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634A -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634A
KR20170122634A KR1020160095204A KR20160095204A KR20170122634A KR 20170122634 A KR20170122634 A KR 20170122634A KR 1020160095204 A KR1020160095204 A KR 1020160095204A KR 20160095204 A KR20160095204 A KR 20160095204A KR 20170122634 A KR20170122634 A KR 20170122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ouch control
processing unit
control device
inte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샨 웨이
Original Assignee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오카이 일렉트로닉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2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9Input means, e.g. buttons,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30Capturing games for grabbing or trapping objects, e.g. fishing gam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07F17/3213Details of moving display elements, e.g. spinning reels, tumbling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요하게 기존의 뽑기 기계가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공개하였는 바,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는, 컴파트먼트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고, 집게 및 상기 집게와 결합되고 상기 집게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작동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는 클리핑 장치;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하고,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생성시키는 터치 제어 장치; 및 상기 클리핑 장치 및 상기 터치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을 공개한다. 이로써, 상기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INTERACTIVE TYPE GRABB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뽑기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뽑기 기계는 사용자가 집게(claw)를 제어하여 물품을 그래빙(grabbing)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인형 뽑기 기계를 예로 들면, 주요하게는 본체의 상반부에 설치되는 컴파트먼트(compartment); 상기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로드(sliding rod) 어셈블리; 상기 슬라이딩 로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집게; 상기 본체의 하반부에 설치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로커(rocker) 및 버튼을 포함하며, 그 실시예는 중화민국 공고번호 제M415731호 “게임기 궤도 구조 개량” 특허안을 참조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맨손으로 상기 로커를 잡을 수 있고, 손목을 이용하여 힘을 가하여 상기 로커가 일 방위로 기울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게가 상기 방위를 향해 이동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집게가 적당한 위치로 이동되면, 바로 상기 버튼을 눌러 상기 집게를 하강시켜 상기 컴파트먼트 내의 물품을 집어, 상기 집게는 다시 상승하고 낙하구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가 물품을 이미 잡았으면, 상기 물품은 상기 낙하구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 아래쪽의 취출구로 떨어진다.
그러나, 기존의 뽑기 기계는 단지 사용자가 독자적으로 상기 집게를 이동, 하강, 집기, 상승 등 물체를 집는 과정을 제어하는 오락적인 기능만 제공할 수 있기에, 상기 오락적인 기능은 통상적인 것이고 인터랙티브가 결여되어, 게이머를 유인하는 것이 이미 점점 어려워 졌다.
이에 감안하여, 상기 선행기술의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하지 않은” 단점을 개선하여, 실제적인 수요에 부합되도록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한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한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공개하는 바,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는, 컴파트먼트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고, 집게 및 상기 집게와 결합되고, 상기 집게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작동 어셈블리(actuating assembly)가 설치되어 있는 클리핑 장치(clipping apparatus);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하고,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interactive mode)를 생성시키는 터치 제어 장치; 및 상기 클리핑 장치 및 상기 터치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을 더 공개하는 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제어하는 것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는 클리핑 장치 및 터치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클리핑 장치는 하우징의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클리핑 장치에 작동 어셈블리 및 집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게는 상기 작동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집게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의 단계는,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유닛이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이동 인스트럭션(moving instruction)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상기 프롬프팅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수평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에 따라 이동 신호를 생성하고, 상술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그래빙 인스트럭션(grabbing instruc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제어 장치의 프롬프팅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그래빙 블록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에 따라 서큘러(circular)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서큘러 파라미터에 따라 캐치 모드 또는 스트롱 클립 모드를 진행하도록 한다. 이로써,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이용하여 오락 기능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롱 클립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을 거쳐 전력 그래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집게가 최대의 힘으로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게이머가 기대하는 최대 힘으로 집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래빙을 성공시켜 원하는 물품을 얻도록 한다.
