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637A - 배추 분류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배추 분류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637A
KR20170125637A KR1020160055716A KR20160055716A KR20170125637A KR 20170125637 A KR20170125637 A KR 20170125637A KR 1020160055716 A KR1020160055716 A KR 1020160055716A KR 20160055716 A KR20160055716 A KR 20160055716A KR 20170125637 A KR20170125637 A KR 2017012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unit
main
cabbage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236B1 (ko
Inventor
임현혁
Original Assignee
(주)김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김치라인 filed Critical (주)김치라인
Priority to KR102016005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3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2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conveyed and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6Orientation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는 공급되는 배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메인 이송부 및 상기 메인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이송되는 상기 배추를 상기 메인 이송부와 교차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추 분류 적재장치{Chinese Cabbage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배추 분류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장 시 대량으로 소비되는 배추 또는 절임 배추 등을 최소의 인원으로 용이하게 일정량씩 적재함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채소류를 주원료로 하는 한국 고유의 발효식품으로서 그 독특한 맛과 건강에 대한 많은 유익성이 실증되고 알려짐으로써 세계 여러 나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김치를 체계적이고 위생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배추를 대량으로 절이거나, 절여진 배추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이 필요로 하고,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는 많은 작업자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배추 운반에 투입되는 인력에 비례하여 배추의 운반 가격이 상승하고, 많은 양의 배추를 신속하게 운반하기 어려워 배추의 운반 및 절임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503480호 (2015.03.11.) 등록특허 제10-0924973호 (2009.10.28.)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장 시 대량으로 소비되는 배추 또는 절임 배추 등을 최소의 인원으로 용이하게 일정량씩 적재함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배추 분류 적재장치는 공급되는 배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메인 이송부 및 상기 메인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이송되는 상기 배추를 상기 메인 이송부와 교차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인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배추를 이송시키는 메인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이송부는, 상기 메인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메인 이송부와 직교한 상태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배추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 이송부는,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추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배추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추의 이송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종단이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 역회전시켜 상기 방향 전환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4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방향 전환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상기 삽입홈의 경로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방향 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배추를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이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송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이송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추 분류 적재장치는 상기 메인 이송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 이송부를 상기 메인 이송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추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내부 일측에는 내부에 적재된 상기 배추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추 분류 적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많은 양의 배추 또는 절임 배추를 최소의 인원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조 이송부에 구비되는 이탈부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적재함의 일측에만 배추가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적재함에 고르게 배추가 적재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적재함에 적정량의 배추가 적재되면 적재함 내부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신호 발생에 의해 관리자가 수동으로 적재위치를 변경하거나, 센서와 연동되어 보조 이송부가 자동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다른 적재함에 배추를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많은 양의 배추 또는 절임 배추를 신속하게 분류 적재함에 따라 운반 시간을 감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양의 배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보조 이송부가 메인 이송부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이송부에 포함된 몸체부 및 방향 전환부의 분해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 이송부(100), 보조 이송부(200) 및 적재함(300)으로 구성된다.
메인 이송부(100)는 배추를 이송하는 메인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배추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갖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메인 이송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 프레임(110), 메인 컨베이어벨트(120) 및 제1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된다.
메인 프레임(110)은 배추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배추의 이송경로를 제공하고, 메인 컨베이어벨트(120) 및 이송되는 배추를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110)은 배추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갖도록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컨베이어벨트(120)가 구비되는 일측의 양측면에 보조 이송부(200)의 이송경로를 가이드 및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30)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30)은 후술하는 보조 이송부(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롤러(211)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메인 컨베이어벨트(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에 메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된다. 메인 컨베이어벨트(120)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구동부는 메인 프레임(110) 또는 메인 컨베이어벨트(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컨베이어벨트(12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1구동부는 정, 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제1구동부를 모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양태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메인 이송부(100)를 컨베이어벨트를 사용하는 이송장치로 설명하고 있지만, 배추를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보조 이송부(200)는 메인 이송부(100)를 따라 이송되는 배추의 이송경로를 변경하여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의 이송경로를 적재함(300) 방향으로 변경하여 배추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보조 이송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210), 보조 프레임(220), 보조 컨베이어벨트(230), 제2구동부 및 방향 전환부(24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이송부에 포함된 몸체부 및 방향 전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몸체부(210)는 메인 이송부(100)에 안착되어, 메인 이송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장치이다.
