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218A - 전기 광학 패널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218A
KR20170123218A KR1020160124852A KR20160124852A KR20170123218A KR 20170123218 A KR20170123218 A KR 20170123218A KR 1020160124852 A KR1020160124852 A KR 1020160124852A KR 20160124852 A KR20160124852 A KR 20160124852A KR 20170123218 A KR20170123218 A KR 2017012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film
stretched film
axis direction
main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미 오쿠노
오사무 사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3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1Metallic seal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복원하기 쉬운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다.

Description

전기 광학 패널{Electro-Optical Panel}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조명 패널을 포함하는 전기 광학 패널에 관한 것이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표시 패널, OLED 조명 패널,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과 같은 전기 광학 패널은, 전기 광학 소자(예를 들면 발광 소자 및 액정 소자) 외에 복수의 층을 가진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명세서에서 '전기 광학 소자'는, 전기 작용에 의해 빛을 발하는 발광 소자(예를 들면 OLED 소자) 및 전기 작용에 의해 빛 투과를 제어하는 광 제어 소자(예를 들면 액정 소자)를 포함하고, '전기 광학 패널'은 이와 같은 전기 광학 소자를 갖는 패널을 가리킨다.
근년, 플렉서블한 표시 패널 및 조명 패널이 개발되었고, 이들의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은 복수 적층된 필름을 가지며, 필름 중 적어도 몇몇은 고분자 재료(예를 들면 수지)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52922 호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에는,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패널, 둥글게 할 수 있는 롤러블(rollerable) 패널,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패널이 있다. 이들은 장시간 변형된 상태로 유지, 즉 방치하면 변형(즉 컬 또는 휨)이 잔류하여 평면 상태로 재전개하려고 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돌아가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복원하기 쉬운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기 광학 패널은,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로서, 상기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기 광학 패널은,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로서, 상기 복수의 연신 필름 중 적어도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다.
이 경우, 전기 광학 패널은, 상기 전기 광학 소자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인 위상차 필름과, 상기 위상차 필름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인 편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전기광학패널은,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광학소자와; 상기 전기광학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광학소자의 구부러지는 변의 방향에 대하여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제1연신필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이 내측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제1연신필름과 상기 전기광학소자 사이에는 다수의 제2연신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이 외측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제1연신필름의 외면에는 다수의 제2연신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신필름과 상기 다수의 제2연신필름은 각각 편광필름과 위상차필름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신필름은 이축 연신필름이고, 상기 주 연신축 방향은 직교하는 2개의 연신축 방향 중 상기 제1연신필름이 더욱 크게 연신된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으로 빛을 출사하거나,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통하여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플렉서블기판과; 상기 플렉서블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TFT층과; 상기 TFT층 상부에 배치되는 OLED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플렉서블기판과 상기 TFT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리어층과; 상기 OLED층 상부에 배치되는 캡슐봉지체와; 상기 캡슐봉지체 상부에 배치되는 금속봉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TFT층과 상기 OLED층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전기 광학 패널을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복원하기 쉽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전기 광학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람은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한다.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방향에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치한다면) 전기 광학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많은 사람이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게 된다. 한편 예를 들면 스크롤 타입의 프로젝터 스크린과 같이 단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도록 설계된 전기 광학 패널 및 다른 부품 배치를 위해서 단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 광학 패널도 있다. 이와 같은 전기 광학 패널에 대해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폭 방향(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치한다면) 전기 광학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게 된다. 연신 필름은 제조 공정에서 주 연신축 방향으로 보다 많이 변형되어 있으므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린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연신 필름, 더 나아가서는 전기 광학 패널의 변형은 그다지 많이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다.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에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구부리거나 둥글게 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 또는 기타 안내(guidance)를 제품에 부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둥글게 한 상태의 도 1의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구부린 상태의 도 1의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OLED 표시 패널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OLED 표시 패널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다른 OLED 표시 패널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OLED 표시 패널의 구부림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험 수법을 도시한 OLED 표시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실험의 잔류변형량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험 수법을 도시한 OLED 표시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험에 제공한 시료를 도시한 표이다.
