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480B1 - 배추 절임장치 - Google Patents

배추 절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480B1
KR101503480B1 KR1020130108858A KR20130108858A KR101503480B1 KR 101503480 B1 KR101503480 B1 KR 101503480B1 KR 1020130108858 A KR1020130108858 A KR 1020130108858A KR 20130108858 A KR20130108858 A KR 20130108858A KR 101503480 B1 KR101503480 B1 KR 10150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ling
cabbage
picking
tanks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하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하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하엔텍
Priority to KR102013010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제조공장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용량 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절임장치는 적절한 염분농도의 절임수가 저장되고, 세척이 완료되어 절임을 위한 배추들의 저장공간과, 저면 일 측에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절임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로써, 절임탱크들을 양 측으로 직렬 배치하여 2개1조로 이룬 절임유닛들을 적어도 1열 이상 병렬로 배치한 것과, 절임유닛들 중앙에서 교차방향으로 통과하며 세척이 완료된 배추들을 절임유닛들 각각으로 공급시키게 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와 각 절임유닛들 사이에는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받아 양 절임탱크들 중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배추공급 전환수단과, 절임유닛의 각 절임탱크 상면 중앙에는 이송컨베이어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추공급 전환수단으로부터 받은 배추를 절임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운반컨베이어 및 운반컨베이어 상에는 운반컨베이어와 병행하게 설치되는 레일을 타고 절임탱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들을 절임탱크의 임의 위치에서 낙하시키게 하는 투입기를 갖추어서, 절임할 다량의 배추들을 일련의 기구적이고 자동적으로 투입되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배추들을 고루 분배해 균일하게 적재하여 절임효과가 우수하고 따라 김치 맛을 더욱 높이게 된다.

