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272A -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272A
KR20170123272A KR1020170054297A KR20170054297A KR20170123272A KR 20170123272 A KR20170123272 A KR 20170123272A KR 1020170054297 A KR1020170054297 A KR 1020170054297A KR 20170054297 A KR20170054297 A KR 20170054297A KR 20170123272 A KR20170123272 A KR 20170123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losed
movable shaft
print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히로 이시카와
스미오 와타나베
마사히로 츠치야
다츠야 오쿠치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 B41J29/56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and manu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덮개부를 닫을 때에 하프 로크 상태로 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덮개부를 닫을 수 있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기록지가 설치되는 기록지 홀더가 구비된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된 가압부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의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와, 상기 가동 샤프트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를 닫으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가동 샤프트가 가압되어 스프링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PRINTER DEVICE}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는 상점 등의 계산대, 은행 등에서의 ATM(Automated Teller Machine), CD(Cash Dispenser)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린터 장치에는, 예를 들어, 프린터 본체부와, 프린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덮개부가 설치된 것으로서, 이 덮개부를 열어 프린터 본체부의 기록지 홀더에 롤 상태로 감겨진 기록지를 설치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585769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46104호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028910호
그런데, 전술한 프린터 장치는,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발권 장치 등 정보 기기 단말 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권 장치에서는, 기록지가 없어지면, 사용자가 덮개부를 열고 기록지 홀더에 기록지를 넣은 후 덮개부를 닫는 조작이 이루어진다. 덮개부를 닫을 때에는, 예를 들어, 프린터 본체부에 설치된 로크부 안으로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이 각각 들어감으로써, 덮개부가 로크되어 기록지에 인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로크부가 프린터 장치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덮개부를 닫을 때 덮개부에 힘을 가하면, 한쪽의 로크부 안으로는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이 들어가나, 다른쪽의 로크부로는 베어링이 들어가지 않아서, 도중에 멈춘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는, 하프 로크 상태라고 하는데, 서멀 헤드에 대해 플래튼 롤러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므로 인쇄를 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은 하프 로크 상태에서는, 덮개부가 닫혀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사용자는, 덮개부가 닫혀 있는데도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프린터 장치가 고장났다고 판단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하프 로크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다른쪽의 로크부가 설치된 쪽의 덮개부에 힘을 가하거나, 덮개부를 다시 열었다가 닫는 등의 조작을 하면 되나, 사용자는, 일단 프린터 장치가 고장났다고 판단하면 그러한 조작을 잘 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프린터 장치에 의해 인쇄를 할 수 없어서, 발권 장치 등 정보 기기 단말 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를 닫을 때에 하프 로크 상태로 되지 않는 프린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한 관점에 의하면, 기록지가 설치되는 기록지 홀더가 구비된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된 가압부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의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와, 상기 가동 샤프트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를 닫으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가동 샤프트가 가압되어 스프링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터 장치에서 덮개부를 닫을 때에 하프 로크 상태로 되지 않아 확실하게 덮개부를 닫을 수 있다.
도 1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1)이다.
도 3은 프린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2)이다.
도 5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를 닫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a~도7c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를 여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9a~도9c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하프 로크 상태일 때의 설명도(1)이다.
도 10a~도10c는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하프 로크 상태일 때의 설명도(2)이다.
도 11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하프 로크로 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1)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2)이다.
도 16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3)이다.
도 17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4)이다.
도 18a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b는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도 18c는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가동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18d는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도 18e와 도 18f는 제1 실시형태에서 가동 샤프트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1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2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3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4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1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5의 단면도이다.
도 24a와 도24b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5a와 도25b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6a~도26c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1의 구조도이다.
도 27a와 도27b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1의 설명도이다.
도 28a~도28c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2의 구조도이다.
도 29a와 도29b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2의 설명도이다.
도 30a~도30c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3의 구조도이다.
도 31a와 도31b는 제2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변형예 3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제3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1)이다.