도 12는 도 8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0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의 바람직한 방향 범위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험에 제공한 시료의 각도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출원 발명의 목적, 장점 및 신규 특징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다른 도면에서 동일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동일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면의 축척은 정확하지 않은 것을 이해해주기 바란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OLED 표시 패널(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OLED 표시 패널(1)은 플렉서블 기판(플렉서블 필름, 10)과, 그 위에 형성된 배리어층(배리어 필름, 12)을 가진다. 플렉서블 기판(10)은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층(12)은 고분자 재료 또는 무기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층(12) 상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층(14)과, 컬러 필터층(16)과, OLED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TFT층(14) 내에는 다수의 TFT와, TFT를 덮는 층간 절연막을 가진다. 또한 컬러 필터층(16)은 컬러 필터뿐만 아니라 층간 절연막과, 층간 절연막을 통하여 TFT와 OLED층(18)의 전극을 접속하는 배선을 가진다. OLED층(18)은 양극, 음극, 발광층 등의 층을 가진다.
배리어층(12)에는 예를 들면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로부터 형성된 캡슐 봉지체(20)가 접합되어 있고, 캡슐 봉지체(20)는, TFT층(14)과 컬러 필터층(16)과 OLED층(18)을 덮어서 보호한다. 더욱이 캡슐 봉지체(20) 상에는 금속 봉지층(22)이 접합되어 있다.
이 OLED 표시 패널(1)은, OLED층(18)에서 발생한 빛을 플렉서블 기판(10) 측(즉, 도면의 하방)을 향해서 방출하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타입이다. 플렉서블 기판(10)에는, OLED 표시 패널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프론트 필름(보강 필름, 24)이 접착제층(26)을 통하여 접착되어 있다. 접착제층(26)으로서는 감압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가 사용된다. 프론트 필름(24)은 고분자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조성물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단, 접착제층(26)을 배제하고 프론트 필름(24)을 플렉서블 기판(10)에, 프론트 필름(24)의 재료와 플렉서블 기판(10) 재료의 공유 결합 작용 또는 공유 결합과 분자간력의 협동 작용에 의해 직접 접합해도 된다.
도 2는 둥글게 한 상태의 OLED 표시 패널(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구부린 상태의 OLED 표시 패널(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에는,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 패널, 둥글게 할 수 있는 롤러블 패널, 접을 수 있는 폴더블 패널이 있다. OLED 표시 패널(1)은 밴더블 패널, 롤러블 패널 및 폴더블 패널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어차피 OLED 표시 패널은 장시간 변형된 상태로 유지하면 변형(즉, 컬 또는 휨)이 잔류하여 평면 상태로 재전개하려고 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돌아가기 어려운 점이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직사각형의 OLED 표시 패널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프론트 필름(24,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상 선은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 명세서에서, 연신 필름은 일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이축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주 연신축 방향'이란, 일축 연신 필름에서는 유일한 '연신축 방향'이고, 이축 연신 필름에서는 서로 거의 직교하는 두 개의 연신축 방향 중 연신 공정에서 필름이 더욱 크게 연신된 방향(즉, 두께 방향으로 더욱 수축된 방향)이다. 종래는 OLED 표시 패널의 제조자가 주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에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반적인 OLED 표시 패널에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은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거의 ±45도 이내인 것이 많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직사각형 OLED 표시 패널(1)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에서 프론트 필름(24,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OLED 표시 패널(1)에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은 OLED 표시 패널(1)의 장축 방향에 일치한다.
도 6은 다른 직사각형의 OLED 표시 패널에서 프론트 필름(24, 연신 필름)을 평면상으로 전개한 상태의 주 연신축 방향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OLED 표시 패널에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은 OLED 표시 패널의 폭 방향에 일치한다.
