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604A - 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604A
KR20170120604A KR1020177023350A KR20177023350A KR20170120604A KR 20170120604 A KR20170120604 A KR 20170120604A KR 1020177023350 A KR1020177023350 A KR 1020177023350A KR 20177023350 A KR20177023350 A KR 20177023350A KR 20170120604 A KR20170120604 A KR 2017012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heel
game
pocke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지 모리
후토시 이토
코이치 와타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하트
에스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하트, 에스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하트
Publication of KR2017012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6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07Details about the compartments or sectors, e.g. sectors having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5/00Roulette games
    • A63F5/02Roulette-like ball games

Abstract

본 발명의 게임 장치는, 표시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표시부와, 그 복수의 표시부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폐쇄된 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게임의 내용에 관련된 구조물을 갖는다. 이로써,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장치
본 발명은 게임 장치, 특히, 아케이드형의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추첨 장치(구조물)와, 소형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말 조작부를 갖는 아케이드형의 게임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게임 장치는, 복수의 플레이어가, 각각, 각 단말 조작부를 조작하여, 게임 플레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각 디스플레이에 BET 정보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디스플레이는, 소형이지만, 복수의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플레이어에 그 정보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크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수의 플레이어로 플레이하는 게임 장치에서는, 구조물의 주위에, 어느 정도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말 조작부를 배치할 필요가 있어, 게임 장치가 대형화되지 않을 수 없다. 또, 이와 같은 게임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게임의 내용 등을 나타내는 대형의 간판이나 디스플레이를, 게임 장치의 주변에 마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게임 장치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974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하기 (1)~(8)의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1) 표시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표시부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폐쇄된 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게임의 내용에 관련된 구조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각각 상기 표시면을 연직 상방을 향하여 배치하고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게임 장치.
(3) 당해 게임 장치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구조물은 각 상기 복수의 표시부의 상기 표시면의 일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게임 장치.
(4)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상기 게임의 내용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게임 장치.
(5) 상기 구조물은 물리적 기구를 구비하는 게임기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게임 장치.
(6) 상기 게임기는 전기적 기구를 더 구비하는 상기 (5)에 기재된 게임 장치.
(7) 상기 게임기는 룰렛식 게임기인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게임 장치.
(8)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상기 룰렛식 게임기의 룰렛의 회전에 동기하고, 상기 룰렛식 게임기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상기 (7)에 기재된 게임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복수의 표시부와, 구조물을 집약할 수 있으므로,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의 BET 타임 개시까지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기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룰렛 휠의 회전과 LED의 점등과 영상 휠의 회전이 동기하는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볼 추첨 중에 있어서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BET 타임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게임 장치를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적합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1. 게임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100)는, 장치 본체(1)와, 장치 본체(1)에 마련된 룰렛식 게임기(구조물)(10)로 구성되어 있다.
룰렛식 게임기(10)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한 룰렛 휠(111)을 구비하는 게임기 본체(11)와, 룰렛 휠(111)의 외주측에 마련된 LED 장치(점등 장치)(12)와, LED 장치(12)를 덮는 LED 커버(13)와, 게임기 본체(11)의 하부(게임기 본체(11)의 LED 장치(12)보다 하측의 부분)를 수납하는 수납부(14)와, 게임기 본체(11)의 상부(룰렛 휠(111) 및 LED 커버(13))를 덮는 게임기 커버(15)를 갖는다.
게임기 본체(11)는, 볼(B)을 배출하는 원통 형상의 배출부(110)와, 배출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룰렛 휠(111)을 구비하고 있다.
룰렛 휠(111)은, 휠 본체(112)와, 휠 본체(112) 상에, 휠 본체(112)와 동심적으로 마련된 교반판(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휠 본체(112)와 교반판(113)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휠 본체(112)에는, 그 외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6개)의 포켓(111b)이 형성되어 있다. 교반판(113)은, 그 중심부(배출부(110)에 대응하는 부분)가 연직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접시 형상(공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교반판(113)의 상면(만곡 볼록면)에, 배출부(110)로부터 배출된 볼(B)이 충돌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충돌부(114)가 마련되어 있다.