상기 캐치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컴퓨터 이미지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목적지는 경기장으로 통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경기 모드를 생성하고, 다수의 디폴트 방안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로 하여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되는 디폴트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다수의 디폴트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포인트 적립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1회 무료 모드, 상기 2회 무료 모드 또는 상기 3회 무료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무료 횟수를 각각 1, 2, 3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무료 횟수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 장치를 거쳐, 다시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 횟수를 수신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기 동작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랜덤으로 게이머에게 이익을 선사하는 것을 이용하여, 게이머가 이익을 얻는 우월감을 느끼게 하여 오락 과정에서의 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포인트 적립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점차 조금씩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바,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포인트 적립 상한 값과 동일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로또 모드를 생성하고, 만약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0으로 클리어한다. 상기 로또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다수의 선택 블록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의 선택 블록을 선택하여 로또 결과로 한 후, 상기 로또 결과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기설정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한다. 이로써, 자체 선택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머에게 이익을 선사하는 것을 이용하여, 게이머가 이익을 얻는 우월감을 느끼게 하여 오락 과정에서의 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처리 유닛은 무선 통신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 방송 장치 및 발광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술한 컴파트먼트의 벽면에 낙하구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구는 취출구와 연통된다. 이로써,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는 상기 처리 유닛의 처리 기록 또는 상기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가 촬영한 영상 등 데이터를 원격 장치에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는 상기 원격 장치에 의해 파라미터를 상기 처리 유닛까지 전송하여, 상기 처리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 또는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업데이트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게시한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은, 단일 접점의 터치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지 상기 터치 제어 장치의 프롬프팅 화면의 특정 블록을 클릭하기만 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바로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이한 오락 인터랙티브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캐치 모드, 스트롱 클립 모드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더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집게가 승강 및 잡기 동작을 수차례 진행하도록 제어하여, 게이머가 오락 기능에 대한 흥미 정도 및 사용시간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조작이 간편"하고 "오락 상호 작용 정도를 향상"시키는 등 효과를 달성시킬 수 있고, 오락 기능으로 응용될 경우, 기존의 로커 타입 게임기의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개선하여, 신선한 게임 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인터랙티브 물품 뽑기의 흥취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사용 수요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1)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2)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3)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4)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5)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도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식도(6)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욱 뚜렷하게 하기 위해, 아래 특별히 첨부된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전문에서 서술한 “전”, “후”, “좌”, “우”, “상(정)”, “하(저)”, “내”, “외”, “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주요하게 첨부된 도면의 방향을 참조하되, 각 방향성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보조적으로 설명 및 이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문에서 서술한 “터치 제어”(touching control)는 사용자가 신체 또는 기구를 이용하여 터치 제어 패널의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에 대해, 예를 덜어 클릭 또는 슬라이딩 등(도1, 2에 도시된 바와 같음)과 같은 터치 행위를 발생시켜, 상기 터치 제어 패널이 상기 터치 행위에 따라, 예를 들어 클릭 또는 슬라이딩의 위치 좌표 및 시간 등과 같이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예를 들어 집게 이동을 제어하는 등 제어되는 물체를 제어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의 사시 조립도이다. 여기서,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는 하우징(1), 클리핑 장치(2), 터치 제어 장치(3) 및 처리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하우징(1) 에 상기 클리핑 장치(2)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클리핑 장치(2) 및 터치 제어 장치(3)는 상기 처리 유닛(4)과 전기적 연결되어, 사용자가 터치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1)의 내용물, 예를 들면, 인형, 액세서리, 전자 제품 또는 기타 물품 등을 그래빙하는 기능을 실현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임의의 기존의 뽑기 기계의 구조일 수 있고, 상기 하우징(1)에 상기 클리핑 장치(2)를 설치하기 위한 컴파트먼트(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리핑 장치(2)에 작동 어셈블리(21) 및 집게(22)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집게(22)는 상기 작동 어셈블리(2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는 전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조합 구조를 구비하여, 상기 집게(22)의 작동을 추동시킴으로써, 