OLED 표시 패널을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복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OLED 표시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람은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좌측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장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사람은 많지만, 도 7의 우측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사람은 적다.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면 OLED 표시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많은 사람이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게 된다. 연신 필름은, 제조 공정에서 주 연신축 방향으로 보다 많이 변형되어 있으므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린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연신 필름, 더 나아가서는 OLED 표시 패널의 변형은 그다지 많이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몇 가지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의 한 가지 수법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4 ㎜의 간격을 둔 평행한 2장의 유리판(30, 32) 사이에, 구부린 상태의 시료(34)를 끼우고 60 ℃의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했다. 그러자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료(34)에는 변형이 잔류했다. 변형을 가진 그대로의 시료(34)의 길이(또는 폭) L1은, 초기 평면 상태의 시료(34)의 길이(또는 폭) L 보다 짧았다. 그리고 식 (1)에 따라서 잔류변형량 R을 계산했다.
R = (L-L1)/L (1)
실험의 또 하나의 수법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경 60 ㎜인 강체(剛體) 원통(33)에 시료(34)를 권취하고, 60 ℃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했다. 역시 시료(34)에는 변형이 잔류했다. 식 (1)에 따라서 잔류변형량 R을 계산했다.
양측 실험 전에, 편광 현미경을 사용한 직교 니콜법으로 연신 필름을 관찰하고 주 연신축 방향을 판단했다.
실험에 제공한 시료를 도 11에 상세히 도시한다. 시료 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조성물로만 구성된 연신 필름이고, 그 두께는 50 ㎛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이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다른 첨가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시료 2도 PET 조성물로만 구성된 연신 필름이고, 그 두께는 100 ㎛이다. 시료 3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PET 조성물의 2장의 연신 필름(36, 37)과, 그들을 접합하는 감압 접착제(PSA)인 접착제층(38)으로 이루어지는 패널이다. 시료 4도 동일한 구성의 패널이다. 단, 시료 3에서는 2장의 필름의 주 연신축의 방향이 동일한데 비하여, 시료 4에서는 2장의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직교한다.
도 12는 도 8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의 구부림 방법 x는 시료 1, 2, 3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 하고, 또한 시료 4의 내측 연신 필름(36, 도 8 참조)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즉, 외측 연신 필름(37)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구부림 방법 y는 시료 1, 2, 3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 하고, 또한 시료 4의 내측 연신 필름(36, 도 8 참조)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즉, 외측 연신 필름(37)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0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의 구부림 방법 x는 시료 1, 2, 3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 하고, 또한 시료 4의 내측 연신 필름(36, 도 10 참조)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즉, 외측 연신 필름(37)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구부림 방법 y는 시료 1, 2, 3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 하고, 또한 시료 4의 내측 연신 필름(36, 도 10 참조)의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도록(즉, 외측 연신 필름(37)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으로부터 명백하듯이 구부림 방법 x의 잔류변형량은, 구부림 방법 y의 잔류변형량보다 상당히 작았다. 즉, 단층 연신 필름인 시료 1, 2에 대해서는 주 연신축을 구부리는 것이,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는 것보다 잔류변형량이 작았다. 주 연신축의 방향을 일치시킨 복수의 연신 필름을 갖는 시료 3에 대해서는, 주 연신축을 구부리는 것이, 주 연신축에 직교하는 축을 구부리는 것보다 잔류변형량이 작았다. 주 연신축의 방향이 직교하는 복수의 연신 필름을 갖는 시료 4에 대해서는, 내측의 연신 필름(36, 도 8, 도 10을 참조)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는 것이 외측의 연신 필름(37)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는 것보다 잔류변형량이 작았다. 복수층의 시료 4는 구부림 방법 x로 구부린 경우, 단층 시료 1, 2보다 잔류변형량이 작았다.
