감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50℃ 초과, 20분 초과할 경우 식용곤충이 함유하는 수분함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덖는 온도는 200 ~ 300℃로 하여 1차 열처리를 실시한 후, 온도를 20 ~ 30℃ 씩 낮춰가며 총 3차례의 덖는 과정을 실시하여 식용곤충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용곤충을 덖는 과정을 실시할 경우 5 ~ 20분 동안 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분 동안 덖는 것으로, 5분 미만으로 덖을 경우, 식용곤충의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으며 20분을 초과하여 덖을 경우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열처리 되어 식용곤충의 식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조한 완제품에서 탄 맛이 느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볶거나 덖는 과정과 같은 열처리단계를 실시하는 것은 식용곤충의 살균 및 소독을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식용곤충의 향과 맛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열처리 과정 전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곤충을 70 ~ 100℃ 온도의 물에 삶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한 후, 상기 열처리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볶는 과정 또는 덖는 과정의 열처리 단계를 실시하여 볶거나 덖은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곤충을 분쇄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거나 덖은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곤충을 분말화하여 식용곤충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소비자들이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90 ~ 25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말의 크기가 90 메쉬 미만일 경우 분말의 크기가 커 식용곤충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소비자들이 쉽게 섭취하기 어려우며, 250 메쉬를 초과할 경우 90 ~ 250 메쉬의 크기로 분쇄한 식용곤충 분말과 큰 차이가 없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볶거나 떡은 갈색거저리 애벌레,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곤충을 분쇄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원형 상태로 하기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갈색거저리 애벌레 및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번데기로 변태하기전까지 상태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갈색거저리 애벌레는 1 ~ 2주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1령 ~ 3령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양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2령 ~ 3령의 애벌레, 가장 바람직하게는 3령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누에는 3 ~ 5령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령 ~ 5령의 애벌레, 가장 바람직하게는 번데기가 되어 실주머니를 만들기 전 영양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시기인 5령의 애벌레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갈색거저리 애벌레는 거저리과에 속하는 갈색거저리 곤충의 애벌레이다. 갈색거저리 애벌레는 흔히 밀웜(mealworm)이라 불리고 있으며 주로 애완동물의 먹이로 많이 사용된다. 갈색거저리 애벌레에는 단백질 50%, 지방 33%가 함유되어 있으며 간 기능 회복과 관련이 있는 알라닌이라는 아미노산이 풍부한다.
상기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꽃무지족에 속하는 대형 풍뎅이인 흰점박이꽃무지의 애벌레이다. 애벌레를 굼벵이라고하며, 초가지붕에서 번식하여 사는 굼벵이는 동의보감에도 실리는 등 예로부터 한약재로 좋은 취급을 받아왔으며, 생으로 먹기도 하고, 굽거나 볶아먹기도 한다.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는 단백질 55%, 지방 17%가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과 칼륨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장수풍뎅이는 장수풍뎅이과에 속하며 딱정벌레 중에서도 한국에서 몸집이 가장 큰 풍뎅이류이다. 총 3령의 유충단계를 가지며 1령은 15일, 2령은 29일 3령은 120일 정도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2령 월동도 하지만 대부분은 3령으로 활동한다.
상기 귀뚜라미는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 살며 잡식성이다. 인가 주위 또는 초원이나 정원의 돌 밑에서 볼 수 있으며, 산란관을 땅속에 꽂고 산란한다. 알 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한 후, 연 1회 8월 중순에서 10월 말까지 나타난다. 귀뚜라미 성체의 몸길이는 17 ~ 21㎜이고 몸 전체가 흑갈색에 점무늬가 있다. 머리는 둥글고 광택이 있으며, 머리꼭대기에 연한 황색의 횡선이 1개 있고 뒷머리에는 6개의 분명치 않은 연한 황색의 종선이 있다. 머리꼭대기는 돌출한 형태를 나타내며 겹눈은 타원형이고 촉각은 가늘고 길어서 몸길이의 1배 반보다 길며 앞가슴등에는 연한 색의 불규칙한 점무늬가 많이 있다.