또, 게임기 본체(11)는, 룰렛 휠(111)의 하측에 마련되어, 휠 본체(112) 및 교반판(113)을 각각 회전시키는 2개의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배출부(110)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룰렛 휠(111)에 볼(B)을 공급하는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룰렛 휠(111)로부터 볼(B)을 회수하는 회수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급 기구 및 회수 기구의 주요부는, 수납부(14)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게임기 본체(11)에서는, 공급 기구에 의하여 배출부(110)를 통하여, 회전하는 교반판(113) 상에 공급된 볼(B)은, 교반판(113)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혹은 충돌부(114)와의 충돌에 의하여 교반된다. 그리고, 볼(B)은, 룰렛 휠(111) 및/또는 LED 커버(13) 상을 굴러간 후, 16개의 포켓(111b) 중 어느 하나에 들어간다. 그 후, 교반판(113)의 회전이 정지함과 함께, 휠 본체(112)의 회전도 정지한다. 1회의 룰렛 게임이 종료되면, 볼(B)은, 룰렛 휠(111)의 소정의 개소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개구부를 통하여, 회수 기구에 의하여 회수된다.
또한, 휠 본체(112) 및 교반판(113)의 회전 방향은, 동일 방향이어도 되고, 반대 방향이어도 된다. 단, 휠 본체(112) 및 교반판(113)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볼(B)이 교반판(113) 상에 체류하는 시간(볼(B)이 포켓(111b)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룰렛 게임의 연출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휠 본체(112) 및 교반판(113)의 회전 속도도,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1회의 룰렛 게임의 개시 시에 있어서, 교반판(113)의 회전 속도를 휠 본체(112)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볼(B)을 충돌부(114)에 격렬하게 충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볼(B)이 룰렛 휠(111) 상에서 포켓(111b)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볼(B)이 LED 커버(13) 상까지 튕겨 나감으로써, 포켓(111b)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룰렛 게임의 연출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켓(111b)의 수는, 16개이지만, 예를 들면 37개(유러피언 스타일)여도 되고, 38개(아메리칸 스타일)여도 되며, 39개(멕시칸 스타일)여도 된다.
룰렛 휠(111)의 외주측에, 게임기 본체(11)에 고정된 LED 장치(발광 장치)(12) 및 LED 커버(13)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룰렛식 게임기(10)는, 룰렛 게임 자체를 행하는 게임기 본체(11)(물리적 기구)에 더하여, 룰렛 게임을 연출하는 LED 장치(12)(전기적 기구)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 장치(12)는, 회로 기판(121)과, 회로 기판(121) 상에 실장된 복수의 LED(122)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LED(12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회로 기판(121) 상에, 3중의 원형의 가상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LED(122)는, 예를 들면 룰렛 휠(111)의 16개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소정의 에어리어(16개의 LED 영역)마다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설정된다. 즉, 룰렛 휠(111)(휠 본체(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포켓(111b)에 대응하는 LED 영역이 회전하고 있는 것과 같이 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LED 대신에, 유기 EL 소자나, 전구를 이용해도 된다. 또, 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은 랜덤이어도 된다.
LED 장치(12)를 덮도록,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환 형상의 LED 커버(13)가 룰렛 휠(111)의 외주측에 마련되어 있다. LED 커버(13)의 상면은, LED 커버(13)의 외주측의 높이보다 내주측(룰렛 휠(111)측)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이로써, 볼(B)이 배출부(110)로부터 힘차게 배출되거나, 충돌부(114)와의 충돌에 의하여 튕겨 나가, 포켓(111b)을 지나쳐, LED 커버(13) 상까지 이동했다고 해도, 최종적으로 복수의 포켓(111b)에 확실히 유도될 수 있다. 즉, LED 커버(13)는 볼(B)이 굴러가는 필드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B)이 포켓(111b)에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룰렛 게임의 연출을 보다 높일 수 있다.
LED 커버(13)는 광확산성을 갖고, 예를 들면 내열성, 난연성 등을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LED 커버(13)는 1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분할된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룰렛 휠(111)(휠 본체(112) 및 교반판(113)), LED 장치(12) 및 LED 커버(13)를 덮도록, 돔 형상의 게임기 커버(15)가 LED 커버(13)의 외주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게임기 커버(15)는, 내부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게임기 커버(15)는, 플레이어가 룰렛 휠(111)이나 볼(B)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볼(B)이 게임기 본체(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 등을 갖고 있다.
