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007A -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 Google Patents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007A
KR20170126007A KR1020177031514A KR20177031514A KR20170126007A KR 20170126007 A KR20170126007 A KR 20170126007A KR 1020177031514 A KR1020177031514 A KR 1020177031514A KR 20177031514 A KR20177031514 A KR 20177031514A KR 20170126007 A KR20170126007 A KR 2017012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apple
feed
state
raw material
pe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086B1 (ko
Inventor
치아키 쿠시다
Original Assignee
치아키 쿠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아키 쿠시다 filed Critical 치아키 쿠시다
Publication of KR2017012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1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of green fodder
    • A23K30/15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of green fodder using chemicals or microorganisms for ensilaging
    • A23K30/1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of green fodder using chemicals or microorganisms for ensilaging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2Dry f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23K50/45Semi-moist f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막대한 파인애플 경엽량에 걸맞는 가축용 사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파인애플 경엽(줄기와 잎)이 당분, 섬유 성분을 다량 포함하며, 발효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가축이 좋아하는 사료가 되고, 또한 낙농 농가 등의 구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한다.
설정된 발효 조건에 대응하여 건조 상태로 된 파인애플 경엽체를, 혐기성균 발효 환경하에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실내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발효시켜 형성한 함유율 15 ~ 50%, 또는 20 ~ 40%의 저발효 상태로 하여,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본 발명은 파인애플 경엽(莖葉; 줄기와 잎)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그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에 관한 것이다.
파인애플박(粕)은 공장 부산물로서 유통되어 가축의 사료가 된다.
특허 문헌 1에는 사탕수수 찌꺼기, 주박(酒粕), 맥주 찌꺼기에 의해 가축 사료를 형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부엌 쓰레기를 컨테이너형 퇴비화 장치에 투입하고 선적하여 수요지 근처까지 수송하고, 수송중에 퇴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에는 파인애플박과 장유박을 혼합하여 혼합 사료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 2004-215516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평 11-171676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 북축(北畜) 회보 36:18-20 '파인애플박, 장유박 혼합 사료의 사료 가치' 노나카 가스히사(野中和久)외 저
특허 문헌 1에는 파인애플 경엽의 사료화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2에는 파인애플 경협의 사료화의 조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지 않다.
파인애플박을 포함하여 여러종류의 원료가 동물, 특히 소의 사료로 가공되고 있지만, 파인애플박을 원료로 하는 사료의 생산에 있어서는 생산량이 한정되며, 또한 특허문헌 1 또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그 외의 원료에 의한 사료의 생산에 있어서도 원료가 부족한 경향이 있고, 가격도 비싼 상황이다.
파인애플의 생산지, 예를들면 필리핀에서는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다량의 파인애플 경엽이 파인애플밭에 매립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다량의 파인애플 경엽의 파인애플 밭으로의 매립은 파인애플밭의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막대한 파인애플 경엽량에 걸맞는 가축용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파인애플 경엽이 당분, 섬유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건조 상태, 발효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가축이 좋아하는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가 되고, 또한 낙농 농가 등의 구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에서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또는 예취된 후에 파쇄되어 파인애플 경엽체가 되고,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상태로 되고, 수분량이 유지되고, 건조 상태에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혐기성균 발효 환경하에서 수납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발효 처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인애플 엽체(葉體), 경체(莖體)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함수율 15~5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20~4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하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함수율 15~50%가, 수율(步留率) 0.176~0.3 또는 감용률 0.824~0.7로 치환되고, 또는 함수율 20~40%가, 수율 0.187~0.25 또는 감용률 0.813~0.75로 치환되어, 시각 인식 가능한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파인애플 경엽체가, 선적되고, 선적되어 보관되는 동안에 저발효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포장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조 상태로 된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수분량이 유지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잎, 줄기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를 원료로 하여 형성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제공한다.
건조 상태로 된 상기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수분량이 유지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15~50% 또는 20~4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경엽 중 어느하나를 원료로 하여 형성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제공한다.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에서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또는 예취된 후에 파쇄되어 파인애플 경엽체가 되고,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상태로 되고, 수분량이 유지되고, 건조 상태에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하용 포장재에 진공 포장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발효 처리, 출하 처리되는 것으로서,
건조 상태로 된 상기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15~50% 또는 20~40%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출하용으로 포장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하여, 포장된 상태로 출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하용 포장재에 포장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출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발효에 의해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의 가축 또는 펫푸드 원료의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발효 상태에 대응하여 '달콤한' 냄새를 발생하는 가축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막대한 파인애플 경엽량에 걸맞는 가축용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파인애플 경엽이 당분, 섬유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발효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가축이 좋아하는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가 되고, 또한 낙농 농가 등의 구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파인애플 경엽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파인애플 경엽 성분 비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의 사료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파인애플 경엽이 혼합된 사료의 혼합 비율에 따른 예상 TDN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파인애플 경엽 예취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6은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건조 킬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8은 진공 포장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선박에 적층되는 컨테이너에 진공 포장기를 내장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파인애플 사료의 '건조 저발효 사료' 제조에 관한 함수율 및 냄새 평가의 기준을 설명하는 도.