도 33은 제3 실시형태에서 프린터 장치의 설명도(2)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한편,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 장치)
먼저, 도1~도5에 나타내어진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덮개부를 닫을 때에 발생하는 하프 로크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도5에 나타내어진 프린터 장치는, 클램쉘 타입의 프린터 장치라고도 하며, 롤 형상으로 감겨진 기록지를 끼워 넣는 방식에 의해 기록지 홀더 내에 설치하는 구조의 것이다. 도 1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프린터 장치의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있어 일점 쇄선 3a-3b에서 절단된 단면도인데, 도 4는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 5는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도면에서는, 프린터 장치의 세세한 부분에서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으나, 본 발명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도1~도5에 나타내어진 프린터 장치는, 프린터 본체부(10)와, 프린터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덮개부(20)를 가진다. 프린터 본체부(10)에는, 기록지(100)가 넣어지는 기록지 홀더(11), 프린트 헤드인 서멀 헤드(30), 제어 회로 기판, 모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20)에는, 플래튼 롤러(40), 기록지(100)를 절단하는 커터 유닛(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1~도5에 나타내어진 프린터 장치에서는, 기록지(100)를 기록지 홀더(11) 내에 넣고 덮개부(20)를 닫음으로써 기록지(10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덮개부(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기록지 홀더(11)에 기록지(100)를 넣고,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파선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덮개부(20)를 회전시켜서 덮개부(20)를 닫는다.
덮개부(20)를 닫는 동작에 대해, 도 6 및 도 7a~도7c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덮개부(20)를 파선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닫히고 있는 도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a~도7c는 덮개부(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7a는 덮개부(20)가 닫힌 상태의 프린터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프린터 장치의 우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7c는 좌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프린터 본체부(10)에는, 덮개부(20)가 닫혔을 때에 플래튼 롤러(40)의 좌우 베어링(41a,41b)을 지지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로크하기 위한 로크 레버(60)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레버(60)에는, 그 좌우에 우측 로크부(61a)와 좌측 로크부(61b)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로크부(61a)에는, 플래튼 롤러(40)의 우측 베어링(41a)이 들어가는 개구부(6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 로크부(61b)에는, 플래튼 롤러(40)의 좌측 베어링(41b)이 들어가는 개구부(62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60)의 우측 로크부(61a)가 설치되어 있는 쪽에는, 로크 레버(60)를 회전시킬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7a~도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0)가 닫혔을 때에는, 로크 레버(60)의 우측 로크부(61a)의 개구부(62a) 내에는 플래튼 롤러(40)의 우측 베어링(41a)이 들어가고 좌측 로크부(61b)의 개구부(62b) 내에는 좌측 베어링(41b)이 들어감으로써, 덮개부(20)가 열리지 않도록 양쪽 베어링(41a,41b)이 로크된다. 이와 같이 로크된 상태에서 서멀 헤드(30)에 의해 기록지(100)에 인쇄가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부(20)를 열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60)의 조작부(63)를 파선 화살표(B)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로써, 플래튼 롤러(40)의 베어링(41a,41b)이 로크 레버(60)의 우측 로크부(61a)의 개구부(62a), 좌측 로크부(61b)의 개구부(62b)로부터 각각 이탈하여 로크 상태가 해제되므로, 덮개부(20)는 파선 화살표(C)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린다.
이와 같은 프린터 장치에서 발생하는 하프 로크 상태란, 한쪽 개구부에 플래튼 롤러(40)의 베어링이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a~도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60)의 우측 로크부(61a)의 개구부(62a)에 플래튼 롤러(40)의 우측 베어링(41a)이 들어가 있으나, 좌측 로크부(61b)의 개구부(62b)에는 좌측 베어링(41b)이 완전히는 들어가 있지 않아 도중에 멈춘 상태, 또는, 도 10a~도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레버(60)의 좌측 로크부(61b)의 개구부(62b)에 플래튼 롤러(40)의 좌측 베어링(41b)이 들어가 있으나, 우측 로크부(61a)의 개구부(62a)에는 플래튼 롤러(40)의 우측 베어링(41a)이 들어가 있지 않아 도중에 멈춘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40)의 한쪽 베어링은 개구부에 들어가 있으나, 다른쪽 베어링은 개구부에 들어가 있지 않아, 서멀 헤드(30)에 대한 플래튼 롤러(40)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이므로, 인쇄를 할 수가 없다. 한편, 도 9a는 한쪽 베어링이 이탈해 있는 하프 로크 상태의 프린터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나타난 프린터 장치의 우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9c는 좌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a는 다른쪽 베어링이 이탈해 있는 하프 로크 상태의 프린터 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난 프린터 장치의 우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10c는 좌측 끝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a~도9c에 나타내어지는 하프 로크 상태는, 덮개부(20)를 닫을 때에, 도9a 및 도11에서의 파선 화살표(D)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0)의 우측만을 가압하여 덮개부(20)를 닫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도10a~도10c에 나타내어지는 하프 로크 상태는, 덮개부(20)를 닫을 때에, 도10a 및 도11에서의 파선 화살표(E)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0)의 좌측만을 가압하여 덮개부(20)를 닫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제 1 실시형태]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대해, 도 12~도18f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도 클램쉘 타입의 프린터 장치이다. 한편,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3에서의 일점 쇄선 13A-13B에서 절단한 단면도인데, 도 14는 덮개부가 열려 있는 상태를, 도 15는 덮개부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프린터 본체부(110)와, 프린터 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린터 본체부(110)에 대해 개폐 가능한 덮개부(120)를 가진다.