또한, 게임기 본체(1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덱스 센서(16)와, 포켓 센서(17)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볼 센서(18)와, 인덱스(19)와, 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덱스 센서(16)는, 회로 기판(121)의 하면에 실장되어 있다. 인덱스 센서(16)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사이를 휠 본체(1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인덱스(19)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인덱스 센서(16)는, 휠 본체(112)와 함께 회전하는 인덱스(19)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덱스 센서(16)가 인덱스(19)를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인덱스 정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 포켓 센서(17)는, 휠 본체(112)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LED 장치(12)의 회로 기판(121)의 상면에 실장되어 있다. 이 포켓 센서(17)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사이에 휠 본체(112)의 외주벽의 하측 가장자리부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휠 본체(112)의 외주벽의 16개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슬릿(111c)이 형성되어 있고, 포켓 센서(17)는, 이 슬릿(111c)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포켓 센서(17)가 슬릿(111c)을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포켓 정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룰렛 휠(111)(휠 본체(112))의 회전은, 인덱스 정보와, 포켓 정보로서 검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덱스 정보와 포켓 정보를 아울러, "휠 정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 복수의 볼 센서(18)는, 룰렛 휠(111)의 외주측을 따르도록, 대략 등간격으로 LED 장치(12)의 회로 기판(121)의 상면에 실장되어 있다. 복수의 볼 센서(18)는, 각각,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휠 본체(112)의 외주벽의 16개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16개의 관통 구멍(11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볼 센서(18)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회로 기판(121)으로부터의 높이는, 관통 구멍(111d)의 회로 기판(121)으로부터의 높이와 일치하고 있다. 이로써, 어느 포켓(111b)에 볼(B)이 들어가 있는 경우, 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광은, 관통 구멍(111d)을 통과한 후, 볼(B)에 의하여 반사되고, 수광 소자에 의하여 수광된다. 따라서, 볼 센서(18)는, 16개의 포켓(111b) 중 볼(B)이 들어가 있는 포켓(111b)을 검출할 수 있다.
속도 센서는, 게임기 본체(11)가 구비하는 모터 내에 마련된 회전각 센서이며,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속도 센서의 예로서는, 리졸버를 들 수 있다. 또한, 게임기 본체(11)는, 이 외에도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게임기 본체(11)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각속도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수납부(14)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게임기 본체(11)는, 장치 본체(1)의 소정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 본체(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와, 4개의 표시부(3)와, 케이스(2)의 상단 측방에 마련된 8개의 조작부(5)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정방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고, 연직 상방을 향한 개방된 상부 개구(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스(2)에는, 상부 개구(21)를 덮도록 하여, 4개의 표시부(3)가 장착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표시부(3)는, 각각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표시부(3)는, 그 표시면(31)을 연직 상방을 향하고, 또한 케이스(2)의 상면과 대략 연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표시부(3)는, 인접하는 2개의 표시부(3) 중 한쪽의 표시부(3)의 장변에, 다른 쪽의 표시부(3)의 단변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표시부(3)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표시면(31)측에서 보았을 때)에, 인접하는 2개의 표시부(3)는, 그들의 장변 방향(길이 방향)의 중심선끼리가, 대략 90°(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4개의 표시부(3)에 의하여 폐쇄된 영역(개구)(4)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이 영역(4)에 대응하도록 룰렛식 게임기(10)가 장치 본체(1)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영역(4)의 연직 하방의 공간 내에, 영역(4)을 통하여 룰렛식 게임기(10)의 일부(수납부(14))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역(4) 및 그 연직 하방의 공간은, 데드 스페이스가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게임 장치(100) 전체의 대형화를 방지하고 있다.
룰렛식 게임기(10)가 장치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룰렛식 게임기(10)의 상측(룰렛 휠(111), LED 장치(12) 및 LED 커버(13))의 일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3) 상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룰렛식 게임기(10)의 상측의 일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표시부(3)의 표시면(31)의 일부에 중첩된다.
이로 인하여, 룰렛 휠(111)과 동심적으로, 룰렛 게임(게임의 내용)에 관련되는 화상(게임 화상)을 4개의 표시부(3)에 걸쳐서 표시할 수 있어, 휠 본체(112)의 회전과, LED 장치(12)에 의한 발광 패턴의 회전과, 게임 화상의 동작을 연동(동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임팩트가 있는 게임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게임 장치(100)는, 한번 보기만 해도 플레이어의 흥미를 끌 수 있다. 또한, 표시부(3)에 표시되는 게임 화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이와 같이 플레이어의 흥미를 끄는 연출이 가능한 게임 장치(100)는, 심플한 게임 내용이어도, 플레이어의 주목을 끌 수 있어, 종래의 게임과 동일한 게임 내용이어도, 플레이어를 즐겁게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표시면(31))의 룰렛식 게임기(10)의 상측의 일부가 중첩되어 있는 부분(부분 A)에 컬러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컬러 화상이, LED 장치(12)에 의한 발광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을 가짐으로써, 표시부(3)가, LED 장치(12)에 의한 발광 패턴의 특성(색상, 명도, 채도)을 보충할 수 있다.
