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281A - 금속 공기 전지 - Google Patents

금속 공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281A
KR20170122281A KR1020177029903A KR20177029903A KR20170122281A KR 20170122281 A KR20170122281 A KR 20170122281A KR 1020177029903 A KR1020177029903 A KR 1020177029903A KR 20177029903 A KR20177029903 A KR 20177029903A KR 20170122281 A KR20170122281 A KR 2017012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air
cell
space
water supply
ai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697B1 (ko
Inventor
마사키 다카하시
쓰토무 나리타
요시하루 나카지마
히로시 사카마
Original Assignee
후지쿠라 고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쿠라 고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쿠라 고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01M12/065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with plate-like electrodes or stacks of plate-like electrodes
    • H01M2/1016
    • H01M2/12
    • H01M2/26
    • H01M2/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73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10/00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specific gases
    • C01B2210/0043Impurity removed
    • C01B2210/0062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4Insertabl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특히, 생성 가스의 외부로의 적절한 배출과 신속한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공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금속 공기 전지는, 복수 개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가진 유닛 본체(2)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 마련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공통의 급수 스페이스(16)와, 상기 급수 스페이스와 통하고 상기 금속 공기 전지 셀의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인출하는 배선구(27a)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Description

금속 공기 전지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구비한 금속 공기 전지에 관한 것이다.
금속 공기 전지란, 양극인 공기극에 있어서 대기 중의 산소를 양극 활물질로 이용하고, 해당 산소의 산화 환원 반응이 행해진다. 한편, 음극인 금속극에 있어서 금속의 산화 환원 반응이 행해진다. 금속 공기 전지의 에너지 밀도는 높고, 재해 시 등에 있어서 비상용 전원 등의 역할로서 기대되고 있다. 이 비상용 전원 등의 역할로서 기대되는 금속 공기 전지는, 일반적으로 소망하는 전기 출력에 따라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로 구성되어 있어, 전해액을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주입하는 것으로 발전이 시작된다.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연결하고 유닛화 하는 것으로 소망하는 출력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 예를 든 특허 문헌에는 전지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3-214472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3-214473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소62-177873호 공보
그런데, 전지 반응의 경우, 수소 등의 생성 가스를 발생시키고 있어, 이 생성 가스가 셀 내부에 체류함으로써 전지 반응의 저해에 기초하여 출력의 저하나, 다량의 생성 가스가 발생했을 때에는 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금속 공기 전지 셀의 파손이 우려된다. 이에 따라, 생성 가스를 적절하게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 필요하였다.
또한, 종래의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구비한 금속 공기 전지는,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급수해야 할 필요가 있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대한 급수를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필요하였다. 다시 말해, 금속 공기 전지는 재해 시 등의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사용이 예측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간단하면서 신속하게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에 전해액을 공급 가능한 구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생성 가스의 외부로의 적절한 배출과 신속한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금속 공기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는, 복수 개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가진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 마련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공통의 급수 스페이스와, 상기 급수 스페이스와 통하고 상기 금속 공기 전지 셀의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인출하는 배선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선구를 구비한 통형상부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선구는, 상기 급수 스페이스에 공급되는 만수 시의 전해액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는,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구는 상기 전기 계통 스페이스의 바닥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급수 스페이스 및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는, 한 몸체의 상측 케이스 혹은 다른 몸체의 상측 케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 계통 스페이스가 배치된 상기 상측 케이스의 일면에는, 외부 접속용 단자의 배치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공기 전지 셀 및 상기 상측 케이스가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이 조립되어 상기 유닛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 상기 상측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측 케이스의 윗면에는, 적어도 상기 급수 스페이스의 일부가 노출하도록 덮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공기 전지에 따르면, 전지 반응에서 발생한 수소 등의 생성 가스의 외부로의 배출과 신속한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덮개를 분리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금속 공기 전지의 단면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간략하게 기재한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덮개를 분리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사시도는, 도 1로부터 덮개를 분리하고 수평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방향에서 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공기 전지(1)는, 복수 개의 금속 공기 전지 셀(4)을 셀 받침대(8) 상에 배치한 유닛 본체(2)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수가 3개이지만,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망하는 전기 출력에 따라서 연결하는 금속 공기 전기 셀(4)의 수를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은, 공간(4a)을 매개로 하여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서는, 양측에 위치하는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외면에는 프로텍터(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공기 전지 셀(4)과 프로텍터(15)의 사이에도 공간(4a)이 마련되어 있다.