본 발명은, 파인애플 경엽이 당분, 섬유 성분,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그 자체 발효균을 구비하고 있는 특징을 살려, 설정된 발효 조건에 대응하여 건조 상태로 된 그 파인애플 경엽체를 건조 저발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가축의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로서 각종 원료가 사용되어 왔으나, 수분이 많이 포함된 원래의 상태에 발효균을 투입하여 완전 발효함으로써 제조되어 왔다. 발명자 등의 시도에 의하면, 가축 또는 애완동물은, 파인애플 경엽이 소위 저발효 상태로, 파인애플 경엽이 포함된 성분의 발효에 수반하는 '달콤한' 냄새에 식욕이 자극되어, 즐기며 먹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달콤한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를 거쳐 파인애플 사료로 함으로써 달콤한 냄새가 잔류하여 가축의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파인애플 경엽을 원료로 한 가축의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는, 파인애플 경엽이 포함된 성분의 발효에 수반하는 달콤한 냄새를 발생하는 공정을 거침으로써,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것이 된다. 이하, 가축의 사료 형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펫푸드 형성에 대해서는 이를 유추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조는 수분이 잔류하는 소위 반건조 상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저발효 상태는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파인애플 특유의 달콤한 냄새를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파인애플 사료의 원료는,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달콤한' 냄새를 형성하는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공된 파인애플 사료를 형성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파인애플 사료가, 통상적으로 사료의 중량으로 취급되는 것을 감안하여, 수분이 많이 포함된 원래의 상태에서는, 수분이 다량으로 포함됨으로 인해 낙농 농가의 구입량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금전적으로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건조 상태 저발효 상태를 설정한다.
파인애플 경엽은, 그 자체로 발효균을 구비하고 있어, 수분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을 살리면, 혐기균인 유산균 등의 발효균을 투입하지 않아도 발효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발효를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행하기 위해서 혐기균인 유산균 등의 발효균을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완전 건조라고 해도, 수분이 100%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함수율(%)이 10% 근처가 되면 완전 건조에 가깝게 된다. 5% 이하가 되면 소위 숯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이 상태에서는 거의 발효가 안되지만, 파인애플로 만든 숯은 파인애플로 만든 사료에 소량 섞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건조 저발효 상태는, 함수율이 15~50%의 범위에, 바람직하게는 함수율이 20~40%의 범위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범위에서, 도 2에 나타낸 파인애플 경엽 성분에 기초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발생하는 사료 성분의 조건 및 낙농 농가의 부담 증가가 되는 것을 회피하는 조건하에서 형성 방법이 채용된다. 함수율은 수율 또는 함용율로 치환하여 나타내는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연 발효를 조건으로 설정하면 저발효 상태의 형성에 필요한 시간은, 일주일 이상이 걸리지만, 혐기균인 유산균 등의 발효균을 투입함으로써 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연 발효에 필요한 기간은, 후술하는 가축이 좋아하는 사료 및 낙농 농가 입장에서 중요한 구매 가격면에서 보면, 일주일 이상의 자연 발효는, 충분히 이들 요구를 만족시킨다.
건조된 파인애플 경엽을 일정 조건 하에서 발효를 행하게 되면,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이 되는 섬유 성분이 많아, 가축이 좋아하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 사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주일 이상 발효에 요하는 시간은, 파인애플 경엽이 수확되는 국가의 현지에서 일본 또는 다른 국가로 운반하는 일수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지에서 이 기간을 통하여 저발효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현지에서 취득된 막대한 파인애플 경엽을 건조 저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생성시켜 둠으로써, 일본이나 다른 국가에서, 또는 현지의 다른 지역으로 즉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나는 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함수율은, 낙농 농가에게 가격면에서 큰 영향을 미친다. 단위량의 단가 가격이 동일한 경우, 수분율이 많은 만큼 구입 가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낙농 농가의 구입 가격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파인애플의 잎, 파인애플의 줄기의 성분상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에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파인애플 경엽의 외관을 나타낸다.
파인애플 경엽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둥치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줄기, 줄기의 전체면에서 분기하는 많은 수의 잎을 가지며, 밭 내부에 뿌리, 줄기의 상단에 정상부 정점을 갖추고, 밑둥치의 지표로부터 최상부의 잎과 줄기가 붙은 부분까지의 길이를 'L'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파인애플 잎과 파인애플 줄기를 합하여 언급할 때는 파인애플 경엽부 폐기물이라고 칭한다.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이용된다. 파인애플 경엽은, 그 자체가 혐기성균을 보유하여, 잘게 재단하게 되면, 수분이 잔류한 상태로 자연 발효한다.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이용되어,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낙농 농가가 희망하는 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경우에는 파인애플 경엽을 의미하며, 파인애플 잎, 파인애플 줄기를 단독으로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미루어 짐작한다.