상기 메뚜기는 벼과 식물의 잎을 먹는 곤충으로 5 ~ 6월경 부화되어 가을에 성충이 된다. 예전에는 논에 많이 서식하였으나 요즘은 농약이 상용으로 인하여 거의 없어지고 있다. 말린 메뚜기의 일반성분은 단백질 64.2%, 지방 2.4%, 무기질 3.5%로서 단백질이 매우 풍부하다. 또한 철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으며 비타민 A, B2가 풍부하다. 건조된 메뚜기를 간장과 같은 조미료를 넣고 조리거나 하여 술안주 및 반찬 등으로 이용한다.
상기 누에는 농촌의 주요 소득원으로 크게 장려되었으나, 섬유 산업이 재편되면서 급감하여 유명 무실해졌다. 그러다가 1995년경 누에가 성인병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발표가 이루어지면서 차츰 재배 농가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누에가 번데기가 되어 실주머니를 만들기 전 영양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시기인 5령 3일[소잠 후 19일]에 것을 사용한다. 누에는 당뇨병, 고혈압, 간 기능 개선, 혈당 강하, 중풍 예방, 뇌신경 활성화, 위장병 등과 같은 성인병을 치유하고 예방하는데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누에에는 아스파트 겔신이 함유되어 있어 숙취 해소에도 좋다.
2. 1차 반죽 제조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밀가루는 강력분 20 ~ 30 중량부 및 박력분 30 ~ 5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며, 계란 흰자 5 ~ 15 중량부, 버터 5 ~ 12 중량부, 식용 곤충 분말 1 ~ 10 중량부 및 우유 68 ~ 87 중량부를 혼합하여 밀가루 반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반죽 시 우유 대신 물 68 ~ 87 중량부를 이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가루는 강력분 및 박력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가루 대신 쌀가루, 우리밀 또는 호밀로 이루어지는 곡물가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쌀가루, 우리밀 또는 호밀로 이루어지는 곡물가루는 각각 20 ~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은 되직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묽거나 되직하지 않도록 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부재료 세절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이다.
부재료에 사용되는 채소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으며, 향미가 있는 채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재료의 크기는 제한하지 않으나, 상기 깻잎은 1 ~ 4㎜의 크기로 세절하여 상기 깻잎의 향미 및 식감을 살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늘, 생강 또는 강황은 다져지거나 분말화하여 상기 마늘, 생강 또는 강황의 향미가 밀가루 반죽에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깻잎은 1 ~ 3일 동안 55 ~ 65℃ 온도의 열풍건조기에 의해 건조시킨 후, 1 ~ 4㎜의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깻잎을 건조하는 온도가 55℃ 미만일 경우 건조하는 기간이 길어져 깻잎의 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깻잎을 건조하는 온도가 65℃ 초과할 경우 온도에 따른 변화의 차이가 크지않아 비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밀가루 반죽 및 상기 세절된 부재료는 골고루 혼합하여 향미 및 식감이 향상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깻잎은 철분, 칼슘 등의 무기질 및 비타민 A,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식욕부진, 설사 또는 변비 등과 같은 위장 장애에 효과가 좋은 엽록소, 혈액을 응고시키는 작용을 하는 비타민 K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암과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며, 페릴라알데히드, 리모넨, 페릴케톤과 같은 방향성 정유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향이 있다.
상기 마늘은 알리신 또는 메탈시스테인과 같은 다양한 유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및 항균 작용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상기 알리신은 비타민 B1과 결화합여 알리디아민이라는 성분으로 바뀌면서 비타민 B1의 흡수를 돕고 이용률을 높여줌으로써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상기 생강은 디아스타아제 및 단백질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장운동을 촉진시켜 소화에 용이하며, 진저롤 및 쇼가올은 각종 병원성 균 특히 티푸스균 또는 콜라라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효능이 있다.