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금속 공기 전지 셀(4)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 것으로, 형상이나 크기 등에 대해서는 도 1과 도 5에 일치하는 것이 아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은 양극(공기극)(31)과 음극(금속극)(32)을 가지고 구성된다. 양극(31)과 음극(32)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갭)이 마련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32)은 양극(31)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양극(31)은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양극(31)은 2매와 음극(32)은 1매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예로서 각 전극의 매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31)과 음극(32)은 전해액(33)을 매개로 하여 대향하고 있다. 양극(31)과 음극(32)은 서로 전해액(33)에 접촉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공간(4a)이 마련되는 것으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양측에 배치된 양극(31)을 공기와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닛 본체(2)의 양측에 프로텍터(15)를 마련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프로텍터(15)를 마련하는 것으로 양측에 배치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외부에 위치하는 양극(31)을 프로텍터(15)에 의해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양극 및 음극을 구비한 공지의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닛 본체(2)의 천장면(2a)에는 상측 케이스(5)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는 바닥면(5a)과, 바닥면(5a)의 각 모서리로부터 세워져 마련된 측면(5b)을 가지고 구성된다. 상측 케이스(5)의 윗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5)에는,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전해액을 공급하는 급수 스페이스(16)와,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양극(31) 및 음극(3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가 마련된다.
도 2,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스페이스(16)와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의 사이에는, 바닥면(5a)으로부터 벽(25)이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벽(25)의 높이는, 예를 들어 측면(5b)의 높이와 같은 정도이다. 벽(25)이 마련되는 것으로, 급수 스페이스(16)에 공급된 전해액이 전기 계통 스페이스(22) 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수 스페이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 스페이스(16)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급수공(30)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급수공(30)은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윗면(4b)에 형성된 급수 포트(34)(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급수 스페이스(16)는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대한 복수의 급수공(30)을 포함한 공통의 급수 스페이스이다. 따라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전해액의 일괄 급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일괄 급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동시에 게다가 대략 같은 양의 전해액(33)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소망하는 전기 출력을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에 각각 급수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일괄 급수에 의해 재해 시 등의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도 간단하고 빠르게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선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윗면(4b)에는 양극(31) 및 음극(32)이 배치되는 셀 내부로 관통하는 통형상부(27)가 돌출하여 있다. 그리고 통형상부(27)의 윗면이 배선구(27a)이다. 각 배선구(27a)로부터 양극(31) 및 음극(32)에 접속된 배선이 외부로 인출된다.
배선구(27a)는 급수 스페이스(16)에 통해 있다. 다시 말해, 급수 스페이스(16)에 마련된 급수공(30)으로부터 급수 포트(34), 양극(31) 및 음극(32)을 구비한 셀 내부(도 5 참조), 및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에까지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급수 스페이스(16)로 전해액을 공급하면, 배선구(27a)가 통기구로 되어, 셀 내부의 공기를 배선구(27a)로부터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 내에 신속한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구(27a)의 수 = 양극(31)의 수'로 되어 있지만, 배선구(27a)의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서 배선을 정리하여,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대하여 한 개의 배선구(27a)로부터 배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의 바닥면(5a)에는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와 마주보는 위치에 복수의 구멍(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5)를 유닛 본체(2)의 천장면(2a)에 장착했을 때, 각 통형상부(27)가 각 구멍(5c)을 관통하여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 내에 드러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 내에 있어서 통형상부(27)의 높이는 상측 케이스(5)의 측면(5b) 보다도 약간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선구(27a)는 양극(31) 및 음극(32)의 배선을 인출할 뿐만 아니라 전지 반응에 의한 수소 등의 생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전지 반응에 의해 수소 등의 생성 가스가 셀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셀 내부로부터 배선구(27a)로 통하는 공간을 