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934A -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934A
KR20170132934A KR1020160063391A KR20160063391A KR20170132934A KR 20170132934 A KR20170132934 A KR 20170132934A KR 1020160063391 A KR1020160063391 A KR 1020160063391A KR 20160063391 A KR20160063391 A KR 20160063391A KR 20170132934 A KR20170132934 A KR 20170132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ancer
piperidin
methylphenyl
pyrim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065B1 (ko
Inventor
황종연
하재두
김형래
조성윤
정희정
김필호
윤창수
이정옥
박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0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2830 priority patent/WO2017204445A2/ko
Publication of KR20170132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35Isoindoles, e.g. phthal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합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를 억제하거나 분해시킬 수 있어,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 예를 들어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ducing the degradation of ALK protei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합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일대학교의 연구팀(Craig Crews)은 단백질 분해 유도제(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PROTAC)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질환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상기 기술은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는 저해제(inhibitor) 또는 결합인자(binder)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에 특징적으로 결합하는 리간드를 다양한 종류의 링커로 연결하여 PROTAC물질을 사용한 항암제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예일대 연구팀은 수년간 VHL(von Hippel-Lindau)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에 결합하는 폴리펩타이드를 제조하였으며, 약물성이 낮은 폴리펩타이드의 최적화 연구를 통해 최근 유기 저분자 물질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한 ERRa 저해제와 결합한 ERRa-PROTAC물질로 동물모델에서 ERRa 단백질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하버드대학의 연구팀(Bradner)은 CRBN E3 유비퀴틴 리가아제에 결합하는 탈리도마이드를 사용하고 BRD4 저해제인 JQ1 화합물을 사용하여 백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질 개발에 성공하였다.
항암 표적 치료제는 암이 발생한 표적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 세포독성 치료제와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게 발생하고, 치료효과도 뛰어나나, 표적의 신호 전달을 저해하기 위해서는 표적에 대한 높은 저해력이 요구되며, 치료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을 오랜 기간 투여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약물에 대한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 투여 후 1년 이내에 약물 내성이 발생하여 약물의 효과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표적 발굴과 치료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반면, 단백질 분해 유도제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을 분해하기 때문에 약물에 대한 내성발생이 낮고, 표적 단백질에 결합만 가능하다면 충분히 표적 단백질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활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따라서 기존 약물 개발에서는 어려웠던 표적(undruggable target)에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Anaplastic lymphoma kinase)가 인체의 여러 암 세포 종양에서 발견되어 표적치료의 목표물로 연구되고 있는데,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의 발암 과정은 주로 역형성 큰세포 림프종에서 관찰되는 ALK-NPM(Nucleophosmin, 뉴클레오포스민)의 융합유전자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전자 융합에 의해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가활성화되면 티로신 키나아제는 비정상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이로부터 암이 유발된다. 즉, 비정상적으로활성화된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는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세포가 사멸하는 방식의 하나인 아포토시스(apoptosis)를 방해하여 세포가 사멸되지 않게 하며, 세포 뼈대를 재배열시켜 세포 형태를 변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의 암 유전자화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의 표적 물질인 하위 분자(downstream molecule)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위 분자는 세포 내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물질이다.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는 정상이거나 암 유전자화한 다른 티로신 키나아제와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거나 여러 종류의 다른 경로들을활성화 한다. 특히, 폐암 세포의 내부에서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유전자는 EML4(Echinoderm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Like 4) 유전자와 융합하여활성형 티로신 인산화 효소(tyrosine kinase)인 EML4-ALK를 생산하고, 이때, EML4-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의 암으로 변이가 효소활성에 의존적이라는 것이 알려진 바 있고, 이 외에도 491개의 신경모세포종 검체에서 약 26%의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유전자 증폭에 대하여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유전자는 대형 B-세포 림프종, 전신성 조식구증, 염증성 근섬유아세포성 육종, 식도 편평 세포암, 비소세포폐암, 횡문근육종, 근섬유모세포종, 유방암 및 흑색종 세포주 등 수많은 비조혈세포 종양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염증성 골수섬유모세포종양이라는 희귀한 질환의 경우, 여러 종류의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융합 단백질이 흔하게 발견되어 이러한 융합 단백질들이 종양의 발생에 깊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의활성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ALK-NPM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 화이자(Pfizer)제약에서 암세포 종양원성 변이에 대한 선택적 억제제로 개발한 약물로, 소분자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의 하나인 크리조티닙이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저해제로써,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1년 FDA에서 신약으로 허가를 받았다. 또한 노바티스(Novartis)사의 LDK-378(써리티닙, ceritinib) 화합물이 승인되었고, 다수의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저해제들의 임상 실험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크리조티닙은 투여 1년 이내에 약물 내성이 발생하며, 다양한 변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DK378의 경우 일부 내성 단백질의활성은 억제되지만, G1202R을 비롯한 몇몇 변이 단백질의활성 저해는 약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ALK 저해제인 LDK378과 VHL 리간드 또는 CRBN 리간드(탈리도마이드)를 다양한 링커를 통해 연결하여 신규 ALK-PROTAC 물질을 개발하여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가 분해되며 이에 따른 항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암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유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WO 2013/106643 A2
본 발명의 목적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복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inker는 -(CH2)-, -(C=O)-, -NH-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3-20개 연결된 연결기(linker)이되,
상기 연결기는 연속하여 -O-로 연결될 수 없고; 및
A는
Figure pat00002
또는
Figure pat00003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H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4
상기 반응식 1에서,
Linker,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X와 Y는 X가 -CO2-tBu인 경우, Y는 -CO2H이고, X가 Cl 또는 Br인 경우, Y는 I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를 억제하거나 분해시킬 수 있어,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 예를 들어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H3122가 이종이식된 SCID 마우스에 본 발명의 실시예 3 화합물을(1일 3회,50 mg/kg, 총 14일) 투여한 뒤, 종양 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하 설명의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inker는 -(CH2)-, -(C=O)-, -NH-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3-20개 연결된 연결기(linker)이되,
상기 연결기는 연속하여 -O-로 연결될 수 없고; 및
A는
Figure pat00006
또는
Figure pat00007
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Linker는,
Figure pat00008
이되,
여기서, 상기 a 및 i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되, 동시에 0일 수 없고;
상기 b는 0-20의 정수이고;
상기 c는 0 또는 1이고;
상기 d는 0-3의 정수이고;
상기 e는 0 또는 1이고;
상기 f는 1-10의 정수이고;
상기 g는 0 또는 1이고;
상기 h는 0-3의 정수이고;
상기 j 및 k는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Linker는,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
Figure pat00025
또는
Figure pat00026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부틸)-5-옥소펜탄아미드;
(2) (2S,4R)-1-((R)-2-(tert-부틸)-1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4,13,17-트리옥소-6,9-디옥사-3,12-디아자헵타데칸-1-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 (2S,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4)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펜탄아미드;
(5)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5-옥소펜탄아미드;
(6)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2-옥소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타미드;
(7) (2R,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8) 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올소이소인돌린-4-일)-7-옥소헵탄아미드;
(9)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0)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1) (2S,4R)-1-((R)-2-(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7-옥소헵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2)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3) 2-(4-(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4) 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5)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6) (2S,4R)-1-((R)-1-(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14,14-디메틸-11-옥소-3,6,9-트리옥사-12-아자펜타데칸카보닐)-4-히드록시-N-(4-(4-메틸싸이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7) 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헥산아미드;
(18) (2R,4S)-1-((S)-2-(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6-옥소헥산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9) (2R,4S)-1-((S)-2-(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및
(21) (2R,4S)-1-((R)-2-(2-((5-(4-(4-((5-chloro-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틸)옥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H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7
상기 반응식 1에서,
Linker, 및 A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X와 Y는 X가 -CO2-tBu인 경우, Y는 -CO2H이고, X가 Cl 또는 Br인 경우, Y는 I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A-H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는 연결기(Linker) 도입 단계로 생각될 수 있으며, 해당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연결기 도입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보호기를 사용한 방법, 말단의 Cl 또는 Br을 I로 치환하여 도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례로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변형하거나 응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H2O,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20-9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0.5-20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는 보호기를 제거하는 단계, 말단의 Cl 또는 Br을 I로 치환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례로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제시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변형하거나 응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에 결합할 수 있고, 저해할 수 있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A-Linker와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와 결합하거나 저해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의 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Linker로 연결되어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를 저해 또는 분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와 결합을 형성하여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 분해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Figure pat00028