상기 컴파트먼트(11) 내의 물품을 집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터치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touch panel) 등일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프롬프팅 화면을 생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바, 예를 들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특정 블록을 선택하는 것이며(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생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집게(22)를 평행 이동, 승강, 개합 또는 상이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의 컴퓨터 아이콘(icon) 등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처리 유닛(4)은 데이터 저장, 연산 및 신호 생성 기능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프로그램 가능 로직 제어기(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상기 기능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 등일 수 있고, 상기 처리 유닛(4)은 상기 클리핑 장치(2) 및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처리 유닛(4)은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필요한 데이터 또는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유닛(4)은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집게(22)의 수평, 수직 이동 및 잡기 동작(예컨대, 집게(22)의 다수의 집게발(221)의 개합 동작)의 횟수가 상이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중복으로 물품을 집는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식의 실시예는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응용될 수 있고,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클리핑 장치(2) 및 터치 제어 장치(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처리 유닛(4)을 포함하되, 상기 클리핑 장치(2)는 상기 하우징(1)의 컴파트먼트(11) 내에 설치되고, 상기 클리핑 장치(2)에 상기 작동 어셈블리(21) 및 집게(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게(22)는 상기 작동 어셈블리(21)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는 상기 집게(22)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의 단계는, 상기 터치 제어 장치(3)가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3)가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생성시킬 수 있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유닛(4)이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22)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 예를 들어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 행태를 설명하는 바,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실시예를 오락 용도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우징(1)의 컴파트먼트(11)의 벽면에 낙하구(12)가 더 설치되고, 상기 낙하구(12)는 취출구(13)와 연통되어, 사용자가 상기 낙하구(12)에 의해 송출되는 물품을 획득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클리핑 장치(2)의 작동 어셈블리(21)가 상기 집게(22)를 추동시키는 방식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작동 어셈블리(21)에 다수의 가이드 로드(예컨대 선형 가이드 로드 또는 나사축 등임)가 설치되어 상기 컴파트먼트(11) 중의 조금 높은 위치에 결합시키고, 상기 가이드 로드는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의 이동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 어셈블리는 본체에 의해 상기 집게(22)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집게(22)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 어셈블리(예컨대 모터 등임)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되는 바, 예를 들면, 슬라이딩 레일과 함께 상기 집게(22)를 상기 컴파트먼트(11) 내부로 수평 이동하도록 추동시킬 수 있고, 또한 로프(rope)와 함께 상기 집게(22)를 수직 이동하도록 추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동 부재(예를 들면 핀 조인트(pin joint) 어셈블리 등임)와 함께 상기 집게(22)의 다수의 집게발(221)이 개합 작동하도록 추동시킴으로써, 상기 컴파트먼트(11) 내의 물품을 상기 낙하구(12)의 위쪽까지 집어 상기 물품이 상기 낙하구(12)에 자유낙하되도록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상기 하우징(1)의 외표면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의 전면, 측표면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의 프롬프팅 화면은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31)에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데, 예를 들면, 슬라이딩 궤적을 생성하거나 다수의 방위 블록(D)을 선택하는 것으로,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에 따라 이동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4)이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거쳐 상기 집게(22)가 수평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31)도 사용자가 그래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여 상기 집게(22)가 하강, 폐합되어 물품을 집고 상승 및 낙하구(12) 위쪽까지 이동하는 등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의 입력 방식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그래빙 블록(P)을 선택하는 것이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에 따라 서큘러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R)은 원래 지속적으로 돌아가며 움직이는데 손가락으로 선택한 후, 상방의 지침이 상기 회전판(R)의 눈금 수치(RN)(”1”~”6”), 스트롱 클립 구간(RE)(”1”과 ”6”사이) 중의 하나를 가리키면, 상기 처리 유닛(4)이 상기 눈금 수치(RN)(도2의 ”5”와 같음)에 따라 캐치 모드(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스트롱 클립 구간(RE)에 따라 스트롱 클립 모드(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트롱 클립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4)에 의해 전력 그래빙 신호(full power grabbing signal)를 생성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상기 집게(22)가 최대의 힘으로 잡기 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집게(22)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공률로 상기 집게(22)까지 전송한다. 