통해서 생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구(27a)가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을 구성하는 양극(31) 및 음극(32)의 배선을 인출하기 위한 개구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급수 스페이스(16)로부터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로의 신속한 급수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전지 반응에 의한 생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전해액을 일괄 급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생성 가스에 의한 전지 반응의 저해로 인해 출력의 저하나 다량의 생성 가스가 발생했을 때, 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손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실시 형태의 금속 공기 전지(1)를 재해 시 등에 있어서 비상용 전원 등으로서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구(27a)는 급수 스페이스(16)에 공급된 만수 시의 전해액(33)의 수위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수'란 급수 스페이스(16)에 전해액(33)을 공급했을 때에 가장 수위가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배선구(27a)를 급수 스페이스(16)에 공급한 전해액(33)의 수위 보다도 높게 설정하는 것으로, 전해액(33)이 배선구(27a)로부터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수로 전해액(33)을 급수 스페이스(16)에 너무 많이 넣은 경우에도 전해액(33)의 수위 보다도 배선구(27a)의 위치가 높으면, 전해액(33)이 배선구(27a)로 흘러 넘쳐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에 배치된 기판 등의 전기 계통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선구(27a)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의 바닥면 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27)는 상측 케이스(5) 내에서 돌출되어 있어,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의 바닥면 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전지 반응으로 생성된 수소 등의 생성 가스가 배선구(27a)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에, 생성 가스가 전기 계통 스페이스(22) 내에 머무르는 것을 억제 가능하며, 전기 계통으로의 영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 계통 스페이스>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에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는 급수 스페이스(16)와 동일한 상측 케이스(5)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와 급수 스페이스(16)를 다른 몸체의 상측 케이스에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 계통 스페이스(22)는 예를 들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로부터 인출된 배선을 수납하는 배선 스페이스(21)와,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기판을 설치하는 기판 스페이스(20)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선 스페이스(21)에 수납된 배선은 기판 스페이스(20)에 설치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스페이스(21)와 기판 스페이스(20)의 사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세워져 마련된 벽(28)이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벽(28)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삽통구멍(28a)이 마련되어 있어, 각 배선구(27a)로부터 인출한 배선을 삽통구멍(28a)으로 기판 스페이스(20)를 통과해 기판 스페이스(20)에 설치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선 스페이스(21)로부터 기판 스페이스(20)로의 배선 인출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삽통구멍(28a)을 마련하는 이외에, 배선 스페이스(21)와 기판 스페이스(20)의 사이에 벽을 간헐적으로 마련하여 벽의 사이로 배선을 통과시키거나, 벽에 오목부를 마련하여 오목부로 배선을 통과시키거나, 벽의 높이를 낮게 하여 그 벽 위로 배선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스페이스(21)와 기판 스페이스(20)를 한 몸체의 상부 케이스(5)에 마련하고 있지만, 배선 스페이스(21)와 기판 스페이스(20)를 각각 다른 상부 케이스에 마련하여도 좋다.
<외부 접속공>
도 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의 측면(5b)에는, 외부 접속공(26)이 마련되어 있다. 이 외부 접속공(26)을 통해 전지 출력을 외부로 공급하는 외부 접속용 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휴대 기기 등의 외부 기기를 외부 접속용 단자에 접속하는 것으로, 외부 기기의 충전 등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접속공(26)은 상측 케이스(5) 중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의 측면에 외부 접속용 단자의 배치 영역으로 마련된다. 외부 접속용 단자의 배치 영역은 구멍이 아니어도 좋고, 외부 접속용 단자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 기기와의 접속에 적합한 구성이면 좋다. 그러나 구멍으로 한다면, 외부 접속용 단자를 구멍에 끼워 넣는 것으로, 적절한 외부 접속용 단자를 상측 케이스(5)에 지지 가능한 동시에, 외부 접속용 단자를 상측 케이스(5)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외부 기기와의 접속에 적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는 외부 접속공(26)은 5개 마련되어 있지만, 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접속공(26)은 복수 이어도 좋고, 1개 이어도 좋다. 외부 접속공(26)을 복수로 하면, 복수의 외부 접속용 단자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의 외부 기기에 대하여 동시에 충전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접속공(26)의 수는 외부 접속용 단자에 요구되는 전기 출력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7)가 상측 케이스(5) 위에 덮여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는 덮개(7)로 완전히 덮여지지 않고, 급수 스페이스(16)의 일부가 비어 있다. 따라서, 이 비어 있는 급수 스페이스(16)로부터 급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수 스페이스(16)와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의 사이에 벽(25)(도 3, 도 4 참조)을 마련하는 동시에, 덮개(7)를 덮는 것으로, 전해액이 전기 계통 스페이스(22) 측으로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7)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 위를 덮고 있어, 전기 계통을 외부로부터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7)에는 도 1, 도 2에 나태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기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의 높이는 상측 케이스(5)의 측면(5b) 보다도 약간 낮다. 이 때문에, 배선구(27a)로부터 배출된 수소 등의 생성 가스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22)에 머무르거나 혹은 셀 내부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덮개(7)의 통기공(36)을 통해 금속 공기 전지(1)의 외부로 적절하게 방출된다.