또는
Figure pat00029
일 수 있고, 해당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와 유사하게 변형하거나 응용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H2O,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20-90℃에서 용매의 비등점 사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응시간은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0.5-20시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내지 3은 상호 도치되어 수행되거나, 링커(Linker)를 분할하여 도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제조방법은 A-H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링커(Linker)를 도입한 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나, 예를 들어, 각각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먼저 링커(Linker)를 도입하고, 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링커(Linker)를 도입한 뒤, 상호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면밀하게, 하기 실시예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행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30
상기 반응식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 화합물은,
각각,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링커(Linker)를 도입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각각의 화합물을 상호 반응시켜 실시예 1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로 수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와 같이 수행될 수 있고, 이로부터 변형하거나 수정하여 수행될 수 있는 제조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은 하기에 제한되지 않으나,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로부터 발현될 수 있는 모든 질병을 말한다. 특히,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의 예로 암을 들 수 있는데, 암 세포의 세포증식과 관련되어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로부터 기인한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이의 광학이성질체 및 이로부터 허용 가능한 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를 억제하거나 분해하여, 상기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으로 언급된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를 억제하거나 분해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암은 예를 들어, 대장암,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역형성 림프종 키나제(ALK) 관련 질환은 예를 들어, 대장암,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인체에 대한 효과적인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0.001-100 mg/k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01-35 mg/kg/일이다. 몸무게가 70 ㎏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07-7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0.7-2500 ㎎/일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ALK 단백질 저해활성, 분해활성, 및 암 성장 억제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ALK 단백질 저해활성 평가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6 화합물의 ALK 저해활성 IC50 값은 10 내지 150의 나노몰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이 ALK 단백질을 우수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ALK 단백질 분해활성 평가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6 화합물은 ALK 단백질을 300 nM의 농도에서 우수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 4, 10 및 11 화합물은 300 nM의 농도에서 50 % 초과의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ALK 단백질을 나노몰 단위의 농도로 우수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ALK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암 성장 억제활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합물을 투여한 실험군 SCID 마우스는 투여 경과일이 흐름에 따라 종양 크기가 발달하지 않고 유지되거나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실험예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암 성장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부틸)-5-옥소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1
단계 1: tert -부틸 4-(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미노)부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2
tert-부틸 2-(2,6-디옥소피페리딘-3-일)-4-플루오로이소인돌린-1,3-디온(20 mg, 0.072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0.5 mL)에 녹이고, tert-부틸 (4-아미노부틸)카바메이트(14 uL, 0.072 mmol) 및 디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21 uL, 0.144 mmol)을 혼합한 후, 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의 잔류물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및 농축한 후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51%, 녹색젤)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26 (s, 1H), 7.50 (t, J = 7.8 Hz, 1H), 7.11 (d, J = 7.1 Hz, 1H), 6.90 (d, J = 8.5 Hz, 1H), 6.26 (t, J = 5.5 Hz, 1H), 5.01 - 4.88 (m, 1H), 4.62 (s, 1H), 3.32 (q, J = 6.3 Hz, 2H), 3.26 - 3.15 (m, 2H), 2.95 - 2.69 (m, 3H), 2.22 - 2.11 (m, 1H), 1.77 - 1.57 (m, 4H), 1.46 (s, 9H). LC/MS (ESI) m/z 445 [M+H]+
단계 2: 4 -(4- 아미노부틸아미노 )-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 이소인돌린 -1,3-디온 염산염의 제조
Figure pat00033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81 mg, 0.182 mmol)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이고, 4 N 염산을 포함하는 1,4-디옥산 용액(1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은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수득된 화합물을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5 -(4-(4-(5- 클로로 -4-(2-( 이소프로필설포닐 ) 페닐아미노 )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산의 제조
Figure pat00034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0.5 g, 0.9 mmol)과 글루타르산 무수물(0.112 g, 9.85 mmol)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이고, 테트라에틸아민(0.151 mL, 1.08 mmol) 및 촉매량의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에 희석시킨 후, 물,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0.5 g, 흰색 고체)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9.56 (s, 1H), 8.59 (d, J = 8.3 Hz, 1H), 8.16 (s, 1H), 7.98 (d, J = 7.3 Hz, 1H), 7.95 (dd, J = 8.0, 1.4 Hz, 1H), 7.74 (s, 1H), 7.69 - 7.54 (m, 1H), 7.32 - 7.23 (m, 1H), 6.71 (s, 1H), 4.84 (d, J = 12.6 Hz, 1H), 4.64 - 4.47 (m, 1H), 4.03 (d, J = 13.8 Hz, 1H), 3.38 - 3.24 (m, 1H), 3.24 - 3.12 (m, 1H), 2.92 (t, J = 12.1 Hz, 1H), 2.67 (t, J = 11.8 Hz, 1H), 2.58 - 2.44 (m, 4H), 2.19 (s, 3H), 2.11 - 1.98 (m, 2H), 1.85 (s, 2H), 1.70 - 1.52 (m, 2H), 1.42 - 1.27 (m, 12H); LC/MS (ESI) m/z 672.2 [M+H]+
단계 4 :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부틸)-5-옥소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35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20 mg, 0.031 mmol)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인 후,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11.8 mg, 0.031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6.1 mg, 0.031 mmol) 및 트리에틸아민(11 uL, 0.078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998.2 [M+H]+
< 실시예 2> (2S,4R)-1-((R)-2-(tert-부틸)-1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4,13,17-트리옥소-6,9-디옥사-3,12-디아자헵타데칸-1-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6
단계 1: tert -부틸 2-(2-(2-(((R)-1-((2R,4R)-4-히드록시-2-(4-(4-메틸티아졸-5-일)벤질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에톡시)에틸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37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염(0.42 g, 1.187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 mL)에 녹이고, 2,2-디메틸-4-옥소-3,8,11-트리옥사-5-아자트리데칸-13-오익산(0.275 mg, 1.187 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0.496 g, 1.3 mmol) 및 디에틸이소프로필에틸아민(0.83 mL, 4.75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준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54 g, 노란색 오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676[M+H]+
단계 2: (2S,4R)-1-((R)-2-(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트아마이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마이드 염산염의 제조
Figure pat00038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0.54 g, 0.799 mmol)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이고 4 N 염산을 포함하는 1,4-디옥산(5 m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612 [M+H]+
단계 3: (2S,4R)-1-((R)-2-(tert-부틸)-1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4,13,17-트리옥소-6,9-디옥사-3,12-디아자헵타데칸-1-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마이드의 제조
Figure pat00039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산(10 mg)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인 후,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8 mg),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4 mg)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1 u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12 mg, 흰색 고체)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231 [M+H-15]+
< 실시예 3> (2S,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0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산(10 mg)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인 후,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7 mg),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7.4 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1 u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14 mg, 흰색 고체)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084.0 [M+H]+
< 실시예 4>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1
단계 1: 5 - 브로포 -N-(2-(2,6- 이동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2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 (0.1 g, 0.37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 (2 mL)에 녹이고 5-브포모펜탄오일 클로라이드 (0.049 mL, 0.37 mL)을 첨가후 4시간동안 가열환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고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DMSO) δ 11.16 (s, 1H), 9.73 (s, 1H), 8.46 (d, J = 8.4 Hz, 1H), 5.15 (m, 1H), 3.58 (t, J = 6.5 Hz, 2H), 3.02 - 2.80 (m, 2H), 2.69 - 2.54 (m, 3H), 2.14 - 1.99 (m, 1H), 1.97 - 1.82 (m, 2H), 1.82 - 1.67 (m, 2H).