또, LED 장치(12)를 생략하고, 부분 A에 LED 장치(12)에 의한 발광 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컬러 화상, 즉, 게임 화상과 다른 화상(원환 형상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부분 A도 이용하여 게임 화상을 표시면(31)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LED 커버(13)를 무색 투명으로 함으로써, 부분 A에 표시되는 컬러 화상의 외부로부터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표시부(3)는, 게임 화상과 함께, 각 플레이어의 BET 정보(내기 정보)나, 배경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룰렛 게임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4개의 표시부(3)를 이용하여, 게임의 조작 방법이나, 광고 등을 표시면(31)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게임 장치(100)에서는, 표시부(3)가, 대형의 간판 대신이 되어, 게임의 설명이나 선전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별도로, 대형의 간판을 게임 장치(100)의 주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게임 장치(100)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표시부(3)를 상술하는 바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영역(4)을 형성하고 있지만, 4개보다 많은 수의 표시부(3)를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영역(4)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3개 또는 5개 이상의 표시부(3)를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다각형의 영역(4)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부(3)의 수 및 배치에 따라, 케이스(2)의 전체 형상을 설정하도록 하면 된다.
또, 케이스(2)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4개의 변에 상당하는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2개의 조작부(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5)의 본체(50)의 상면과 표시부(3)의 표시면(31)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또한 본체(50)의 상면이 표시면(31)에 대하여 약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각 플레이어가 4개의 표시면(31) 전체를 보기 쉬워져, 다른 플레이어의 BET 상황도 파악하기 쉽다.
각 조작부(5)는, BET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다이얼(51)과, BET되는 메달의 매수를 변경하는 BET 버튼(52)과, 그 메달의 매수를 결정하는 결정 버튼(53)과, 메달 투입구(54)와, 크레디트 표시부(55)와, 지출 버튼(56)을 구비하고, 이들이 본체(50)에 마련되어 있다.
또, 출력부(8)는, 메달 반환구(81)와, 게임의 효과음, 경고음이나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82)를 구비한다. 메달 반환구(81)는, 케이스(2)의 측면 하부에 조작부(5)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스피커(82)는, 조작부(5)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플레이어의 조작 내용(BET 정보 등)을, 표시부(3)(표시면(31))의 각 조작부(5) 근방에 표시하도록 게임 장치(100)가 구성되면, 종래와 같이, 각 단말 조작에 각각 1개의 소형 디스플레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게임 장치(100)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부(5)의 각종 버튼 등(선택 다이얼(51), BET 버튼(52) 및 결정 버튼(53) 등)은, 표시부(3)의 표시면(31)에 터치 패널을 마련함으로써, 생략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의 BET 타임 개시까지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기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에서는, 게임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 중의 좌측을 "왼쪽", 우측을 "오른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0)는, 표시부(3)와, 조작부(5)와, 출력부(8)와, 룰렛식 게임기(가동부, 구조물)(10)를 갖고 있다. 또, 게임 장치(100)는, 케이스(2)와 표시부(3)로 구획형성되는 공간(영역(4)의 연직 하방의 공간을 제외함)에 마련된, 제어부(6)와, 기억부(7)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 및 기억부(7)의 설명과 함께, 본 실시형태의 게임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억부(7)는, CPU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화상, 소리 정보 등을 보존하는 ROM을 구비한다. 또, 기억부(7)는, CPU가 실행하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을 구비한다. 기억부(7)는, 게임의 내용에 관련되는 게임 화상을 기억한다. 이 게임 화상은, 영상 휠(제1 회전 화상)(311), BET 대상 화상(초밥 재료 화상)(312), 컨베이어 화상(제2 회전 화상)(313), 초밥 화상(316) 등을 포함한다.