프린터 본체부(110)에는,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홀더(111), 프린트 헤드인 서멀 헤드(130), 제어 회로 기판, 모터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120)에는, 플래튼 롤러(140), 커터 유닛(1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 사용되는 기록지는 감열지이다. 모터로는, 기록지를 반송하는 플래튼 롤러(14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유닛(15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이 탑재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 18a~도18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덮개부(120)에는, 기록지 홀더(111) 쪽으로 돌출한 가압부(170)가 설치되어 있고, 프린터 본체부(110)에는, 덮개부(120)의 가압부(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 샤프트(180) 및 코일 스프링(191)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샤프트(180) 및 코일 스프링(191)은, 프린터 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14) 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동 샤프트(180)는, 프린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벽면(115) 내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벽면(115)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동 샤프트(180)는, 한쪽 끝에는 축부(180c)보다 폭이 넓은 광폭부(180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쪽 끝에는 플랜지부(180e)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180e)로부터 상기 한쪽 끝을 향해 가동 샤프트(18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축부(180c)보다 폭이 좁은 협폭부(180d)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광폭부(180a)와 협폭부(180d)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부(180c)가 코일 스프링(191) 안에 넣어져 있다. 협폭부(180d)는 벽면(115)에 부착된 스토퍼(200)의 슬릿(200a)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토퍼(200)는 벽면(115)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가동 샤프트(180)는, 도 18e와 도 1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폭부(180d)의 길이에서 스토퍼(200)의 두께를 뺀 만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18a는 덮개부(120)가 닫힌 프린터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8b는 가압부(170)의 사시도이다. 도 18c는 가동 샤프트(180)의 사시도이다. 도 18d는 스토퍼(2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e와 도 18f는, 제1 실시형태에서 가동 샤프트(180)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인데, 가동 샤프트(180)가 벽면(115)으로부터 가장 돌출한 상태와 가동 샤프트(180)가 가압되어 벽면(115)으로부터 가장 후퇴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20)가 열리면, 가동 샤프트(180)는 가압부(170)에 의해 가압되지 않아 도 18e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랜지부(180e)가 스토퍼(200)에 접촉하여 가동 샤프트(180)가 벽면(115)으로부터 더 돌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덮개부(120)가 닫히면, 가동 샤프트(180)가 가압부(170)에 의해 가압되어 도 18f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코일 스프링(191)의 한쪽 단부(191a)는 프린터 본체부(110)에 설치된 벽면(115)에 접해 있고, 다른쪽 단부(191b)는 광폭부(180a) 내측에 접해 있다. 한편, 가압부(170) 및 가동 샤프트(180)는 스테인레스 등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덮개부(120)를 닫을 때 또는 덮개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광폭부(180a) 외측의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과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이 접촉한다.
프린터 본체부(110)에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에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160)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레버(160)의 좌우에는 각각 좌측 로크부와 우측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로크부에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의 우측이 들어가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 로크부에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의 좌측이 들어가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레버(16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크부(161)가 베어링(141)에 향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로크 레버(160)의 우측 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쪽에는, 로크 레버(160)를 회전시킬 때에 조작되는 조작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로크 레버(160)의 우측 부분에 대해 설명하는데, 로크 레버(160)의 우측 로크부를 로크부(161), 우측 개구부를 개구부(162)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120)가 열려 있는 상태로부터, 손으로 파선 화살표(F)가 나타내는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덮개부(120)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170)의 가압 접촉면(170a)과 가동 샤프트(180)의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은 로크 레버(160)와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시계 방향으로 덮개부(120)를 더 회전시킴으로써,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170)에 의해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가압되어 가압 샤프트(18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코일 스프링(191)이 광폭부에 가압되어 수축하여, 덮개부(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은 로크 레버(160)의 개구부(162)에 들어가고는 있으나, 완전히는 들어가지 못하고,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이 로크 레버(160)의 로크부(16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로크하는 힘보다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이 더 크게 된다. 그리하여, 이 상태에서 덮개부(120)로부터 손을 떼면,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파선 화살표(F)가 나타내는 방향의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힘이 작용한다. 플래튼 롤러(140)의 적어도 한쪽 베어링(141)이 로크부(161)의 개구부(162)에 들어가 있지 않은 하프 로크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열려 버린다.