상기 강황은 커큐민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및 항산화 등과 같은 작용을 하여 건강 증진 효과가 있으며, 위산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심장병을 예방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당뇨병 환자의 혈탕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4. 스낵 반죽 제조 단계
상기 밀가루 반죽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세절된 부재료 1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조된 밀가루 반죽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세절된 부재료를 1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할 경우, 상기 세절된 부재료의 양이 미미하여 부재료의 효과를 볼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제조된 밀가루 반죽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세절된 부재료를 10 중량부 초과로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할 경우, 비경제적으로 많은 양의 부재료를 혼합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제조된 밀가루 반죽 및 상기 세절된 부재료는 1 ~ 5분 동안 혼합기에 의해 골고루 혼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3분 동안 혼합기에 의해 골고루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경우, 얼음 1 ~ 5 중량부를 투입하여 열감을 저하시켜 혼합되는 반죽의 신선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5. 시럽 제조 단계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또는 꿀로 이루어지는 액상과당 및 설탕을 이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또는 꿀로 이루어지는 당분은 35 ~ 50℃의 온도를 유지하여 시럽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탕은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희석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설탕 20 ~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한 시럽에 레몬 원액, 구연산 또는 비타민과 같은 첨가물을 혼합하여 새콤한 맛을 소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시럽은 상기 제조한 시럽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첨가물 1 ~ 1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 105℃의 온도에서 1 ~ 1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여 시럽을 제조할 수 있다.
6. 성형 및 굽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한 후, 오븐에 열처리하여 곤충스낵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스낵반죽을 성형한 다음 굵은 소금을 뿌린 후 오븐에 열처리하여 스낵을 제조하면 맥주안주로 적합한 스낵이 된다. 이때 소금을 뿌려주는 양은 염도가 0.5 내지 3정도로 간간한 맛이 나는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단계에 의해 제조된 스낵 반죽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성형 틀에 부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성형 틀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유의적으로 성형 틀 모양을 선택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조된 스낵 반죽을 성형 틀에 넣어 성형된 반죽은 180 ~ 220℃ 온도의 오븐에 10 ~ 25분 동안 구워 곤충스낵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 210℃ 온도의 오븐에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 ~ 200℃ 온도의 오븐에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스낵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미만 온도의 오븐에 25분을 초과하여 곤충스낵을 제조할 경우, 낮은 온도에서 장시간 동안 굽게 되어 바삭한 식감을 느끼기 어려우며, 상기 반죽을 220℃ 초과 온도의 오븐에 10분 미만으로 곤충스낵을 제조할 경우, 상기 곤충스낵의 겉면이 타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제조된 곤충스낵의 표면에 상기 제조한 시럽을 도포한 후, 2 ~ 10분 동안 180 ~ 220℃ 온도의 오븐에 열처리하여 단맛이 가미된 곤충스낵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5분 동안 180 ~ 210℃ 온도의 오븐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 ~ 5분 동안 180 ~ 200℃ 온도의 오븐에 열처리하여 단맛이 가미된 곤충스낵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한 시럽을 상기 오븐에 구워진 스낵에 도포하는 경우, 스프레이 형태 또는 붓 형태를 갖는 도포 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스낵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워진 스낵에 도포되는 시럽의 양은 1 ~ 10㎖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8㎖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 ~ 6㎖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강력분 250g, 박력분 400g, 계란 흰자 100g, 버터 80g, 설탕 80g, 식용 곤충 분말 30g을 혼합하고 우유 700㎖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한다. 깻잎 90g을 1 ~ 4㎜의 크기로 세절하여 상기 제조한 1차 반죽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한 스낵반죽을 성형 틀에 부은 후, 180 ~ 210℃ 온도의 오븐에 1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한다.