영상 휠(311)은, 룰렛 휠(111)에 상당하는 화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휠(311)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룰렛 휠(111)의 외관(형상)에 대응하도록, 16분할로 구획된 화상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16분할로 구획된 영상 휠(311)의 각 영역을 "영상 포켓"이라고 한다. 환언하면, 영상 휠(311)은, 16개의 영상 포켓을 갖는다. 또, 16개의 영상 포켓에는, 기준 영상 포켓이 포함되어 있다. 도 7(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영상 포켓 상에 1~16의 번호를 붙이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번호 1이 붙여진 영상 포켓이 기준 영상 포켓이다. 또한, 영상 휠(311)은, 16분할에 한정되지 않고, 8분할이나 38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기억부(7)가, 영상 휠(311)의 복수의 패턴(예를 들면, 영상 포켓의 수나 모양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복수의 패턴)을 기억해 두면,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63)가, 룰렛식 게임기(10)의 종류(예를 들면, 포켓(111b)의 수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종류)에 대응한 영상 휠(311)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룰렛 휠(111)이 16개의 포켓(111b)을 구비하므로,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63)는, 16개의 영상 포켓을 구비하는 영상 휠(311)을 취득한다.
초밥 재료 화상(312)은,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어"나 "게" 등의 초밥 재료의 화상과, "방어"나 "게" 등의 초밥 재료의 이름을 포함한다. 기억부(7)는, 초밥 재료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을 기억하고 있다. 기억부(7)가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을 기억해 둠으로써,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63)가, 영상 포켓에 표시하는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의 조합을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룰렛 휠(111)이 16개의 포켓(111b)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정보 취득부(63)는, 각 영상 포켓(번호 1~16이 붙여진 영상 포켓)에 표시하기 위한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의 조합(배열)을 취득한다. 또한, 초밥 재료 화상(312)의 종류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기억부(7)는, 영상 휠(311)의 영상 포켓의 수에 대응한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의 조합(배열)을 미리 기억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영상 휠(311)이 16개의 영상 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응시켜,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으로 구성된 조합(조합 화상)의 복수의 패턴을 미리 기억해 두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조합 화상은,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방어", 2개의 "게", 1개의 "성게", 1개의 "푸딩", 4개의 "계란", 3개의 "오징어" 및 3개의 "전갱이"의 합계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배열(원환 형상으로 배열)된 화상이다.
기억부(7)가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으로 구성되는 조합 화상을 기억하는 경우, 초밥 재료 화상(312)에는, 영상 포켓의 번호에 대응하는 번호가 미리 붙여져 있어도 된다. 조합 화상의 구성은, 초밥 재료 화상(312)의 종류의 수와, 영상 포켓의 수와, 영상 포켓에 표시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63)는, 미리 기억되어 있는 조합 화상의 복수의 패턴(초밥 재료 화상(312)의 복수의 배열)으로부터 1개의 패턴(초밥 재료 화상(312) 중 하나의 배열)을 취득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화상 제어부(62)가, 영상 포켓에 붙여진 번호와 각 초밥 재료 화상(312)에 붙여진 번호를 대응시켜, 초밥 재료 화상(312)의 배열을 영상 휠(311)(영상 포켓)에 삽입하면 된다. 또, 영상 포켓이 표시부(3)의 표시면(31)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여도, 정보 취득부(63)는, 번호가 붙여진 초밥 재료 화상(312)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조합 화상으로부터 1개의 조합 화상을 취득하여, 화상 제어부(62)가, 표시부(3)에, 선택된 1개의 조합 화상을 표시면(31)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한, 기억부(7)는, 초밥 재료 화상(312)이 삽입된 복수의 영상 휠(311)로 구성되는 복수의 패턴(게임의 내용에 관한 복수의 도안을 갖는 복수의 제1 회전 화상(311)의 복수의 패턴)을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실시형태와 같이 영상 휠(311)이 16개의 영상 포켓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16개의 영상 포켓에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각각 삽입된 복수의 영상 휠(311)(도 7(b) 참조)을 기억부(7)가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정보 취득부(63)는, 초밥 재료 화상(312)이 삽입된 복수의 영상 휠(311)로부터 1개의 영상 휠(311)을 취득하면 된다.
이와 같이, 기억부(7)는, 영상 휠(311)의 복수의 패턴과, 복수의 초밥 재료 화상(312)을 따로 따로 기억해도 되고, 미리 결정된 초밥 재료 화상(312)의 배열(조합 화상)을 기억해도 되며, 복수의 도안이 삽입된 영상 휠(311)의 복수의 패턴을 미리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컨베이어 화상(313)은, 영상 휠(311)의 외주측에 표시되는 회전 화상이다. 컨베이어 화상(313) 상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어에 의하여 선택되는 BET 대상으로서의 초밥 화상(316)이 표시되어 있다.