도 2는 파인애플 경엽 성분 비교를 나타내는 도이다.
파인애플 경엽은,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 비섬유성 탄수화물, 총섬유로 유사한 성질을 가지며, 비료 원료 및 사료 원료로서 우수한 성분을 갖는다. 파인애플 줄기는 그 총섬유량이 잎에 비해 적지만, 비섬유성 탄수화물 및 세포 내용물의 성분이 파인애플 잎에 비하여 많이 포함되어 있어, 사료 원료로서 우수한 성분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파인애플의 경엽은, 원재료의 량이 막대하기 때문에, 혼합 상태로 원료가 되어 가축의 사료로 다량으로 생산 가능하다. 파인애플의 찌꺼기로 제조된 제품과, 현재 주류인 건목초에 비해서도 원가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원재료가 막대하기 때문에 이를 예취함으로써 파인애플 밭의 산성화를 방지하여 계속해서 파인애플을 생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인애플 잎은 섬유 성분이 많아 조사료(組飼料)가 되고, 또한 파인애플 줄기는 영양분이 풍부하여 농후사료가 되고, 파인애플 경엽은 파인애플박과 같은 성분을 구비하여 가축 사료로서 우수하다. 개별적으로 생산하고, 개별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정된 파인애플 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인애플 사료는 다른 사료와 혼합하여, 섬유 성분이 조정된 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인애플 밭에 남겨진 파인애플 경엽은, 통상 농장주에 귀속한다. 파인애플 밭에 남겨진 파인애플 경엽의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파인애플 경엽의 성상을 이용한 발효를 행함으로써 파인애플 사료를 형성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인애플 경엽은, 파인애플박과 같은 우수한 성분을 갖고 있어 가축의 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발효를 위한 건조 공정이 단축되어 제조 비용이 경감된 가축의 사료로서 생성되어 농장주에게 이익을 가져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의 사료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파인애플 경엽을 원료로 하는 사료 형성 방법은 S1 공정에서 S6 공정에 따라 형성된다.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파인애플 경엽을 예취 수확하는 공정(S1),
예취시에, 또는 예취한 후에 파인애플 경엽을 미세하게 파쇄하여,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파인애플 경엽체라고도 한다)를 형성하는 공정(S2),
파인애플 경엽체를 건조 장치에 넣고 건조시켜, 건조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를 형성하는 공정(S3),
건조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를 출하용 제품 포장재에 진공 포장하는 공정(S4),
건조, 저발효의 파인애플 경엽체의 형성 공정(S5),
포장된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형성과 그 출하 공정(S6)으로 구성된다.
S3 공정에서, 건조 상태는, 고객 요구시에 저발효 상태의 설정 정보가 PS로 입력되어 결정(S11)되도록 하여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 생산자가 저발효 상태를 결정한다. 경험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쪽도 저발효 상태가 건조 발효 상태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S4 공정은 S3공정과 아울러, 건조 상태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미리 정해진 발효에 대응하도록 하여 수납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발효 처리시키는 공정이다.
S5 공정에서, 진공 포장 상태에서, 수분을 추가하지 않고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 실온 유지, 소정 실내 압력하에, 혐기균인 유산균 등의 발효균을 투입하여 발효시키고, 또는 예를 들어 일주일 이상에 걸쳐 혐기성균에 의한 자연 반발효시켜 건조 저발효 상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예정된 함수율, 혹은 이와 등가인 수율(步留率) 또는 감용률에 기초한, 함수율 또는 수율 혹은 감용률의 건조 저발효의 파인애플 경엽체가 형성된다.
S6 공정은, 파인애플 경엽의 함수율, 또는 수율 혹은 감용률이 예정되어 이 함수율, 또는 수율 혹은 감용률에 기초한 건조 상태가 형성되었을때, 출하용으로 포장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형성하고, 포장된 상태로 출하하는 공정이다.
저발효는 발효에 수반하여 고온화하기 때문에 실온에서 충분하지만, 약간 고온화시킨 실내에서 행하여도 된다.
이들 공정은,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또는 예취한 후에 파쇄되어 건조 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어,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 상태로 되고, 수분량이 유지되고, 건조 상태에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하용 포장재에 진공 포장되고, 이 상태를 계속 처리하는 것으로서, 건조 상태로 되어, 소정의 기간에 걸쳐 발효 조건이 설정된다. 미리 발효 조건이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 혼합체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혐기성균 발효 환경하에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예를들면 함수율 15~50%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를 형성한다.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함수율 20~40%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의 형성 방법으로 한다.