상기 캐치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4)에 의해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거쳐 상기 집게(22)가 승강 및 잡기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유닛(4)은 상기 터치 제어 장치(3)가 컴퓨터 이미지(C)(예컨대 만화 캐릭터)를 목적지(N)까지 이동시키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상기 목적지(N)가 경기장(A)으로 통하면, 상기 처리 유닛(4)은 경기 모드(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생성시킬 수 있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는 다수의 디폴트 방안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S)로 하여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결과(S)에 대응되는 디폴트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디폴트 결과는 1회 무료 모드 (즉 무료로 다시 한번 플레이할 수 있음, 도5의 S1과 같음), 2회 무료 모드(즉 무료로 다시 두번 플레이할 수 있음, 도5의 S2과 같음), 3회 무료 모드(즉 무료로 다시 세번 플레이할 수 있음, 도5의 S3과 같음), 포인트 적립 모드(즉 포인트, 별점을 적립할 수 있음, 도5의 T와 같음) 및 꽝 모드(즉 그 어떤 이익도 획득하지 못하였음, 도5의 H와 같음)를 포함하고, 만약 상기 선택 결과(S)가 상기 1회 무료 모드(S1), 상기 2회 무료 모드(S2) 또는 상기 3회 무료 모드(S3)이면, 상기 처리 유닛(4)은 무료 횟수를 각각 1, 2, 3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무료 횟수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를 거쳐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 횟수를 다시 수신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거쳐 상기 집게(22)가 승강하여 잡기 동작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상기 선택 결과(S)가 상기 포인트 적립 모드(T)이면, 상기 처리 유닛(4)은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점차 조금씩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바,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상기 터치 제어 장치(3)(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만약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포인트 적립 상한 값(5포인트)과 동일하면, 상기 처리 유닛(4)은 로또 모드(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음)를 생성하고,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0으로 클리어한다. 상기 로또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4)에 의해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에 다수의 선택 블록(E)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의 선택 블록(E1)을 로또 결과로 한 후, 상기 로또 결과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에 표시한다. 상기 기설정 방안은 상기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실시예가 오락에 사용될 경우, 상기 처리 유닛(4)은 무선 통신 송수신기(5)(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1 및/또는 LTE 등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송수신 모듈임),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6, 6')(예컨대 디지털 촬영 어셈블리임), 방송 장치(7)(예컨대 스피커) 및 발광 모듈(8)(예컨대 다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패널 등임)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5)는 상기 처리 유닛(4)의 처리 기록 또는 상기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6, 6')가 촬영한 영상 등 데이터를 원격 장치,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 또는 행동 연산 장치 등에 전송하여, 관계자가 관련 결정을 하는데 참고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무선 통신 송수신기(5)도 상기 원격 장치에 의해 파라미터를 상기 처리 유닛(4)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처리 유닛(4)의 제어 프로그램 또는 파라미터 등, 예를 들면, 상기 작동 어셈블리(21), 집게(22), 방송 장치(7) 및 발광 모듈(8)의 작동 방식을 업데이트하도록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 업데이트에 필요한 시간과 인력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단일 접점의 터치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지 상기 터치 제어 장치(3)의 프롬프팅 화면의 특정 블록을 가볍게 클릭하기만 하면, 상기 처리 유닛(4)은 바로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이한 오락 인터랙티브 모드를 표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캐치 모드, 스트롱 클립 모드 등을 표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작동 어셈블리(21)를 더 제어하여, 상기 집게(22)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집게(22)가 승강 및 잡기 동작을 수차례 진행하도록 제어하여, 게이머가 오락 기능에 대한 흥미 정도 및 사용시간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조작이 간편"하고 "오락 상호 작용 정도를 향상"시키는 등 효과를 달성시킬 수 있고, 오락 기능으로 응용될 경우, 기존의 로커 타입 게임기의 "인터랙티브가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개선하여, 신선한 게임 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인터랙티브 물품 뽑기의 흥취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사용 수요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이미 상기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공개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진행하는 여러 가지 변화 및 보정은 여전히 본 발명의 보호하고자 하는 기술 범위에 속하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1: 하우징 11: 컴파트먼트
12: 낙하구 13: 취출구
2: 클리핑 장치 21: 작동 어셈블리
22: 집게 221: 집게발
3: 터치 제어 장치 31: 인간 컴퓨터 인터페이스
4: 처리 유닛 5: 무선 통신 송수신기
6, 6’: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 7: 방송 장치
8: 발광 모듈
A: 경기장 C: 컴퓨터 이미지
D: 수평 방위 블록 E, E1: 선택 블록
N: 목적지 P: 그래빙 블록
R: 회전판 RN: 눈금 수치
RE: 스트롱 클립 구간 S: 선택 결과
S1: 1회 무료 모드 S2: 2회 무료 모드
S3: 3회 무료 모드 T: 포인트 적립 모드
H: 꽝 모드

Claims (27)

  1.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로서,
    컴파트먼트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고, 집게 및 상기 집게와 결합되고, 상기 집게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작동 어셈블리(actuating assembly)가 설치되어 있는 클리핑 장치(clipping apparatus);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제공하고,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interactive mode)를 생성시키는 터치 제어 장치; 및 상기 클리핑 장치 및 상기 터치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그래빙 인스트럭션(grabbing instructio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의 프롬프팅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그래빙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에 따라 서큘러(circular)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서큘러 파라미터에 따라 캐치 모드 또는 스트롱 클립 모드를 진행하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롱 클립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을 거쳐 전력 그래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집게가 최대의 힘으로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컴퓨터 이미지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목적지가 경기장으로 통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경기 모드를 생성하고, 다수의 디폴트 방안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로 하여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되는 디폴트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폴트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포인트 적립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1회 무료 모드, 상기 2회 무료 모드 또는 상기 3회 무료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무료 횟수를 각각 1, 2, 3으로 설정하고, 상기 무료 횟수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 장치를 거쳐, 다시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 횟수를 수신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기 동작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8. 