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411A -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411A
KR20170133411A KR1020177030982A KR20177030982A KR20170133411A KR 20170133411 A KR20170133411 A KR 20170133411A KR 1020177030982 A KR1020177030982 A KR 1020177030982A KR 20177030982 A KR20177030982 A KR 20177030982A KR 20170133411 A KR20170133411 A KR 20170133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liquid
container
porous insert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356B1 (ko
Inventor
알랭 드팜므
파브리스 메르씨에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9883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701334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Publication of KR2017013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ai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61J1/1456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using liquid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39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44In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8Molecular sieves
    • B01D71/0281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6Fur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
    • B01D2311/2692Ster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6Hydrophil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8Hydrophobic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친수성이고 부분적으로 소수성으로 형성된 계면 멤브레인을 통해 수성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 중, 액체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각각의 동작 동안에, 공기 유동과 액체 유동이 모세관 채널(18) 내에서 멤브레인으로부터 하류로 교번적으로 순환한다. 상기 계면 멤브레인(7)은 바디에 살균성 금속 양이온(biocidal metal cations)을 포함하는 여과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액체 및 공기 모두를 투과시키는 다공성 삽입체(porous insert)(8)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삽입체(8)는 유체 경로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7)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계면 멤브레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살균성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는 음으로 하전된 자리(negatively-charged site)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본 발명은 용기가 개방될 때까지 뿐만 아니라 그 후에, 용기 내의 내용물의 소비를 통해, 용기의 전체 내용물이 소모되었을 때까지, 멸균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는 내용물을 패키징하기 위한 소형 용기의 제조를 위한 기법에서 사용되는, 액체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요구 조건들의 전형적인 예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투여 시에 불규칙적으로 분배될 수성 용액을 수용하는 다회-투여 용기의 분야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는 여과 작용에 의해 주변 공기로부터 미생물학적 오염물이 용기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액체 계면에 있는 멤브레인(membrane)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멤브레인은, 용기로부터 액체의 투여량(dose)의 배출 단계 동안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그리고 이와 달리, 용기로부터 빠져나간 액체의 체적을 보충하기 위해 공기가 해당 용기에 들어가는 것이 요구되는 때인 흡입 단계 동안에 하류에서 상류 방향으로, 이러한 공기와 액체의 두 개의 면들 간에 작용하는 압력차에 따라, 공기 또는 액체 중 어느 하나가 자신을 우선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이중적으로 선택적으로 투과적인 특성을 또한 갖는다고 공지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기존 특허에서는, 양 기능성 멤브레인(액체 또는 기체 흐름의 전달의 관점에서 양 기능성임)으로 불리는 그러한 멤브레인이 멤브레인 이후에 배치된 액체의 배출을 위한 모세관 채널을 통해서 액체 및 기체의 교번적 순환(alternate circulation)을 보장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가 기재되어 있다. 수성 액체(특히, 약학적으로 활성인 성분을 갖는 수용액)를 위한 멸균 패키징 용기의 밀폐 공간들 사이의 계면으로서 작용하는 멤브레인은 상기 계면의 전체 범위의 제 1 영역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면의 전체 범위의 제 2 영역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멤브레인의 기능은 특히 공개된 프랑스 특허 출원 번호 FR 2872137(이에 대응하는 국제 출원 공개 번호는 WO 2006/000897임)에서 기술되어 있으며, 이 특허 문헌에서, 상기 멤브레인은 일 방향에서는 공기의 유동 및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단일 덕트 양단에 걸쳐서 배치되며, 해당 용기는 용기의 내측과 외측 간의 다른 방향에서, 교번적 액체 배출 및 공기 흡입을 생성하도록 조작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벽체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분배하는 동작들 동안,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하는 동안에 살균이 유지되어야 하는 멸균 액체 제품을 위한 패키징 용기로서 사용 시에, 미생물 살균 및 화학적 독성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미생물학적 보호 기능을 갖는 액체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로써 달성하고자 하는 한 가지 주요 목표는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인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고도로 오염된 현장에서 사용되는 의약품 또는 약제 제품에 대해 다회-투여 가능한 패키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소수성 양 기능성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는데, 상기 멤브레인 전체에 걸쳐서, 이온성 산화 효과에 의해 작용하는 살균성 제제가 또한 담지된다(loaded). 이러한 살균성 제제는,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금속 양이온을 그들 내에 보유하는, 제올라이트(zeolites)라고 불리는 아미노-실리케이트 계열의 미네랄 중합체의 형태로 현재 공지된, 선행 기술에 의해 제안된 것들과 같은, 양으로-하전된 금속 이온들을 갖는 거대분자들(macro-molecules)에 의해 공급된다. 유용한 이온들 중에는, 은 이온(Ag + 또는 Ag ++)이 있으며, 이러한 은 이온은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항균 보호성 멤브레인의 산업적 사용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 장치에서, 이러한 멤브레인은 상기 멤브레인의 상류의 유체의 경로에 개재된 다공성 질량체와 결합하여 살균성 금속 이온들의 영구 공급원으로서 사용되며, 이러한 살균성 이온들은 액체의 투여량을 분배하는 각각의 동작에서, 흡입 단계 동안 멤브레인으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다공성 질량체는 상기 다공성 질량체에 도달한 상기 살균성 이온들을 그 안에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다공성 질량체는 활성 이온들의 2 차 보유량을 유지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다공성 질량체는 이들 살균성 이온의 운반과 관련하여, 이러한 살균성 이온들이 용기 내부의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플러그를 형성한다. 실제로, 그 자리에서 소비되지 않을 때 예비적으로 존재하는 살균성 이온들은 후속 분배 동작의 배출 단계 동안 쉽게 방출되어, 상기 멤브레인을 향해 다시 멤브레인 내로 혼입된다.
살균성 금속 양이온들로 담지된 물/공기 계면에서 위치하는 멤브레인은, 예를 들어, 1993년에 출원되고 1997년에 공개된 미국 특허 US 5,681,468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오래 동안 공지되어 왔다. 그러나, 배출된 액체가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하류에 위치할 때, 살균성 양이온들이 상기 배출된 액체를 오염시키는 박테리아를 공격하는 것 이외에, 살균성 양이온들이 이와 다르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은 결코 예상되지 않았다. 또한, 멤브레인에 담지되는 이온들과 동일한 활성 이온들을 보유하기 위한 다공성 질량체와 멤브레인을 결합한 장치에, 그리고 자신을 통한 유체의 순환을 구성하고 멤브레인의 레벨에서 그리고 상기 장치의 하류 영역에서의 유동들의 교번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에, 본 발명에 의해 구상된 바와 같은 멤브레인을 장착하는 것은 제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제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다공성 질량체는 멤브레인의 상류에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장착된 삽입체(insert)의 형태로,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결 덕트의 비-밀봉 클로저 스토퍼(non-sealing closure stopper)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삽입체의 다공성 및 배열로 인해서, 상기 삽입체는 유리하게는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에 기재된 안과용(ophthalmic) 점안병(dropper bottle)으로부터 공지된 유동 조절기 플러그(flow regulator plug)로서 작용하도록 설계되며, 이러한 유동 조절기 플러그는 용기 밖으로 배출된 액체의 경로 상에서의 압력 손실을 야기함으로써 그렇게 작용한다.
한편, 이러한 삽입체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무균성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 재료로부터의 보호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삽입체는 구체적으로, 활성의 음으로 하전된 자리를 갖는 고분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멤브레인에 초기에 담지된 살균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한 재료는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공중합된 폴리올레핀 기반의 중합체들로 구성된다.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서 그리고 공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조건에 따라, 상당량의 자유 카르복실 자리들이 수득된 중합체 내에서 유지되며, 해당 중합체와 접촉하게 되는 살균성 양이온으로 사용되는 양이온들과 결합할 준비를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금속 양이온을 유지하기 위한 중합체성 재료의 비 용량(specific capacity)은 다른 카르복실기를 방출시키는 효과를 갖는 조사(irradiation) 처리를 중합체에 실시함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동작 모드는 내부 액체 저장부의 용적의 압축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안과용 용액을 위한 가요성-벽체(flexible wall)를 갖는 멸균용 패키징 용기를 상기 장치가 구비한 경우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액체의 투여량을 분배하는 각각의 동작 시에, 첫째로,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액체 배출 단계, 및 멤브레인의 하류에 위치한 모세관 채널을 넘어서는 액체의 배출, 및 이어서, 외부 공기가 용기에 들어가게 하는 흡입 단계를 야기하는 압력 변동을 실현하는 것을 유사하게 가능하게 하는 다른 수단이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서, 상기 흡입 단계 이후에, 배출되지 않은 액체의 역류는 공기 유입에 뒤따른다. 특히, 탄성 복귀 수단과 만나는 축방향 이동가능한 베이스부를 갖는 용기 또는 펌프 시스템이 구비된 용기를 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 방울 분배 장치가 우선적으로 참조될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방울보다 큰 개별적인 투여량을 배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토출의 형태로 또는 공간적 확산성을 갖도록 액체를 배출하는 모세관 채널의 배출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초기에, 처음 사용하기 전의 보관 기간 전체에 걸쳐,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 위에 있는 가압된 무균 공기의 헤드를 통해 기밀하게 유지되며, 이로써 멤브레인이 건조된 상태로 있게 된다. 용기가 열린 후에 액체가 처음 배출되는 때에 멤브레인은 자신의 친수성 영역에서만 액체로 젖게 될 것이다.
