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890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890B1
KR102446890B1 KR1020150082566A KR20150082566A KR102446890B1 KR 102446890 B1 KR102446890 B1 KR 102446890B1 KR 1020150082566 A KR1020150082566 A KR 1020150082566A KR 20150082566 A KR20150082566 A KR 20150082566A KR 102446890 B1 KR102446890 B1 KR 10244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ayer
area
display device
display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093A (ko
Inventor
김재현
김달호
김종우
김현
심창우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90B1/ko
Priority to US14/951,355 priority patent/US10825874B2/en
Priority to CN201610329764.4A priority patent/CN106252376B/zh
Priority to EP16174092.3A priority patent/EP3104415B1/en
Publication of KR2016014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01L27/3227
    • H01L27/3209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표시 장치의 화질 특성 향상이 요구된다.
한편, 근래에 사용자들의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의 표시 장치 사용 및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특성 상 표시 장치의 화질 특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벤딩된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면의 연장선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면의 일 영역은 평탄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의 일 영역은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벤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 영역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제2 베이스층은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제2 베이스층은 동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능 입자 또는 제2 광기능 입자는 컬러 필터의 유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능 입자 또는 제2 광기능 입자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제2 베이스층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광반사 저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에 의하여 덮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블랙 매트릭스 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패터닝되어 복수 개의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한 광은 상기 서로 이격된 광반사 저감 부재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출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과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질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가 시인하도록 가시광을 발생하는 제1 영역(F)과 상기 제1 영역(F)과 적어도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구비하는 제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0), 디스플레이부(200), 제1 베이스층(410), 제1 광기능 입자(4100), 제2 베이스층(43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은 유리 재질 또는 기타 절연 물질을 이용하거나 금속 박막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0)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00)은 유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실리콘계 폴리머(silicone-based polym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polyurethane acrylate),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 polymer) 및 아크릴레이트 터폴리머(acrylate terpolym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계 폴리머는,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헥사메틸디옥실란(hexamethyldisiloxane, HMDS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0)이 유연한 성질을 갖도록 형성하여, 2차원 적으로 연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0)은 0.4 이상의 포아송 비(Poisson's ratio)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포아송 비(Poisson's ratio)는 한쪽방향에서 잡아 당겨서 길이를 늘일 때, 다른 쪽 방향이 줄어드는 비를 의미한다. 기판(100)을 형성하는 재질의 포아송 비(Poisson's ratio)가 0.4 이상, 즉 기판(100)이 잘 늘어나는 특성을 갖도록 하여 기판(100)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기판(100)이 벤딩 영역을 갖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용이하게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100)의 하부는 상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기판(100)은 벤딩되어 하부로 상부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0)의 하부는 상부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평탄면을 가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00)는 기판(100)상에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사용자가 시인 가능하도록 가시 광선을 발생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다양한 소자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표시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0)가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비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28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83), 및 제2 전극(285)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281)과 제2 전극(285)에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는 중간층(283)의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전극(281) 및 제2 전극(285)은 다양한 도전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81) 및/또는 제2 전극(285)은 광투과성 재질 또는 반사형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광투과성 재질은 ITO, IZO, ZnO 또는 In2O3를 포함할 수 있고, 반사형 재질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있다.