도 17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덮개부(120)를 더 회전시킴으로써 가동 샤프트(18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코일 스프링(191)이 더 수축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120)가 완전히 닫힌다.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은 로크 레버(160)의 개구부(162) 안으로 들어가 있고, 플래튼 롤러(140)의 좌우 양측 베어링(141)은 로크 레버(160)의 좌우 양측 로크부(161)에서 각각 로크된다.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좌우 양측 베어링(141)이 로크 레버(160)의 좌우 양측 로크부(16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로크하는 힘이,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보다 크다. 그러므로, 덮개부(120)로부터 손을 떼어도,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은 로크부(161)에서 로크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열리는 일은 없다. 도 18a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덮개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하프 로크 상태는, 플래튼 롤러(140)의 한쪽 베어링은 로크 레버(160)의 개구부에 들어가 있으나,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쪽 베어링이 개구부에 들어가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베어링(141)은 로크부(161)에 의해 로크되지 않아, 베어링(141)을 로크부(161)가 로크하는 힘보다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이 더 커서, 덮개부(120)를 회전시키고 있던 손을 떼면,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열려 버린다.
즉,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 한쪽 베어링이 로크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열려 버린다. 달리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덮개부(120)가 닫힌 상태이던가, 아니면 도 14 등에 나타내듯이 덮개부(120)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되어서, 하프 로크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한편, 코일 스프링(191) 대신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은, 한쪽(192a)이 프린터 본체부(110)에 설치된 스프링 고정부(116)에 고정되고, 다른쪽(192b)은 광폭부(180a)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70)에 의해 가동 샤프트(180)이 가압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은 광폭부(180a) 내측에서 가압되어 파선이 나타내는 것처럼 변형되어, 덮개부(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91) 대신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93)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판 스프링(193)은, 한쪽(193a)이 프린터 본체부(110)에 설치된 지지부(114)에 고정되고, 다른쪽(193b)은 광폭부(180a)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170)에 의해 가동 샤프트(180)가 가압되면, 판 스프링(193)은 광폭부(180a) 내측에서 가압되어 파선이 나타내는 것처럼 변형되어, 덮개부(120)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가동 샤프트(180)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프린터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191)이 프린터 본체부(110)의 벽면(115)에 설치된 돌기부(118)에 넣어져 있고, 코일 스프링(191)의 단부(191a)는 프린터 본체부(110)에 설치된 벽면(115) 에 접해 있다. 덮개부(120)가 닫히면, 코일 스프링(191)의 다른쪽 단부(191b)는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에 직접 접촉하여 가압부 접촉면(170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코일 스프링(191)에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을 사용한 경우에서도, 가동 샤프트(180)를 사용하지 않은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부(120)가 닫히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의 다른쪽(192b)이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에 직접 접촉하여 가압부 접촉면(170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의 다른쪽(192b)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변형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2)에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93)을 사용한 경우에서도, 가동 샤프트(180)를 사용하지 않은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덮개부(120)가 닫히면, 판 스프링(193)의 다른쪽(193b)이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에 직접 접촉하여 가압부 접촉면(170a)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판 스프링(193)의 다른쪽(193b)은 파선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변형되어 판 스프링(193)에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한편, 도21~도23에 나타낸 구조에서 스토퍼(2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24a~도24b, 도25a~도25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25a~도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샤프트(180)의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에 볼록부(181)가 구비되어 있고, 덮개부(120)의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에는 볼록부(181)에 대응하는 개구부(171)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프린터 장치이다. 도 24a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4B는 가압부(17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부(120)를 닫기 위해 도 24a에 나타내는 파선 화살표(F)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덮개부(120)를 회전시키면, 가동 샤프트(180)와, 덮개부(120)에 설치된 가압부(170)가 접촉한다. 이 때, 가동 샤프트(180)와 가압부(170)가 최초로 접촉하는 것은,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81)와 가압부 접촉면(170a)이다. 덮개부(120)를 파선 화살표(F)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록부(181)는 가압부 접촉면(170a) 표면을 이동하면서 가압되어, 가압부(170)에 의해 파선 화살표(G)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동 샤프트(180)가 가압되므로, 코일 스프링(191)이 수축한다.