상기 장치의 하류 공간은 액체 흐름 및 가스성 흐름이 혼합되지 않고 번갈아 순환하는 모세관 채널을 포함하며, 이로써 동작 동안에, 상기 모세관 채널이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의 유동을 전달하는 것을 완료했을 때에, 배출되지 않은 액체의 나머지 부분이 남게 되고 이들은 일시적으로 상기 모세관 채널을 점유한다. 이러한 잔류 액체는, 멤브레인의 두 면들 간의 압력 차가 배출 방향으로 가해지지 않을 때,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흐름의 압력 하에서, 멤브레인을 통해 역류하여서 재순환된다. 이러한 흡입 단계에서, 액체의 역류는 멤브레인의 친수성 영역을 통과하지만, 분배된 액체의 부피를 보충하기 위한 공기의 유입은 소수성 영역을 통과한다.
멤브레인의 상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에 배치된 공간은 하류 모세관 채널과 달리, 큰 단면을 갖는 덕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덕트 내에는 다공성 삽입체가 배치되며,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반응 시에 음전하를 제공하며, 상기 음전하는 상기 다공성 삽입체가 특히, 자유 카르복실기의 형태로 갖고 있는 활성 자리들의 레벨에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의 중합체와 함께 담지된 물질의 화학 결합으로 액체에 의해 운반되는 살균성 금속 이온을 보유하는 경향이 있다. "플러그"라고도 불리는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는 액체와 공기의 흐름 모두의 존재 시에 상기 덕트 내에 위치하며, 이러한 공기 및 액체는 모두 함께 다공성 삽입체의 중합체와 접촉하며, 이러한 중합체는 다공성 재료의 셀들 내에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은 다공성 질량체의 특정 표면에 대응하는 넓은 표면적에 걸쳐 발생한다. 본 장치가 동작 중일 때, 다공성 삽입체는 살균 금속 양이온을 충분히 유지하며 이로써 용기 내의 예비 액체가 살균성 양이온에 의해 화학적으로 오염되지 않도록 된다. 다른 한편으로, 미생물학적 오염으로부터 예비된 액체를 보호하면서, 상기 액체를 분배하는 상기 장치에서 높은 수준의 살균 활성도에 유리한 현상에 따라서, 살균성 양이온의 전후 이동이 확립되고, 액체의 유동 및 역 유동에 의해, 특히 멤브레인과 다공성 삽입체 간의 외측 방향 및 복귀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보장된다.
실제로,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가 액체의 불연속적 분배를 위해 그의 사용 기간 전체에 걸쳐 높은 수준의 살균 활성도를 보유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멸균된 점안액을 함유하는 다회-투여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 용기의 폐쇄부로서 밀폐된 방식으로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는 점안액의 사용 동안의 무균성의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고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용기 내의 내용물의 소비는 기존 용기보다 훨씬 더 긴 시간에 걸쳐서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자에게 위험 요소가 없다는 완전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미생물이 들어간 주변 공기로부터 기인하는, 상기 배출된 액체를 보충하기 위한 공기의 유입은, 이 공기가 주로 멤브레인의 소수성 부분에서, 멤브레인의 공극 내의 살균성 양이온과의 접촉하면서, 살균성 작용에 의해서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동안에 이러한 공기는 멸균되고, 그리고, 해당된다면, 항 박테리아 여과에 의해서 살균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남아있는 비방출 액체의 역류에 의해 운반된 살균성 양이온이 각각의 액체 분배 종료 시에 상기 삽입체 내에서 유지된다는 사실로인해, 이러한 남아있는 액체의 일부와 혼합된 상기 삽입체 내부의 정체성 공기로부터의 미생물을 파괴하는데 사용 가능한 일부 활성 살균성 제제는 항상 존재한다.
이하에 기술된 테스트들은 살균성 양이온이 다공성 삽입체 내에서 점진적으로 수집되고, 수집되는 양에 대한 구배는 멤브레인에 가장 가까운 단부 부분(본 명세서에서, 근위 부분이라고 지칭됨)로부터 액체 예비 영역에 가장 가까운 반대편 단부(본 명세서에서, 원위 부분이라고 지칭됨)로 감소하며, 이로써 예비 액체는 살균성 양이온을 함유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장치의 제 1 동작 후에, 살균성 양이온들로 담지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이로써 상기 삽입체를 통해 용기 내부를 떠나는 액체 흐름의 통과 동안 부분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살균성 양이온의 공급원을 형성하며, 이로써 이러한 살균성 양이온들은 멤브레인 상의 가용한 자리들에 결합된다.
따라서, 살균성 양이온의 전후 이동은 액체의 전후 운동과 관련된 유체 순환 덕트 내에서 생성되고, 이는 사용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내에서 이용 가능한 살균성 양이온의 비교적 안정한 양을 유지시키며, 이러한 살균성 양이온들은 이들과 접촉하는 미생물에 대해 살균 활성 작용을 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양 기능성 물/공기 계면 멤브레인을 제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의 비밀봉 스토퍼로서 설치된 플러그 삽입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로써, 동작 시에, 용기를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최초의 사용을 위해 개방시킨 후에, 상기 계면 멤브레인 및 플러그 삽입체가 함께 동작하여 그들 간에 이동가능한 이온들의 베드(bed)를 생성하며, 이러한 이동가능한 이온들은 각각의 분배 동작(액체-배출 단계 동안)에서 용기으로부터 추출된 액체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플러그 삽입체로부터 제거되고, 분배 동작의 이전 동작 동안(공기 흡입 단계 동안) 분배되지 않은 액체의 역류에 의해 거기에 도달한 것들로부터 제거된다.
전체적으로, 생물학적 오염물의 파괴 시에 효과적으로 소비되는 살균성 금속 이온의 양은 각 동작 시에 대체되는 양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인정되며, 이러한 양은 멤브레인의 초기 용량에 비해 매우 낮다. 소비되는 양은 공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흡입된 주변 공기의 오염 정도에 의존하며, 이러한 효과적인 처리의 효율은 담지된 재료와의 접촉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될 것이다. 대체되는 양은 활성 양이온 담지량을 담고 있는 액체의 흐름, 보다 정확하게는, 멤브레인으로부터 삽입체로의 액체의 각각의 역류 및 배출시 멤브레인으로의 각각의 직접적 유동 시에 대체되는 액체의 양으로부터 기인된다.
이러한 고려사항들을 염두에 두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용 장치가 다소 오염적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또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분배될 용액의 전체 부피, 해당 용기의 총 사용 기간 및 분배 동작의 반복 횟수와 관련하여, 각각의 멤브레인 및 다공성 삽입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서, 멤브레인 및 다공성 삽입체의 각각의 형상 및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용 장치를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멤브레인 자체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유리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은 이온성 산화에 의한 살균 효과를 갖는 제제가 균일하게 담지된 친수성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친수성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는 그의 전체 질량에 걸쳐서 상기 멤브레인을 구성하고, 그의 살균 활성을 보호하는 추가 중합 처리에 의해,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 간의 유체의 순환 덕트 양단에 설치된 상기 멤브레인의 범위에 걸쳐서 국부적으로 소수성으로 된다.