중간층(283)은 제1 전극(281)과 제2 전극(285)의 사이에 형성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중간층(283)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IL: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중간층(283)은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디스플레이부(200)상에 형성된다.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각각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내에 구비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00)와 제1 베이스층(410)의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제2 베이스층(420)의 사이에 하나 이상의 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연층 또는 도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층(410)은 제1 영역(F)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베이스층(430)은 제2 영역(B)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41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은 잉크젯으로 형성이 가능할 정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베이스층(4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절연물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층(430)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층(430)은 잉크젯으로 형성이 가능할 정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기능 입자(4100)는 제1 베이스층(410)내에 배치된다. 제1 광기능 입자(4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 광기능 입자(4100)가 갖는 유채색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광기능 입자(4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일 제1 광기능 입자(4100)과 이와 다른 일 제1 광기능 입자(4100)가 서로 다른 색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제2 베이스층(420)내에 배치된다.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광기능 입자(4300)가 갖는 유채색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일 제2 광기능 입자(4300)과 이와 다른 일 제2 광기능 입자(4300)가 서로 다른 색을 구비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광기능 입자(4100)와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동일한 색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광기능 입자(4100) 또는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컬러 필터의 유색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광기능 입자(4100) 또는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광기능 입자(4100) 또는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25~40nm 크기의 안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기능 입자(4100)와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서로 다른 농도로 제1 베이스층(410)과 제2 베이스층(430)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광기능 입자(4100)는 제1 농도를 갖도록 포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제2 농도를 갖도록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농도는 제1 농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1 베이스층(410)을 잉크젯(ink-jet)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기능 입자(4300) 및 제2 베이스층(420)을 잉크젯(ink-jet) 공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젯(ink-jet) 공정에 의해 제1 베이스층(410) 및 제1 광기능 입자(4100)이 혼합된 재료를 디스플레이부(200)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광기능 입자(4300) 및 제2 베이스층(420)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잉크젯(ink-jet) 공정을 이용하여 제1 베이스층(410)내의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농도와 제2 베이스층(430)내의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잉크젯 공정 시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크기, 적하(drop)량, 피치(pitch)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잉크젯(ink-jet)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head) 별로 공정 레시피(recipe)를 달리하여 위치 별로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크기 및/또는 농도를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통하여 화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사한 외광의 반사를 감소하고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발생한 가시 광선의 휘도가 향상될 수도 있다.
특히, 제1 영역(F) 및 제2 영역(B)에 따라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제1 농도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제2 농도를 다르게 하여 다른 광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편광부재, 예를 들면 편광 필름 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 두께를 감소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연성을 향상하여 벤딩 영역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편광부재는 두께가 수십~수백 마이크로미터로 두껍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또는 벤딩에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점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편광 부재에 있어서, 점착제를 약 영하 20℃의 저온에서 경화시키면 폴딩시 점착제의 모듈러스(modulus)가 증가되면서 점착제가 딱딱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점착제가 압력을 가해 암점을 유발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이러한 편광 부재로 인한 문제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디스플레이부(200)를 외부의 이물, 외기 또는 습기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외기 또는 습기에 민감한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효과적으로 봉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0)를 봉지하기 위한 부재들을 생략 또는 축소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제조 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F)은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 영역(F)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중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B)은 제1 영역(F)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역(F)에 대응한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가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농도보다 높도록 하여 중심 영역에 비하여 낮아질 수 있는 광효율을 향상하여 제1 영역(F)과 제2 영역(B)의 화질 균일도를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B)은 제1 영역(F)보다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눈의 형상을 사용자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영역이 제 2영역(B)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벤딩되는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벤딩된 영역이 대응된 영역의 광기능 입자의 농도가 그렇지 않는 영역의 광기능 입자의 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B)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2 영역(B)의 상면은 제1 영역(F)의 상면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영역(F)의 상면의 적어도 일 부분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영역(F)은 적어도 일부분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전체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영역(B)의 상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B)의 적어도 일 부분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B)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가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경사면을 갖는 제2 영역(B)의 상면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B)의 상면은 일 영역이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B)에서 상면이 넓은 영역에서 곡면을 구비함에 따라 제2 영역(B)은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측면에서 제2 영역(B)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광이 투과하는 거리가 제1 영역(F)에서의 광이 투과하는 거리보다 길어지고, 이를 통하여 측면 시인성이 감소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B)에서의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를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농도보다 크도록 하여 측면 시인성을 향상하여 균일한 화질 특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유연성을 증대할 수 있고, 측면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100)의 상부에 버퍼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블록킹층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층(110)의 상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활성층(A),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텀 게이트 타입(bottom gate type) 등 다양한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채용될 수 있다.