몸체부(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폐쇄된 육면체 형상의 골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10)의 하부 일측에는 몸체부(210)가 메인 이송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레일(130)에 안착되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롤러(211)가 설치되어 있다.
몸체부(210)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또는 롤러(21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모터 등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몸체부(2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몸체부(210)가 메인 이송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동할 수도 있다.
한편 리니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 등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리모컨(도시하지 않음) 조작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20)은 메인 이송부(100)을 따라 이송되던 배추가 후술하는 방향 전환부(240)에 의해 이송 경로가 변경된 후 적재함(30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메인 이송부(100)에서 분기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보조 프레임(220)은 메인 이송부(100)의 길이 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을 갖도록 몸체부(210)의 일측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레임(110)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보조 프레임(220)이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양태 및 배추 분류 적재장치(10)의 설치장소 등에 따라 어느 일방으로만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20)의 길이는 적재함(300)의 크기 및 설치장소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조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보조 이송부(200)를 따라 이송되는 배추를 적재함(300)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배추를 낙하시키기 위한 이탈부(250)가 배치되어 있다.
이탈부(250)는 보조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과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경사면을 따라 배추가 낙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탈부(250)는 배추가 적재함(300)의 일측에만 적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보조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설치 홈이 구비되고, 이탈부(250)는 막대 또는 격벽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 일측에 복수의 설치 홈과 대응되는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탈부(250)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보조 프레임(220)의 일단, 바람직하게는 메인 이송부(100)와 대향되는 타측 종단에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구비되는 막대 또는 격벽 형상의 이탈부(250)가 결합되어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이탈부(25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자동으로 이탈부(250)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는 보조 프레임(220)의 상면에 보조 프레임(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된다. 보조 컨베이어벨트(230)의 구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과 연결될 수 있다. 리모컨 조작으로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는 동작할 수 있다.
제2구동부는 메인 프레임(110) 또는 컨베이어벨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제2구동부는 정, 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제2구동부를 모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양태에 따라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방향 전환부(240)는 몸체부(2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10)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를 어느 하나의 보조 이송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배추의 이송방향을 전환 시키는 장치이다.
방향 전환부(240)는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가 보조 이송부(2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전환부(24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향 전환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241), 고정판(242), 풀리(243),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241)은 방향 전환부(240)가 회전하여 배추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 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회전축(241)은 몸체부(210)의 중심 일측, 바람직하게는 메인 이송부(100)의 폭 방향 중심부와 대응되는 몸체부(210)의 중심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판(242)은 중심 일측이 회전축(241)과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고정판(242)은 길이 방향을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중심 일측이 회전축(241)과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좋다. 즉, 회전축(24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241)의 회전각도와 동일하게 회전 가능한 평판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한 쌍의 풀리(243)는 고정판(242)의 양측 종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는 한 쌍의 풀리(243)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던 배추가 접촉하는 경우, 전환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배추의 방향 전환 시 막힘 현상 없이 배추가 용이하게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때,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가 풀리(24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풀리(243)를 기준으로 고정판(242)과 대응되는 보조 고정판(242)(2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향 전환부(240)는 메인 이송부(100)의 동력을 접촉하는 배추를 통해 전달받아 풀리(243)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가 회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 배추가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와 밀착되어 배추가 손상되거나, 밀림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풀리(2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에는 풀리(243)를 회전시켜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를 구동시키는 제3구동부(24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구동부(246)는 배추의 방향 전환에 따라 풀리(243) 및 컨베이어벨트의 구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 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제3구동부(246)는 유선 또는 무선을 방식으로 연결된 리모컨 조작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예로, 제3구동부(246)는 메인 이송부(100)의 배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보조 이송부(200)로 배추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풀리(243)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반대로, 메인 이송부(100)의 배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보조 이송부(200)로 배추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풀리(243) 및 방향전화 컨베이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향 전환부(240)는 제3구동부(246)와 