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354A -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354A
KR20170126354A KR1020160056673A KR20160056673A KR20170126354A KR 20170126354 A KR20170126354 A KR 20170126354A KR 1020160056673 A KR1020160056673 A KR 1020160056673A KR 20160056673 A KR20160056673 A KR 20160056673A KR 20170126354 A KR20170126354 A KR 20170126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r
wire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7044B1 (ko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5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04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1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중앙분리대에 위험을 알리는 깃발을 회동 또는 승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위험을 미리 공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도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부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다수개가 위치되는 복수개의 봉부와; 상기 복수개의 봉부를 회동하도록 상기 블록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봉부는 동력발생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하는 구동봉부와, 상기 구동봉부와 순차적으로 와이어 결합되어 동반 회동하는 종동봉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봉부는 블록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과, 상기 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의 샤프트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Median strip that has a risk predi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중앙분리대에 위험을 알리는 깃발을 회동 또는 승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위험을 미리 공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중앙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차도(R)의 상행선(L)과 하행선(M)을 구분할 뿐만 아니라, 차량이 상대 차선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차도에는 중앙분리대(10)를 설치한다.
상기 중앙분리대(10)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 블록(11)을 차도의 중앙선을 따라 배치하므로 차도(R)의 중앙선에 벽 모양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그런데, 고속도로나 국도에서 고장 내지는 교통사고에 의해서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면, 뒤따라오는 차량들에게 미리 사고를 공지해 주므로 서행하도록 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상기 중앙분리대(10)에 사고를 공지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사고 지점에서 후방으로 200∼500m 지점에 진입하는 차량들이 감속하지 않고 주행하다가 상기 사고 차량에 부딪혀서 2차 사고로 연계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152994호 (1999년 05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분리대에 차도에 차량이 고장 내지는 교통사고로 정지한 상태에서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들에게 미리 사고를 공지해 주므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차도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부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다수개가 위치되는 복수개의 봉부와; 상기 복수개의 봉부를 회동하도록 상기 블록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봉부는 동력발생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하는 구동봉부와, 상기 구동봉부와 순차적으로 와이어 결합되어 동반 회동하는 종동봉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봉부는 블록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과, 상기 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의 샤프트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샤프트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구동봉부 및 종동봉부들 간의 이웃하는 와이어판 사이에는 순차적으로 와이어가 연결됨에 따라 구동봉부의 와이어판 회전시 이와 이웃하는 종동봉부의 와이어판이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봉부는 블록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과, 상기 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과, 상기 샤프트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의 샤프트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봉부는 블록 내측에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깃발과, 상기 회전샤프트와 동반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판과 와이어 결합되어 와이어판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회전와이어판 및 '
Figure 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측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회전샤프트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구동봉부의 와이어판 회전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와이어판은 상기 회전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동반회전하는 제1회전와이어판과, 상기 승강봉의 회전샤프트 설치지점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되어 승강봉과 고정결합됨에 따라 구동봉부의 와이어판 회전시 승강봉을 승하강시키는 제2회전와이어판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봉부의 와이어판에는 와이어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양측에 위치되며 한쌍의 회전와이어와, 상기 회전와이어의 결합지점으로부터 중심측에 근접하여 결합되는 일측의 승강와이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블록에 부딪히거나 차량 간 충돌하는 교통사고 내지는 고장으로 차량이 정지한 경우, 감시 카메라를 통해서 위험을 감지한 감시자가 상기 서버모터에 신호를 발신하여 사고난 쪽의 차도 쪽으로 상기 봉이 회전하거나 승하강함에 따라 뒤따라오던 차량의 운전자들이 신속하게 위험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2차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중앙분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는 차도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블록(B)과, 상기 블록(B)의 상부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다수개가 위치되는 복수개의 봉부(20)와, 상기 복수개의 봉부(20)를 회동하도록 상기 블록(B)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부(20)는 동력발생수단(M) 및 동력전달수단(D)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하는 구동봉부(20a)와, 