단계 2: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3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녹이고 5-브로포-N-(2-(2,6-이동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펜탄아미드(15.6 mg, 0.03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6 uL, 0.09 mmol)을 첨가한 후,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한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52 (s, 1H), 9.45 (s, 1H), 8.82 (d, J = 8.5 Hz, 1H), 8.60 (d, J = 8.4 Hz, 1H), 8.53 (s, 1H), 8.18 (s, 1H), 8.02 (s, 1H), 8.01 - 7.92 (m, 1H), 7.74 (t, J = 7.9 Hz, 1H), 7.67 - 7.49 (m, 3H), 7.27 (t, J = 7.5 Hz, 1H), 6.87 (s, 1H), 5.05 - 4.95 (m, 1H), 4.60 (brs, 1H), 3.32 - 3.25 (brs, 2H), 3.32 - 3.24 (m, 1H), 2.99 - 2.89 (m, 2H), 2.89 - 2.71 (m, 4H), 2.63 - 2.53 (m, 3H), 2.26 - 2.14 (m, 5H), 1.85 (br, 6H), 1.37 (d, J = 6.0 Hz, 6H), 1.33 (d, J = 6.8 Hz, 6H).
< 실시예 5>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5-옥소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4
단계 1: 5 -((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미노)-5-옥소펜탄산의 제조
Figure pat00045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0.1 g, 0.37 mmol)을 아세트산(2 mL)에 녹이고 디히드로-2H-피란-2,6(3H)-디온(0.23 g), 칼륨 아세테이트(0.108 g, 1.1 mmol)를 첨가한 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DMSO) δ 11.14 (s, 1H), 9.72 (s, 1H), 8.44 (d, J = 8.4 Hz, 1H), 7.90 - 7.78 (m, 1H), 7.62 (d, J = 7.2 Hz, 1H), 5.15 (dd, J = 12.8, 5.4 Hz, 1H), 2.98 - 2.83 (m, 1H), 2.67 - 2.53 (m, 2H), 2.31 (t, J = 7.4 Hz, 2H), 2.24 (t, J = 7.4 Hz, 2H), 2.13 - 2.00 (m, 1H), 1.92 - 1.76 (m, 2H), 1.76 - 1.63 (m, 1H).
단계 2: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5-옥소펜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6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14.4 mg, 0.026 mmol)을 디클로로메탄(2 mL)에 녹이고 5-((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5-옥소펜탄산(10 mg, 0.026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1.8 mg, 0.031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7 uL, 0.039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53 (s, 1H), 9.46 (s, 1H), 8.83 (d, J = 8.5 Hz, 1H), 8.73 (s, 1H), 8.59 (d, J = 8.4 Hz, 1H), 8.18 (s, 1H), 8.03 (s, 1H), 7.96 - 7.92 (m, 1H), 7.72 (t, J = 7.9 Hz, 1H), 7.66 - 7.59 (m, 2H), 7.56 (d, J = 7.3 Hz, 1H), 7.27 (t, J = 7.5 Hz, 1H), 6.71 (s, 1H), 5.01 - 4.95 (m, 1H), 4.84 (d, J = 13.0 Hz, 1H), 4.60 - 4.52 (m, 1H), 4.04 (d, J = 13.2 Hz, 1H), 3.33 - 3.23 (m, 1H), 3.17 (t, J = 12.4 Hz, 1H), 2.95 - 2.87 (m, 2H), 2.87 - 2.74 (m, 2H), 2.70 - 2.60 (m, 3H), 2.54 (t, J = 7.1 Hz, 2H), 2.19 (s, 3H), 2.18 - 2.10 (m, 3H), 1.84 (t, J = 14.1 Hz, 2H), 1.65 - 1.52 (m, 2H), 1.40 - 1.35 (m, 6H), 1.33 (d, J = 6.8 Hz, 6H). LC/MS (ESI) m/z 927 [M+H]+
< 실시예 6>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2-옥소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타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7
단계 1: 2 -(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미노)-2-옥소에톡시)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pat00048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 (0.1 g, 0.37 mmol)을 아세트산 (2 mL)에 녹이고 1,4-디옥산-2,6-디온 (0.21 g, 1.83 mmol), 칼륨 아세테이트 (0.108 g, 1.1 mmol) 을 첨가후 90 도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5 mg, 아이보리 고체)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DMSO) δ 11.14 (s, 2H), 10.61 (s, 2H), 8.68 (d, J = 8.4 Hz, 2H), 7.87 (t, J = 7.9 Hz, 2H), 7.63 (d, J = 7.3 Hz, 2H), 5.16 (dd, J = 12.9, 5.3 Hz, 2H), 4.25 (s, 4H), 4.08 (s, 4H), 3.17 (s, 2H), 3.00 - 2.79 (m, 3H), 2.70 - 2.52 (m, 4H), 2.17 - 2.01 (m, 2H).
단계 2: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2-옥소에톡시)-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49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디클로로메탄(2 mL)에 녹이고 2-(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2-옥소에톡시)아세트산(14 mg, 0.036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6.4 mg, 0.043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4 uL, 0.054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0.45 (s, 1H), 9.54 (s, 1H), 8.84 (d, J = 7.2 Hz, 1H), 8.60 (d, J = 8.3 Hz, 1H), 8.46 (s, 1H), 8.18 (s, 1H), 8.04 (s, 1H), 7.95 (d, J = 7.7 Hz, 1H), 7.72 (d, J = 7.2 Hz, 1H), 7.64 (t, J = 7.8 Hz, 1H), 7.58 (s, 2H), 7.28 - 7.21 (m, 1H), 6.71 (s, 1H), 4.99 (d, J = 7.4 Hz, 1H), 4.77 (d, J = 12.2 Hz, 1H), 4.62 - 4.54 (m, 1H), 4.47 (q, J = 14.2 Hz, 2H), 4.40 - 4.29 (m, 2H), 3.84 (d, J = 11.4 Hz, 1H), 3.35 - 3.25 (m, 1H), 3.19 (t, J = 12.2 Hz, 1H), 2.99 - 2.85 (m, 2H), 2.81 - 2.68 (m, 2H), 2.19 (s, 3H), 2.18 - 2.12 (m, 1H), 1.91 - 1.73 (m, 2H), 1.73 - 1.52 (m, 2H), 1.45 - 1.31 (m, 12H). LC/MS (ESI) m/z 927 [M+H]+
< 실시예 7> (2R,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0
단계 1: ( 2S,4R )-1-((R)-2-(5- 브로모펜탄아미도 )-3,3- 디메틸부탄오일 )-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1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이고 5-브포모펜탄오일 클로라이드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을 첨가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준 후, 유기층은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 농축하고,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68 (s, 1H), 7.39-7.29 (m, 4H), 6.11 (d, J = 8.7 Hz, 1H), 4.73 (t, J = 8.0 Hz, 1H), 4.61-4.48 (m, 3H), 4.35-4.30 (m, 1H), 4.08 (d, J = 11 Hz, 1H), 3.71-3.64 (m, 1H), 3.62-3.59 (m, 1H), 3.39 (t, J = 6.5 Hz, 2H), 3.15-3.10 (m, 3H), 3.01 (s, 1H), 2.61-2.57 (m, 1H), 2.55 (s, 3H), 2.24 (t, J = 7.1 Hz, 2H), 2.16-2.09 (m, 1H), 1.84-1.71 (m, 8H), 0.93 (s, 9H))
단계 2: (2R,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2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녹이고 (2S,4R)-1-((R)-2-(5-브로모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21 mg, 0.036 mmol), 요오드화 나트륨(5.4 mg, 0.03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4 uL, 0.054 mmol)을 첨가한 후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키고 물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 증류시킨 후, 정제하여 목적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070 [M+H]+
< 실시예 8> 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올소이소인돌린-4-일)-7-옥소헵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3
단계 1: tert -부틸 7-((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미노)-7-옥소헵타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54
7-(tert-부톡시)-7-옥소헵탄산(0.174 g, 0.636 mmol)을 디클로메탄(1 mL)에 녹이고 옥살릴 클로라이드(0.381 mL, 4.45 mmol) 및 한 방울의 DMF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하여 농축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3 mL)에 녹이고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0.1 g, 0.212 mmol)을 첨가한 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 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174 g)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43 (s, 1H), 8.86 (d, J = 8.5 Hz, 1H), 8.06 (s, 1H), 7.74 (t, J = 7.9 Hz, 1H), 7.57 (d, J = 7.3 Hz, 1H), 4.98 (dd, J = 12.4, 5.3 Hz, 1H), 2.96 (d, J = 15.4 Hz, 1H), 2.91 - 2.73 (m, 2H), 2.49 (t, J = 7.5 Hz, 2H), 2.26 (t, J = 7.4 Hz, 2H), 2.24 - 2.16 (m, 1H), 1.86 - 1.76 (m, 2H), 1.72 - 1.63 (m, 2H), 1.51 - 1.40 (m, 11H).