같이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가 해당 전환 방향으로 구동하여 배추를 용이하게 방향 전환부(240)가 메인 이송부(100)의 진행방향과 수직하게 구비되어도 해당 보조 이송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보다 용이하게 배추를 해당 보조 이송부(200)로 전달하기 위하여 방향 제어부는 메인 이송부(100)의 배추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즉,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를 메인 이송부(100)의 우측에 위치한 보조 이송부(200)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이송되는 배추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방향 전환부(240)의 좌측 풀리(243)가 우측 풀리(243)보다 근거리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처럼, 방향 전환부(240)는 배추의 진행 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경사각도를 제어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수동으로 방향 전환부(2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일실시예로 몸체부(210)에 관통공(212), 방향 전환부(240)의 고정판(242)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47) 및 관통공(212)을 관통하여 삽입홈(247)에 삽입되는 고정핀(248)의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판(242)의 일단에는 삽입홈(247)이 형성되고, 몸체부(210)의 상면 일측에는 고정판(242)의 회전 경로에 따른 삽입홈(247)의 경로와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추가 좌측 보조 이송부(200) 및 우측 보조 이송부(200)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를 고정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관통공(212)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사용자는 좌측 보조 이송부(200) 또는 우측 보조 이송부(200) 중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각도로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를 조절한 후 몸체부(210)의 관통공(212)을 관통하여 고정판(242)의 삽입홈(247)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핀(248)을 삽입함으로써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경우에는 회전축(241)에 결합되어 회전축(241)을 회전시켜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4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4구동부는 정, 역 회전 가능한 스텝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4구동부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된 리모컨 조작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부(240)의 회전 시 흔들림을 억제하고,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몸체부(210)의 상면에는 호 형상의 관통공(213)이 형성되고, 고정판(242)의 일측에는 호 형상의 관통공(213)에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24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적재함(300)은 메인 이송부(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송부(1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러한 적재함(300)은 배추의 적재량, 설치 환경 등에 따라 그 크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개수 역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적재함(300)의 일측에는 배추의 적재 무게 또는 적재량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무게 센서 등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가 구비됨에 따라 설정된 무게의 배추가 적재되면 음향 신호 등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적재함(300)의 적재완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동으로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 및 방향 전환부(240)의 회전각도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적재함(300)에 구비된 센서의 신호에 따라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 및 방향 전환부(240)의 회전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동으로 전환되어 적재가 완료된 적재함(300) 외에 다른 적재함(300)에 연속적으로 배추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를 위해서는 적재함(300)의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 배추 분류 적재장치(10)의 복수의 구동부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동부들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로 각 구동부는 동작할 수 있다. 리모컨 또한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리모컨 조작 시 제어부를 통해 선택된 구동부는 동작할 수 있다.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사용양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분류 적재장치의 사용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추 분류 적재장치(10)의 사용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송부(100)의 메인 컨베이어벨트(120)에 배추를 연속적으로 올려 놓으면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은 메인 컨베이어벨트(120)가 구동하며 배추를 일방향으로 이송한다.
보조 이송부(200)는 적재하고자 하는 하나의 적재함(300)에 배추가 적재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일실시예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 위치에 적재함(300)에 배추를 적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 이송부(200)는 그 위치를 해당 적재함(300)의 중심에 보조 컨베이어벨트(230)가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방향 전환부(240)는 우측의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로 배추의 진행방향을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 및 풀리(243)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3구동부(246)가 구동하고 있다.
메인 컨베이어벨트(120)를 따라 이송되는 배추는 방향 전환부(240)의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와 접촉하면 메인 이송부(100)의 이송력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력에 의해 우측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이처럼 우측으로 방향이 전환된 배추는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를 따라 이송하게 된다.
이후, 보조 컨베이어벨트(230)를 따라 이송하는 배추는 이탈부(250)와 접촉하게 되면 이탈부(250)의 경사 각도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벨트(230)의 외부로 이탈하여 적재함(300)으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때, 적재함(300)의 일측에 일정량의 배추가 적재되는 경우, 이탈부(250)의 위치를 조정하여 배추의 낙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적재함(300)의 일측에만 배추가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부(250)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적재함(300) 내부에 적정량의 배추가 적재되었다고 사용자가 판단하거나, 적재함(30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적재가 완료된 적재함(300) 외의 다른 적재함(300)에 배추를 적재할 수 있다.
만약,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적재함(300)에 배추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는 고정시킨 상태로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방향만 변경해주면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 적재함(300)에 적재된다. 이때,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변환 시 가이드 돌기(249)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호 형상의 관통공(213)에 삽입되어 호 형상의 관통공(213)을 따라 회전하며 각도가 변환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변화가 가능하다.