<조립>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4)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는 그 윗면(4b)에 급수 포트(34)나 배선구(27a)를 가진 통형상부(2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 사이의 마주보는 둘레부에는 요철 결합부 등의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금속 공기 전지 셀(4) 및 프로텍터(15)를 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조립하여 셀 받침대(8) 상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유닛 본체(2)를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닛 본체(2)의 천장면(2a)에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대하여 공통의 상측 케이스(5)를 장착하고, 이에 더해 덮개(7)를 상측 케이스(5) 상에 장착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금속 공기 전지(1)를 완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금속 공기 전지 셀(4)을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다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공통의 상측 케이스(5) 및 덮개(7)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연결 개수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에 공통의 급수 스페이스(16) 및 전기 계통 스페이스(22)를 간단하게 유닛 본체(2)의 천장면(2a)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가,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윗면(4b)에 마련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측면 등에 마련되어도 좋다. 관련된 경우, 배선구(27a)가 위쪽을 향하도록 통형상부(27)를 경사지게 위쪽을 향하도록 하거나, 혹은 도중에 위쪽을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는 동시에, 배선구(27a)를, 급수 스페이스에 공급되는 만수 시의 전해액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배선구(27a)를 구비한 통형상부(27)를 각 금속 공기 전지 셀(4)의 윗면(4b)에 마련하는 방법이 간단한 구성으로서 적절하게 생성 가스의 배출과 일괄 급수를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금속 공기 전지에 따르면, 전지 반응에 의한 수소 등의 생성 가스를 적절하게 외부로 배출 가능한 동시에, 복수의 금속 공기 전지 셀에 대하여 신속하게 전해액의 일괄 급수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속 공기 전지를 재해 시 등에 있어서 비상용 전원 등으로 유효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6년 3월 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39125호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1 : 금속 공기 전지 2 : 유닛 본체
2a : 천장면 4 : 금속 공기 전지 셀
4a : 공간 4b : 윗면
5 : 상측 케이스 5a : 바닥면
5b : 측면 5c : 구멍
7 : 덮개 8 : 셀 받침대
15 : 프로텍터 16 : 급수 스페이스
20 : 기판 스페이스 21 : 배선 스페이스
22 : 전기 계통 스페이스 25 : 벽
26 : 외부 접속공 27 : 통형상부
27a : 배선구 28 : 벽
28a : 삽통구멍 30 : 급수공
31 : 양극(공기극) 32 : 음극(금속극)
33 : 전해액 34 : 급수 포트
36 : 통기공

Claims (8)

  1. 복수 개의 금속 공기 전지 셀을 가진 유닛 본체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 마련된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에 공통의 급수 스페이스와,
    상기 급수 스페이스와 통하고 상기 금속 공기 전지 셀의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인출하는 배선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구를 구비한 통형상부가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구는 상기 급수 스페이스에 공급되는 만수 시의 전해액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는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배선구는 상기 전기 계통 스페이스의 바닥면 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스페이스 및 전지 출력을 제어하는 전기 계통 스페이스는 한 몸체의 상측 케이스, 혹은 다른 몸체의 상측 케이스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계통 스페이스가 배치된 상기 상측 케이스의 일면에는 외부 접속용 단자의 배치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공기 전지 셀 및 상기 상측 케이스가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각 금속 공기 전지 셀이 조립되어 상기 유닛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유닛 본체의 천장면에 상기 상측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케이스의 윗면에는 적어도 상기 급수 스페이스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덮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공기 전지.