파인애플 경엽체를, 진공 포장 상태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실내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건조 상태로 발효시켜 발효를 계속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여, 출하용으로 포장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으로, 출하용 포장재에 포장된,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가 형성된다.
현지에서,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의 사료 형성 방법에 의해, 파인애플 경엽을 원료로 하는 가축 사료가 형성되고, 또는 현지 생산국에서 생산된 원료를 바탕으로 운반시의 시간을 이용하여 가축 사료가 생산되어, 일본이나 다른 국가에 도착하면 곧바로 계약처인 낙농 농가로 향하여 수요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저발효 상태하에서, 발송 출하되는 것이 상정된다.
도 4는 파인애플 사료의 파인애플 경엽이 혼합된 사료의 혼합 비율에 따른 예상 TDN%(일본 표준 사료 성분표)를 나타내는 도이다. x축 방향으로 경단체(莖單體)(추정 TDN 65%)의 혼합 비율, 엽단체(葉單體)(추정 TDN 45%)의 혼합 비율, 혼합후 제품 TDN%를 나타내며, y축 방향으로 혼합율을 나타낸다. 혼합후 제품 TDN%가 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경단체가 0%인 경우에도 제품 TDN%는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볏짚의 TDN%는 37% 전후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영양가가 높은 사료가 제공된다. 줄기와 잎의 비율이 50대 50인 경우, TDN은 55%가 되어 목건초 이상의 영양가를 갖는 사료가 제공된다. 파인애플 잎은 섬유 성분이 많고, 줄기 부분과 혼합됨으로써 섬유 성분이 많고 영양가가 높은 사료가 제공된다. 원재료는 그 줄기 비율이 30~20%로 상정되며, 이 경우에는 혼합후 제품 TDN%가 51~49로 되어, TDN이 높아 매력적인 사료가 제공된다.
도 5는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파인애플 경엽 수확 시스템(60)에서의 파인애플 경엽을 예취 수확하는 공정(S1)에 이용되는 파인애플 경엽의 예취기(61)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취기(61)는, 예취부(64), 파쇄부(62) 및 반송부(63)로 이루어진다. 예취부(64)는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예취날을 구비한다. 예취기(61)는 자주식이며, 여러조의 파인애플 경엽을 동시에 예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취된 파인애플 경엽은 파쇄된다. 파쇄된 파인애플 경엽은 반송부(63)를 구성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고, 반송된 파인애플 경엽체는 트럭(65)에 적재된다.
도 6은 예취시에 또는 예취된 후에 파인애플 경엽을 파쇄하여, 파인애플 경엽체를 형성하는 공정(S2)에 의해 생성된 파인애플 경엽체를 나타낸다.
도 6의 (i)는 미세하게 재단된 파인애플 경엽체를 나타내며, 도 6의 (ii)는 약간 큰 치수로 재단된 파인애플 경엽체를 나타낸다.
파인애플 경엽체는, 미세할수록 발효가 촉진된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클수록 건조 시간이 길어진다.
도 7에 나타낸, 파인애플 경엽체를 건조 장치, 즉 건조 킬른(22)에 넣고 공기관(23)으로부터 도입된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시킨다. 이에 따라,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으로부터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혹은 예취된 후에 파쇄되어, 건조 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 상태로 되어 파인애플 경엽체가 형성된다.
도 8은 건조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를 출하용 포장체(24)에 진공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다. 포장체(24) 대신에 다른 형태로 하여도 된다. 포장재(24)의 표면 혹은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고객이 요구한 발효상태에 대비하여 저발효의 상태를 표시해 두는 것을 추천한다. 이들 정보는 컴퓨터에 입력되어 도면상으로 확인된다.
파인애플 경엽체를, 진공 포장 상태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실내 온도에서 소정의, 예를 들면 일주일 이상의 기간에 걸쳐 파인애플 경엽체가 갖고 있는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상태를 형성하고, 저발효가 계속중인 저발효 상태로 하여, 진공 포장된 건조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로부터,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한, 상기한 설정된 건조 조건에 대응하는 저발효는, 선박으로 운반시에 운반 시간을 고려하여 이루어져도 된다. 파인애플 경엽체가 갖고 있는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발효 상태가, 진공 포장된 출하용의 포장재가 선창에 선적되고 선창에 보관되는 동안에 이루어지는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형성 방법이 된다. 파인애플 경엽체는 창고에 보관되어 발효되어도 된다.
일 예로,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형성이, 현지 생산국에서 생산된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가, 선박내에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가 된다.