만약,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상부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적재함(300)에 배추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방향은 유지한 상태로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를 변경하면 메인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배추는 우측 상단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적재함(300)에 적재된다. 이때,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메인 이송부(100)의 일측에 메인 이송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가이드 레일(130) 상에 안착된 보조 이송부(200)의 롤러(211)가 가이드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상부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적재함(300)에 배추를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방향을 변경하는 동시에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 역시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방향 등의 변화를 통해 배추를 복수의 적재함(300)에 선택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이송부(200)의 위치, 방향 전환부(240)의 각도 및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244)의 회전방향 등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추 분류 적재장치 100: 메인 이송부
110: 메인 프레임 120: 메인 컨베이어벨트
130: 가이드 레일 200: 보조 이송부
210: 몸체부 211: 롤러
212: 관통공 213: 호 형상의 관통공
220: 보조 프레임 230: 보조 컨베이어벨트
240: 방향 전환부 241: 회전축
242: 고정판 243: 풀리
244: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 245: 보조 고정판
246: 제3구동부 247: 삽입홈
248: 고정핀 249: 가이드 돌기
250: 이탈부 300: 적재함

Claims (13)

  1. 공급되는 배추를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메인 이송부 및
    상기 메인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이송되는 상기 배추를 상기 메인 이송부와 교차된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보조 이송부
    를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메인 이송부는,
    길이 방향을 갖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배추를 이송시키는 메인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이송부는,
    상기 메인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몸체부,
    상기 메인 이송부와 직교한 상태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배추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2구동부
    를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보조 이송부는,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송되는 상기 배추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배추를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추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종단이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
    를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한 쌍의 풀리 중 어느 하나의 풀리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기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정, 역회전시켜 상기 방향 전환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제4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고정판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
    상기 방향 전환부의 회전 방향에 따른 상기 삽입홈의 경로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방향 전환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을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9. 제3항에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배추를 상기 보조 컨베이어벨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탈부가 더 구비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메인 이송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조 이송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 이송부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할 수 있는 롤러가 구비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메인 이송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 이송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 이송부를 상기 메인 이송부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추가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함을 더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적재함의 내부 일측에는 내부에 적재된 상기 배추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배추 분류 적재장치.
KR1020160055716A 2016-05-04 2016-05-04 배추 분류 적재장치 KR10185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16A KR101857236B1 (ko) 2016-05-04 2016-05-04 배추 분류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16A KR101857236B1 (ko) 2016-05-04 2016-05-04 배추 분류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37A true KR20170125637A (ko) 2017-11-15
KR101857236B1 KR101857236B1 (ko) 2018-05-15

Family

ID=6038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716A KR101857236B1 (ko) 2016-05-04 2016-05-04 배추 분류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165A (zh) * 2018-12-22 2019-03-01 湖南天下洞庭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的输送线转换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359B1 (ko) * 2021-08-13 2022-03-30 장광양 푸싱컨베이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375B1 (ko) * 2009-02-24 2009-07-06 유신환경 유한회사 순환골재용 이동식 다방향 분배장치
KR101503480B1 (ko) * 2013-09-11 2015-03-24 주식회사 대하엔텍 배추 절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9165A (zh) * 2018-12-22 2019-03-01 湖南天下洞庭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的输送线转换系统
CN109399165B (zh) * 2018-12-22 2024-03-19 湖南宏碧园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的输送线转换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36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US20170275105A1 (en) Stacked tilt tray and cross-belt sorting system
KR20150131739A (ko) 물류이송 콘베이어용 디버터
WO2012004936A1 (ja) 板状部材移載設備
KR101857236B1 (ko) 배추 분류 적재장치
KR100754831B1 (ko) 인쇄회로기판 반전장치
TW201311536A (zh) 流動板迴圈機構
JP2010189094A (ja) 搬送物品の一時保管装置
JP4568227B2 (ja) ラック搬送装置
KR101541691B1 (ko) 자동 분류기용 틸팅 장치
CN107808846B (zh) 容器收纳设备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US20060237285A1 (en) Diverter for a conveyor
JP4781712B2 (ja) 物流用棚装置
US2423691A (en) Stacking device
JPWO2020095570A1 (ja) 天井搬送車
JP2007097863A (ja) 回転飲食台における巡回路短絡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11021334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CN211520596U (zh) 仓储装置
JP5148185B2 (ja) 物品の仕分装置
CN214298013U (zh) 双向翻转分拣机及物流分拣装置
JPH09140319A (ja) オーブンにおける焼成トレーの搬送方法及びオーブン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JP3488832B2 (ja) 飲食物搬送装置
JP6579199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