초밥 화상(316)은, 초밥 재료 화상(312)에 포함되는 초밥 재료를 조합함으로써 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과 "성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에 포함되는 초밥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초밥 화상(316)이나, "계란"의 초밥 재료 화상(312)에 포함되는 초밥 재료를 4개 조합한 초밥 화상(316) 등이 컨베이어 화상(313) 상에 표시된다. 또한, 초밥 화상(316)은, 영상 휠(311)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과 동일한 종류의 화상이다. 또, 초밥 화상(316)은, 초밥 재료 화상(312)에 포함되는 초밥 재료 1개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딩"의 초밥 재료 화상(312)에 포함되는 초밥 재료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6)는, CPU를 구비하고,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게임 장치(100) 전체(룰렛 휠(111)의 회전 등)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6)는, 동작 제어부(61)와, 화상 제어부(62)와, 정보 취득부(63)를 포함한다.
정보 취득부(63)는, 인덱스 센서(16)(제1 검출부) 및 포켓 센서(17)(제2 검출부)로부터, 포켓의 위치 정보(인덱스 정보 및 포켓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에서, 포켓 위치 정보의 취득 방법을 도 8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8 중의 각 포켓(111b)에는, 설명의 편의상, 1~16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또, 인덱스 센서(16), 포켓 센서(17) 및 인덱스(19)의 배치는, 설명의 편의상, 도 5에서 나타낸 배치와 다르다.
룰렛 휠(111)이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인덱스 센서(16)가 인덱스(19)를 검출한다. 이로써, 정보 취득부(63)는, 도 8에 나타내는 인덱스(19)가 인접하는 2개의 포켓 중 번호 1이 붙여진 포켓(도 8에 있어서, 좌측의 포켓)이 기준 포켓이라고 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16개의 포켓(111b) 중 하나의 포켓(111b)이 기준 포켓이라고 하는 정보를 인덱스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룰렛 휠(111)이 회전 방향(A)과는 반대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 정보 취득부(63)는, 번호 16이 붙여진 포켓(도 8에 있어서, 우측의 포켓)이 기준 포켓이라고 하는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포켓 센서(17)는, 기준 포켓으로부터 차례로 포켓 센서(17)를 통과해 가는 각 포켓(111b)의 슬릿(111c)을 검출한다. 이로써, 정보 취득부(63)는, 16개의 포켓(111b)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정보 취득부(63)는, 기준 포켓에 번호 1이 붙여져 있다고 하는 정보를 취득하고, 기준 포켓으로부터 왼쪽을 향하여 차례로, 각 포켓(111b)에 번호 2~16이 각각 붙여져 있다고 하는 번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취득부(63)는, 포켓 센서(17)가 각 포켓(111b)을 검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치 정보 및 번호 정보를 포켓 정보로서 취득한다.
속도 센서(제3 검출부)는, 휠 본체(112)의 모터 내에 마련된 회전각 센서이며,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를 회전 속도 정보로서 검출한다. 이로써, 정보 취득부(63)는, 회전 속도 정보를 취득한다.
또, 정보 취득부(63)는, 기억부(7)로부터 영상 휠(311)과, 초밥 재료 화상(312)을 취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에 붙여진 번호와 룰렛 휠(111)의 각 포켓(111b)에 붙여진 번호를 대응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01
동작 제어부(61)는, 상술하는 룰렛식 게임기(10)의 동작(룰렛 휠(111)의 회전)을 제어함과 함께, LED 장치(12)를 제어한다.
동작 제어부(61)는, 룰렛 휠(111)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환언하면, 동작 제어부(61)는, 룰렛 휠(111)을, 고속, 중속, 저속 등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동작 제어부(61)는, 회전체의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61)는, 도 7 및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 1 및 번호 2의 영상 포켓에 "방어"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번호 1 및 번호 2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LED 영역(포켓(111b)에 대응하는 소정의 에어리어)이, 옐로로 발광하도록, LED(122)의 점등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제어부(61)는, 번호 3 및 번호 4의 영상 포켓에 "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번호 3 및 번호 4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LED 영역이 오렌지로 발광하도록, LED(122)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 동작 제어부(61)는, 번호 5의 영상 포켓에 "성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번호 5의 포켓(111b)에 대응하는 LED 영역이, 레드로 발광하도록, LED(122)의 점등을 제어한다.