KR1020177029903A 2016-03-01 2016-07-28 금속 공기 전지 KR10186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9125 2016-03-01
JP2016039125 2016-03-01
PCT/JP2016/072226 WO2017149797A1 (ja) 2016-03-01 2016-07-28 金属空気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281A true KR20170122281A (ko) 2017-11-03
KR101862697B1 KR101862697B1 (ko) 2018-05-31

Family

ID=59742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03A KR101862697B1 (ko) 2016-03-01 2016-07-28 금속 공기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11226B2 (ko)
KR (1) KR101862697B1 (ko)
CN (1) CN107615569B (ko)
TW (1) TWI703756B (ko)
WO (1) WO2017149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7495B (zh) * 2017-09-30 2020-10-11 日商藤倉橡膠工業股份有限公司 金屬空氣電池以及金屬空氣電池之氧化被膜去除方法
TWI649915B (zh) * 2018-01-02 2019-02-01 車王電子股份有限公司 Battery pack
JP7404244B2 (ja) * 2018-08-24 2023-12-25 藤倉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及びその使用方法
KR20220101490A (ko) 2021-01-11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공기 전지 및 금속-공기 전지의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170A (en) 1981-05-09 1982-11-15 Toshiba Corp Heat dissipating base plate
JPS57185170U (ko) * 1981-05-19 1982-11-24
US4626482A (en) 1985-11-18 1986-12-02 Alupower, Inc. Metal/air batteries
CA1276972C (en) * 1986-10-22 1990-11-27 David S. Strong Multi-cell metal/air battery
TW480756B (en) * 1998-03-18 2002-03-21 Hitachi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its electrolyte, and electr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2151167A (ja) 2000-11-10 2002-05-24 Nippon Mitsubishi Oil Corp 空気電池
US20050238949A1 (en) * 2002-01-08 2005-10-27 Morris William F Reserve battery
JP2008535156A (ja) 2005-03-22 2008-08-28 ミー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空気亜鉛電池
CN2819495Y (zh) * 2005-06-06 2006-09-20 王晓黎 金属空气电池
US20070141464A1 (en) * 2005-12-21 2007-06-21 Qunjian Huang Porous metal hydride electrode
US20080096061A1 (en) * 2006-06-12 2008-04-24 Revolt Technology Ltd Metal-Air Battery or Fuel Cell
KR100886589B1 (ko) 2007-08-17 2009-03-05 주식회사 미트 공기아연전지
US8148020B2 (en) * 2009-04-01 2012-04-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olybdenum/air battery and cell design
KR101123636B1 (ko) 2010-03-30 2012-03-20 주식회사 미트 카트리지 분리형 금속 공기 전지
KR101221101B1 (ko) 2010-09-16 2013-01-11 정윤이 이차 전지
JP4759659B1 (ja) 2010-11-17 2011-08-31 三嶋電子株式会社 応用電池及び緊急電源装置
KR101231676B1 (ko) 2011-01-28 2013-02-0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공기 금속 이차 전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금속 이차 전지 모듈
JP5999317B2 (ja) 2012-04-04 2016-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
JP5999316B2 (ja) 2012-04-04 2016-09-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
JP6267942B2 (ja) * 2013-11-20 2018-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
JP2015207492A (ja) * 2014-04-22 2015-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筐体、及び、金属空気電池
JP6206376B2 (ja) * 2014-11-14 2017-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6552034B2 (ja) * 2015-02-17 2019-07-31 藤倉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金属空気電池ユニットおよび金属空気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1226B2 (en) 2019-09-10
TWI703756B (zh) 2020-09-01
CN107615569A (zh) 2018-01-19
US20180323411A9 (en) 2018-11-08
KR101862697B1 (ko) 2018-05-31
TW201733196A (zh) 2017-09-16
US20180076425A1 (en) 2018-03-15
CN107615569B (zh) 2020-03-24
WO2017149797A1 (ja)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97B1 (ko) 금속 공기 전지
EP2816633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JPWO2019230879A1 (ja) バッテリパック
US10541402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JP2017059505A (ja) 蓄電装置
KR20120104090A (ko) 이차 전지
KR20170032034A (ko) 배터리 팩
JP6165379B1 (ja) 金属空気電池
US20190372086A1 (en) Metal-air batter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289993B2 (ja) 燃料電池カートリッジおよび燃料電池を内臓した電気機器
KR102575868B1 (ko) 금속 공기 전지 유닛 및 금속 공기 전지
JP2014198644A (ja) ガス生成装置
JP6107325B2 (ja) 蓄電装置
CN104900840B (zh) 一种用于二次电池负极封口体的密封圈
KR20170021547A (ko) 배터리 모듈
JP7000844B2 (ja) 鉛蓄電池
KR101796446B1 (ko) 배터리 안전 케이스
KR20150139260A (ko) 금속공기연료전지
US20180026246A1 (en) Cap for a battery cell
JP6665876B2 (ja) 蓄電モジュール
CN219642958U (zh) 一种铝燃料电池的反应堆
JP7327454B2 (ja) 鉛蓄電池
TWM559001U (zh) 三極式鋅空氣燃料電池
JP7151080B2 (ja) 鉛蓄電池
JP6975605B2 (ja) バッテリ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