활성층(A)은 실리콘 계열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산화물이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활성층(A)의 적어도 일 영역에 불순물을 주입할 수 있다.게이트 전극(G)이 활성층(A)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도전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과 활성층(A)을 절연하도록 게이트 전극(G)과 활성층(A)의 사이에는 게이트 절연막(210)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0)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 등의 다양한 절연 물질의 단층 막또는 다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30)이 게이트 전극(G)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3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이 층간 절연막(230)의 상부에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다양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 활성층(A)의 소정의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250)이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상에 형성된다. 패시베이션층(25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패시베이션층(250)의 상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패시베이션층(250)은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시베이션층(250)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281),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83), 및 제2 전극(285)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화소 또는 부화소를 구비할 수 있고, 도 3은 하나의 화소 또는 부화소의 일 영역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전극(281)은 패시베이션층(250)상에 형성되고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81)은 패터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화소 마다 패터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화소 정의막(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270)은 제1 전극(281)을 노출하는 개구(270a)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83)은 개구(270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전극(28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285)은 중간층(28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든 화소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제2 영역(B)이 제1 영역(F)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 영역(F)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운데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에 제1 영역(F)이 형성되고 제1 영역(F)의 양쪽으로 두 군데에 제2 영역(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B)은 각각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B)의 상면은 일 영역이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영역(B)의 상면 전체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제2 영역(B)이 벤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베이스층(410)은 제1 영역(F)에 대응되고, 제2 베이스층(430)은 제2 영역(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서 제1 영역(F)과 제2 영역(B)에 각각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410)과 제1 베이스층(41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두 영역의 제2 베이스층(430)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서 제1 베이스층(410)과 제2 베이스층(430)은 내부에 각각 제1 광기능 입자(4100)와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농도보다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가 더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잉크젯(ink-jet)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함에 따라 용이하게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 및/또는 크기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 구배에 차이를 두는 이유는 선택적 실시예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제2 영역(B)에서의 시야각 문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제1 영역(F)의 양쪽으로 두 군데에 제2 영역(B)이 각각 형성하고, 제2 영역(B)이 곡면 또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2 영역(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베이스층(430)을 투과하는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제2 베이스층(430)을 투과하는 두께가 증가되는 반면 농도가 높은 제2 광기능 입자(4300)가 포함됨에 따라 색 재현율이 증가하여 측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기능 입자(4100) 및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 구배에 차이를 두어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를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농도보다 크게 하는 경우 제2 영역(B)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서 보여지는 색 재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즉, 곡면 또는 벤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제2 영역(B)에서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를 크게 형성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광반사 저감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반사 저감 부재(500)는 외광의 하부 반사로 인한 콘트라스트(Contrast)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가시광 영역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블랙 매트릭스 형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광반사 저감 부재가 블랙 매트릭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하부 반사란 외광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전극이나 배선층 혹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아래 기판(100)에 반사되는 것을 나타낸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광반사 저감 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형성 위치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사 저감 부재(500)가 이격되어 제1 베이스층(410)과 제2 베이스층(430)에 의해 덮이도록 2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500)는 패터닝되어 복수 개의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광반사 저감 부재(500)가 형성됨에 따라 외광이 하부의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전극이나 배선층 등에 의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0)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서로 이격된 광반사 저감 부재(500)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출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연층(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310)은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31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수 있다. 상기 무기막들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 6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330)은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33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수 있다. 상기 무기막들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도 6 내지 도7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절연층(310) 및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절연층(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은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310) 및/또는 제2 절연층(330)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단일막 또는 적층막일수 있다. 