상기 구동봉부(20a)와 순차적으로 와이어(W) 결합되어 동반 회동하는 종동봉부(2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동봉부(20a)는 구동부(30)로부터 일정각도 회전력을 직접 전달받아 회전하며, 종동봉부(20b)는 구동봉부(20a)와 와이어 결합을 통해 구동봉부(20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봉부(20a) 및 종동봉부(20b)는 구동부(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성은 동일한데, 이러한 구동봉부(20a) 및 종동봉부(20b)로 구성되는 봉부(20)는 블록(B)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22)과, 상기 봉(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봉부(20a)의 샤프트(2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발생수단(M)과 동력전달수단(D)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데, 일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 하단부의 외연에 치를 가지는 동력전달수단(D)과 치형결합하도록 이와 대응되는 치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샤프트(21)의 하단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벨트결합을 통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양한 동력전달구성의 채택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샤프트(21)에는 샤프트(21)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24)이 고정 결합되어 샤프트(21)의 회전시 동일한 회전각도로 와이어판(24)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어판(24)은 이웃하는 상기 구동봉부(20a) 및 종동봉부(20b)들 간의 와이어(W)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와이어(W)는 와이어판(24)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양측에 각각 2개소가 별도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와이어(W)를 통해 이웃하는 와이어판(24)이 연결됨에 따라 와이어판(24)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W)의 당김이 이루어져 이웃하는 와이어판(24) 또한 동일하게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블록(B)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봉부(20)는 별도의 사고 감지수단 또는 관리자의 조작 등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부(30)에 의해 비상상황으로 판단될 시에 일정각도 회동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일정 거리 떨어진 원격지에서도 중앙분리대의 봉(22) 및 깃발(23)의 회동이 인지되어 비상상황 또는 사고상황인 것을 운전자가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상황 및 사고상황 인지는 2차 사고 발생 확률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동작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는 크게 구동봉부(20a)와 종동봉부(20b)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봉부(20a)의 회전에 따라 종동봉부(20b)가 회전과 승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봉부(20a)는 블록(B)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22)과, 상기 봉(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23)과, 상기 샤프트(21)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20a)의 샤프트(21)는 동력발생수단(M)과 동력전달수단(D)을 통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봉부(20b)는 블록(B) 내측에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샤프트(21a)와, 상기 회전샤프트(21a)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회전샤프트(21a)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회전봉(22a)과, 상기 회전봉(22a)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깃발(23a)과, 상기 회전샤프트(21a)와 동반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판(24)과 와이어 결합되어 와이어판(24)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회전와이어판(24a) 및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측이 상기 회전샤프트(21a)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회전샤프트(21a)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 회전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봉(25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와이어판(24a)은 상기 회전샤프트(21a)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샤프트(21a)의 회전시 동반회전하는 제1회전와이어판(24aa)과, 상기 승강봉(25a)의 회전샤프트(21a) 설치지점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되어 승강봉(25a)과 고정결합됨에 따라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 회전시 승강봉(25a)을 승하강시키는 제2회전와이어판(24ab)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에는 와이어(W)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양측에 위치되며 한쌍의 회전와이어(RW)와, 상기 회전와이어(RW)의 결합지점으로부터 중심측에 근접하여 결합되는 일측의 승강와이어(EW)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30)의 구동에 따라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이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판(24)에 각각 결합된 회전와이어(RW)와 승강와이어(EW)가 각각 회전샤프트(21a)를 회전시키고 승강봉(25a)을 승강시켜 종동봉부(20b)는 구동부(30)의 일정각도 반복 회동에 따라 승하강 및 회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30)의 일정각도 반복 회동은 사고 발생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관리자의 직접 또는 원격 제어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감시수단, 센싱수단에 의해 자율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동봉부(20b)는 일정각도 회동은 물론 승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평상시에는 블록(B) 내에 수용되었다가 비상상황 발생시 승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승하강에 따른 인지 확률(운전자 눈에 부각될 확률)이 증대됨은 물론 도로의 오염 물질로부터 오염이나 훼손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승강봉(25a)에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봉(25a)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롤러(R)와 승강봉(25a) 단부에 결합되어 상승 후 하강 복원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복원수단(S)이 결합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0 : 봉부 20a : 구동봉부
20b : 종동봉부 21 : 샤프트
21a : 회전샤프트 22 : 봉
22a : 회전봉 23 : 깃발
23a : 회전깃발 24 : 와이어판
24a : 회전와이어판 24aa : 제1회전와이어판
24ab : 제2회전와이어판 25a : 승강봉
30 : 구동부

Claims (7)

  1. 차도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블록(B)과;