통상적으로 사람은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므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상술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대로, 실험 결과로부터 단층 시료 1, 2에 대해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고, 복수층 시료 3에 대해서는 복수의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주 연신축 방향이 다른 복수층 시료 4에 대해서는, 내측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도 14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의 바람직한 방향 범위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실험에서는 두께 50 ㎛인 PET 조성물로만 구성된 연신 필름, 즉 시료 1과 동일한 타입의 시료를 사용하고,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경 60 ㎜인 강체 원통(33)에 시료(34)를 권치하고, 60 ℃ 온도에서 24시간 방치했다. 실험 전에, 편광 현미경을 사용한 직교 니콜법으로 연신 필름을 관찰하여 주 연신축 방향을 판단하고, 도 1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원통(33)의 원주 방향 C에 대한 주 연신축의 방향 S의 각도 α가 다른 시료를 준비했다. 시료의 각도 α는 -25도, 0도, 30도, 45도, 60도, 70도, 90도였다.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도 α가 0도인 경우에 잔류변형량은 최소이고, 이것은 예상대로이다. 각도 α가 -25도, 30도인 경우, 잔류변형량의 현저한 상이는 없지만, α가 30도와 45도에서는 잔류변형량이 현저히 상이하다. 각도의 양음(正負)은 중요하지 않고, 절대값이 동일하면 잔류변형량은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도 14의 결과로부터 각도 α가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단층 시료 1, 2에 대해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층 시료 3에 대해서는 복수의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 연신축 방향이 다른 복수층 시료 4에 대해서는, 내측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보다 일반화해서 말하면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을 구비한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에서,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전기 광학 패널을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도 원래의 평면 상태로 복원하기 쉽다고 말할 수 있다.
OLED 표시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람은 OLED 표시 패널의 빛을 출사하는 측을 내측으로 해서 구부리거나 둥글게 한다. 따라서 주 연신축 방향이 다른 복수층의 시료 4에 대해서는,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장축 방향에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상술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스크롤 타입의 프로젝터 스크린과 같이 단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도록 설계된 전기 광학 패널 및 다른 부품 배치를 위해서 단축 변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 광학 패널도 있다. 이와 같은 전기 광학 패널에 대해서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폭 방향(장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치한다면) 전기 광학 패널을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경우,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을 구부리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폭 방향에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광학 패널이 정방형인 경우에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부리거나 둥글게 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 또는 기타 안내를 제품에 부착해도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4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OLED 표시 패널(41)은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타입이고, 외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기판(10)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42)과, 위상차 필름(42)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편광 필름(44)을 가진다. 위상차 필름(42)과 편광 필름(44)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이다. 위상차 필름(42)은 플렉서블 기판(10)에 접착제층(26)을 통하여 접착되고, 편광 필름(44)은 위상차 필름(42)에 접착제층(26)을 통하여 접착되어 있다. 단, 접착제층(26)을 배제하고 위상차 필름(42)을 플렉서블 기판(10)에, 위상차 필름(42) 재료와 플렉서블 기판(10) 재료의 공유 결합 작용 또는 공유 결합과 분자간력의 협동 작용에 의해 직접 접합해도 되고, 편광 필름(44)도 위상차 필름(42)에 대해서 동일하게 직접 접합해도 된다.
도 16의 OLED 표시 패널(41)에 대해서는, 위상차 필름(42)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질 때 더욱 내측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편광 필름(44)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4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42)은, 위상차 필름(42)의 주 연신축 방향을 고려하여 배향하는 것이 아니라, 편광 필름(44)과의 협동 작용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 성능을 만족하도록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상차 필름(42)에 대해서는 주 연신축 방향이 아닌, 광학 특성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플렉서블한 OLED 표시 패널(5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OLED 표시 패널(51)은, 전면 발광(top emission) 타입이고, 외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기판(10)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위상차 필름(54)과, 위상차 필름(54)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편광 필름(56)을 가진다. 위상차 필름(54)과 편광 필름(56)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이다. 위상차 필름(54)은 컬러 필터층(16) 상의 플렉서블 기판(53)에 접착제층(26)을 통하여 접착되고, 편광 필름(56)은 위상차 필름(54)에 접착제층(26)을 통하여 접착되어 있다. 단, 접착제층(26)을 배제하고 위상차 필름(54)을 플렉서블 기판(53)에, 위상차 필름(54) 재료와 플렉서블 기판(53) 재료의 공유 결합 작용 또는 공유 결합과 분자간력의 협동 작용에 의해 직접 접합해도 되고, 편광 필름(56)도 위상차 필름(54)에 대해서 동일하게 직접 접합해도 된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10)에는 접착제층(26)을 통하여 백 필름(52)이 접착되어 있다. 접착제층(26)을 배제하고 백 필름(52)을 플렉서블 기판(10)에, 백 필름(52) 재료와 플렉서블 기판(10) 재료의 공유 결합 작용 또는 공유 결합과 분자간력의 협동 작용에 의해 직접 접합해도 된다.