실시예 2
강력분 250g, 박력분 400g, 계란 흰자 100g, 버터 80g, 설탕 80g, 식용 곤충 분말 30g을 혼합하고 우유 700㎖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한다. 깻잎 90g을 1 ~ 4㎜의 크기로 세절하여 상기 제조한 1차 반죽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한 스낵반죽을 성형 틀에 부은 후, 180 ~ 210℃ 온도의 오븐에 15분 동안 열처리하여 스낵을 제조한다. 상기 열처리한 스낵을 꺼내어 겉 표면에 올리고당을 5㎖를 도포한 후, 180 ~ 210℃ 온도의 오븐에 넣어 3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한다.
비교예
비교예 2 :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스낵
물엿 500g, 설탕 100㎖에 홍삼액 90㎖를 혼합하여 약한 불에서 조려 조림청을 제조한다. 조림청에 건자두, 대추, 땅콩, 해바라기씨, 통보리 튀밥, 통밀 튀밥 및 통현미 튀밥을 각각 70g을 넣어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 관능검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관능검사 요원(2년 이상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으로 하여금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 종합으로 나누어 관능검사(5점 측정법)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전체적인 기호도 종합
실시예 1 4.82 4.81 4.82 4.81
실시예 2 4.85 4.82 4.83 4.83
비교예 1 4.73 4.70 4.72 4.7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가 비교예 1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능검사 결과 시럽의 유무에 따라 맛에 대한 평가에서는 유의적으로 실시예 2가 실시예 1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곤충 스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곤충 스낵은 식용 곤충을 분쇄하여 식용 곤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밀가루, 계란 흰자, 버터, 설탕, 식용 곤충 분말 및 우유를 혼합하여 1차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깻잎, 마늘, 생강 또는 강황으로 이루어지는 부재료를 세절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1차 반죽에 상기 세절한 부재료를 혼합하여 스낵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스낵 반죽을 2 ~ 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된 스낵 반죽을 180 ~ 220℃의 오븐에서 10 ~ 25분 동안 열처리하여 곤충 스낵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스낵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곤충은 밀웜,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장수풍뎅이, 귀뚜라미, 메뚜기 또는 누에로 이루어지는 식용 곤충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스낵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을 구워 제조된 곤충 스낵에 시럽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시럽을 도포한 스낵을 2 ~ 10분 동안 180 ~ 22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스낵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진 당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스낵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럽은 아가페시럽, 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꿀 또는 설탕으로 이루어지는 액상 당류 100 중량부에 대해 레몬 원액, 구연산 또는 비타민을 1 ~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한 혼합물을 95 ~ 105℃의 온도에서 5 ~ 10분 동안 가열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스낵 제조방법.
KR1020160065679A 2016-05-27 2016-05-27 곤충 스낵 제조방법 KR20170134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79A KR20170134029A (ko) 2016-05-27 2016-05-27 곤충 스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679A KR20170134029A (ko) 2016-05-27 2016-05-27 곤충 스낵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029A true KR20170134029A (ko) 2017-12-06

Family

ID=6092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679A KR20170134029A (ko) 2016-05-27 2016-05-27 곤충 스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996B1 (ko) 영양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Thomas et al. Mustard
CN103750276B (zh) 一种辣酱调料、辣酱及其制作方法
KR101858727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강정 제조방법
KR101561169B1 (ko) 지장수를 이용한 단감 장아찌의 제조방법
JP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KR20160128113A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김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764306B1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6113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44965B1 (ko) 육류요리용 양념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념
KR101924557B1 (ko) 식용곤충을 이용한 김 가공식품 제조방법
KR20170077482A (ko) 약초뿌리만두 및 그 제조방법
JP2003274908A (ja) ポタージュス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34857A (ko) 친환경 현미와 고소애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645225B1 (ko) 미나리가 함유된 쌀돈까스
KR20170134029A (ko) 곤충 스낵 제조방법
KR101972396B1 (ko) 해초 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5272B1 (ko) 식용곤충 고형식품 제조방법
KR101288626B1 (ko) 초계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821171B1 (ko) 콜라겐이 함유된 치자현미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442B1 (ko) 구절초와 옥수수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739448B1 (ko) 황칠추출액과 양파추출액이 혼합된 혼합액 및 황칠과 양파가 함침된 구운 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