또한, 덮개부(120)를 파선 화살표(F)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켜서, 볼록부(181)가 가압부 접촉면(170a)에 구비된 개구부(171)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샤프트(180)는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파선 화살표(H)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171) 안으로 볼록부(181)가 들어간다. 이 때, 가압부 접촉면(170a)과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접촉하여 충격 및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 접촉면(170a)과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접촉함으로써 발생한 충격 및 충격음에 의해, 덮개부(120)를 닫고 있던 사용자는 감촉과 소리로 덮개부(120)가 완전히 닫혔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도26a~도26c 및 도27a~도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170)의 가압부 접촉면(170a)에 볼록부(172)를 구비하고 가동 샤프트(180)의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에 원형의 개구부(182)를 구비한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에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압부 접촉면(170a)과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접촉하여 충격 및 충격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충격 및 충격음에 의해, 덮개부(120)를 닫고 있던 사용자는 덮개부(120)가 완전히 닫혔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26a는 이러한 프린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6b는 가압부(170)의 사시도이며, 도 26c는 가동 샤프트(18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7a는 볼록부(172)가 개구부(182)에 들어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7b는 볼록부(172)가 개구부(182)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도28a~도28c 및 도29a~도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에, 개구부(182) 대신에 중앙 부분에 홈부(183)를 형성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8a는 이러한 프린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8b는 가압부(170)의 사시도이며, 도 28c는 가동 샤프트(18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9a는 볼록부(172)가 홈부(183)에 들어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9b는 볼록부(172)가 홈부(183)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30a~도30c 및 도31a~도31b에 나타내는,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에 형성되는 개구부(182)의 깊이(d)와 가압부 접촉면(170a)에 구비한 볼록부(172)의 높이(h)를 변경함으로써, 코일 스프링(191)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압부 접촉면(170a)과 가동 샤프트 접촉면(180b)이 접촉할 때의 충격 및 충격음의 강약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82)의 깊이(d)와 볼록부(172)의 높이(h)를, 원하는 강도의 충격 및 충격음이 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0a는 이러한 프린터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0b는 가압부의 사시도이며, 도 30c는 가동 샤프트(18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1a는 볼록부(172)가 개구부(182)에 들어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1b는 볼록부(172)가 개구부(182)에 들어간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코일 스프링(191) 대신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이외의 내용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덮개부(120)에 코일 스프링(291)을 설치하고 프린터 본체부(110)에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에 코일 스프링(291)이 들어가는 통부(285)가 설치되어 있고, 통부(285)의 안쪽에 코일 스프링(291)과 접촉하는 접촉부(286)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291)은 덮개부(120)에 구비된 돌기부(270)에 넣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코일 스프링(291)의 한쪽 단부(291a)는 덮개부(120)의 일부에 접하고 다른쪽 단부(291b)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에 통부(285) 안쪽의 접촉부(286)에 접촉하여 수축하므로, 덮개부(120)가 열리는 방향의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에서는, 플래튼 롤러(140)의 적어도 한쪽 베어링(141)이 로크부(163)의 개구부(162)에 들어가 있지 않은 상태가 되더라도, 코일 스프링(291)의 스프링력에 의해 덮개부(120)가 열리므로 하프 로크 상태로 되는 일이 없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 장치는, 코일 스프링(291) 대신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내용이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6년 4월 28일에 출원된 기초 출원 2016-09189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써 여기에 원용한다.