단계 2: 7 -((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미노)-7-옥소헵탄산의 제조
Figure pat00055
tert-부틸 7-((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7-옥소헵타노에이트 (0.174 g)을 20% 트리플루오르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용액 (5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고, 정제없이 다음 반응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3: 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올소이소인돌린-4-일)-7-옥소헵탄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6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LDK378, 20 mg, 0.0358 mmol)을 디클로로메탄 (2 mL)에 녹이고 7-((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7-옥소헵탄산 (14.9 mg, 0.0358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6.4mg, 0.043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9.4uL, 0.054 mmol)을 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53 (s, 1H), 9.44 (s, 1H), 8.83 (d, J = 8.5 Hz, 1H), 8.70 (d, J = 7.0 Hz, 1H), 8.59 (d, J = 8.3 Hz, 1H), 8.18 (s, 1H), 8.02 (s, 1H), 7.94 (d, J = 7.0 Hz, 1H), 7.72 (t, J = 7.9 Hz, 1H), 7.67 - 7.58 (m, 1H), 7.55 (d, J = 7.3 Hz, 1H), 7.33 - 7.24 (m, 1H), 6.70 (s, 1H), 4.97 (dd, J = 12.3, 5.3 Hz, 1H), 4.84 (d, J = 13.1 Hz, 1H), 4.59 - 4.49 (m, 1H), 4.01 (d, J = 13.0 Hz, 1H), 3.33 - 3.22 (m, 1H), 3.16 (t, J = 12.5 Hz, 1H), 2.98 - 2.85 (m, 2H), 2.85 - 2.73 (m, 2H), 2.70 - 2.60 (m, 1H), 2.51 (t, J = 7.5 Hz, 2H), 2.42 (t, J = 7.6 Hz, 2H), 2.23 - 2.15 (m, 5H), 1.90 - 1.78 (m, 4H), 1.78 - 1.71 (m, 2H), 1.65 - 1.44 (m, 4H), 1.41 - 1.35 (m, 6H), 1.33 (d, J = 6.8 Hz, 6H).
< 실시예 9>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7
단계 1: ( 2S,4R )-1-((R)-2-(2-(2- 클로로에톡시 ) 아세트아미도 )-3,3- 디메틸부 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8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0.3 g, 0.697 mmol)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이고, 2-(2-클로로에톡시) 아세트산(0.095 g, 0.697 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0.291 g, 0.767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49 mL, 2.79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0.113 g)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68 (s, 1H), 7.42-7.32 (m, 5H), 4.74 (t, J = 8.0 Hz, 1H), 4.61-4.46 (m, 3H), 4.36-4.27 (m, 1H), 4.07 (d, J = 11 Hz, 1H), 4.01 (s, 2H), 3.77-3.72 (m, 2H), 3.67 (t, J = 5.1 Hz, 2H), 3.29 (s, 3H), 3.01 (s, 1H), 2.14-2.04 (m, 1H), 1.87-1.79 (m, 1H), 0.96 (s, 9H)
단계 2:N -(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인돌린 -4-일)-2-(4-아이오도부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59
(2S,4R)-1-((R)-2-(2-(2-클로로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0.1 g, 0.181 mmol)을 아세톤(3 mL)에 녹이고 요오드화 나트륨(0.272 g, 1.81 mmol)을 첨가한 후, 18 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물은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082 g, 노란색 오일)을 제조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70 (s, 1H), 7.39-7.33 (m, 5H), 7.25-7.22 (m, 1H), 4.76 (t, J = 7.8 Hz, 1H), 4.61-4.54 (m, 2H), 4.46 (d, J = 8.4 Hz, 1H), 4.36-4.30 (m, 1H), 4.12 (d, J = 11 Hz, 1H), 4.01 (s, 2H), 3.78-3.68 (m, 3H), 3.64-3.59 (m, 1H), 3.30 (t, J = 6.2 Hz, 2H), 2.63 (s, 2H), 2.52 (s, 3H), 2.18 (s, 2H), 0.97 (s, 9H).
단계 3: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0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녹이고 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인돌린-4-일)-2-(4-아이오도부톡시)아세트아미드(23 mg, 0.03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3 uL, 0.072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키고 물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 증류시킨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9.50 (s, 1H), 8.66 (s, 1H), 8.58 (t, J = 8.5 Hz, 1H), 8.15 (s, 1H), 8.01 (s, 1H), 7.93 (d, J = 7.5 Hz, 1H), 7.61 (t, J = 7.5 Hz, 1H), 7.53 (s, 1H), 7.34-7.31 (m, 5H), 7.15-7.12 (m, 1H), 6.81 (s, 1H), 5.35 (t, J = 4.8 Hz, 1H), 4.76 (t, J = 7.5 Hz, 1H), 4.55-4.52 (m, 3H), 4.47 (d, J = 8.5 Hz, 1H), 4.35-4.31 (m, 1H), 4.13 (d, J = 11 Hz, 1H), 4.09-3.97 (m, 2H), 3.71 (s, 2H), 3.63-3.60 (m, 2H), 3.29-3.24 (m, 1H), 3.11 (s, 1H), 2.69 (s, 3H), 2.51 (s, 3H), 2.15 (s, 3H), 0.96 (s, 9H); LC/MS (ESI) m/z1073.1 [M+H]+
< 실시예 10>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1
단계 1: ( 2S,4R )-1-((R)-2-(2-(2- 클로로부톡시 ) 아세트아미도 )-3,3- 디메틸부 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2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0.1 g, 0.232 mmol)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이고, 2-(4-클로로부톡시) 아세트산(0.051 g, 0.279 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0.115 g, 0.302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61 mL, 348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준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1 g, 무색 젤)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579.2 [M+H]+
단계 2: ( 2R,4R )-4-히드록시-1-((R)-2-(2-(4-아이오도 부톡시 ) 아세트아미도 )-3,3-디메틸부탄오일)-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3
(2S,4R)-1-((R)-2-(2-(2-클로로부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1 g, 0.167 mmol)을 아세톤 (5 mL)에 녹이고 요오드화 나트륨 (0.251 g, 1.67 mmol)을 첨가한 후 1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물은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048 g, 노란색 오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4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 (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에 녹이고 (2R,4R)-4-히드록시-1-((R)-2-(2-(4-아이오도부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4 mg, 0.036 mmol)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3 uL, 0.072 mmol)을 첨가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키고 물고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증류 시킨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10 mg, 아이보리 젤)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1100.3 [M+H]+
< 실시예 11> (2S,4R)-1-((R)-2-(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7-옥소헵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5
단계1 : tert -부틸 7-(((R)-1-((2R,4R)-4-히드록시-2-((4-(4-메틸티아졸-5-일)벤질)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7-옥소헵타노에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66
(2R,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염산(0.1 g, 0.232 mmol)을 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이고, 7-(tert-부톡시)-7-옥소헵탄산(0.065 g, 0.279 mmol),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늄 3-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0.115 g, 0.302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61 mL, 348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고,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한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162 g, 무색 젤)을 제조하였다.
단계 2: 7 -(((R)-1-(( 2R,4R )-4-히드록시-2-((4-(4- 메틸티아졸 -5-일) 벤질 ) 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7-옥소헵탄산의 제조
Figure pat00067
tert-부틸 7-(((R)-1-((2R,4R)-4-히드록시-2-((4-(4-메틸티아졸-5-일)벤질)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7-옥소헵타노에이트(0.16 g, 0.232 mmol)을 2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5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0.135 g, 흰색 고체)을 제조하였다.