이는 공기로 구성된 가스상을,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에 걸쳐 다공성 질량체 내에서 살균 효과를 갖는 활성 이온이 담지된 중합체 재료와 접촉시키기에 적합한 체적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목적은 멤브레인의 친수성 기재(base) 재료가 미세 균질 방식으로 구성되고, 이는 섬유들 간에 대전된 입자를 유지하는 필라멘트-기반 재료로 이루어진 필터 멤브레인의 조기 실현을 배제한다는 사실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 효과를 갖는 활성 이온을 갖는 미네랄 거대분자를 혼입시킨, 마스터배치(masterbatch)의 융합가능한 과립을 포함하는 용융 중합체 기재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박테리아의 여과는 0.2 ㎛를 초과하지 않는 미세 다공성을 요구하지만, 이러한 멤브레인 내에서의 살균성 제제의 존재는 바람직하게는 약 0.3 또는 0.4 ㎛,보다 일반적으로는 0.5 ㎛까지, 또는 심지어 0.6 또는 0.8 ㎛, 또는 심지어 1 ㎛까지의 큰 다공성에서도 만족스럽게 멸균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점성 액체가 처리되도록 한다. 실제로, 본 발명은 0.3 내지 1 ㎛, 특히 0.3 내지 0.6 ㎛의 입자 크기보다 큰 치수를 갖는 미생물을 여과하는데 적합한 평균 기공 직경을 갖도록 상기 멤브레인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대체적으로, 멤브레인의 다공성은 액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0.1 내지 1 마이크로미터 중의 임의의 값으로 조절될 수 있다.
살균성 이온의 지지 거대분자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형의 미네랄 중합체이며, 이 중합체 내에 살균성 이온들이 혼입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자체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이온성 형태의 은 이온 또는 유사한 금속과 같은 금속 이온들이 혼합되며, 이러한 금속 이온들은 극성 공유 결합을 통해 폴리실록산 사슬의 자유 자리(free site)에 결합된다. 이들 미네랄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결정질 중합체이다. 본 발명이 사용되는 용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멤브레인 내에서의 활성 이온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3 cm2의 크기의 효과도를 가지며 약 0.2 내지 0.3 마이크로미터의 다공도를 갖는 멤브레인에서 은 이온을 유지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무기 중합체의 경우를 예를 취할 때에, 100 내지 100,000 ppm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유용한 금속 이온들 중에서, 구리 또는 아연 이온이 유지될 수 있지만, 은 이온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미생물 억제 장치의 산업적 맥락에서 가장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부수적인 특징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 장치 이외에, 특히 약제 또는 약학 제품의 무균 패키징과 관련하여 이용되도록, 본 발명을 사용하는 멸균 패키징 용기로 그 용도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멤브레인 자체의 특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유체의 순환을 구성하는 수단은 패키징 용기에 장착된 액체 분배 장치를 완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키징 용기는 해당 용기로부터 배출된 임의의 투여량의 액체를 보충하기 위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 및 임의의 배출되지 않은 잔류 액체가 상기 장치를 통해 복귀하는 역류를 보장하기 위해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벽체를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은 자신을 통한 공기 및 액체 유체의 순환을 구성하는 수단과 결합하여 액체를 분배하기 위해 상기 장치 내의 상기 다공성 삽입체와 함께 장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방울의 배출을 위한 모세관 채널을 포함하는 점적기 선단부의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방울 배출은 상기 선단부의 베이스부의 반대편을 향해 발생하며, 상기 선단부 내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기 수단 및 배출되지 않고 따라서 하류 공간으로부터 상류 공간으로 멤브레인을 통해 역유동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잔류 액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수단들은 공기 유동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심에 배치된 멤브레인의 소수성 부분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친수성 부분에 걸쳐서 액체를 분배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한 특징들 및 그 이점들의 맥락에서보다 완전하게 기술될 것이며, 이는 멸균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적기 선단부(dropper tip)를 갖는 용기 내에서 무균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시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학적 멸균을 위한 분배 장치를 통해 액체가 연속적인 투여량으로 방출되는 변형 가능한 벽체를 갖는 용기의 다양한 요소들을 길이 방향 단면도로 분해된 상태에서 도시한다.
도 2의 길이 방향 단면도는 액체 분배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며, 용기의 목부(neck) 내로 삽입하기 위한, 액체의 분배 및 외기 유입을 위한 헤드를 구성하도록 그의 특정 요소들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나셀(nacelle)을 향하여 위치하는 그의 표면 상에서, 선단부의 베이스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분배 장치의 순환 덕트 내로 복귀하는 유체를 부분 분해도로 도시한다.
본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로 그리고 도 1의 모든 그의 구성 요소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헤드를 구비한 용기는 무균 패키징 용기의 통상적인 설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용기는 무균 상태로 분배될 수성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2)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 위에 해당 용기의 목부(10)에 밀봉 방식으로 장착된 분배 장치가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확실한 미생물학적 멸균 하에서, 분배를 위해서 필수적인, 그의 구성 요소들에 걸쳐 분포되는 본 발명에 특정된 특징들에 의해서 무균 패키징 용기의 통상적인 설계와 차이가 나며, 또한, 이러한 차이는 분배될 수성 액체 및 상기 배출된 액체를 보충하기 위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덕트에 의해서도 나며, 이러한 순환은 말하자면, 주로 상기 덕트의 상류 부분에서 발생하며, 또한, 나셀(4)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플러그 형태의 다공성 삽입체(8)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며,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8)는 멤브레인(7)의 이들 하류 부분 및 상류 부분의 계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순환 및 덕트 내에서의 살균 활성에 대한 결과적인 작용과 관련된 그들의 상대적 어셈블리에 있어서도 통상적인 설계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 장치가 포함하는 선택적 투과성 멤브레인은 이러한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액체 유동 및 공기 유동을 서로 분리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멤브레인은 여과에 의한 미생물 억제 멤브레인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멤브레인의 재료는 살균성 양이온을 유지하는 미네랄 거대분자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살균성 양이온은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유체 내에서 운반되는 박테리아 또는 유사 미생물을 파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된 예에서, 멤브레인은 유기 중합체,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경우에는,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술폰 수지에 의해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유기 중합체 내에 살균성 양이온을 지지하는 미네랄 거대분자가 그의 질량체 내에 홉입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례에서는 살균성 양이온을 지지하는 미네랄 거대분자는 은 양이온들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이다. 멤브레인은 친수성이고 분배 장치에 배치된 덕트 양단에 걸쳐 있는 그 범위의 일부분에서만 소수성으로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국부적 소수성은 제올라이트의 살균성 양이온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그 구성 성분들 간의 라디칼 가교 반응에 의해, 인 시츄 방식으로, 중합체의 구조를 개질시키는 자외선 조사 하에서의 조사에 국부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멤브레인은 공기 존재 시에 수성 액체를 우선적으로 통과시키는 친수성 영역(22) 및 물 또는 수성 액체의 존재 시에 공기를 우선적으로 통과시키는 소수성 영역(23)을 갖는다. 살균 효과를 갖는 이온성 담지제들은 소수성 영역 및 친수성 영역 모두에 존재한다.
동작 동안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행되는 용기로부터의 액체의 투여량을 분배하는 연속적인 동작 동안에, 유체의 멤브레인을 통한 순환의 구성과 함께, 멤브레인의 구조는 미생물을 파괴하는 작용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작용은 공기와 기공들의 표면에 이온들이 담지된 중합체 간의 접촉에 의해 소수성 재료 자체 내의 공기 흐름에 가해지며, 반대로, 멤브레인의 친수성 부분에서, 살균성 이온은 소모되지 않고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액체 내에 포함되어 더 운반된다.
용기의 폐쇄된 내부 공간의 측면 상의 멤브레인(7)의 상류에 있는 유체의 순환을 위한 덕트 내부에는, 다공성 삽입체(8)가 있으며, 이 다공성 삽입체의 주요한 역할을 본 발명에 따라, 용기로부터 이전에 배출된 액체의 투여량의 비-방출된 잔류물에 의해 구성된 수성 액체의 각각의 역류에 의해 상기 다공성 삽입체에 도달한 살균성 양이온을 보유하는 것이고, 새로운 액체 투여량이 후속하여 용기로부터 배출될 때, 자신에게 담지되어 있는 살균성 양이온을 멤브레인으로 분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안과 용도의 맥락의 종래의 예들에서, 용기의 축을 따른 다공성 삽입체의 길이는 9mm이고 직경은 9.6mm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그리고 지시에 따라, 상기 다공성 삽입체의 길이는 5 내지 15 mm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 삽입체의 치수는 그의 리셉터클의 크기에 맞게 조정된다.