    상기 블록(B)의 상부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일측으로 일정각도 회동하도록 다수개가 위치되는 복수개의 봉부(20)와;
    상기 복수개의 봉부(20)를 회동하도록 상기 블록(B) 내에 설치되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봉부(20)는 동력발생수단(M) 및 동력전달수단(D)을 통해 일정각도 회동하는 구동봉부(20a)와, 상기 구동봉부(20a)와 순차적으로 와이어(W) 결합되어 동반 회동하는 종동봉부(2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20)는
    블록(B)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22)과, 상기 봉(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20a)의 샤프트(21)는 동력발생수단(M)과 동력전달수단(D)을 통해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1)는
    샤프트(21)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24)이 더 결합되며,
    상기 구동봉부(20a) 및 종동봉부(20b)들 간의 이웃하는 와이어판(24) 사이에는 순차적으로 와이어(W)가 연결됨에 따라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 회전시 이와 이웃하는 종동봉부(20b)의 와이어판(24)이 동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봉부(20a)는
    블록(B) 상부측으로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샤프트(21)와, 상기 샤프트(21)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샤프트(21)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봉(22)과, 상기 봉(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깃발(23)과, 상기 샤프트(21)와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와이어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봉부(20a)의 샤프트(21)는 동력발생수단(M)과 동력전달수단(D)을 통해 일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봉부(20b)는
    블록(B) 내측에 위치되며 수직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회전샤프트(21a)와, 상기 회전샤프트(21a)의 일측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회전샤프트(21a)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회전봉(22a)과, 상기 회전봉(22a)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깃발(23a)과, 상기 회전샤프트(21a)와 동반 회전하며 상기 와이어판(24)과 와이어 결합되어 와이어판(24)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하는 판상의 회전와이어판(24a) 및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측이 상기 회전샤프트(21a)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회전샤프트(21a)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 회전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승강봉(25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와이어판(24a)은
    상기 회전샤프트(21a)와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샤프트(21a)의 회전시 동반회전하는 제1회전와이어판(24aa)과, 상기 승강봉(25a)의 회전샤프트(21a) 설치지점으로부터 하부에 위치되어 승강봉(25a)과 고정결합됨에 따라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 회전시 승강봉(25a)을 승하강시키는 제2회전와이어판(24a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봉부(20a)의 와이어판(24)에는 와이어(W)가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양측에 위치되며 한쌍의 회전와이어(RW)와, 상기 회전와이어(RW)의 결합지점으로부터 중심측에 근접하여 결합되는 일측의 승강와이어(EW)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KR1020160056673A 2016-05-09 2016-05-09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KR10187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73A KR101877044B1 (ko) 2016-05-09 2016-05-09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73A KR101877044B1 (ko) 2016-05-09 2016-05-09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54A true KR20170126354A (ko) 2017-11-17
KR101877044B1 KR101877044B1 (ko) 2018-07-10

Family

ID=6080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73A KR101877044B1 (ko) 2016-05-09 2016-05-09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4998A (zh) * 2020-08-27 2022-03-25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可动式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410B1 (ko) * 2000-10-14 2003-04-07 주식회사 삼경기술용역단 중앙분리대용 안전운행 장치
KR100934277B1 (ko) * 2009-05-22 2009-12-28 주식회사 세흥휴프텍 방음벽용 세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4998A (zh) * 2020-08-27 2022-03-25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可动式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244998B (zh) * 2020-08-27 2024-01-09 南宁富联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可动式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044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913B1 (ko) 도로용 연결식 플랫폼에 대한 엘레베이션 메커니즘
CN106327895A (zh) 行车路段状况的提示系统及方法
CN204650766U (zh) 智能交通综合管理系统
US9945083B2 (en) Unidirectional bend drive chain and lift mechanism and boom barrier including same
CN108411820A (zh) 一种高速公路应急车道智能管理与控制系统
CN109803080A (zh) 一种高速公路车辆检测用行走式监控装置
KR101877044B1 (ko) 위험 예보 기능을 가지는 중앙분리대
CN107705633B (zh) 一种高速公路隧道汽车二次事故预防系统及方法
KR101448581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CN111179599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交通管理系统
CN105220625B (zh) 一种智能公交登乘系统用的水平登乘设备的登乘方法
CN209907131U (zh) 一种自动式行人过街装置
CN106429731B (zh) 一种用于快速主干道的电梯系统
CN107806042A (zh) 一种用于潮汐车道的电动升降式自动化隔离护栏系统
CN209538768U (zh) 停车承台和停车位系统
CN214671073U (zh) 一种违法停车移动机器人提示系统
CN103208188A (zh) 一种车辆限速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
CN210195391U (zh) 一种机械车库钢丝绳提升系统
CN110778181A (zh) 一种由缆绳传动的可旋转停车装置
CN202578071U (zh) 一种横向无避让立体车库
KR10223947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휴대형 교통안전 신호기
CN205329582U (zh) 一种人行道隔离栏
CN211666368U (zh) 一种由缆绳传动的可旋转停车装置
CN111139699A (zh) 一种高速公路车辆掉头系统
CN104790315A (zh) 一种道路活动设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