단계 3: (2S,4R)-1-((R)-2-(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7-옥소헵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8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디클로로메탄(2 mL)에 녹이고 7-(((R)-1-((2R,4R)-4-히드록시-2-((4-(4-메틸티아졸-5-일)벤질)카바모일)피롤리딘-1-일)-3,3-디메틸-1-옥소부탄-2-일)아미노)-7-옥소헵탄산(24 mg, 0.036 mmol),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6.3 mg, 0.043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7 uL, 0.054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20 mg, 흰색 고체)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113.3 [M+H]+
< 실시예 12>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69
단계 1: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2-(2-(2-(2-아이오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0
tert-부틸 2-(2-(2-(2-아이오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테이트(0.2 g, 0.899 mmol)을 2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용액(1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2 mL)에 녹이고 티오닐클로라이드(0.162 mL, 2.24 mmol)을 첨가한 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2 mL)에 녹인 후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82 mg, 0.297 mmol)을 가하고 8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종결 후, 고체물질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은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킨 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0.47 (s, 1H), 8.87 (d, J = 8.4 Hz, 1H), 8.45 (s, 1H), 7.73 (t, J = 8.0 Hz, 1H), 7.58 (dd, J = 7.2 Hz, 0.6 Hz, 1H), 4.97 (dd, J = 12.3 Hz, 5.4 Hz, 1H), 4.22 (s, 2H), 3.84 - 3.79 (m, 6H), 3.67 - 3.63 (m, 2H), 2.96 - 2.74 (m, 3H), , 2.19 - 2.13 (m, 1H)
단계 2: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1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녹이고 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2-(2-(2-(2-아이오도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트아미드(41 mg, 0.072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3 uL, 0.072 mmol)을 첨가한 후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 증류시킨 후,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500 MHz) δ 10.66 (s, 1H), 9.49 (s, 1H), 8.83 (d, J = 8.5 Hz, 1H), 8.58 (d, J = 8.0 Hz, 1H), 8.15 (s, 1H), 7.98 (s, 1H), 7.93 (d, J = 7.5 Hz, 1H), 7.72 (t, J = 8.0 Hz, 1H), 7.60 (t, J = 7.8 Hz, 1H), 7.57 (d, J = 7.5 Hz, 1H), 7.54 (s, 1H), 7.25 (d, J = 8.0 Hz, 1H), 6.81 (s, 1H), 4.92 - 4.89 (m, 1H), 4.57 - 4.52 (m, 1H), 4.22 (d, J = 16 Hz, 1H), 4.148 (d, J = 15 Hz, 1H), 3.85 - 3.68 (m, 8H), 3.29 - 3.24 (m, 1H), 3.19 - 3.17 (m, 2H), 2.88 - 2.79 (m, 2H), 2.73 - 2.66 (m, 3H), 2.57 - 2.52 (m, 1H), 2.22 - 2.16 (m, 2H), 2.14 (s, 3H), 2.05 (s, 1H), 2.01 (d, J = 11.5 Hz, 1H), 1.75 - 1.73 (m, 3H), 1.35 (t, J = 6.0 Hz, 6H), 1.32 (d, J = 7.0 Hz, 6H)
< 실시예 13> 2-(4-(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2
단계 1: 2 -(4- 클로로부톡시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3
2-(4-클로로부톡시)아세트산(0.5 g, 3 mmol)을 테트라히드로퓨란(5 mL)에 녹이고, 티오닐클로라이드(0.544 mL, 7.5 mmol)을 첨가한 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물을 농축한 후, 테트라히드로퓨란(5 mL)에 녹인 뒤, 4-아미노-2-(2,6-디옥소피페리딘-3-일)이소인돌린-1,3-디온(0.273 g, 1 mmol)을 가하고 8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종결 후, 고체물질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은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킨 후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 농축,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422 [M+H]+
단계 2: 2 -(4- 아이오도부톡시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 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4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0.2 g, 0.474 mmol)을 아세톤(10 mL)에 녹이고, 요오드화나트륨(0.71 g, 4.74 mmol)을 첨가한 후, 18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물은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감압농축,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70 (s, 1H), 7.39-7.33 (m, 5H), 7.25-7.22 (m, 1H), 4.76 (t, J = 7.8 Hz, 1H), 4.61-4.54 (m, 2H), 4.46 (d, J = 8.4 Hz, 1H), 4.36-4.30 (m, 1H), 4.12 (d, J = 11 Hz, 1H), 4.01 (s, 2H), 3.78-3.68 (m, 3H), 3.64-3.59 (m, 1H), 3.30 (t, J = 6.2 Hz, 2H), 2.63 (s, 2H), 2.52 (s, 3H), 2.18 (s, 2H), 0.97 (s, 9H)
단계 3: 2-(4-(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5
5-클로로-N2-(2-이소프로폭시-5-메틸-4-(피페리딘-4-일)페닐)-N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피리미딘-2,4-디아민(LDK378, 20 mg, 0.036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mL)에 녹이고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24 mg, 0.036 mmol)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3 uL, 0.072 mmol)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키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증류 시킨 후, 정제하여 목적하는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10.56 (s, 1H), 9.52 (s, 1H), 8.87 (d, J = 8.5 Hz, 1H), 8.60 (d, J = 8.3 Hz, 1H), 8.17 (s, 1H), 8.02 (s, 1H), 7.94 (dd, J = 8.0, 1.5 Hz, 1H), 7.78 - 7.69 (m, 1H), 7.66 - 7.61 (m, 1H), 7.61 - 7.56 (m, 2H), 7.29 - 7.24 (m, 1H), 6.85 (s, 1H), 5.02 (s, 1H), 4.58 (s, 1H), 4.22 - 4.08 (m, 2H), 3.77 - 3.63 (m, 2H), 3.47 - 3.21 (m, 2H), 2.94 - 2.62 (m, 5H), 2.26 - 2.11 (m, 4H), 1.95 - 1.76 (m, 6H), 1.37 (dd, J = 6.0, 1.8 Hz, 5H), 1.33 (d, J = 6.9 Hz, 6H). LC/MS (ESI) m/z 943.2 [M+H]+
< 실시예 14> 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6
단계 1: tert -부틸 2-(2-(2- 클로로에톡시 ) 에톡시 )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77
2-(2-클로로에톡시)에탄-1-올(1.0 eq.)과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1.2 eq.)를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칼륨 tert-부톡사이드(1.5 eq.)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씻어주고, 유기층을 추출하여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물을 제거한 후, 감압 농축한 후, 분리, 정제하여 tert-부틸 2-(2-클로로에톡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4.04 (s, 1H), 3.79 - 3.75 (m, 2H), 3.74 - 3.68 (m, 8H), 3.66 - 3.62 (m, 2H), 1.49 (s, 9H)
단계 2: 2 -(2-(2- 클로로에톡시 ) 에톡시 )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pat00078
20%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용액에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농축하여 2-(2-(2-클로로에톡시)에톡시)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1.14 (s, 1H), 4.24 (s, 2H), 3.82 - 3.74 (m, 6H), 3.65 (t, J = 5.7 Hz, 2H)