도 17의 OLED 표시 패널(51)에 대해서는, 위상차 필름(54)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되고, 구부러질 때 더욱 내측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편광 필름(56)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5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54)은, 위상차 필름(54)의 주 연신축 방향을 고려하여 배향하는 것이 아니라, 편광 필름(56)과의 협동 작용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 성능을 만족하도록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위상차 필름(54)에 대해서는 주 연신축 방향이 아닌, 광학 특성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편광 필름(56)과 동일하게, 플렉서블 기판(53)의 주 연신축 방향은 OLED 표시 패널(5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백 필름(52)의 주 연신축 방향도 OLED 표시 패널(5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사람이 전기 광학 패널의 빛을 출사하는 측을 내측으로 해서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 광학 패널의 빛을 출사하는 측을 외측으로 해서 구부리거나 둥글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 연신축 방향이 다른 복수층의 전기 광학 패널에 대해서는, 빛을 출사하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의 장축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어느 측을 내측으로 구부리거나 둥글게 해야 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마크 또는 기타 안내를 제품에 부착해도 된다.
빛을 출사하는 측을 외측으로 해서 구부리거나 둥글게 하는 것을 상정하면 도 16의 OLED 표시 패널(41)에 대해서는, 구부러질 때에 편광 필름(44)보다 내측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위상차 필름(42)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4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44)은 편광 필름(44)의 주 연신축 방향을 고려하여 배향하는 것이 아니라, 위상차 필름(42)과의 협동 작용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 성능을 만족하도록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로, 도 17의 OLED 표시 패널(51)에 대해서는, 구부러질 때에 편광 필름(56)보다 내측에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위상차 필름(54)의 주 연신축 방향이, OLED 표시 패널(51)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56)은 위상차 필름(54)의 주 연신축 방향을 고려하여 배향하는 것이 아니라, 위상차 필름(54)과의 협동 작용에 의한 외광 반사 저감 성능을 만족하도록 배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 및 도 17의 OLED 표시 패널(41, 51)에는 컬러 필터층(16)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컬러 필터층(16)을 배제해도 된다.
실시형태로서 OLED 표시 패널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콜레스테릭 액정 표시 패널, PDLC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또는 조명 패널과 같은 다른 전기 광학 패널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41, 51: OLED 표시 패널 10: 플렉서블 기판(플렉서블 필름)
12: 배리어층(배리어 필름) 14: TFT층
16: 컬러 필터층 18: OLED층
20: 캡슐 봉지체 22: 금속 봉지층
24: 프론트 필름(보강 필름) 26, 38: 접착체층
30, 32: 유리판 33: 원통
34: 시료 36, 37: 연신 필름
42, 54: 위상차 필름 44, 56: 편광 필름
52: 백 필름 53: 플렉서블 기판

Claims (12)

  1.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로서,
    상기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전기 광학 패널.
  2.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 광학 소자와,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복수의 연신 필름을 구비하는 플렉서블한 전기 광학 패널로서,
    상기 복수의 연신 필름 중 적어도 빛을 발사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는 연신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전기 광학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인 위상차 필름과,
    상기 위상차 필름보다 빛을 출사하는 측에 배치된, 고분자 재료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인 편광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편광 필름의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 광학 패널의 어느 변의 방향에 대해서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전기 광학 패널.