즉, 동작 제어부(61)는,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의 종류(도안의 색)에 대응하도록, 각 포켓(111b)을 통하여, LED 영역의 LED(122)의 발광을 제어한다. 환언하면, 동작 제어부(61)는, 룰렛 휠(111)의 회전과 연동하고, 또한 복수의 도안(초밥 재료 화상(312))에 대응한 발광색을 점등하도록, 복수의 LED(122)의 발광을 제어한다. 이 외에도, 동작 제어부(61)는, RAM을 이용하여, 기억부(7)(ROM)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룰렛식 게임기(10)나 LED 장치(12)를 제어할 수 있다.
화상 제어부(62)는, 정보 취득부(63)가 취득한 포켓의 위치 정보에 주로 근거하여,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한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 상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조합 화상)의 회전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제어부(62)는, 포켓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룰렛 휠(111)의 각 포켓(111b)과,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을 일치시키도록,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한다. 즉, 화상 제어부(62)는, 인덱스 센서(16)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 포켓이, 기준 영상 포켓과 일치하고, 또한 포켓 센서(17)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 포켓 이외의 15개의 포켓(111b)이, 각각, 기준 영상 포켓 이외의 15개의 영상 포켓과 일치하도록, 정지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휠(311)의 회전을 시동시킨다. 이로써, 화상 제어부(62)는, 표 1에 나타내는 대응 관계에서, 룰렛 휠(111)의 회전 및 복수의 LED(122)의 발광 패턴의 회전과, 회전 화상의 회전을 연동(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제어부(62)는, 표시부(3)에, 정지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휠(311)의 표시를 일단 지운 후에, 기준 포켓의 위치와 기준 영상 포켓의 위치를 일치시킨 영상 휠(311)을 표시시켜,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기준 포켓과 기준 영상 포켓을 일치시키는 것만으로, 룰렛 휠(111)의 각 포켓(111b)과,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을 일치시키도록,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임이 개시되면,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상 휠(311)이, 표시면(31)에 표시된다. 그 후, 화상 제어부(62)는, 표시부(3)에,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초밥 재료 화상(312)을, 16개의 영상 포켓에 표시시키도록 한다. 이때, 화상 제어부(62)는, 표시부(3)에, 기준 영상 포켓(번호 1이 붙여진 영상 포켓)으로부터 번호 16이 붙여진 영상 포켓까지, 차례로 초밥 재료 화상(312)을 표시면(31)에 표시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한, 화상 제어부(62)는, 기준 포켓의 위치와, 기준 영상 포켓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표시부(3)에, 초밥 재료 화상(312)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표시부(3)에, 초밥 재료 화상(312)을 각 영상 포켓에 랜덤으로(차례대로가 아니라) 표시시키도록 해도 되고,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조합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표시부(3)에, 영상 휠(311)과 초밥 재료 화상(312)을 따로 따로 표시시키는 것이 아니라,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을 갖는 영상 휠(311)을 한 번에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각 포켓(111b)의 위치와, 각 영상 포켓의 위치를 일치시키도록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함과 함께, 영상 포켓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을 랜덤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제어부(62)는, 16개의 영상 포켓에 각각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을 1개씩 변경해도 되고,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의 조합 화상을 변경해도 된다. 또, 화상 제어부(62)는, 16개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삽입된 영상 휠(311) 전부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화상 제어부(62)는, 영상 휠(311) 및 컨베이어 화상(313)(복수의 회전 화상)이, 룰렛식 게임기(10)와 동심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영상 휠(311) 및 컨베이어 화상(313)의 회전 방향은, 동일 방향이어도 되고, 반대 방향이어도 된다. 또, 영상 휠(311) 및 컨베이어 화상(313)의 회전 속도는, 달라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이와 같이, 화상 제어부(62)는, 복수의 회전 화상을, 이들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하면서, 룰렛식 게임기(10)와 동심적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화상 제어부(62)는, RAM을 이용하여, 기억부(7)(ROM)에 기억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휠(311) 등의 각종 게임 화상을 제어할 수 있다.
2. 게임 장치의 동작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게임 장치의 룰렛 휠의 회전과 LED의 점등과 영상 휠의 회전이 동기하는 처리예를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볼 추첨 중에 있어서의 표시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임이 개시되면, 표시부(3)는,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영상 휠(311)과, 컨베이어 화상(313)을 표시한다(S901). 그때, 정보 취득부(63)는, 16개의 영상 포켓 상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의 조합(배열)을 취득한다. 그리고, 표시부(3)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 상에,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초밥 재료 화상(312)을 BET 대상 화상으로서 기준 영상 포켓으로부터 차례로 표시해 간다(S902).