단계 3: 2 -(2-(2- 클로로에톡시 ) 에톡시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79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3.0 eq.)을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7.5 eq.)를 첨가한 뒤,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혼합물을 농축하고,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뒤, 포말리도마이드(1.0 eq.)를 첨가하고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을 농축하고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0.47 (s, 1H), 8.87 (d, J = 8.4 Hz, 1H), 8.45 (s, 1H), 7.73 (t, J = 8.0 Hz, 1H), 7.58 (dd, J = 7.2 Hz, 0.6 Hz, 1H), 4.97 (dd, J = 12.3 Hz, 5.4 Hz, 1H), 4.22 (s, 2H), 3.84 - 3.79 (m, 6H), 3.67 - 3.63 (m, 2H), 2.96 - 2.74 (m, 3H), , 2.19 - 2.13 (m, 1H)
단계 4: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2-(2-(2-아이오도에톡시)에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0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1.0 eq.)을 아세톤에 녹이고, 요오드화나트륨(10.0 eq.)을 첨가한 뒤,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혼합물은 농축하여 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2-(2-(2-아이오도에톡시)에톡시)아세트아미드를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0.47 (s, 1H), 8.87 (d, J = 8.4 Hz, 1H), 8.37 (s, 1H), 7.73 (t, J = 7.8, 1H), 7.60 - 7.57 (m, 1H), 5.01 - 4.94 (m, 1H), 4.22 (d, J = 1.5 Hz, 2H), 3.84 - 379 (m, 6H), 3.67 - 3.63 (m, 1H), 3.29 (t, J = 7.1 Hz, 1H), 2.95 - 2.74 (m, 3H), 2.19 - 2.13 (m, 1H)
단계 5: 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1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화합물(1.0 eq.)과 LDK378(1.0 eq.)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이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5 eq.)를 첨가하여 9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된 후, 혼합물을 농축, 분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CDCl3, 500 MHz) δ 10.66 (s, 1H), 9.49 (s, 1H), 8.83 (d, J = 8.5 Hz, 1H), 8.58 (d, J = 8.0 Hz, 1H), 8.15 (s, 1H), 7.98 (s, 1H), 7.93 (d, J = 7.5 Hz, 1H), 7.72 (t, J = 8.0 Hz, 1H), 7.60 (t, J = 7.8 Hz, 1H), 7.57 (d, J = 7.5 Hz, 1H), 7.54 (s, 1H), 7.25 (d, J = 8.0 Hz, 1H), 6.81 (s, 1H), 4.92 - 4.89 (m, 1H), 4.57 - 4.52 (m, 1H), 4.22 (d, J = 16 Hz, 1H), 4.148 (d, J = 15 Hz, 1H), 3.85 - 3.68 (m, 8H), 3.29 - 3.24 (m, 1H), 3.19 - 3.17 (m, 2H), 2.88 - 2.79 (m, 2H), 2.73 - 2.66 (m, 3H), 2.57 - 2.52 (m, 1H), 2.22 - 2.16 (m, 2H), 2.14 (s, 3H), 2.05 (s, 1H), 2.01 (d, J = 11.5 Hz, 1H), 1.75 - 1.73 (m, 3H), 1.35 (t, J = 6.0 Hz, 6H), 1.32 (d, J = 7.0 Hz, 6H)
< 실시예 15>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2
단계 1: tert -부틸 2-(2- 클로로에톡시 )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3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1에서 사용한 2-(2-클로로에톡시)에탄-1-올을 대신하여 2-클로로에탄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1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4.04 (s, 1H), 3.79 - 3.75 (m, 2H), 3.74 - 3.68 (m, 8H), 3.66 - 3.62 (m, 2H), 1.49 (s, 9H)
단계 2: 2 -(2- 클로로에톡시 )아세트산의 제조
Figure pat00084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2와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1.11 (s, 1H), 4.26 (s, 2H), 3.87 (t, J = 5.5 Hz, 2H), 3.69 (t, J = 5.5 Hz, 2H)
단계 3: 2 -(2- 클로로에톡시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 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5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3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500 MHz) δ 10.46 (s, 1H), 8.86 (d, J = 8.5 Hz, 1H), 8.01 (s, 1H), 7.74 (t, J = 7.7 Hz, 1H), 7.59 (d, J = 7.5 Hz, 1H), 4.97 (dd, J = 12.5 Hz, 5.5 Hz, 1H), 4.23 (s, 2H), 3.95 - 3.92 (m, 2H), 3.81 (t, J = 5.7 Hz, 2H), 2.96 - 2.73 (m, 3H), 2.20 - 2.15 (m, 1H)
단계 4: N-(2-(2,6- 디옥소피페리딘 -3-일)-1,3- 디옥소이소인돌린 -4-일)-2-(2-아이오도에톡시)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6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4와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0.45 (s, 1H), 8.85 (d, J = 8.1 Hz, 1H), 8.08 (s, 1H), 7.74 (t, J = 7.9 Hz, 1H), 7.59 (dd, J = 7.2 Hz, 0.6 Hz, 1H), 4.97 (dd, J = 12.3 Hz, 5.4 Hz, 1H), 4.20 (s, 2H), 3.93 (t, J = 6.9 Hz, 2H), 3.42 (t, J = 6.9 Hz, 2H), 2.97 - 2.75 (m, 3H), 2.20 - 2.15 (m, 1H)
단계 5: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7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4의 단계 5와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 MHz) δ 10.47 (s, 1H), 9.50 (s, 1H), 8.88 (d, J = 5.1 Hz, 1H), 8.59 (d, J = 5.1 Hz, 1H), 8.15 (s, 1H), 8.07 (s, 1H), 8.00 (s, 1H), 7.93 (dd, J = 4.8 Hz, J = 0.6 Hz, 1H), 7.73 (t, J = 4.8 Hz, 1H), 7.64 - 7.61 (m, 1H), 7.59 (d, J = 4.2 Hz, 1H), 7.55 (s, 1H), 7.52 (t, J = 4.5 Hz, 1H), 6.81 (s, 1H), 4.94 (dd, J = 7.2 Hz, J = 3.0 Hz, 1H), 4.54 - 4.52 (m, 1H), 4.20 (s, 2H), 3.83 (s, 2H), 3.29 - 3.24 (m, 1H), 3.14 (d, J = 5.1 Hz, 1H), 2.91 - 2.69 (m, 6H), 2.21 (d, J = 2.4 Hz, 1H), 2.16 (s, 3H), 2.14 - 2.13 (m, 1H), 2.05 - 2.00 (m, 1H), 1.76 (s, 4H), 1.63 (s, 1H), 1.35 (d, J = 3.6 Hz, 6H), 1.32 (d, J = 4.2 Hz, 6H)
< 실시예 16> (2S,4R)-1-((R)-1-(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14,14-디메틸-11-옥소-3,6,9-트리옥사-12-아자펜타데칸카보닐)-4-히드록시-N-(4-(4-메틸싸이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88
단계 1: tert -부틸 2-(2-(2-(2- 클로로에톡시 ) 에톡시 ) 에톡시 )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89
2-(2-(2-클로로에톡시)에톡시)에탄올(1 g, 5.42 mmol)과 tert-부틸 브로모아세테이트(0.8 mL, 5.42 mmol)를 테트라히드로퓨란(10 mL)에 녹이고, KOtBu(0.638 g, 5.69 mmol)을 0℃에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종결되면 물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여과, 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4.04 (s, 1H), 3.83 - 3.58 (m, 5H), 1.49 (s, 4H).
단계 2: tert -부틸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테이트의 제조
Figure pat00090
LDK378(50 mg, 0.09 mmol),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합물(27 mg, 0.09 mmol), Cs2CO3(59 mg, 0.18 mmol), 요오드화 칼륨(3 mg, 0.018 mmol)을 DMF(1 mL)에 녹인 후,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9.50 (s, 1H), 8.59 (d, J = 8.4 Hz, 1H), 8.00 (s, 1H), 8.05 - 7.98 (m, 1H), 7.94 (d, J = 7.7 Hz, 1H), 7.63 (t, J = 7.7 Hz, 1H), 7.55 (s, 1H), 7.26 (d, J = 7.6 Hz, 1H), 6.83 (s, 1H), 4.63 - 4.47 (m, 1H), 4.03 (s, 2H), 3.76 - 3.57 (m, 10H), 3.38 - 3.21 (m, 1H), 3.14 (d, J = 11.1 Hz, 2H), 2.69 (t, J = 5.8 Hz, 2H), 2.28 - 2.10 (m, 5H), 1.91 - 1.72 (m, 2H), 1.48 (s, 9H), 1.35 (m, 13H).