제6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포인트 적립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점차 조금씩 증가되도록 설정해서,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포인트 적립 상한 값과 동일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로또 모드를 생성하고, 만약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0으로 클리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또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다수의 선택 블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선택 블록을 선택하여 로또 결과로 한 후, 상기 로또 결과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이동 인스트럭션(moving instructio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상기 프롬프팅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수평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에 따라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무선 통신 송수신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캡처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방송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발광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파트먼트의 벽면에 취출구와 연통되는 낙하구가 구비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17.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으로서;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를 제어하는 것에 응용되고,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는 클리핑 장치 및 터치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클리핑 장치는 하우징의 컴파트먼트 내에 설치되는 작동 어셈블리 및 집게가 포함되며, 상기 집게는 상기 작동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집게가 작동되도록 추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의 단계는,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다수의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프롬프팅 화면을 출력하여,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상이한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에 따라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유닛이 상이한 인터랙티브 모드에 따라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제어하여, 상기 집게의 작동 모드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그래빙 인스트럭션(grabbing instructio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의 프롬프팅 화면은 사용자가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그래빙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에 따라 서큘러(circular)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서큘러 파라미터에 따라 캐치 모드 또는 스트롱 클립 모드를 진행하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롱 클립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을 거쳐 전력 그래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집게가 최대의 힘으로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는 동작을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터치 제어 장치가 컴퓨터 이미지가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목적지가 경기장으로 통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경기 모드를 생성하고, 다수의 디폴트 방안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결과로 하여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결과에 대응되는 디폴트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폴트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포인트 적립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1회 무료 모드, 상기 2회 무료 모드 또는 상기 3회 무료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무료 횟수를 각각 1, 2, 3으로 설정하고, 상기 무료 횟수에 따라 상기 터치 제어 장치를 거쳐, 다시 상기 그래빙 인스트럭션 횟수를 수신하여,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승강하여 잡기 동작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만약 상기 선택 결과가 상기 포인트 적립 모드이면, 상기 처리 유닛은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점차 조금씩 증가되도록 설정해서,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가 포인트 적립 상한 값과 동일하면, 상기 처리 유닛은 로또 모드를 생성하고, 만약 상기 포인트 적립 파라미터를 0으로 클리어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로또 모드는 상기 처리 유닛에 의해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다수의 선택 블록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임의의 선택 블록을 선택하여 로또 결과로 한 후, 상기 로또 결과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안을 상기 터치 제어 장치에 표시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방안은 1회 무료 모드, 2회 무료 모드, 3회 무료 모드 및 꽝 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제어 인스트럭션은 이동 인스트럭션(moving instructio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을 입력하도록 상기 프롬프팅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터치 제어 장치는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작동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집게가 수평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도록, 상기 이동 인스트럭션에 따라 이동 신호를 생성하는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의 제어 방법.