Description

배추 절임장치{Device for pickling korean cabbage}
본 발명은 김치 제조공장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절임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절임할 다량의 배추들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투입되도록한 배추 절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의 제조에서 주 재료인 배추의 절임공정은 고장액에 담겨진 식물세포의 삼투작용에 의하여 배추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의 추출 효과와동시, 배추 조직으로부터 미생물의 영양원이 되는 각종 물질이 유출되며 조직에 불활성 형태로 결합되어 존재하는 각종 효소가 이탈되어 활성 형태로 전환되어 전분질과 단백질 등 각종 고분자 물질이 분해 되어 젖산균의 번식환경이 조성되게 되며, 그리고 배추 조직에 적절한 염분농도의 염분 공급과 배추의 줄기 부분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가공성을 높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한 배추의 절임은 대략 건식 또는 습식방식으로서, 건식의 경우는 배추의 속에 직접 소금을 살포시키고, 습식의 경우에서는 소정 염도의 소금물에 배추를 일정시간 동안 담구어 두어서 절임이 적정한 정도로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식 또는 습식의 배추 절임에서 김치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김치 공장에서는 주로 습식절임을 이용하고 있는데, 그러한 배추의 습식절임은 적정 염도의 소금물이 소정량 저장되는 수개의 절임탱크들을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절임탱크들을 이용한 배추의 습식 절임과정을 보면, 소정 깊이를 가지고 제공되는 대형의 절임탱크 내에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배추들을 바닥으로부터 평면적으로 고루 펼치어 순차적으로 겹겹이 적재하게 된다. 이때 절임탱크 내에 배추들의 투입은 별도의 작업자가 수공적으로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수공적인 배추의 투입은 세척과 일부 탈수되어 공급되는 배추들을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올려 소정의 깊이를 갖는 절임조내에 투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일부 탈수된 배추들은 중량물로 작업자의 많은 수공이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자의 수공적인 배추의 투입은 절임탱크 내에 고루 펼쳐져 정렬되지 못하고 어느 일 측으로 편중되거나 불규칙하게 들쑥날쑥 배열되고 있으며, 이렇게 고루지 정렬되지 못한 배추들은 염분농도가 불균일해지고, 또 이러한 불균일한 염분농도는 김치의 맛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서의 수공적인 배추 투입은 작업자의 많은 수공과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1차 정선이 완료되어 공급되는 배추들을 이송컨베이어를 이용해 받아 배추 공급전환수단 및 투입기를 이용해 절임탱크들 내에 일련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고루 분배되어 적재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이고 작업을 향상시키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배추의 절임을 균일하게 이루어 김치 맛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배추 절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김치 제조공장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용량 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절임장치는 적절한 염분농도의 절임수가 저장되고, 세척이 완료되어 절임을 위한 배추들의 저장공간과, 저면 일 측에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절임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로써, 절임탱크들을 양 측으로 직렬 배치하여 2개1조로 이룬 절임유닛들을 적어도 1열 이상 병렬로 배치한 것과, 절임유닛들 중앙에서 교차방향으로 통과하며 세척이 완료된 배추들을 절임유닛들 각각으로 공급시키게 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와 각 절임유닛들 사이에는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받아 양 절임탱크들 중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배추공급 전환수단과, 절임유닛의 각 절임탱크 상면 중앙에는 이송컨베이어와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추공급 전환수단으로부터 받은 배추를 절임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운반컨베이어 및 운반컨베이어 상에는 운반컨베이어와 병행하게 설치되는 레일을 타고 절임탱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운반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들을 절임탱크의 임의 위치에서 낙하시키게 하는 투입기를 갖추어서, 절임할 다량의 배추들을 일련의 기구적이고 자동적으로 투입되게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배추들을 고루 적재하여 균일한 절임효과로 김치의 맛을 더욱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추 절임장치에 의하면, 절임을 위한 배추들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인 유입 및 투입공정으로 절임탱크에 고루 분배되어 투입되게 함으로써, 배추의 절임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절임이 균일하여 배추맛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배추 절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배추 절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배추 절임장치에 적용되는 배추 투입기의 투입대차를 발췌하여 보여 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추 절임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김치 제조공장 등 대량생산이 요구되는 배추 제조시설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절임탱크들을 이용하여 다량의 배추들을 일시 절임하는 장치로서, 절임할 다량의 배추들을 일련의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투입되도록한 배추 절임장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적절한 염분농도의 소금물이 저장되고, 1차 정선이 완료되어 절임을 요하는 배추들의 저장공간을 갖는 상면이 개구된 절임탱크(10)을 이용하여 소기의 배추절임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절임탱크(10)의 저면 일 측에는 절임공정 완료 후 소금물을 배출해내는 배수관(12)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상기에서와 같은 절임탱크(10)를 좌ㆍ우 양 측으로 직렬 배치하여 2개1조로 이룬 절임유닛들(100)을 적어도 1열 이상 병렬로 배치하고, 이들 절임유닛들(100)의 중앙부에서 교차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00)를 이용해 세척이 완료되어 절임할 배추들을 이송시키면서, 이후에 설명할 이동형으로 이루는 투입장치들을 이용해 양 절임탱크들(10)에 선택적이고 기계적이며 자동적으로 투입되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절임유닛들(100)과 이송컨베이어(200)의 사이에서 이송컨베이어(200)를 따라 병행하게 절임탱크들(10) 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을 타고 자유로이 이동하는 투입기(300)를 구비하여 이송컨베이어(200)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받아 절임유닛(100)의 양 절임탱크들(10) 중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투입시키게 된다. 이때 투입기(300)는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구동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투입기(30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이송컨베이어(200)의 배추 이송경로 상에서 설치되어 그 이송컨베이어(200)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절임유닛(100)의 절임탱크들(10)에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배추유입 전환구조(310)와, 이송컨베이어(200)와 교차방향에서 연이어 설치되어 그 이송컨베이어(200)을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받아 절임탱크들(10)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운반하는 운반컨베이어(320), 그리고 이 운반컨베이어(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컨베이어(320)을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절임탱크(10)의 길이방향 임의 위치에서 투입시키는 투입대차(330)로 이루고 있다.
또 배추유입 전환구조(310)는 이송컨베이어(200)의 양변에 설치되는 기대(312)에 일단은 힌지(314)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 이송컨베이어(200) 상으로 들락날락하면서 이송컨베이어(200)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절임유닛(100)의 양 절임탱크들(10)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한 쌍의 제어막들(316)로 이루어 구성된다. 이때 제어막들(316)의 배추 유입안내는 이송컨베이어(200) 상에서 대각선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투입대차(330)는 운반컨베이어(320)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를 절임탱크들(10) 중앙에서 좌우 양측으로 선택하여 투입되게 하는 배추투입 전환구조(332)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배추투입 전환구조(332)는 투입대차(330)의 양 측에서 일단은 힌지(332-1)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 배추 운반컨베이어(320) 상으로 들락날락하면서 운반컨베이어(320)를 타고 운반되오는 배추를 절임탱크(10) 좌우 양 측으로 선택하여 투입되게 하는 한 쌍의 제어막들(332-2)로 이루고 있다. 이때 제어막들(322-2)의 배추 투입안내는 운반컨베이어(320) 상에서 대각선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배추유입 또는 배추투입 전환구조(310,332)의 제어막들(316,332-2)에는 그 제어막들(316,332-2)의 둘레에 전동방식으로 구동하는 무한궤도의 이송요소(332a)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이송요소(332a)는 이송 또는 운반컨베이어(200,320) 상에서 배추를 강제적으로 밀어내어 배추들의 유입 및 투입을 보다 안정되고 확고하게 이루게 된다.
본 발명 배추 절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세척이 완료된 배추가 이송컨베이어(200)를 타고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컨베이어(200)를 타고 이송되오는 배추는 도 1에서와 같이 투입기(300)의 배추유입 전환구조(310) 제어막들(316) 중 어느 하나를 펼치어(이때 다른 하나의 제어막(316)은 기대(312)내에 접혀있음) 화살표와 같이 좌향으로 안내되어 절임유닛(100)의 좌측 절임탱크(10) 측으로 공급을 이룬다.
그리고 이렇게 좌측 절임탱크(10) 측으로 공급된 배추는 투입기(300)의 운반컨베이어(320)를 타고 화살표와 같이 좌측 절임탱크(10) 길이방향으로 운반되는데, 이때 운반컨베이어(320) 상에서 절임탱크(10)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투입대차(330)의 배추투입 전환구조(332) 제어막들(332-2) 중 어느 하나를 펼치어(이때 다른 하나의 제어막(332-2)는 투입대차(330) 내에 접혀있음) 화살표와 같이 다시 좌향으로 안내되어 운반컨베이어(320) 상에서 절임탱크(10) 내로 낙하된다.
또 투입대차(330)는 수동 또는 전동방식으로 구동하며 절임탱크(10)의 길이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며 배추들을 절임탱크(10) 바닥에 평면적으로 고루 펼치어 순차적으로 겹겹이 적재하게 될 것이다. 이때 투입대차(330)는 절임탱크(10) 내에 1렬의 수평적 배추 층 적재가 완료되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투입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
또한 첫번째 절임유닛(100)의 양 절임탱크들(10)에 배추의 투입이 완료되면 투입기(300)를 가이드레일(14)를 타고 이동시키어 다음 절임유닛(100)에서 정치시킨후 상기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배추를 반복적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절임탱크 12 :배수관
14 :가이드레일
100 :절임유닛 200 :이송컨베이어
300 :투입기 310 :배추유입 전환구조
312 :기대 314 :힌지
316 :제어막 320 :운반컨베이어
330 :투입대차 332 :배추투입 전환구조
332-1 :힌지 332-2 :제어막