단계 3: tert -부틸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아세트산 염산의 제조
Figure pat00091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화합물(37 mg, 0.090 mmol)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이고, 4 N 염산/디옥산(1 mL)용액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감압 농축하여,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단계 4: (2S,4R)-1-((R)-1-(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14,14-디메틸-11-옥소-3,6,9-트리옥사-12-아자펜타데칸카보닐)-4-히드록시-N-(4-(4-메틸싸이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2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화합물(10 mg, 13 mmol), (2S,4R)-1-((R)-2-아미노-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염산(6 mg, 13 mmol), HATU(7.4 mg, 19.5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1 uL, 52 mmol)을 디클로로메탄(1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은 물과 디클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 분리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190.7[M+H-15]+
< 실시예 17> 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헥산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3
상기 실시예 4의 단계 1에서 사용한 5-브로포펜산오일을 대신하여, 5-브로모헥산오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 (CDCl3, 300MHz) δ 9.49 (s, 1H), 9.43 (s, 1H), 8.83 (d, J = 8.4 Hz, 1H), 8.58 (d, J = 8.4 Hz, 1H), 8.15 (s, 1H), 8.00 (s, 1H), 7.93 (d, J = 7.8 Hz, 1H), 7,72 (t, J = 7.9 Hz, 1H), 7.62 (t, J = 7.9 Hz, 1H), 7.56 (d, J = 6.9 Hz, 2H), 7.28 - 7.23 (m merged with CHCl3, 1H), 6.84 (br, 1H), 4.96 (dd, J = 12.0, 6.0 Hz, 1H), 4.60 - 4.50 (m, 1H), 3.31 - 3.22 (m, 1H), 3.14 (br, 2H), 2.96 - 2.70 (m, 5H), 2.49 (t, J = 7.3 Hz, 3H), 2.23 - 2.13 (m, 1H), 2.15 (s, 3H), 1.86 - 1.61 (m, 9H), 1.52 - 1.39 (m, 3H), 1.35 (d, J = 6.0 Hz, 6H), 1.32 (d, J = 6.9 Hz, 6H)
< 실시예 18> (2R,4S)-1-((S)-2-(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6-옥소헥산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4
상기 실시예 3에서 사용한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산을 대신하여, 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6-옥소헥산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 NMR(CDCl3, 300 MHz) δ 9.51 (s, 1H), 8.67 (s, 1H), 8.58 (d, J = 8.7 Hz, 1H), 8.16 (s, 1H), 8.03 (s,1H), 7.93 (dd, J = 8.1, 1.5 Hz, 1H), 7.65 - 7.59 (m, 1H), 7.54 (s, 1H), 7.39 - 7.32 (m, 5H), 7.29 - 7.23 (m, merged with CHCl3, 1H), 6.68 (d, J= 0.9 Hz, 1H), 6.45 (dd, J = 15.0, 7.8 Hz, 1H), 4.77 (t, J = 8.1 Hz, 2H), 4.59 - 4.50 (m, 4H), 4.34 (dd, J= 15.3, 5.4 Hz, 1H), 4.11 (d, J = 10.2 Hz, 1H), 3.96 (d, J =13.2 Hz, 1H), 3.59 (dd, J = 11.7, 3.6 Hz, 1H), 3.54 - 3.44 (m, 1H), 3.31 - 3.22 (m, 1H), 3.11 (t, J =12.9 Hz, 1H), 2.92 - 2.84 (m, 1H), 2.65 - 2.53 (m, 2H), 2.52 (s, 3H), 2.37 - 2.22 (m, 4H), 2.17 (s, 3H), 2.14 - 2.11 (m, 1H), 1.81 (t, J = 11.3 Hz, 2H), 1.68 - 1.66 (m, 6H), 1.58 - 1.38 (m, 2H), 1.36 (dd, J = 5.7, 2.1 Hz, 6H), 1.32 (d, J = 6.9 Hz, 6H), 1.25 (s, 1H), 0.94 (s, 9H)
< 실시예 19> (2R,4S)-1-((S)-2-(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5
상기 실시예 10의 단계 1에서 사용한 2-(4-클로로부톡시)아세트산을 대신하여, 2-(5-클로로프로폭시)아세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0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113.3 [M+H]+
< 실시예 20> 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6
상기 실시예 13의 단계 1에서 사용한 2-(4-클로로부톡시)아세트산을 대신하여, 2-(5-클로로프로폭시)아세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3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113.3 [M+H]+
< 실시예 21> (2R,4S)-1-((R)-2-(2-((5-(4-(4-((5-chloro-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틸)옥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의 제조
Figure pat00097
상기 실시예 10의 단계 1에서 사용한 2-(4-클로로부톡시)아세트산을 대신하여, 2-(5-클로로펜톡시)아세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0과 유사하게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C/MS (ESI) m/z 1114 [M+H]+
실시예 구조식
1
Figure pat00098
2
Figure pat00099
3
Figure pat00100
4
Figure pat00101
5
Figure pat00102
6
Figure pat00103
7
Figure pat00104
8
Figure pat00105
9
Figure pat00106
10
Figure pat00107
11
Figure pat00108
12
Figure pat00109
13
Figure pat00110
14
Figure pat00111
15
Figure pat00112
16
Figure pat00113
17
Figure pat00114
18
Figure pat00115
19
Figure pat00116
20
Figure pat00117
21
Figure pat00118
< 실험예 1> ALK 단백질 저해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ALK 단백질 저해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에 대한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그레이너 96 웰 라운드 형 바닥 플레이트에 실시예 1 내지 2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1230 μM 농도로 가하고,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효소(1 ml)와 바이오틴이 붙은 펩타이드 기질(2 ml)을 15분 동안 혼합하여 배양하였다. 여기에 ATP 용액(5 ml)을 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키나아제 반응을 수행하였다.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용액에 용해된, 스트렙트아비딘이 붙은 엑스엘(XL 665, 5 ml)과 유로피움(Eu3+)이 붙은 항-포스포티로신 항체(5 ml)를 반응액에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간분해형광도(Homogeneous Time-resolved fluorescence, HTRF, Cisbi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왈락 인비전 2103(Wallac Envision 2103) 기기로 615/665 nm의 파장 범위에서 판독하였다. 하기 표 2에서는 실시예 1 내지 21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IC50을 프리즘(버전 5.01, 그래프패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표 2에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효소 활성이 50% 이하로 감소되면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화합물의 IC50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IC50, nM 실시예 IC50, nM
1 95 11 140
2 140 12 34
3 110 13 70
4 18 14 29
5 69 15 46
6 100 16 16
7 32
8 110
9 89
10 29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은 ALK 단백질을 nM의 단위 농도로 우수하게 저해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
< 실험예 2> ALK 단백질 분해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ALK 단백질 분해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Su-Dhl-1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6 X 105개를 주입하였다. 다음날 각 웰에 화합물을 최종농도 30 nM, 100 nM, 300 nM, 1 uM이 되도록 처리해 주었다. 한 개의 웰에는 DMSO를 동일한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처리 16시간 후, 세포를 모아 TBS-N lysis buffer(20mM Tris-Cl, pH8.0, 150mM NaCl, 0.5% NP-40, 1.5mM EDTA, 0.5mM Na3VO4, and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cell lysate)을 만들어 웨스턴블롯을 수행하였다.
H3122 세포를 12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6 X 105개를 주입하였다. 다음날 각 웰에 화합물을 최종농도 30 nM, 300 nM, 3 uM, 30 uM이 되도록 처리해 주었다. 한 개의 웰에는 DMSO를 동일한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처리 16시간 후, 세포를 모아 TBS-N lysis buffer(20mM Tris-Cl, pH8.0, 150mM NaCl, 0.5% NP-40, 1.5mM EDTA, 0.5mM Na3VO4, and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이용하여 세포 용해물(cell lysate)을 만들어 웨스턴블롯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ALK 분해활성 실시예 ALK 분해활성
1 + 10 ++
2 + 11 ++
3 ++ 12 +
4 ++ 13 +
5 + 14 +
6 + 15 +
7 + 16 +
8 +
9 +
++ : 300 nM 농도에서 50% 초과로 분해(> 50%)
+ : 300 nM 농도에서 50% 미만으로 분해(< 50%)
표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16 화합물은 ALK 단백질을 300 nM의 농도에서 우수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3, 4, 10 및 11 화합물은 300 nM의 농도에서 50 % 초과의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ALK 단백질을 나노몰 단위의 농도로 우수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ALK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In vivo 암 성장 억제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암 성장 억제활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H3122 이종이식 모델을 사용한 SCID 마우스를 대조군(8마리), 실험군(8 마리)로 나누어, 상기 실험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합물을 하루에 3번씩 50 mg/kg의 투여량으로 복강주입 하여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H3122가 이종이식된 SCID 마우스에 본 발명의 실시예 3 화합물을(1일 3회,50 mg/kg, 총 14일) 투여한 뒤, 종양 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합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투여 경과일이 흐름에 따라 종양 크기가 발달되지 않고 유지되거나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실험예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암 성장 억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로서 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pat00119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Linker는 -(CH2)-, -(C=O)-, -NH-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3-20개 연결된 연결기(linker)이되,
    상기 연결기는 연속하여 -O-로 연결될 수 없고; 및
    A는
    Figure pat00120
    또는
    Figure pat00121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nker는,
    Figure pat00122
    이되,
    여기서, 상기 a 및 i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되, 동시에 0일 수 없고;
    상기 b는 0-20의 정수이고;
    상기 c는 0 또는 1이고;
    상기 d는 0-3의 정수이고;
    상기 e는 0 또는 1이고;
    상기 f는 1-10의 정수이고;
    상기 g는 0 또는 1이고;
    상기 h는 0-3의 정수이고;
    상기 j 및 k는 독립적으로 0-5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inker는,
    Figure pat00123
    ,
    Figure pat00124
    ,
    Figure pat00125
    ,
    Figure pat00126
    ,
    Figure pat00127
    ,
    Figure pat00128
    ,
    Figure pat00129
    ,
    Figure pat00130
    ,