파인애플 경엽은 파쇄되면 유산균 등의 발효제를 투입하지 않아도 실온, 실압에서 충분히 발효된다. 유산균 등의 발효제를 투입하면 발효를 계획적으로 행하여 신속하게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효를 위해서는,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로 하여, 충분한 수분이 유지된다. 당분이 많은 파인애플 경엽은, 건조 수분 상태로 혐기성균에 의해 발효된다. 이로 인해, 혐기 상태로 저발효하기까지 혐기 발효를 계속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혐기성균을 가해도 된다.
도 10은 파인애플 사료의 '건조 저발효 사료' 제조에 관한 함수율 및 냄새 평가의 기준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파인애플 사료의 '건조 저발효 사료' 제조에 관한 함수율 및 냄새 평가의 기준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파인애플 건조 저발효될 때에, 건조전 함수율, 건조전 중량 W1, 건조후 중량 W2, 수율(W2/W1), 감용률(1-W2/W1), 함수율 X, 냄새의 상태(사료로서의 적합성 평가), 가격(구입자 부담 비용), 및 사료와의 적정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발효된 상태에서의 데이터가 나타난다. 중량의 내역은, 전형적인 예로서의 파인애플재로서의 고형물량 및 수분량으로 이루어진다. 함수율은, 함수율÷총중량으로 계산하며 %로 표시된다. 전형적으로는, 고형물이 16%이고 수분량이 84%이며, 건조전 함수율은 84%이지만, 고형물이 약간 적은 예도 많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고형물이 15%이고 수분량이 85%이며, 건조전 함수율은 85%가 되는 예를 채용하였다. 이 경우, 완전 건조시켜도 고형분의 15%는 줄지 않는다.
가축이 먹기 편한 정도는 함수율에 관계된 냄새에 의존한다.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구입 가격 평가는 고형물량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닌, 포장재에 담는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통례이지만, 감용률이 낮은 상태의 함수율이 큰 상태는, 총량에 차지하는 영양분 고형물량이 적음을 의미하여, 판매 가격, 즉 구입 가격이 높고, 또한 건조도가 높아지면 총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구입 가격이 낮아지게 되어, 낙농 농가에 환영받지만, 가축이 먹기 편한 정도는 낮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사료 형성에 있어서는, 낙농 농가 측면에서는 감용률이 높은 만큼 환영받지만 가축이 먹기 편한 정도의 상태와 판매 가격 상태가 상반되는 성질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따라,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원가를 낮춤과 아울러 가축이 먹기 편하도록 하는 것은, 판매자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어, 출하용의 포장재에 포장된,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출하 방법은 중요한 점이 된다.
건조 저발효 사료 생성에 있어서의 계산식을 설명한다.
전제 조건으로서,
1) 건조전에는, 원료로서의 생파인애플 상태의 경엽체의 중량 W1이 계측된다.
2) 원료로서의 생파인애플 상태의 경엽체의 함수율이 전술한 85%(0.85)가 되는 예를 채용한다.
a) 원료의 건조후의 중량으로부터 함수율 X를 도출하는 계산식
건조전 함수율 0.85, 건조전 중량 W1, 건조후 중량 W2로 하여,
X=[0.85-(1-W2/W1)]÷(W2/W1)
이 된다. 이 때, 수율은 W2/W1이고 감용률은 (1-W2/W1)로 나타낸다.
따라서,
X=(0.85-감용률)÷수율
이 된다.
예를들면, 100kg의 파인애플 경엽체가 건조되어 20kg이 되는 경우의 함수율 X는,
X=[0.85-(1-20/100)]÷20/100
=(0.85-0.8)÷0.2=0.25
가 되어, 함수율이 25%로 계산된다.
b) 원료의 함수율을 고객이 희망하는 함수율 X 값으로 하기 위해서, 중량을 얼마까지 떨어뜨려야 되는지의 수율 Y를 도출하는 계산식
Y=(1-0.85)÷(1-X)
Y=(1-0.85)÷(1-0.25)=0.2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율을 0.2로 하게된다. 그리고 함용율은 0.8이 된다.
이러한 계산식이 어떤 국면에서 채용될 것인가는, b)식의 경우, 발효의 정도는 함수율의 정도에 영향을 받고,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수율 혹은 감용률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함수율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함으로써 고객이 요구하는 발효의 정도에 맞는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a)식에 대한 것으로서, b)식에 따른 계산에서 제품이 완성된 후에도, 제품이 보존되는 상황, 판매 루트의 상황에 따라 함수율이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임의의 시점, 예를들면 고객에게 제품을 인도할 때 또는 사료 제공시에 최적의 함수율로 하는 것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에는 처리 1부터 처리 24까지 기재되며, 처리 1은 건조가 초기 상태일때 함수량은 75kg이 되고, 함수율은 83%가 된다. 이때, 수율은 0.9이고, 감용률은 0.1(10%)이며, 중량은 90kg가 된다.
이와같은 처리 1 ~ 처리 24가 도 10에 나타난다.