다공성 삽입체의, 해당 멤브레인의 상면으로부터 거리는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다. 다공성 삽입체의 다공성은 수류 용량법(water flow capacitive method)에 따라 측정되는 3,000 ml/mn의 공기 플로우 레이트에 대응하며, 이러한 수류 용량법은 크로노미터(chronometer)를 사용하여 주어진 부피를 채우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삽입체의 체적 질량 밀도는 0.50 g/cm3 크기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개방 셀을 포함하는 삽입체의 다공성은 수류 용량법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은, 1,000 내지 4,000 ml/분의 공기 플로우 레이트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성 삽입체의 체적 질량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80 g/cm3이다.
다공성 삽입체의 산성 시험
여기서 언급된 예에 따른 안과용 액체용 용기를 위한 다공성 삽입체는 압축 성형되는 압출된 폴리에틸렌계 중합체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에틸렌이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과 공중합되는 정도로 초기에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본 실례에서, 상기 카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은 카르복실산의 고급 동족체(C4-C10 탄화수소 사슬을 가짐)에 의해 최대 25 %의 비율로 구성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중합체는 이미 중합 반응에 의해 자유롭게 된 카르복실 자리들 포함한다. 이는 양이온에 대한 작용과 다공성 삽입체에서 측정된 산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가능하게 한, 아래에 보고된 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자유 카르복실 자리의 비율은 중합체의 분자를 파괴할 수 있는 방사선에 상기 생성물을 노출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베타 또는 감마선이 이러한 방사선으로 적합하다.
예로서, 압축 성형된 삽입체는 공기의 존재 하에서, 감마선(Cobalt 60 소스, 25 kGy)에 의한 조사를 받는다. 조사 동안 중합체 재료에 형성된 라디칼은 특히 카르복실 음이온 그룹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와 반응한다.
조사 전후의 카르복실 자리의 함량이, 폴리올레핀에 대한 European Pharmacopoeia 8.6으로부터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 분석의 원리에 따라 수행되는 산도 측정을 사용하여 연구된다. 이러한 측정은 정제수와의 비교, 온수 상에서 비조사된 삽입체와의 비교, 및 온수 상에서 조사된 삽입체와의 비교를 통해서 수행되다.
그 결과가 하기 표 1에서 나타난다.
정제수 비조사된 삽입체 조사된 삽입체
pH 6.8 5.5 5.0
Vh(ml) 1.2 1.5 2.4
착색된 지시약의 종점에서 pH의 감소 및 등가 체적 부피(Vh)의 증가는 조사된 삽입체 내에서의 많은 수의 산성 자리들의 생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아직 조사되지 않은 카르복실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들을 갖는 공중합체 삽입체의 경우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인다.
용기 안의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부에 도달하는 액체의 나머지 부분은 살균성 양이온이 없으며 무균 상태에 도달하다. 이의 증거는 이후의 시험에 의해 입증된다.
멸균된 저장 액체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
용액 A를 함유하는 제 1 용기 및 용액 B를 함유하는 제 2 용기의, 멤브레인의 상류의, 밀폐된 공간에서 발견된 은 이온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가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용액들은 하기에서 기술되며, 다공성 삽입체는 길이 및 두께가 동일한 3 개의 부분으로 길이를 따라서 절단되었으며, 즉, 삽입체의 근위 부분, 삽입체의 중앙 부분 및 삽입체의 원위 부분으로 절단되었으며, 간헐적인 액체 방울의 배출에 의해 용기으로부터 추출된 액체의 체적에 대응하는 용기의 상이한 사용 시간에서 테스트되었다.
이 테스트에서는 점안액으로 알려진 수성 매질 내의 두 가지 용액이 테스트된다: 안구 건조 처리 시에 점안액으로서 통상 이용되는 수성 매체 내의 염화나트륨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생리용 용액 A, 및 녹내장 치료 시에 점안약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성 매질 내의 티몰롤 말레에이트(timolol maleate)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과용 용액 B.
그 결과를 상기 용액 A에 대해서는 표 2에, 상기 용액 B에 대해서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 용액 A에 대한 유체 순환용 덕트의 상류 부분에서의 은 이온량
용기 사용 시간 처음 사용 15 일 30 일 90 일
추출된 용액 A의 체적 4 방울
(0.15 ml)
1.67 ml 3.35 ml 10 ml(대략 300 방울)
삽입체의 근위 부분에서(ppm) 4.18 0.88 1.03 0.94
삽입체의 중간 부분에서(ppm) 1.75 0.56 0.44 0.61
삽입체의 원위 부분에서(ppm) 0.81 0.26 0.31 0.22
저장부에서(ppm) <0.001 ppm <0.001 ppm <0.001 ppm <0.001 ppm
표 3 : 용액 B에 대한 유체 순환용 덕트의 상류 부분에서의 은 이온량
용기 사용 시간 처음 사용 15 일 30 일 90 일
추출된 용액 B의 체적 4 방울
(0.15 ml)
1. 08 ml 2. 17 ml 6. 5 ml(대략 200 방울)
삽입체의 근위 부분에서(ppm) 7. 73 2. 08 1. 81 1. 34
삽입체의 중간 부분에서(ppm) 4. 95 1. 36 0.91 0.63
삽입체의 원위 부분에서(ppm) 1. 08 0.36 0.42 0.27
저장부에서(ppm) <0.001 ppm <0.001 ppm <0.001 ppm <0.001 ppm
이들 표 2 및 3의 결과는 한편으로는 은 이온이 사실 삽입체에 보유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다른 한편으로, 삽입체 내에 보유된 은 이온의 양은 삽입체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원위 부분으로 감소하고, 액체 예비 영역에서 은 이온의 양은 검출 임계치(0.001ppm) 미만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비 액체는 살균성 양이온에 의해 화학 오염으로부터 잘 보호된다.
다공성 삽입체에 남아있는 은 양이온의 양은 처음 사용할 때 크지만, 용기의 장기간 사용 동안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갑자기 감소하지는 않으며, 이는 살균 이온성 교환 운동이 액체의 역류에 의해 전달되는 살균성 양이온을 보유하는 구역으로서의 다공성 삽입체와 양이온의 주요 공급원으로서의 멤브레인 간에서 멤브레인의 상류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다음, 다공성 삽입체는 멤브레인을 향하여 액체를 인출하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살균성 양이온의 2차 공급원이 된다.
강제 오염 시험
시간에 따른 항균 효능의 이른바 강제 테스트에 의한 항균 효능 관한 테스트들이, 한편으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조사된 삽입체을 갖는 장치(D1), 및 다른 한편으로는, 삽입체가 조사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장치(D1)와 유사하게 구성된 장치(D2)에 대해서, 그리고 장치(D3)와 비교하여 실시되었으며, 상기 장치(D3)의 삽입체는 장치(D1)와 같이 조사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지만, 상기 장치(D3)의 항균 멤브레인은 본 발명의 장치의 중합체성 기재(base)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지만 임의의 살균성 제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강제 생물학적 오염 시험은 액체 방울의 배출에 의한 용기의 사용 및 이후의 주어진 상당한 양의 오염균 주입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균의 양은 후속하여, 배출된 용액의 일 방울에서 발견되고 결정된다.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시험 결과는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되었다. 멸균 용액을 담은 용기를 이 용액 4 방울을 떨어 뜨려 사용한 후에, 다량의 오염균, 본 실례에서는, 105 (10 만개의) 세균을 용기의 선단부 내의 개구 내로 주입하고, 이어서, 상기 첫 번째 세균 주입 6 시간 (시간 T6) 이후에 배출된 액체의 1 방울에 존재하는 세균의 양이 결정되었다. 다음날, 즉 용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24 시간 후, 한 방울의 용액을 용기으로부터 추출하고, 이어서, 용기의 선단부 내에 105 개의 세균을 주입하고, 이러한 조작은 하루에 세 번 수행되되, 아침에 한 번, 점심에 한 번, 저녁에 한 번씩 수행되어, 점안액의 일반적인 사용을 시뮬레이션한다. 마지막 세균 주입 후 24 시간(시간 T24) 후에 1 방울의 용액을 추출하고 이 방울에 존재하는 세균의 양을 결정하였다.
한편, 강제 오염 시험은 소정의 용액의 3 개월 사용량에 대응하는 용적의 용액의 방울들을 먼저 추출함으로써 유사한 용기들에 대해서도 수행되며, 이어서, 상술한 강제 오염 프로토콜에 따라서, 선단부의 개구에 105 개의 세균을 투입하고 6 시간 (시간 T6) 후에 한 방울의 용액이 분석되고, 그 다음날, 한 방울을 추줄하고, 이어서, 세균을 주입하는 조작을 하였으며, 이러한 조작은 하루에 세번씩 수행되었고, 마지막 세균 주입 24 시간 후 상기 추출된 한 방울에 존재하는 세균의 양이 결정된다.