Claims (4)

  1. 적절한 염분농도의 소금물이 저장되고, 세척이 완료되어 절임을 위한 배추들의 저장공간과, 저면 일 측에는 배수관이 구비되는 절임탱크들을 이용한 배추 절임장치로써, 다음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절임탱크들을 양 측으로 직렬 배치하여 2개1조로 이룬 절임유닛들을 적어도 1열 이상 병렬로 배치한 것;
    상기 절임유닛들의 중앙에서 교차방향으로 통과하며, 상기 세척이 완료된 배추들을 상기 절임유닛들 각각에 공급시키게 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절임유닛 사이에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상기 배추를 받아 상기 양 절임탱크들 중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배추유입 전환구조와, 상기 절임유닛의 각 절임탱크 상면 중앙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교차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배추유입 전환구조로부터 받은 상기 배추를 상기 절임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운반시키는 운반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운반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운반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는 상기 배추를 배추투입 전환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절임탱크 임의 위치에서 양측으로 선택하여 낙하시키게 하는 투입대차로 이룬 투입기를 갖추어서된 배추 절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추유입 전환구조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양변에 설치되는 기대에 일단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으로 들락날락하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오는 상기 배추를 상기 양 절임유닛의 절임탱크들 어느 일 측으로 선택하여 유입되게 하는 한 쌍의 제어막으로 이룬 것을 더 포함하는 배추 절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추투입 전환구조는 상기 투입대차에 일단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 상기 배추 운반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오는 상기 배추를 상기 절임탱크 좌우 양 측으로 선택하여 투입되게 하는 한 쌍의 제어막으로 이룬 배추 절임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막에는 배추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의 이송요소를 더 포함하는 배추 절임장치.
KR1020130108858A 2013-09-11 2013-09-11 배추 절임장치 KR10150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58A KR101503480B1 (ko) 2013-09-11 2013-09-11 배추 절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58A KR101503480B1 (ko) 2013-09-11 2013-09-11 배추 절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480B1 true KR101503480B1 (ko) 2015-03-24