상기 무기막들은 SiNx, Al2O3, SiO2, TiO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캡핑층(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0)는 캡핑층(290)을 더 포함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0)는 디스플레이부(200)와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사이에 배치되는 캡핑층(290) 및 캡핑층(290)과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호층(2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8000)는 캡핑층(290) 및 보호층(291)을 더 포함함에 따라 외부의 산소나 수분 등의 유해 요소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0)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층(291)은 LiF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핑층(290)을 포함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OLED) 등을 보호하기 위해 evaporation 등 다양한 증착 방법에 의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9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10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9000)는 기판(100), 기판(100)상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200),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보호하는 캡핑층(290) 및 캡핑층(290)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200) 및 캡핑층(290)을 보호하는 보호층(2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291)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제1 절연층(310), 제1 절연층(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포함하며,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영역(F)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베이스층(410) 및 제1 절연층(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포함하며,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영역(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베이스층(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반사광 저감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산소나 수분의 침투를 견고히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제2 절연층(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로 휴대용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표시 장치 어디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인 휴대용 단말기는 가운데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에 제1 영역(F)이 형성되고 제1 영역(F)의 양쪽으로 두 군데에 제2 영역(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영역(B)은 벤딩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나타내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이들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B)이 제1 영역(F)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 영역(F)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운데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에 제1 영역(F)이 형성되고 제1 영역(F)의 양쪽으로 제2 영역(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반사광 저감 부재(500)가 제2 영역(B)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반사광 저감 부재(50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2 베이스층(430)에 덮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사광 저감 부재(500)의 개수, 위치 및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 개의 반사광 저감 부재(500)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베이스층(410) 또는 제2 베이스층(430)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면 개수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제1 절연층(310), 제1 베이스층(410), 제2 베이스층(430), 제2 절연층(330)은 디스플레이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밀봉하는 봉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봉지부가 박막 봉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박막 봉지는 복수 개의 무기막과 유기막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절연층(310) 및 제2 절연층(330)이 무기막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1 베이스층(410) 및 제2 베이스층(430)이 유기막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1 절연층(310), 제1 베이스층(410), 제2 베이스층(430), 제2 절연층(330)은 디스플레이부(200)를 외부의 수분 또는 산소 등 불순물로부터 보호하는 봉지부의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발생하는 빛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가 경사진 부분을 갖는 제2 영역(B)에 형성되는 제2 베이스층(430)에 포함되는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농도가 제1 광기능 입자(4100)보다 높게 형성됨에 따라 측면 시인성(WAD)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인하도록 가시광을 발생하는 제1 영역(F) 및 상기 제1 영역(F)과 적어도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구비하는 제2 영역(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100)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제1 영역(F)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410)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베이스층(410) 내에 제1 농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유채색의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제2 영역(B)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베이스층(430) 내에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유채색의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복수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는 활성층(A), 게이트 절연막(210), 게이트 전극(G)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층(A)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증착 방법에 의해 증착될 수 있다. 이 때, 결정질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방법은 RTA(rapid thermal annealing)법, SPC(solid phase crystallzation)법, ELA(excimer laser annealing)법, MIC(metal induced crystallzation)법, MILC(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zation)법,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정화될 수 있다. 활성층(A)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통해서 패터닝 될 수 있다.
활성층(A)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210)은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또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PECVD) 등 다양한 증착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210)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210)에 의해 활성층(A)으로부터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G)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G)의 상부에는 층간 절연막(230)이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30)은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또는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lasma Enhanced Chemical Vapour Deposition; PECVD) 등 다양한 증착방법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층(4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베이스층(41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베이스층(410)을 형성하는 재료와 상기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제1 베이스층(410)을 형성하는 재료와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41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기능 입자(4100)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론 제1 베이스층(410)과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형성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된 제1 베이스층(410)을 형성하는 재료와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배치하는 단계는 잉크젯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잉크젯(ink-jet)공정에 의해 제1 광기능 입자(4100)를 배치함에 따라 제1 광기능 입자(4100)의 위치와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베이스층(430)의 내부에 포함되는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하는 재료와 상기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하는 재료와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층(43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광기능 입자(4300)는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론 제2 베이스층(430)과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형성하는 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베이스층(410) 및 제1 광기능 입자(4100)와 마찬가지로 혼합된 제2 베이스층(430)을 형성하는 재료와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배치하는 단계 역시 잉크젯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잉크젯(ink-jet)공정에 의해 제2 광기능 입자(4300)를 배치함에 따라 제2 광기능 입자(4300)의 위치와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벤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벤딩되는 방향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에게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의해 벤딩된 영역은 제2 영역(B)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영역(F)은 사용자가 인식하는 중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B)은 제1 영역(F)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B)이 벤딩된 영역을 포함함에 따라 제2 영역(B)의 상면은 제1 영역(F)의 상면의 연장선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기판
200: 디스플레이부
310: 제1 절연층
410: 제1 베이스층
4100: 제1 광기능 입자
430: 제2 베이스층
4300: 제2 광기능 입자
330: 제2 절연층
500: 반사광 저감 부재

Claims (23)