표 2 및 표 3의 실례들에 대해 앞서 설명한 생리학적 용액 A 및 점안액 B를 갖는 용기를 시험하였다.
이 시험들에서, 두 가지 오염성 호기성 박테리아 균주, 즉 Pseudomonas aeruginosa의 균주 P와 Escherichia coli의 균주 E가 사용되었다.
그 결과가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난다.
표 4 : 생리학적 용액 A를 이용한 강제 오염 테스트
장치 D1
조사된 삽입체
장치 D2
비조사된 삽입체
장치 D3: Ag 양이온이 멤브레인 내에 없음 용기 사용 기간
분석 시간 T6 T24 T6 T24 T6 T24
균주 P 8 2 1,000 10 10,000 100,000 즉시
균주 P <1 <1 1,000 10 10,000 100,000 3 개월 시에
(10 ml 추출됨)
균주 E 100 <1 10,000 100 100,000 100,000 Immediate
균주 E 10 <1 10,000 100 100,000 100,000 3 개월 시에
(10 ml 추출됨)
표 5 : 생리학적 용액 B를 이용한 강제 오염 테스트
본 발명에 따른 장치 D1 조사되지 않은 삽입체를 갖는 비교예의 장치 D2 초기에 살균성 이온이 담지되지 않은 멤브레인을 갖는 장치 D3 용기 사용 기간
분석 시간 T6 T24 T6 T24 T6 T24
균주 P <1 <1 1,000 10 100,000 100,000 즉시
균주 P <1 <1 100 10 100,000 100,000 3 개월 시에
(6.5 ml 추출됨)
균주 E <1 <1 1,000 100 100,000 100,000 즉시
균주 E <1 <1 1,000 10 100,000 100,000 3 개월 시에
(6.5 ml 추출됨)
이들 표 4 및 5의 결과는 시간 경과에 따라 간헐적으로 투여된 투여량을 통해 장시간 사용하는 동안, 액체가 예비적으로 보관될 때 무균인 액체의 무균성을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의 고효율을 나타낸다.
본 실례들에서 보고된 결과들은 이점을 가지며, 이러한 이점은, 안약용 용기의 정상적인 사용 조건을 벗어났을 때에,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전달된 액체의 미생물학적 품질이 허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며, 심지어, 예외적으로 심한 오염이 인위적으로 유발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전달된 액체의 미생물학적 품질이 허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따라서, 오염의 위험성 측면에서 훨씬 더 심각한 조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용 분야에서 본 발명의 동일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어, 상처, 화상 등에 도포될 수 있는 제품, 화장품 분야에서 아토피성 피부 제품 등에 도포될 수 제품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을 다회-투여량 용기 내에 패키징하는 것은 본 발명으로 인해서 가능해진다. 또한, 이전에 알려진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결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는 것이 명백하다.
점성이 있는 액체를 이용한 시험
이러한 강제 오염 시험은, 예를 들어, 0.8 ㎛로서 본 실례에서 선택된, 0.2 ㎛보다 현저하게 큰 평균 기공 직경을 갖는 멤브레인을 사용함으로써, 점성이 있는 용액에 적합하도록 되기 위해서 본 실례에서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0.8 ㎛의 평균 기공 직경은 양호한 박테리아 여과 효율을 위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0.2 ㎛의 기공보다 상당히 크다.
점성 용액 V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0.8 ㎛의 평균 기공 직경을 갖는 멤브레인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저점도 용액 T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0.22 ㎛의 평균 기공 직경을 갖는 멤브레인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비교하여 테스트되었다.
두 가지 용액은 약 7의 pH로 완충된 물 내에 용해된 상이한 양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기반으로 한다. 총 체적 100 ml의 수용액에 대해서, 점성 용액 V는 히알루론산 0.30 g을 함유하고 점도가 60 mPa·s이고, 저점도 용액 T는 단지 0.15g의 히알루론산을 함유하고 3mPa·s의 점도를 갖는다.
강제 오염 시험은, 이전에 설명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되며, 오염 균들의 동일한 두 가지 균주가 사용되며, 용기의 즉시 사용 및 3 개월의 시뮬레이션된 사용에 대해서 테스트되었다. 그 결과가 하기 표 6에 나타난다.
이러한 테스트는 시간 경과에 따른 살균 효과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분배 장치의 높은 항균 수준의 효율을 증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여과에 의한 현저하게 낮은 항균 효과에도 불구하고 용기 내의 액체의 무균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표 6 : 용액 T 및 용액 V를 이용한 오염 시험
0.22 ㎛ 기공 멤브레인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용액 T 0.80 ㎛ 기공 멤브레인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점성 용액 V 용기 사용 기간
분석 시간 T6 T24 T6 T24
균주 P <1 <1 <1 <1 즉시
균주 P <1 <1 <1 <1 3 개월 시에
(27 ml 추출됨)
균주 E 2 <1 <1 <1 즉시
균주 E 2 <1 <1 <1 3 개월 시에
(27 ml 추출됨)
상기 시험은 액체 분배 헤드를 구비한 용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은 양이온의 해당 멤브레인 내에서의 이온 담지량의 초기 농도는 수천 ppm 수준이다. 물론, 이들은 예시적인 실례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각의 경우에서, 실제로 마주치는 조건들에 따라 추정된 데이터를 수정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면들의 설명 계속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모세관 채널은 항균제가 담지된 재료로 제조된 선단부 자체 내에 천공되어 있으며, 본 실례에서, 상기 향균제는 또한 이온-지지 제올라이트 충전제에 의해 공급된다. 따라서, 모세관 채널(18)은 액체 및 공기 유체에 의해 투과되지 않으며 은 이온인 살균성 양이온으로 담지되는 고밀도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선단부 내에 규정되며, 상기 살균성 양이온은 내부에서 외측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변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단부는 항균제가 담지된 폴리에틸렌, 특히, 은 양이온을 지지하는 제올라이트가 담지된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살균제가 담지된 선단부를 가지며 나셀을 구성하는 재료에는 살균제가 존재하지 않는 액체 분배 헤드는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 WO2010/013131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액체 분배 장치가 용기에 대해 사용될 경우에 이러한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의 설명을 완벽하게 위해서, 나셀(4)의 환상 형상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순환 덕트의 넓은 부분 내에 있는 멤브레인의 상류 측에서, 멤브레인의 자유 표면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핀(16, 17)이 나셀 내부에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 핀은 본 장치의 동작 동안에 멤브레인의 주변부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멤브레인의 주변부에서 상기 멤브레인이 액체의 배출을 위해 모세관 채널이 제공된 선단부의 베이스부의 주변 링 상에 고정 결합되고, 이로써,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선단부의 베이스부(3)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도록 자유롭게 된다.
상기 멤브레인의 친수성과 관련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외측 면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선단부(5)의 베이스부(3)는 액체-배출 단계 동안 멤브레인에 대한 지지 표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 표면은 플레어형 노즐(flared nozzle)(28)의 높이에서 상기 모세관 채널(18)의 벽체과 만난다.
이러한 플레어형 노즐을 중심으로, 상기 선단부의 자유 표면에는 방사상 슬롯들(radial slots)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방사상 슬롯들은 본 용기의 외부에서 상기 멤브레인에 근처에서 액체의 통과를 위한 넓은 단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31)의 목적은 액체가 멤브레인의 친수성 영역에서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한 후에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때에 이러한 액체를 수집하여 이를 모세관 채널(18)의 노즐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러한 반경방향 슬롯의 역할을 배출된 액체를 채우기 위한 공기 유입 단계에서 다시 용기 내로 들어가는 배출되지 않은 잔류 액체에 대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반경방향 슬롯은 공기의 압력 하에서, 액체가 상기 친수성 영역(22)으로 향하게 하도록 하며, 상방에서 도달한 공기를 위해서 중앙 부분의 소수성 영역(23)에는 액체가 없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베이스부(3)의 표면은 선단부의 모세관 채널의 노즐의 출구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임의의 경로를 미세하게 분할하는 경향이 있는 주름부들(corrugations)을 가지며, 이로써 공기가 상기 멤브레인을 통과하는 속도가 저감되며, 이는 멤브레인이 상기 선단부의 베이스의 수평 방향 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그러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와 같이 제조된 선단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점적기 선단부의 경우에, 임의의 공기 순환 경로를 분할하는 주름부들은 비교적 좁고 깊지 않은 홈들(32)의 형태로 존재하며, 따라서 미세 유동 섹션을 가지며, 이러한 홈들 각각은 환형이고 상기 선단부의 중앙 모세관 채널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동심 배열로 분포된다. 이러한 홈들(32)은 선단부의 베이스부의 표면 내로 파여지며, 액체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반경방향 슬롯들(31)에 의해 유지되는 베이스부의 영역들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멤브레인이 압축된 용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밀려서 액체를 배출하게 되는 때에 상기 선단부의 베이스부 표면이 오히려 멤브레인과 접촉하는 지지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예비된 지점에서 형성된다.