Family

ID=5302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858A KR101503480B1 (ko) 2013-09-11 2013-09-11 배추 절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36B1 (ko) * 2016-05-04 2018-05-15 (주)김치라인 배추 분류 적재장치
CN112919031A (zh) * 2021-03-02 2021-06-08 太仓市金阳气体有限公司 一种乙炔生产用电石自动化运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89Y1 (ko) 2005-04-12 2005-07-14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이동레일의 교차부 설치구조
KR100828004B1 (ko) 2007-05-16 2008-05-08 한국생산성본부 전통김치 가공을 위한 복합 자동화 장치
KR20120125782A (ko) * 2011-05-09 2012-11-19 김다인 김치제조용 배추 대량절임장치 및 방법
KR101347475B1 (ko) 2012-11-27 2014-01-06 한국식품연구원 염수순환식 자동배추절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989Y1 (ko) 2005-04-12 2005-07-14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이동레일의 교차부 설치구조
KR100828004B1 (ko) 2007-05-16 2008-05-08 한국생산성본부 전통김치 가공을 위한 복합 자동화 장치
KR20120125782A (ko) * 2011-05-09 2012-11-19 김다인 김치제조용 배추 대량절임장치 및 방법
KR101347475B1 (ko) 2012-11-27 2014-01-06 한국식품연구원 염수순환식 자동배추절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236B1 (ko) * 2016-05-04 2018-05-15 (주)김치라인 배추 분류 적재장치
CN112919031A (zh) * 2021-03-02 2021-06-08 太仓市金阳气体有限公司 一种乙炔生产用电石自动化运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09147A1 (ja) 植物栽培装置
US20200015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leaning, and Transplanting Growing Towers
WO2020017315A1 (ja) 栽培方法、栽培設備、及び栽培装置
KR101503480B1 (ko) 배추 절임장치
US4068014A (en) Demolding and brining of cheese
KR200463418Y1 (ko) 청과물세척냉각장치
KR20120139927A (ko) 파레트 살균 소독 장치
KR101292779B1 (ko) 식물 재배 베드 순환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식물 재배 시스템
RU200910377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жидкости в пищевые продукты
DE212736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 stellen von gekochten und geschalten Eiern
MX2020001350A (es) Equipo para inmersion de carrocerias.
EP2206684A1 (en) Device and process for obtaining biomasses from an organic sewage, particularly a sewage of zootechnic origin
CN108517263B (zh) 焖料机
KR20150086889A (ko) 절임조이동식 자동배추절임장치
JP2002010770A (ja) 食品処理方法及び装置
CN206476448U (zh) 物料盒循环收放机
EP3019029A2 (en) Apparatus for cooking puff pastry
EP2222172B1 (en) Apparatus for salting, pickling or adding additives to meat, fish or similar products,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TWM326006U (en) Conveying device
US20080065250A1 (en) Automatic Plant for the Treatment and Packing of Meat Product
CN113970223A (zh) 一种方便清理内壁冰冻的蜗牛肉加工速冻装置
CN205740818U (zh) 有机物料发酵的运料‑出料‑进料系统
CN105981665A (zh) 一种大型鲟鱼运输方法
KR20080104630A (ko) 배양병 세척장치
KR100788234B1 (ko) 집적재배 시스템의 작물순환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