KR1020160095204A 2016-04-27 2016-07-27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2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13176 2016-04-27
TW105113176A TWI584859B (zh) 2016-04-27 2016-04-27 互動式抓物機及其控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34A true KR20170122634A (ko) 2017-11-06

Family

ID=5655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204A KR20170122634A (ko) 2016-04-27 2016-07-27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12623A1 (ko)
EP (1) EP3238794A1 (ko)
JP (1) JP2017196375A (ko)
KR (1) KR20170122634A (ko)
CN (1) CN107308635A (ko)
TW (1) TWI5848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3514A (zh) * 2017-12-04 2018-04-17 深圳市安致兰德科技有限公司 一种在线抓娃娃机控制与视频流推送系统及方法
CN108079569A (zh) * 2018-02-01 2018-05-29 广州扫地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娃娃机以及抓娃娃设备
CN108355344A (zh) * 2018-03-16 2018-08-03 北京云点联动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娃娃机及其拼装方法
CN108635828A (zh) * 2018-03-29 2018-10-12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娃娃机操作方法、设备、系统
CN116197887B (zh) * 2021-11-28 2024-01-30 梅卡曼德(北京)机器人科技有限公司 生成抓取辅助图像的图像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3126946A1 (en) * 2022-01-02 2023-07-06 Arcadia Gaming Solutions Ltd. Game of chance claw machine
TWI827377B (zh) * 2022-11-22 2023-12-21 寶凱電子企業股份有限公司 遊戲機的抓取裝置的移動方法
CN116421960B (zh) * 2023-06-12 2023-08-25 山东中清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处理的抓取控制方法及装置
USD1028097S1 (en) * 2024-01-22 2024-05-21 Feng Lin Children's claw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892A (en) * 1997-06-04 1999-10-19 Shoemaker, Jr.; Stephen P. Video crane game
GB0223192D0 (en) * 2002-10-07 2002-11-13 Cromptons Leisure Internat Ltd Games machine
US7513505B2 (en) * 2003-11-09 2009-04-07 King Show Gam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youts in gaming systems
GB2448337A (en) * 2007-04-11 2008-10-15 Sega Amusements Europ Ltd Capture assembly including an image capture means
JP4926088B2 (ja) * 2008-02-01 2012-05-09 株式会社タイトー 床面操作式クレーンゲーム機
JP5268571B2 (ja) * 2008-11-04 2013-08-21 株式会社タイトー クレーンゲーム機
JP5474714B2 (ja) * 2010-09-08 2014-04-1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ゲーム装置
TWM415731U (en) 2011-06-20 2011-11-11 Lih Yuan Entertainment Co Ltd Improved track structure of game machine
JP5847508B2 (ja) * 2011-09-14 2016-01-20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景品獲得ゲーム機及びサーバ
CN202751784U (zh) * 2012-08-30 2013-02-27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设备
CN203577300U (zh) * 2013-10-25 2014-05-07 陈永彪 一种迷你型捉物玩具机
JP6255920B2 (ja) * 2013-11-11 2018-01-10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ゲーム機
JP6413354B2 (ja) * 2014-05-30 2018-10-31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6311210B2 (ja) * 2014-06-02 2018-04-18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2016140723A (ja) * 2015-02-05 2016-08-08 株式会社エンハート 景品取得ゲーム装置および景品取得ゲーム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8635A (zh) 2017-11-03
EP3238794A1 (en) 2017-11-01
US20170312623A1 (en) 2017-11-02
JP2017196375A (ja) 2017-11-02
TWI584859B (zh) 2017-06-01
TW201737980A (zh)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634A (ko) 인터랙티브 뽑기 기계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30519A1 (en) Programmable actuation force input for an accessory and methods thereof
US10534432B2 (en) Control apparatus
CN103501868B (zh) 用于对分开的计算机游戏元素的控制的方法和系统
US20120276995A1 (en) Manual and camera-based avatar control
US20220233956A1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N106023308A (zh) 一种体感交互快速三维建模辅助系统及其方法
JP2016198467A (ja) デジタル麻雀ゲーム機
US20170312621A1 (en) Touch Control Type Object Grabbing Machine
JP2005131298A5 (ko)
JP5453006B2 (ja) ゲーム装置
JP2005319191A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画像生成方法
WO2018043693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865281A (zh) 一种对象控制的方法以及相关装置
CN209500739U (zh) 取物游戏机
JP6416419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50097866A (ko) 네추럴 ui를 이용한 원격 포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TWI683693B (zh) 取物遊戲機
JP6307651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461211B1 (ko) 타임라인을 이용한 게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8187360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80098972A (ko) 컴퓨터용 마우스
JP2019103815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9103616A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