본 장치의 동작 동안에, 멤브레인을 향하는 선단부의 표면의 특정 구성은 유체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역할은 상기 선단부의 중앙 채널 내에서의 액체 흐름과 가스 흐름 간의 교번을 촉진함으로써, 그리고, 도 4의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은 유체들의 복귀 경로에서 유체들을 안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화살표(f1)는 먼저 되돌아온 배출되지 않은 잔류 액체가 직접 축 방향 경로로부터 우회되어 멤브레인의 친수성 부분(22)을 향하도록 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액체는 멤브레인의 중심부 상으로 분사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러한 중심부에서는 액체는 소수성 특성을 갖는 멤브레인의 재료를 웨팅하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이로써, 용기를 향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은 화살표(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의 중앙 부분(23)에서 멤브레인의 소수성 재료에 자유롭게 접근한다.
이제 도 2와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헤드의 구현의 다른 세부 사항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세부사항들은 본 출원인에 의해 산업적으로 제조된 용기의 표준 특징들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세부사항들은 용기 내에서 무균 상태를 유지하는 그들의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에 관여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공성 삽입체(8)의 높이에서 용기(10)의 목부와 함께 박테리아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나셀(4) 상의 외주 리브(external peripheral rib)(15)의 존재가 주목될 것이다. 또한, 용기의 목부에 나사(12) 결합될 때, 모세관 채널(18)의 외측 노즐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캡(6)의 구성도 주목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캡의 역할은 무단 조작 방지 링(tamper-proof ring)(26)이 최초 사용(액체 방울의 최초 배출)을 위해 파손되지 않았다면, 멤브레인이 용기 내에 함유된 액체에 의해서 웨팅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서 멤브레인의 하류 측의 압력 강하가 보장한다.
유사하게, 용기 내부에서 니셀(8)의 상류 단부에서 나셀(8)의 형상도 주목될 것이다. 이러한 나셀의 형상의 유용성은 첫째로, 표면-활성 또는 점성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갖는 점안제를 투여하기 위한 실시예에서 명백해질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 도시된 수단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용될 것인데, 즉 살균 효과에 의한 멸규 보호 기능이 우수하면서, 여과에 의한 미생물의 보호 기능을 저하시키는 상대적으로 큰 다공성을 갖는 멤브레인을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용될 것이다. 이러한 수단들은 중앙 패드(11)를 중심으로 구성된 아치형 구조(13)를 형성하는 형태로 존재하며 목부(10)를 넘어서 용기(2) 내에 배치된다. 이들은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2011/095877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다. 이들은 동일한 액체의 경우에 본 발명의 요건에 유리한 유체의 순환 실현에 기여한다.
위에서 보고된 시험 결과는 중대한 오염원에 노출 하에서 전체 사용 기간에 걸쳐서 미생물학적 안전성이 개선되었음을 보여 주며, 이러한 효과는 단순히 살균성 양이온이 들어 있는 멤브레인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기대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효과들은 부분적으로 친수성 및 소수성인 그러한 멤브레인으로부터도 기대될 수 없으며, 이러한 효과들은 이러한 멤브레인이 용기로부터 외부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순환하는 액체와 공기의 흐름의 교번를 자체적으로 보장할 수 없는 한 달성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경우에, 이러한 액체와 공기의 교번적 순환은,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계면을 형성하는, 부분적으로 친수성이고 부분적으로 소수성인 멤브레인이, 멤브레인의 하류에 위치하고 액체의 배출 및 공기의 유입을 위해 의도된 모세관 채널과 결합된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또한, 이러한 바는 압력의 영향 하에서 공기 및 액체 흐름의 교번을 관리하는 공지된 방식으로 기여하며, 이로써, 운반되는 질량 및 체적의 규칙성 및 재현성에 기여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 보장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종래의 용기에서 살균성 이온으로 담지된 멤브레인을 사용한다는 사실이, 액체의 투여량을 배출하는 각 동작에서 생성되는 액체의 역류 시에 활성 살균성 이온들의 이송에 작용하는 역할 때문에, 이러한 사실이 이미 진보성을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의 비-밀봉 클로저 스토퍼 역할을 하기 위해서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삽입체를 추가하지 않고서는 위에서 시연된 시험 결과를 얻는 것이 아직은 가능하지는 않으며, 만일에 해당된다면, 종래의 경우처럼, 상기 다공성 삽입체의 다공성 특성에 의해 유체 유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지라도, 특히 이러한 다공성 중합체가 카르복실 자리가 가질 수 있는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기는 효과를 갖는, 그의 전체에 걸쳐서 음이온 자리를 갖는 중합체성 재료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위에서 시연된 시험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온 전달 시의 거동의 차이는, 사실상 멤브레인이 유체의 순환을 위한 덕트 양단에 걸쳐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미세한 다공성 구성요소이고 작은 두께를 갖는 반면에, 다공성 삽입체는 상대적으로 큰 다공성을 가지며 두께가 크며 따라서 유체의 순환을 위한 회로를 따라 비교적 큰 길이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하류 측의 모세관 채널과는 달리,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는 멤브레인과 같이,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단면에 걸쳐서 용기의 목부를 점유한다는 점을 고려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멤브레인의 재료의 개별 셀들은 액체 또는 공기이든 상관없이 이러한 유체로 거의 채워지지 않는 반면에, 다공성 삽입체에서는, 공기 및 액체 유체가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의 셀 내에 동시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관찰될 것이다. 따라서, 공기 중의 산소는 이러한 셀 내에서의 이온들의 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의 셀에서의, 호기성 박테리아의 파괴 시의 살균 활성은, 멤브레인의 셀에서와는 상이하게 발휘된다. 또한, 공기 및 액체는 다공성 삽입체의 특정 표면에 대응하는, 활성 재료의 넓은 표면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박테리아 파괴 시에 양이온성 금속 살균 제제들의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게 한다.
멤브레인의 하류에 위치한 유체 유동 회로의 높이에서는 이와 유사한 효과가 발생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한데, 그 이유는 이러한 멤브레인의 하류에 위치한 유체 유동 회로의 높이에서, 선단부의 재료는 밀도가 높고 액체와 공기 모두에 대해 불투과성이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비록 이러한 선단부의 재료가 초기에 은 이온들을 담지하는 이온성 중합체에 기초하더라도, 이러한 이온들은 유체 상에서 활성화되기 위해 표면으로 이동해야 한다. 선단부의 높이에서 이러한 유체와 접촉하는 표면은 길지만, 모세관 채널 둘레의 유체와 접촉하는 둘레 단면은 작다. 또한, 이는 배출되지 않은 나머지 수용액의 역류 동안을 포함하여, 공기 또는 물 중 어느 하나의 존재 시에도 그러하다.
이러한 양 기능성 계면 멤브레인과 용기를 막는 다공성 삽입체 간의 살균성 이온들의 이동을 수반하는 현상은, 멤브레인이 이의 소수성 영역에서 건조한 채로 유지되고 액체의 역류가 그의 친수성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이러한 양 기능성 계면 멤브레인과 다공성 삽입체를 통한 유체의 순환을 실현하는 것이 보다 양호하게 제어되기 때문에, 보다 명확하게 구별된다. 용기가 보관 중에 있을 때에, 액체를 처음 소비하기 이전에, 모세관 채널의 밀봉 폐쇄에 의해 하류 측에서 보장되는 과압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은 용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과압은 다공성 삽입체와의 임의의 접촉으로부터 멤브레인을 격리시키도록 상류 측에서도 획득된다.