  4. 빛을 발하거나 빛 투과를 제어하는 전기광학소자와;
    상기 전기광학소자의 일면에 배치되고, 주 연신축 방향이 상기 전기광학소자의 구부러지는 변의 방향에 대하여 ±30도의 범위 내에 있는 제1연신필름
    을 포함하는 전기광학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이 내측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제1연신필름과 상기 전기광학소자 사이에는 다수의 제2연신필름이 배치되는 전기광학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이 외측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제1연신필름의 외면에는 다수의 제2연신필름이 배치되는 전기광학패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신필름과 상기 다수의 제2연신필름은 각각 편광필름과 위상차필름 중 하나인 전기광학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신필름은 이축 연신필름이고,
    상기 주 연신축 방향은 직교하는 2개의 연신축 방향 중 상기 제1연신필름이 더욱 크게 연신된 방향인 전기광학패널.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일면으로 빛을 출사하거나, 상기 일면과 반대면인 타면을 통하여 빛을 출사하는 전기광학패널.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플렉서블기판과;
    상기 플렉서블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TFT층과;
    상기 TFT층 상부에 배치되는 OLED층
    을 포함하는 전기광학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플렉서블기판과 상기 TFT층 사이에 배치되는 베리어층과;
    상기 OLED층 상부에 배치되는 캡슐봉지체와;
    상기 캡슐봉지체 상부에 배치되는 금속봉지층
    을 더 포함하는 전기광학패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소자는, 상기 TFT층과 상기 OLED층 사이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광학패널.
KR1020160124852A 2016-04-28 2016-09-28 전기 광학 패널 KR20170123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91566 2016-04-28
JP2016091566A JP6826376B2 (ja) 2016-04-28 2016-04-28 電気光学パネ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218A true KR20170123218A (ko) 2017-11-07

Family

ID=6015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852A KR20170123218A (ko) 2016-04-28 2016-09-28 전기 광학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17968B2 (ko)
JP (1) JP6826376B2 (ko)
KR (1) KR20170123218A (ko)
CN (2) CN1073433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983B (zh) * 2018-07-26 2020-07-28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00123313A (ko) * 2019-04-18 2020-10-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0648590B (zh) * 2019-08-19 2021-12-10 上海聚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卷曲触控屏幕与激光显示一体机的制作方法
WO2023189797A1 (ja) * 2022-03-30 2023-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8463B2 (en) * 1998-01-13 2004-09-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st-formable multilayer optical films and methods of forming
EP1565782A1 (en) * 2002-11-22 2005-08-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manufacturing a curved display
US7465678B2 (en) * 2003-03-28 2008-12-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Deformable organic devices
US7083835B2 (en) * 2003-07-31 2006-08-01 Eastman Kodak Company Multilayer optical compensat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process
TW200527071A (en) * 2003-10-29 2005-08-16 Fuji Photo Film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liquid crystal cell of bend alignment mode or hybrid alignment mode
KR20070029714A (ko) * 2004-05-28 2007-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유연한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US8217381B2 (en) * 2004-06-04 2012-07-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trolled buckling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rconnects and nanomembran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US8901268B2 (en) 2004-08-03 2014-12-02 Ahila Krishnamoorthy Compositions, layers and films for optoelectronic device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TWI383011B (zh) * 2004-08-13 2013-01-21 Fujifilm Corp 醯化纖維素薄膜、光學補償膜、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4732876B2 (ja) 2005-11-30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クチュエータ、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および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製造方法
JP2007232802A (ja) * 2006-02-27 2007-09-13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7327923B2 (en) * 2006-03-31 2008-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piral multilayer fibers
JP4822432B2 (ja) 2006-07-25 2011-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CN101149511A (zh) 2006-09-21 2008-03-26 日东电工株式会社 液晶面板及液晶显示装置
JP4767897B2 (ja) * 2007-03-30 2011-09-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表示装置
CN101680990B (zh) * 2007-06-01 2013-09-04 帝人株式会社 相位差膜、叠层偏振光膜及液晶显示装置
KR20100089814A (ko) * 2007-08-02 2010-08-12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213407B2 (ja) * 2007-10-10 2013-06-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02471690B (zh) * 2009-07-09 2014-07-23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包含亚环己基基团的聚合物及其在具有负光色散的膜中的用途
EP2346108A1 (en) * 2010-01-15 2011-07-20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Foil shaped electro-optical product, semi-finish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870033B (zh) * 2010-02-22 2015-07-01 瑞尔D股份有限公司 用于直观式立体显示器的可弯曲液晶偏振开关