100 기록지 110 프린터 본체부
111 기록지 홀더 120 덮개부
140 플래튼 롤러 141 베어링
160 로크 레버 161 로크부
162 개구부 163 조작부
170 가압부 170a 가압부 접촉면
180 가동 샤프트 180a 광폭부
180b 가동 샤프트 접촉면 191 코일 스프링

Claims (5)

  1. 기록지가 설치되는 기록지 홀더가 구비된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설치된 가압부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의 상기 가압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샤프트와,
    상기 가동 샤프트를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를 닫으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가동 샤프트가 가압되어 스프링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의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동 샤프트에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닫힐 때에는 상기 개구부에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상기 가동 샤프트에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동 샤프트의 상기 가압부에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개구부 또는 홈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가 닫힐 때에는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홈부에 상기 볼록부가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4. 기록지가 설치되는 기록지 홀더가 구비된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스프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를 닫을 때에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이 가압되어 스프링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5. 기록지가 설치되는 기록지 홀더가 구비된 프린터 본체부와,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플래튼 롤러와,
    상기 덮개부가 닫힌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의 베어링을 지지하는 로크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한쪽이 상기 덮개부에 접속되어 있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린터 본체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이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에 스프링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KR1020170054297A 2016-04-28 2017-04-27 프린터 장치 KR20170123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1893 2016-04-28
JP2016091893A JP2017196876A (ja) 2016-04-28 2016-04-28 プリン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272A true KR20170123272A (ko) 2017-11-07

Family

ID=5863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297A KR20170123272A (ko) 2016-04-28 2017-04-27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2174B2 (ko)
EP (1) EP3246170A1 (ko)
JP (1) JP2017196876A (ko)
KR (1) KR20170123272A (ko)
CN (1) CN1073365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3844B2 (en) 2020-04-28 2023-12-05 Bixolon Co., Ltd. Device for fixing platen roller for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8279B2 (ja) * 2019-01-29 2022-11-2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769B2 (ja) 1988-12-14 1997-02-26 株式会社テック ラインサーマルプリンタ
EP0386919A3 (en) * 1989-03-06 1991-01-30 Tokyo Electric Co., Ltd. Thermal printer
JP3557832B2 (ja) * 1997-03-03 2004-08-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3910465B2 (ja) 2002-02-22 2007-04-25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462820B2 (ja) * 2002-10-11 2010-05-1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4389534B2 (ja) * 2003-09-25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開閉蓋のロック・アンロック機構およびプリンタ
JP4668848B2 (ja) * 2006-06-07 2011-04-1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バー開閉機構とこのカバー開閉機構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70286695A1 (en) * 2006-06-09 2007-12-13 Boisvert Marc H Draw bar actuator for vertical milling machines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JP4761465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5379388B2 (ja) * 2007-03-23 2013-12-2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67888B2 (ja) 2007-07-24 2012-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ラベルプリンタ
JP2009274249A (ja) * 2008-05-13 2009-11-26 Seiko Epson Corp 開閉機構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0052278A (ja) 2008-08-28 2010-03-11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5036903B2 (ja) * 2011-11-30 2012-09-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5884458B2 (ja) * 2011-12-15 2016-03-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216528B2 (ja) * 2013-03-26 2017-10-18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ター
CN106660381B (zh) 2014-07-23 2019-04-30 富士通电子零件有限公司 打印机装置
JP2017081128A (ja) * 2015-10-30 2017-05-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3844B2 (en) 2020-04-28 2023-12-05 Bixolon Co., Ltd. Device for fixing platen roller for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6170A1 (en) 2017-11-22
US20170313102A1 (en) 2017-11-02
US9902174B2 (en) 2018-02-27
CN107336531A (zh) 2017-11-10
JP2017196876A (ja)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1610B2 (ja) 印刷装置
CN109305582B (zh) 打印设备
CN107323105B (zh) 打印装置
KR20170123272A (ko) 프린터 장치
US9868310B2 (en) Printer
CN107393226B (zh) 打印装置
JP2017052213A (ja) プリンタ装置
JP6293439B2 (ja) プリンタ装置
CN108025566B (zh) 打印机
US20150246565A1 (en) Printer
US20140063170A1 (en) Printer
JP2017081129A (ja) プリンタ装置
JP6107506B2 (ja) 送りガイド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633149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決済端末装置
JP3622856B2 (ja) プリンタ
US10668756B2 (en) Printer
WO2020179848A1 (ja) プリンタ
JP5251795B2 (ja) 電気機器用筐体
JP7310425B2 (ja) 開閉カバーおよび電子機器
JP7392316B2 (ja) ドロア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154730A (ja) プリンタ装置
JP2008100818A (ja) 用紙ガイ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4369670B2 (ja) 孔版印刷装置
JP6443286B2 (ja) 電子機器
JP2019167219A (ja) シートガイド装置、およ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