다음으로, 사료로서의 적합성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료로서의 적합성은 사료 적합성 항목으로서 냄새의 상태가 판정된다.
처리 1에서는 발효취(臭)가 없다.
처리 2 ~ 처리 9의 범위에서는, 처리된 파인애플 경엽은 발효되지만, 함수율이 높은것에 기인하여 부패하는 것 같은 냄새가 섞인 것으로 된다. 이러한 냄새가 나면 가축이 좋아하지 않게 된다. 사료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된다.
처리 10 ~ 처리 12에서는, 발효취에 섞인 화학약품 같은 냄새가 난다. 이 냄새가 나면 역시 가축이 좋아하지 않는다.
이들 처리예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수율은 0.83 ~ 0.55의 범위에 있으며, 수율은 0.9 ~ 0.333이며, 감용률은 0.1 ~ 0.667 범위에 있다.
처리 13 이하가 채용된다.
처리 22 이하의 범위에서는, 처리된 파인애플 경엽은, 함수율이 낮아, 건조 상태가 완전 건조 상태에 가깝게 되어 물질, 즉 파인애플 경엽 자체의 냄새가 혼재된다. 처리 24에서는 생성된 사료는 함수율이 0%이어서 숯 상태를 띠게된다. 이러한 처리로 생성된 사료는, 단독으로는 수분이 없어 가축이 좋아하지 않지만, 처리 13 ~ 21에서 생성된 사료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생성된 사료의 건조도가 사료로서 높다고 판단될 때는 수분이 첨가되어 제공되어도 된다.
이러한 처리에서는, 함수율은 0.1 ~ 0 범위에 있으며, 수율은 0.167 ~ 0.15이며, 감용률은 0.833 ~ 0.85 범위에 있다. 한편 함수율 0%로 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처리 13 ~ 처리 21의 범위에서는, 처리된 파인애플 경엽은, 발효에 기초한 가축이 좋아하는 달콤한 냄새가 난다. 이러한 냄새가 나면 가축이 좋아하게 된다. 사료로서는 적합하게 된다. 이들 처리에서는, 제조 비용이 낮게 되어, 판매 가격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처리 1 ~ 처리 12와 같이 감용률이 낮으면 낙농 농가의 구입 부담이 증가하여 환영받지 못한다. 또한 감용률을 높게하면 낙농 농가의 구입 부담이 줄어 환영받지만, 가공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처리 13 ~ 21, 특히 처리 15 ~ 처리 19가 사료로서 적합한 범위가 된다.
이들 처리예에서는, 함수율은 0.5 ~ 0.15 범위에 있으며, 수율은 0.3 ~ 0. 1764, 감용률은 0.7 ~ 0.824 범위에 있다.
특히 처리 15 ~ 처리 19는 실제로 가축에 사료를 공급하여 관찰한 바에 따르면, 사료로서 가장 적합한 범위에 있다. 그때의 이들 처리에 의하면, 함수율은 0.4 ~ 0.2 범위에 있으며, 수율은 0.25 ~ 0.187이며, 감용률은 0.75 ~ 0.813 범위에 있다.
설정된 발효 조건에 대응하여 건조 상태로 된 해당 파인애플 경엽체를, 혐기성균 발효 환경하에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실내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발효시켜 형성한 함유율 15 ~ 50%의 저발효 상태로 하여, 수납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범위에 있는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에 대한 구입자 부담 비용에 대하여 검증하여 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유율 20 ~ 40%의 저발효 상태는 저비용 범위에 있다. 이러한 점에서도 함유율 20 ~ 40%의 저발효 상태는 사료로서 적합성 범위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은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여 저발효 상태 범위내에서 변동, 조정된다. 수분량을 유지할 수 있는 출하용 포장재에 진공 포장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저발효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발효 처리한 건조 저발효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그 형태 그대로 집하할 수 있음으로 인해, 성능을 유지하여 비용을 삭감하게 된다.