어느 경우이든, 이러한 2 개의 다공성 물체들, 즉 멤브레인 및 다공성 삽입체 간에서, 동작 동안에, 이동가능한 이온들의 베드(bed)가 형성되고, 이러한 이온들은 각각의 액체 분배 동작 시에 용기로부터 추출된 액체의 유동에 의해 상기 다공성 삽입체로부터 제거되며, 선행하는 액체 분배 동작들 동안에 분배되지 않은 액체의 역류에 의해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에 도달했던 살균성 이온들로부터 제거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살균성 이온들은 이러한 다공성 물체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의 이동으로 한정되게 유지된다. 멤브레인의 하류 측에서는, 배출된 액체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분자 및 이온들의 크기로 발생하는 현상을 완전히 이해한다고 주장하지 않으면서도, 다공성 삽입체의 레벨에서 큰 비 표면적 및 큰 기공 체적이 가정되고 멤브레인의 작은 두께가 가정되는 경우에는, 중합체 재료의 표면에서 유체와의 접촉을 위한 직접적으로 접근 가능한 활성 자리의 이용 가능성을 수반하는 메카니즘을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멤브레인은 제조 동안에 살균성 제제로 충분히 담지된 1 차 공급원을 구성하고, 이로써 초기 액체 함량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용기의 수명 동안 멸균 용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양의 살균성 이온을 풍부하게 공급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제조 과정에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살균성 이온들을 끌어당기는 활성 하전된 자리들의 공급원 역할을 한다. 최초의 액체 분배 동작을 위해 용기가 열렸을 때부터, 후속하는 액체 분배 동작 동안에 이온들이 흡수될 때까지, 상기 용기를 막는 다공성 삽입체는 용기의 무균 내부 공간을 보호하도록 그리고 살균성 제제의 2 차 공급원 역할을 하기 위해서 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는 액체 분배 동작의 종료시(즉, 공기 흡입 단계에서) 이러한 다공성 삽입체에 도달한 이온들을 예비적으로 그 내에서 유지시킨다. 따라서, 용기로부터 제거된 액체의 흐름에 의해 흡수될 이온들은 멤브레인까지 운반될 것이며 상기 멤브레인 내에서 유지될 것이며, 그러나, 이러한 이온들의 일부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도중에 소비될 것이다.
상술한 강제 오염 시험 동안 언급된 무균 유지 상태의 높은 품질은, 외부 미생물을 걸러내는 멤브레인의 보호 하에 보관하는 것이 관례인, 점안제의 용기 및 기타 안과용 액체의 용기의 경우에서 요구되는 특정 품질 요건을 훨씬 뛰어 넘는다. 반대로, 본 발명의 기술은 이러한 경우에서도 종래의 방법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 이점을 보유하는 한편,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멤브레인 레벨에서의 세균 여과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허용하지 않는 많은 용도들에서도 역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필수적 구성 요소들의 단순한 치수 변경에 의해, 유체들의 교번적 순환을 위해 채널로부터 배출된 액체에 대해 매우 다양한 불연속적 사용 및/또는 투여량 및 분배 형태의 경우에서, 본 발명은 큰 액체 용량 및 긴 수명에 적합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된다.

Claims (17)

  1. 시간 간격을 두고 배출되는 투여량(dose)만큼, 수성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수성 액체는 상기 수성 액체를 수용하는 폐쇄된 상류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기로 개방된 모세관 채널(18)를 통해, 개방된 하류 공간으로 배출되는데, 상기 폐쇄된 상류 공간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친수성이고 부분적으로 소수성으로 형성된 계면 멤브레인(interface membrane)(7)을 통해 상기 모세관 채널(18)로 배출되며,
    작동 중, 액체 투여량을 배출하기 위한 각각의 동작 동안에, 공기 유동과 액체 유동이 상기 모세관 채널 내에서 교번적으로 순환하고, 배출되지 않은 잔류 액체의 역류(back-flow)가 발생하는, 액체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7)은 살균성 금속 양이온(biocidal metal cations)을 포함하는 여과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액체 배출 장치는 액체 및 공기 모두를 투과시키는 다공성 삽입체(porous insert)(8)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삽입체(8)는 유체 경로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7)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다공성 삽입체(8)는 상기 계면 멤브레인으로부터 유래하는 살균성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는 음으로 하전된 자리(negatively-charged site)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성 금속 양이온은 은 양이온(silver c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의 살균성 금속 양이온은, 상기 계면 멤브레인의 기재 재료(base material) 전체에 걸쳐서 혼입된 제올라이트(zeolite) 유형의 미네랄 거대분자(mineral macromolecule)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성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는 음으로 하전된 자리는 음이온성 카르복실기(anionic carboxyl grou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0.2 내지 0.8 g/cm3의 체적 질량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카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의 25 % 이상의 동족체(homologue)를 갖는 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액체 배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압축된(compacted)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성 금속 양이온을 끌어당길 수 있는 음으로 하전된 자리는, 산소의 존재 하에서, 베타 또는 감마 타입의 광선을 상기 다공성 삽입체에 조사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재료는 0.1 내지 1 마이크로미터(㎛)의 기공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재료는 0.4 내지 0.8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기공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채널은, 특히 미네랄 거대분자(mineral macromolecule)에 의해서 지지되는, 살균성 금속 양이온가 혼입된 재료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배출 장치.
  12. 시간 간격을 두고 배출되는 투여량만큼, 수성 액체가 배출되는 멸균 패키징 용기로서, 액체가 투여량만큼 용기 외부로 배출될 시에 상기 배출을 보충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용기 내로 유입되는, 멸균 패키징 용기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체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배출 장치의 다공성 삽입체(8)는 상기 용기 내부의 비기밀성 폐쇄부(non-sealing closure)로서 장착되어, 폐쇄된 상류 공간이 용기 내에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패키징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된 임의의 투여량의 액체를 보충하도록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보장하고 임의의 배출되지 않은 잔류 액체가 액체 배출 장치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가역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벽체를 포함하며,
    계면 멤브레인(7)은, 계면 멤브레인을 통한 공기 유체 및 액체 유체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과 결합되게 상기 액체 배출 장치 내에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8)와 함께 설치되며,
    상기 계면 멤브레인(7)은 점적기 선단부(dropper tip)(5)의 베이스부(base)(3)에 배치되고, 모세관 채널(18)이 상기 점적기 선단부(5)의 베이스부(3)의 반대 방향으로 액체 방울을 배출하도록 상기 점적기 선단부 내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 및 배출되지 않고 유체들의 순환을 위한 덕트의 하류 부분으로 다시 유동할 필요가 있는 잔류 액체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점적기 선단부의 베이스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단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멤브레인의 중앙에 배치된 소수성 부분으로 공기가 향하게 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친수성 부분으로 액체가 분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패키징 용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삽입체는 유동 조절기(flow regulator)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체들의 순환을 실현하는 것에 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멸균 패키징 용기.
  15.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멸균 상태로 보관된 수성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 또는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멸균 패키징 용기를 위한, 살균성 양이온이 담지된(loaded)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체 영역에 걸쳐서 살균성 양이온이 담지된 친수성 다공성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 다공성 재료로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단계, 및
    살균성 양이온의 살균적 활성을 유지하는 상보적 중합 처리(complementary polymerzation treatment)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의 전체 두께에 걸쳐, 상기 멤브레인의 연장 길이의 일부에 대하여, 상기 중합체 재료를 국부적으로 소수성이 되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친수성 다공성 중합체 재료에, 살균성 양이온을 함유하는 미네랄 거대분자들을 혼입한 마스터배치(masterbatch)의 융합 가능한 과립(fusible granules)을 융합하여 상기 친수성 다공성 중합체 재료 성형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성형된 재료는 그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한 다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제조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초기에 친수성인 중합체 재료는, 자외선 조사 하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국부적인 조사에 의해 개시되는 성분들 간의 라디칼 가교 반응(radical cross-linking reaction)에 의해 국부적으로 소수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제조 방법.