    Figure pat00131
    ,
    Figure pat00132
    ,
    Figure pat00133
    ,
    Figure pat00134
    ,
    Figure pat00135
    ,
    Figure pat00136
    ,
    Figure pat00137
    ,
    Figure pat00138
    ,
    Figure pat00139
    또는
    Figure pat001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4-(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미노)부틸)-5-옥소펜탄아미드;
    (2) (2S,4R)-1-((R)-2-(tert-부틸)-1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4,13,17-트리옥소-6,9-디옥사-3,12-디아자헵타데칸-1-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마이드;
    (3) (2S,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5-옥소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4)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펜탄아미드;
    (5) 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이옥소피레피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5-옥소펜탄아미드;
    (6)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2-옥소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타미드;
    (7) (2R,4R)-1-((R)-2-(5-(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사미드;
    (8) 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올소이소인돌린-4-일)-7-옥소헵탄아미드;
    (9)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0) (2S,4R)-1-((R)-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1) (2S,4R)-1-((R)-2-(7-(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7-옥소헵탄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2) 2-(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3) 2-(4-(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부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4) 2-(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5) 2-(2-(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에톡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16) (2S,4R)-1-((R)-1-(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14,14-디메틸-11-옥소-3,6,9-트리옥사-12-아자펜타데칸카보닐)-4-히드록시-N-(4-(4-메틸싸이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7) 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헥산아미드;
    (18) (2R,4S)-1-((S)-2-(6-(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6-옥소헥산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19) (2R,4S)-1-((S)-2-(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20) 2-(3-(4-(4-((5-클로로-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프로폭시)-N-(2-(2,6-디옥소피페리딘-3-일)-1,3-디옥소이소인돌린-4-일)아세트아미드; 및
    (21) (2R,4S)-1-((R)-2-(2-((5-(4-(4-((5-chloro-4-((2-(이소프로필설포닐)페닐)아미노)피리미딘-2-일)아미노)-5-이소프로폭시-2-메틸페닐)피페리딘-1-일)펜틸)옥시)아세트아미도)-3,3-디메틸부탄오일)-4-히드록시-N-(4-(4-메틸티아졸-5-일)벤질)피롤리딘-2-카르복스아미드.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H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A-Linker-X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A-Linker-Y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pat00141

    (상기 반응식 1에서,
    Linker, 및 A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및
    X와 Y는 X가 -CO2-tBu인 경우, Y는 -CO2H이고, X가 Cl 또는 Br인 경우, Y는 I이다).
  6.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를 억제하거나 분해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 간암, 위암, 유방암, 결장암, 골암, 췌장암, 두부 또는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식도암, 소장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암종, 신장골반암종 중추신경계 종양 및 백혈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역형성 림프종 키나아제(ALK)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63391A 2016-05-24 2016-05-24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91A KR101825065B1 (ko) 2016-05-24 2016-05-24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17/002830 WO2017204445A2 (ko) 2016-05-24 2017-03-16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91A KR101825065B1 (ko) 2016-05-24 2016-05-24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934A true KR20170132934A (ko) 2017-12-05
KR101825065B1 KR101825065B1 (ko) 2018-02-05

Family

ID=6041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91A KR101825065B1 (ko) 2016-05-24 2016-05-24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5065B1 (ko)
WO (1) WO201720444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014A (ko) * 2020-09-11 2022-03-21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 Egfr 돌연변이 암의 억제용 화합물 및 이들의 의약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2733A (zh) * 2017-09-03 2019-03-05 上海美志医药科技有限公司 一类抑制并降解酪氨酸蛋白激酶alk的化合物
JP2021506820A (ja) * 2017-12-13 2021-02-22 上海科技大学Shanghai Tech University Alkタンパク質分解剤及びそれらの癌療法における使用
CN110684015A (zh) * 2018-07-06 2020-01-14 四川大学 靶向alk的protac及其应用
EP3831811A4 (en) 2018-07-31 2022-04-20 Fimecs, Inc. HETEROCYCLIC COMPOUND
US11969472B2 (en) 2018-08-22 2024-04-30 Cullgen (Shanghai), Inc. Tropomyosin receptor kinase (TRK) degradation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KR20200024669A (ko) 2018-08-28 2020-03-09 한국화학연구원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기 위한 데그라듀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표적 단백질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3922632A4 (en) 2019-02-07 2023-02-15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EGRADATION AGENT THAT INDUCES DEGRADATION OF A TARGET EED PROTEIN,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EED, EZH2 OR PRC2 USING SUCH AGENT AS THE ACTIVE SUBSTANCE
US20220257776A1 (en) * 2019-06-12 2022-08-18 Shanghaitech University Alk protein regulator and anti-tumor application thereof
KR20210016103A (ko) 2019-07-31 2021-02-15 주식회사 온코빅스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878095B (zh) * 2019-12-02 2023-01-24 中山大学 一种姜黄素双功能分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54327A (zh) * 2020-04-02 2020-07-28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一种nampt蛋白降解靶向嵌合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2012622A1 (en) * 2020-07-16 2022-01-20 Beigene, Ltd. Degradation of (egfr) by conjugation of egfr inhibitors with e3 ligase ligand and methods of use
EP4291193A1 (en) * 2021-02-10 2023-12-20 BeiGene Switzerland GmbH Egfr degraders and methods of use
CN116940581A (zh) * 2021-05-19 2023-10-24 和径医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类新型蛋白降解剂及其应用
WO2022251588A1 (en) * 2021-05-27 2022-12-01 Halda Therapeutics Opco, Inc. Heterobifunctional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ing disease
EP4361163A1 (en) 2021-06-25 2024-05-01 Jing Medicine Technology (Shanghai) Ltd. Protein inhibitor or degrading ag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harmaceutical use
WO2023205701A1 (en) 2022-04-20 2023-10-26 Kumquat Biosciences Inc. Macrocyclic heterocycle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66530C2 (ru) * 2012-01-12 2018-09-11 Йейл Юниверсити Соединения и способы усиления деградации белков-мишеней и других полипептидов с помощью е3 убиквитин лигаз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014A (ko) * 2020-09-11 2022-03-21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 Egfr 돌연변이 암의 억제용 화합물 및 이들의 의약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065B1 (ko) 2018-02-05
WO2017204445A2 (ko) 2017-11-30
WO2017204445A3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65B1 (ko)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6008523B (zh) 作为TRK激酶抑制剂的被取代的吡唑并[1,5-a]嘧啶化合物
CN102596913B (zh) 大麻素受体调节剂
KR101512284B1 (ko) 치환된 피라졸로-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
CN106170288B (zh) 药物化合物
JP6759514B2 (ja) ブロモドメインに対して活性な化合物
KR101985050B1 (ko) 피라진카르복사미드 화합물
KR101486490B1 (ko) α-헬릭스 유사체 및 암 줄기세포의 치료에 관한 방법
CN105175394B (zh) 具有抗癌活性的化合物
KR101656382B1 (ko) 피리미딘-2,4-디아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JP2020040989A (ja) ブルトン型チロシンキナーゼ(btk)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多フルオロ置換化合物
CN114057771B (zh) 大环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DK2947086T3 (en) UNKNOWN CONDENSED PYRIMIDINE COMPOUND OR SALT THEREOF
KR102510858B1 (ko) 알파 v 인테그린 억제제로서의 아졸 아미드 및 아민
RU2581834C1 (ru) Новое пипериди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или его соль
EA010904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азолохиназолина: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
KR102388312B1 (ko) 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AU2015366636A1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
DE10230605A1 (de) Substituierte Imidazotriazine
Lorthiois et al. Discovery of highly potent and selective small-molecule reversible factor D inhibitors demonstrating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inhibition in vivo
JP2011520838A (ja) プロドラッグとしての2環式カルボニルアミノ−ピラゾールのカルバモイル誘導体
US20060264431A1 (en) P38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TW201136925A (en) Triazole compounds as KSP inhibitors
JP5337717B2 (ja) 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活性なイソキノリノピロロピリジノン
KR101577430B1 (ko) 피페리딘-3,5-디카복시아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