형성된 사료는, 별도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다른 동물 사료와 혼합하여도 된다. 파인애플 경엽 파쇄입체(粒體)는, 장기간 자연 혐기 상태로 두어, 저발효하여 가축이 좋아하는 '달콤한' 냄새가 나게된다. 이러한 냄새는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를 본 실시예에서는, 파인애플 경엽체의 건조 저발효 상태의 혐기 발효취를 유지하여 별도의 다른 가공을 추가하지 않고 가축에 제공 가능한 상태라고 칭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파인애플 경엽의 감용률이 미리 정해져 이 함수율, 수율, 감용률에 기초한 건조 상태가 형성되고, 소정의 기간에 걸쳐 건조 상태로 된 해당 파인애플 경엽체를 진공 포장 상태로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실내 온도에서 파인애플 경엽체 자체가 갖고 있는 혐기균에 의해, 또는 혐기성을 띠는 발효제의 투입에 의해 혐기성 발효시켜, 저발효 상태로 하고,
출하용으로 포장된 저발효된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를 형성하고, 포장된 상태로 출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출하용 포장재에 포장된,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의 출하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진공 포장 상태가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의 발효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내용물로부터, 설정된 발효 조건에 대응하여 건조상태로 된 해당 파인애플 경엽체를 발효에 의해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의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발효 상태에 대응하여 '달콤한' 냄새를 발생하는 가축 사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의 막대한 파인애플 경엽량에 걸맞는 가축용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파인애플 경엽이 당분, 섬유 성분을 많이 포함하며, 발효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가축이 좋아하는 사료가 되고, 또한 낙농 농가 등의 구입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사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24 : 포장체(파인애플 사료) 60 : 파인애플 경엽 수확 시스템
61 : 예취기 62 : 파쇄부
63 : 반송부 64 : 예취부
65 : 트럭

Claims (9)

  1.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에서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또는 예취된 후에 파쇄되어 파인애플 경엽체가 되고,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상태로 되고, 수분량이 유지되고, 건조 상태에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에 혐기성균 발효 환경하에서 수납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발효 처리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인애플 엽체(葉體), 경체(莖體)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함수율 15~5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20~4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하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저발효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함수율 15~50%가, 수율 0.176~0.3 또는 감용률 0.824~0.7로 치환되고, 또는 함수율 20~40%가, 수율 0.187~0.25 또는 감용률 0.813~0.75로 치환되어, 시각 인식 가능한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인애플 경엽체가, 선적되고, 선적되어 보관되는 동안에 저발효 상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고, 포장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7. 건조 상태로 된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수분량이 유지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하에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의 원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잎, 줄기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를 원료로 하여 형성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8. 건조 상태로 된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가, 수분량이 유지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15~50% 또는 20~40%로 발효시켜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인애플 경엽 중 어느 하나를 원료로 하여 형성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9. 파인애플 밭에서 육성된 파인애플 경엽에서 파인애플 열매를 수확한 후에 수확한 파인애플 경엽이, 예취시에 또는 예취된 후에 파쇄되어 파인애플 경엽체가 되고,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건조되고, 수분이 함유된 상태의 건조상태로 되고, 수분량이 유지되고, 건조 상태에서,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하용 포장재에 진공 포장되고, 이 상태를 계속하여 발효 처리, 출하 처리되는 것으로서,
    건조 상태로 된 상기 파인애플 엽체, 경체 및 이들의 혼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수분량을 유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혐기성균에 의한 혐기성 발효 환경 하에서, 함수율 15~50% 또는 20~40%로 발효시켜 가축이 좋아하는 냄새를 발생하는 건조 저발효 상태를 거쳐 가축 또는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냄새가 잔류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출하용으로 포장된 저발효시킨 건조 저발효 상태의 파인애플 경엽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를 형성하여, 포장된 상태로 출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하용 포장재에 포장된 파인애플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출하방법.
KR1020177031514A 2015-04-30 2016-01-27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KR101852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93108 2015-04-30
JP2015093108A JP5860987B1 (ja) 2015-04-30 2015-04-30 パインアップル葉茎破砕体飼料あるいはペットフードの原料の形成方法、およびパインアップル葉茎破砕体飼料あるいはペットフードの原料
PCT/JP2016/052333 WO2016174886A1 (ja) 2015-04-30 2016-01-27 パインアップル葉茎破砕体飼料あるいはペットフードの原料の形成方法、およびパインアップル葉茎破砕体飼料あるいはペットフードの原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07A true KR20170126007A (ko) 2017-11-15
KR101852086B1 KR101852086B1 (ko) 2018-04-25

Family