KR1020177030982A 2015-03-31 2016-03-31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KR102584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BPCT/IB2015/000423 2015-03-31
PCT/IB2015/000423 WO2016156897A1 (fr) 2015-03-31 2015-03-31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hors d'un flacon de conditionnement sterile a membrane bi-fonctionnelle
PCT/IB2016/000408 WO2016156968A1 (fr) 2015-03-31 2016-03-31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liquide hors d'un flacon de conditionnement stér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411A true KR20170133411A (ko) 2017-12-05
KR102584356B1 KR102584356B1 (ko) 2023-10-04

Family

ID=5298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982A KR102584356B1 (ko) 2015-03-31 2016-03-31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3)

Country Link
US (2) US10857067B2 (ko)
EP (2) EP3277233A1 (ko)
JP (1) JP6588565B2 (ko)
KR (1) KR102584356B1 (ko)
CN (1) CN107531370B (ko)
AU (1) AU2016241254B2 (ko)
BR (1) BR112017019458B1 (ko)
CA (1) CA2981175C (ko)
CL (1) CL2017002461A1 (ko)
CO (1) CO2017009920A2 (ko)
CY (1) CY1124788T1 (ko)
DK (1) DK3277234T3 (ko)
EA (1) EA033563B1 (ko)
ES (1) ES2901123T3 (ko)
FR (1) FR3034327B1 (ko)
HK (1) HK1243911A1 (ko)
HR (1) HRP20220037T1 (ko)
HU (1) HUE056981T2 (ko)
IL (1) IL254650B (ko)
LT (1) LT3277234T (ko)
MA (1) MA41854B1 (ko)
MX (1) MX2017012660A (ko)
MY (1) MY191403A (ko)
NZ (1) NZ735304A (ko)
PL (1) PL3277234T3 (ko)
PT (1) PT3277234T (ko)
RS (1) RS62798B1 (ko)
SA (1) SA517390039B1 (ko)
SG (1) SG11201707865SA (ko)
SI (1) SI3277234T1 (ko)
TN (1) TN2017000379A1 (ko)
UA (1) UA125135C2 (ko)
WO (2) WO2016156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254A (ko) * 2017-09-25 2020-05-28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아이엔씨. 친수성 약물을 함유하는 점안액으로부터의 방부제 제거
FR3080844B1 (fr) * 2018-05-07 2020-06-05 Horus Pharm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istribution d'un produit avec flacon et embout doseur muni d'un filtre
US11596889B2 (en) * 2019-10-23 2023-03-07 Pall Corporation Air filter and method of use
US11820548B2 (en) * 2021-12-07 2023-11-21 David G. Perdue Multi-compartment bottle system
CN116172866B (zh) * 2023-04-24 2023-07-18 张家港众辉医用塑料科技有限公司 具有阻菌及无残液功能的滴液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307A (ja) * 1995-03-06 1996-09-17 Suntory Ltd 除菌フィルターと無菌室の無菌化維持装置
US5681468A (en) * 1993-12-20 1997-10-28 Biopolymerix, Inc. Filter coated with antimicrobial material
JPH1111549A (ja) * 1997-06-17 1999-01-19 Pentel Kk 吐出容器の吐出口
JP2004279375A (ja) * 2003-03-19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生化学解析用ユニット
JP2008503410A (ja) * 2004-06-24 2008-02-07 ラボラトワール テア 空気吸入により可逆的に変形可能な滴下式に分配される液体の包装容器
KR20110044765A (ko) * 2008-07-31 2011-04-29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항균 보호기능을 포함하는, 액체를 한방울씩 배출하기 위한 포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6471A (en) * 1990-01-08 1996-03-05 Ciba-Geig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components from solutions
EP0891712A1 (en) * 1993-12-20 1999-01-20 Biopolymerix, Inc. Liquid dispenser for sterile solutions
FR2816600B1 (fr) * 2000-11-13 2003-03-21 Michel Faurie Dispositif distributeur de liquides goutte a goutte
WO2006137397A1 (ja) * 2005-06-20 2006-12-28 Nec Corporation 熱可塑性樹脂組成物
CN100384521C (zh) * 2005-09-13 2008-04-30 浙江大学 树状支化分子改善聚合物多孔膜亲水性的方法
JP4869039B2 (ja) * 2006-11-27 2012-02-01 ニプロ株式会社 薬液容器
AU2007200609B2 (en) * 2007-02-13 2008-11-20 Saehan Industries Incorporation Selective membrane having a high fouling resistance
US20110024355A1 (en) * 2007-10-10 2011-02-03 Polymers Crc Ltd. Antimicrobial membranes
DE102008043682B4 (de) * 2008-11-12 2014-01-23 Chemetall Gmbh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metallischen Oberflächen mit Partikeln,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Beschichtung und Verwendungder nach diesem Verfahren beschichteten Substrate
FR2955842B1 (fr) * 2010-02-04 2012-03-16 Thea Lab Flacon de conditionnement d'un liquide a tete de distribution goutte a goutte
CN102489168B (zh) * 2011-12-12 2017-06-16 张一琛 一种无机/有机杂化抗菌膜的制备方法
CN104115319B (zh) * 2012-02-15 2017-05-03 凸版印刷株式会社 碳纤维复合材料、其制造方法、催化剂载体以及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
US20130264277A1 (en) * 2012-04-04 2013-10-10 Pall Corporation Antimicrobial filter
FR2994162B1 (fr) * 2012-08-06 2014-09-05 Thea Lab Tete de distribution de liquide, notamment pour flacon de conditionnement d'un liquide a distribuer goutte a goutt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468A (en) * 1993-12-20 1997-10-28 Biopolymerix, Inc. Filter coated with antimicrobial material
JPH08238307A (ja) * 1995-03-06 1996-09-17 Suntory Ltd 除菌フィルターと無菌室の無菌化維持装置
JPH1111549A (ja) * 1997-06-17 1999-01-19 Pentel Kk 吐出容器の吐出口
JP2004279375A (ja) * 2003-03-19 2004-10-07 Fuji Photo Film Co Ltd 生化学解析用ユニット
JP2008503410A (ja) * 2004-06-24 2008-02-07 ラボラトワール テア 空気吸入により可逆的に変形可能な滴下式に分配される液体の包装容器
KR20110044765A (ko) * 2008-07-31 2011-04-29 라보라토이레스 테아 항균 보호기능을 포함하는, 액체를 한방울씩 배출하기 위한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7002461A1 (es) 2018-03-16
HRP20220037T1 (hr) 2022-04-15
JP6588565B2 (ja) 2019-10-09
CA2981175C (fr) 2023-08-22
US20180078456A1 (en) 2018-03-22
CA2981175A1 (fr) 2016-10-06
NZ735304A (en) 2023-07-28
LT3277234T (lt) 2021-12-27
AU2016241254A1 (en) 2017-11-02
WO2016156897A1 (fr) 2016-10-06
PL3277234T3 (pl) 2022-02-14
BR112017019458B1 (pt) 2023-05-09
UA125135C2 (uk) 2022-01-19
EA033563B1 (ru) 2019-10-31
FR3034327B1 (fr) 2022-01-21
SG11201707865SA (en) 2017-10-30
HUE056981T2 (hu) 2022-04-28
US20180078455A1 (en) 2018-03-22
DK3277234T3 (da) 2022-01-10
US11116694B2 (en) 2021-09-14
CY1124788T1 (el) 2022-11-25
FR3034327A1 (fr) 2016-10-07
MY191403A (en) 2022-06-24
RS62798B1 (sr) 2022-02-28
CN107531370A (zh) 2018-01-02
EP3277234A1 (fr) 2018-02-07
CO2017009920A2 (es) 2018-01-05
SA517390039B1 (ar) 2020-10-18
BR112017019458A2 (pt) 2018-05-15
IL254650A0 (en) 2017-11-30
MX2017012660A (es) 2018-01-09
IL254650B (en) 2019-11-28
SI3277234T1 (sl) 2022-07-29
TN2017000379A1 (fr) 2019-01-16
EP3277234B1 (fr) 2021-10-13
CN107531370B (zh) 2019-07-19
MA41854A (fr) 2018-02-06
ES2901123T3 (es) 2022-03-21
KR102584356B1 (ko) 2023-10-04
EP3277233A1 (fr) 2018-02-07
US10857067B2 (en) 2020-12-08
PT3277234T (pt) 2021-12-15
HK1243911A1 (zh) 2018-07-27
EA201792142A1 (ru) 2018-01-31
WO2016156968A1 (fr) 2016-10-06
MA41854B1 (fr) 2021-12-31
AU2016241254B2 (en) 2020-05-21
JP2018511406A (ja)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356B1 (ko) 멸균 패키징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장치
US11167059B2 (en) Compositions with reactive ingredients, and wound dressings, apparatuses, and methods
DK2321191T3 (en) Bottle for packaging a liquid for dropwise dispensing, with anti-bacterial protection
KR102078977B1 (ko) 정수장치
EP0023040B1 (de) Vorrichtung zur Entkeimung von strömungsfähigen Mitteln
CN101018716A (zh) 用于无菌液体分送器的消毒帽
TW200918146A (en) A fluid filtration device
CN103930084A (zh) 含有完整抗微生物添加剂的容器封闭系统
WO2014001506A1 (de) Filter und verfahren zur ultrafiltration
TWI720025B (zh) 無菌液體分配器
US20060149212A1 (en) Antimicrobial matrix and method of use
DE102012105720A1 (de) Filter und Verfahren zur Ultrafiltration
CS273660B1 (en) Method of chemical water ster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