US9040129B2 (en) * 2010-04-26 2015-05-26 Fujifilm Corporation Protective film of polarizer,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42243B2 (en) * 2011-02-01 2014-09-23 Fujifilm Corporation IPS or FFS-mod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EP2696163B1 (en) * 2011-04-08 2018-05-2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splacement sensor, displacement detecting apparatus, and operation device
JP5965675B2 (ja) * 2012-03-05 2016-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パターン位相差層を有する円偏光板、および該円偏光板を有する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
JP5177332B1 (ja) * 2012-03-22 2013-04-03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長尺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401406B1 (ko) 2012-04-26 2014-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47138B1 (ko) 2012-10-04 2019-11-2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4073020A1 (ja) 2012-11-06 2014-05-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長尺斜め延伸フィルム、該長尺斜め延伸フィルムを用いた円偏光板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KR102055004B1 (ko) * 2012-12-21 2019-1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45511B1 (ko) 2012-12-27 2021-04-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5585747B1 (ja) * 2013-02-04 2014-09-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積層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70221A (ja)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KR102109140B1 (ko) * 2013-04-12 2020-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090713B1 (ko) * 2013-06-25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5378519B (zh) 2013-07-08 2018-11-02 富士胶片株式会社 光学膜、偏振片、图像显示装置及光学膜的制造方法
KR102089246B1 (ko) * 2013-07-19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111628B1 (ko) 2013-07-25 2020-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76615B1 (ko) 2013-07-3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2315659B1 (ko) * 2013-11-27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JP6213578B2 (ja) * 2013-12-27 2017-10-18 株式会社Joled 有機el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AU2015100011B4 (en) * 2014-01-13 2015-07-16 Apple Inc. Temperature compensating transparent force sensor
KR102207545B1 (ko) * 2014-09-25 2021-01-2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그 제조 방법
CN107210011B (zh) * 2015-02-04 2019-09-0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716148B (zh) * 2015-04-07 2017-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
KR102446890B1 (ko) * 2015-06-11 2022-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9943B1 (ko) * 2015-06-25 2022-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9723714B2 (en) * 2015-10-20 2017-08-01 Flexterra, Inc. Electronic circuit device having a protective backing for low-velocity impacts and high-velocity imp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17314A1 (en) 2017-11-02
US10217968B2 (en) 2019-02-26
US20190148678A1 (en) 2019-05-16
JP6826376B2 (ja) 2021-02-03
CN107343335A (zh) 2017-11-10
CN110121226A (zh) 2019-08-13
CN107343335B (zh) 2019-06-14
CN110121226B (zh) 2021-06-25
JP2017198939A (ja) 2017-11-02
US10957880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8963B (zh) 电子设备
US1028937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618274B (zh)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047031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parent protection window
US2018015305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4680941B (zh) 柔性显示装置
KR20170123218A (ko) 전기 광학 패널
TWI503355B (zh) 顯示設備的封裝膜
KR20170001819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50084260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727038B (zh) 觸控感測器集成濾色器及其製造方法
KR2015002043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450202B2 (en) Environmental sensitive electronic device package having side wall barrier structure
KR102562977B1 (ko) 전기 광학 패널
US8451404B2 (en)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plates with protective films
US20180114951A1 (en) Display device
CN107113926A (zh) 显示装置、用于制作该显示装置的贴合治具、贴合装置、拉伸治具以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200914943A (en) Optical element packag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WO2016183856A1 (zh) 背光单元及具有该背光单元的显示装置
US1060596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60345456A1 (en) Environmental sensitive electronic device package having side wall barrier structure
EP2808731A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films
KR102494150B1 (ko) 액정표시장치
US20210157043A1 (en) Display device
KR102008903B1 (ko) 가요성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7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910

Effective date: 2020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