  1.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벤딩된 영역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은 상기 제1 영역의 상면의 연장선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면의 일 영역은 평탄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의 일 영역은 경사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면의 일 영역은 곡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에 대하여 제1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1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1 광기능 입자;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제1 농도보다 높은 제2 농도를 갖도록 상기 제2 베이스층 내에 구비되고 유채색을 갖는 복수의 제2 광기능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벤딩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 영역의 양쪽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제2 베이스층은 절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제2 베이스층은 동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능 입자 또는 제2 광기능 입자는 컬러 필터의 유색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기능 입자 또는 제2 광기능 입자는 안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제2 베이스층에 인접하도록 형성된 광반사 저감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에 의하여 덮이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블랙 매트릭스 형성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 저감 부재는 패터닝되어 복수 개의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한 광은 상기 서로 이격된 광반사 저감 부재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출사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층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과 상기 제1 베이스층 또는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82566A 2015-06-11 2015-06-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66A KR102446890B1 (ko) 2015-06-11 2015-06-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951,355 US10825874B2 (en) 2015-06-11 2015-11-2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610329764.4A CN106252376B (zh) 2015-06-11 2016-05-18 显示设备及制造显示设备的方法
EP16174092.3A EP3104415B1 (en) 2015-06-11 2016-06-1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66A KR102446890B1 (ko) 2015-06-11 2015-06-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093A KR20160147093A (ko) 2016-12-22
KR102446890B1 true KR102446890B1 (ko) 2022-09-26

Family

ID=5613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66A KR102446890B1 (ko) 2015-06-11 2015-06-1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5874B2 (ko)
EP (1) EP3104415B1 (ko)
KR (1) KR102446890B1 (ko)
CN (1) CN1062523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1683A1 (de) * 2015-02-05 2016-08-11 Osram Oled Gmbh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chtemittierenden Vorrichtung
JP6826376B2 (ja) * 2016-04-28 2021-02-03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光学パネル
KR102491653B1 (ko) * 2018-03-08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CN108598130B (zh) * 2018-05-18 2021-08-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8711577B (zh) 2018-05-24 2022-01-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TWI683450B (zh) * 2018-06-29 2020-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面板及其製造方法
WO2020237469A1 (zh) * 2019-05-27 2020-12-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293405B1 (ko) * 2020-02-24 2021-08-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트레처블 발광소재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1554717B (zh) * 2020-05-15 2023-01-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739A (ja) * 2005-09-30 2007-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用塗工液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基板、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20120300131A1 (en) 2010-02-17 2012-11-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1519A (ja) * 1992-03-31 1993-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24860B1 (en) * 1998-01-26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Color filter layer providing transmitted light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04296353A (ja) * 2003-03-27 2004-10-2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KR100722116B1 (ko) 2005-11-07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발광형 유기 발광표시장치
KR100782461B1 (ko) * 2006-04-05 2007-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Tft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823511B1 (ko) * 2006-11-10 2008-04-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750A (ko) * 2007-03-30 2008-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72851B1 (ko) 2008-07-11 2014-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58109B1 (ko) 2009-09-15 2011-08-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4171B1 (ko) * 2009-12-08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고분자 분산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방법
US9275979B2 (en) * 2010-03-03 2016-03-01 Cree, Inc. Enhanced color rendering index emitter through phosphor separation
WO2011109097A1 (en) * 2010-03-03 2011-09-09 Cree, Inc. Enhanced color rendering index emitter through phosphor separation
KR101813171B1 (ko) 2011-09-01 2017-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차단성 박막, 이를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9304538B2 (en) * 2012-12-13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8928021B1 (en) * 2013-06-18 2015-01-06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LED light pipe
KR102122380B1 (ko) * 2013-07-10 2020-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6284346B2 (ja) 2013-11-25 2018-02-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1739A (ja) * 2005-09-30 2007-04-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用塗工液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基板、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20120300131A1 (en) 2010-02-17 2012-11-2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2376A (zh) 2016-12-21
US20160365393A1 (en) 2016-12-15
CN106252376B (zh) 2022-01-11
KR20160147093A (ko) 2016-12-22
US10825874B2 (en) 2020-11-03
EP3104415B1 (en) 2019-10-23
EP3104415A1 (en)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689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5885B1 (ko) 표시 장치
KR1019311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6242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10524B1 (ko) 표시 장치
KR1023184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1876B1 (ko) 표시장치
KR102491882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941341B2 (en)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US2014036126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8472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007265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6865B1 (ko) 표시 장치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3504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271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3922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9728594B2 (en) Display device
KR10209688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3325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4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US1186441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356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30208018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572725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37106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