ID=5530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514A KR101852086B1 (ko) 2015-04-30 2016-01-27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70280746A1 (ko)
JP (1) JP5860987B1 (ko)
KR (1) KR101852086B1 (ko)
CN (1) CN107205434A (ko)
BR (1) BR112017023401A2 (ko)
CR (1) CR20170493A (ko)
MX (1) MX2017013766A (ko)
MY (1) MY166440A (ko)
PH (1) PH12017501107B1 (ko)
TW (1) TWI593355B (ko)
WO (1) WO2016174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3085B1 (ja) * 2016-10-18 2017-03-08 千秋 櫛田 きのこ類菌床培地、きのこ類菌床培地の製造方法、並びにきのこ類栽培方法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4428A (en) * 1966-11-08 1971-06-15 David C Falk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ilage and the like
JPS5424781A (en) * 1977-07-22 1979-02-24 Takasago Thermal Engineering Hay treating method
JP2537692B2 (ja) * 1990-04-16 1996-09-25 松壽 森島 甲虫類の飼料
JPH0937721A (ja) * 1995-07-10 1997-02-10 Taiwan Toan Kufen Yoshenkonsu 動物用飼料及び動物を飼育する方法
JP2003102394A (ja) * 2001-09-29 2003-04-08 Kondo Eiichi Shoten:Kk 肉牛の食味向上方法および肉牛
KR100416157B1 (ko) * 2001-12-29 2004-01-24 권칠성 파인애플박을 함유한 옥수수 사일리지와 그 제조방법
JP2004215516A (ja) * 2003-01-09 2004-08-05 Kinren So サトウキビかす、酒粕、ビールかすによるサイレージの製造方法
US20100124583A1 (en) * 2008-04-30 2010-05-20 Xyleco, Inc. Processing biomass
CN101171953A (zh) * 2006-11-03 2008-05-07 广东省农业科学院农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农业废弃物转化为生物饲料的制备方法
CN101595940A (zh) * 2008-06-05 2009-12-09 广东海洋大学 菠萝皮发酵生产饲料蛋白方法
CN101884364A (zh) * 2009-05-14 2010-11-17 薛晓宁 一种菠萝皮渣压型打包发酵饲料及其加工方法
CN101828630A (zh) * 2009-05-14 2010-09-15 广东海洋大学 一种菠萝茎叶压型发酵饲料及其加工方法
CN102150746B (zh) * 2010-12-28 2013-12-18 广东海洋大学 一种菠萝渣打包发酵饲料及节能加工方法
CN102326672A (zh) * 2011-09-09 2012-01-25 薛晓宁 一种利用菠萝皮的发酵饲料蛋白及其加工方法
CN102318736B (zh) * 2011-09-29 2014-06-11 广东海洋大学 一种发酵饲料蛋白及其加工方法
CN102406056B (zh) * 2011-10-13 2013-03-13 东莞市银华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菠萝汁发酵豆粕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3226073A (ja) * 2012-04-25 2013-11-07 Kondo Eiichi Shoten:Kk 肉豚の肉質改善方法および肉豚用飼料
US20140178944A1 (en) * 2012-06-29 2014-06-26 Sweetwater Energy, Inc. Preservation of Biomass for Pretreatment
CN103027188A (zh) * 2013-01-16 2013-04-10 合浦果香园食品有限公司 一种菠萝皮、渣的深加工方法
CN104544111B (zh) * 2014-05-22 2016-08-24 林坤华 一种菠萝皮的再利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08870A (ja) 2016-12-15
JP5860987B1 (ja) 2016-02-16
CR20170493A (es) 2018-01-23
MY166440A (en) 2018-06-27
TW201632080A (zh) 2016-09-16
BR112017023401A2 (pt) 2018-07-17
CN107205434A (zh) 2017-09-26
US20170280746A1 (en) 2017-10-05
MX2017013766A (es) 2018-03-27
PH12017501107A1 (en) 2017-11-27
PH12017501107B1 (en) 2017-11-27
KR101852086B1 (ko) 2018-04-25
WO2016174886A1 (ja) 2016-11-03
TWI593355B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47228B2 (en) Nutrient rich compositions
Birhan et al. Livestock feed resources assessment, constrain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in Ethiopia
US20220174987A1 (en) Palm-based animal feed
Adjapong et al. Maize residue as a viable substrate for farm sca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KR101852086B1 (ko)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의 형성 방법 및 파인애플 경엽 파쇄체 사료 또는 펫푸드 원료
KR100330789B1 (ko) 정제형 부산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JP5819018B1 (ja) パインアップル葉茎破砕体肥料の形成方法
Pandey et al. Utilisation and management of agriculture and food processing waste
EP3622825B1 (en) Method for producing feed from secondary resources from the rice processing industry
KR20160147335A (ko) 콩 가공식품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는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20110090850A (ko) 브로콜리채소부산물조사료와 이의 제조방법
JP2010142218A (ja) 主に食品有機廃棄物を利用した畜産・養鶏飼料
US10980253B2 (en)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pellet or flake production
Marinchenko Resource-saving technologies for preparing fodder crops
Kuchin et al. Economic and energy efficiency of forage grain conservation
Toor et al. Solutions for managing tomato culls in Florida tomato packinghouses
Horchanok et al. Efficiency of using of the organic mineral mixed ligand cu in the pig feeding
Algeri et al. Growth and production of tomato fertilized with poultry litter and swine wastewater
Weinberg Biotechnology in developing countries: opportunities in solid state fermentation applied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CN107821779A (zh) 复合饲料糠
Boyette et al. On Farm Drying of Sweetpotato Chips
JP2011188850A (ja) 食品廃棄物を原料とする家畜用飼料の製造方法
KR20000000218A (ko) 정제형 부산물 비료 및 그 제조방법
Adjapong et al. Research Article Maize Residue as a Viable Substrate for Farm Scal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djapong et al. Maize Residue as a Viable Substrate for Farm Scale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