이로써,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번호 1이 붙여진 영상 포켓(기준 영상 포켓) 및 번호 2가 붙여진 영상 포켓에는, "방어"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된다. 또, 번호 3이 붙여진 영상 포켓 및 번호 4가 붙여진 영상 포켓에는, "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된다. 또, 번호 5가 붙여진 영상 포켓에는, "성게"의 초밥 재료 화상(312)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초밥 재료 화상(312)을 표시부(3)는 그 외의 모든 영상 포켓 상에 표시한다. 그 결과, 영상 휠(311)은, 최종적으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초밥 재료 화상(312)이 삽입된 형태가 된다.
표시부(3)가, 모든 영상 포켓 상에 초밥 재료 화상(312)을 표시한 후, 동작 제어부(61)가 룰렛식 게임기(10)를 가동시켜, 룰렛 휠(111)이 회전한다(S903). 다음으로, 룰렛 휠(111)의 회전과 LED 장치(12)의 점등과 영상 휠(311)의 회전이 동기한다(S904).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덱스 센서(16) 및 포켓 센서(17)가, 포켓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S1001). 이로써, 정보 취득부(63)가 포켓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표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61)는,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포켓의 위치 정보와, 정보 취득부(63)에 의하여 취득된 영상 휠(311)의 패턴에 근거하여, LED(122)의 점등을 제어한다(S1002). 즉, 동작 제어부(61)는, 각 포켓(111b)을 통하여, 각 영상 포켓에 표시되는 초밥 재료 화상(312)의 종류(색)에 대응하도록, 16개의 LED 영역의 LED(122)를 발광시킨다(S1002). 이때, 영상 휠(311)은, 아직 정지 상태이다.
다음으로, 화상 제어부(62)는, 포켓의 위치 정보(휠 정보)에 근거하여, 룰렛 휠(111)의 각 포켓(111b)과, 영상 휠(311)의 각 영상 포켓을 일치시키도록,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제어한다(S1003). 즉, 화상 제어부(62)는, 인덱스 센서(16)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 포켓이, 기준 영상 포켓과 일치하고, 또한 포켓 센서(17)에 의하여 검출된 기준 포켓 이외의 15개의 포켓(111b)이, 각각, 기준 영상 포켓 이외의 15개의 영상 포켓과 일치하도록, 정지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영상 휠(311)의 회전을 시동시킨다. 이로써, 화상 제어부(62)는, 표 1에 나타내는 대응 관계에서, 룰렛 휠(111)의 회전 및 복수의 LED(122)의 발광 패턴의 회전과 영상 휠(311)의 회전을 연동(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 제어부(62)는, 이러한 동기를 확실히 실시하기 위하여,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의 보정을 행한다(S1004~S1006). 구체적으로, 속도 센서는,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 정보를 검출한다(S1004). 이로써, 정보 취득부(63)는,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화상 제어부(62)가,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와 영상 휠의 회전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는 스텝 S1005로 이행한다.
화상 제어부(62)는,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가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5).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가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와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S1005의 No), 처리는 스텝 S1006으로 이행하고, 화상 제어부(62)는, 회전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를 보정한다(S1006). 즉, 화상 제어부(62)는, 회전 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를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에 일치시킨다. 이로써, 룰렛 휠(111)의 회전 및 복수의 LED(122)의 발광 패턴의 회전과, 영상 휠(311)의 회전의 연동(동기)을 확실히 계속시킬 수 있고, 동기 방법의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가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S1005의 Yes), 화상 제어부(62)는,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를 보정하지 않고, 동기 방법의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처리는 스텝 S905로 이행한다(도 9 참조). 동기 방법의 처리가 종료된 후, 컨베이어 화상(313)이 회전하고(S905), BET 타임이 개시된다(S906).
다음으로, 제어부(6)는, BET 타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7). BET 타임이 종료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S907의 No), BET 타임이 계속된다. 이때, 영상 휠(311)의 회전과, 룰렛 휠(111)의 회전 및 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의 회전의 동기(연동)는 계속되고 있다.
한편, BET 타임이 종료되면(S907의 Yes), 표시부(3)는, 컨베이어 화상(313) 및 그 위에 표시되어 있던 초밥 화상(316)을 표시면(31)으로부터 소거하여(S908), 볼 추첨이 개시된다(S909). 구체적으로는, 볼 추첨의 개시에 맞춰, 동작 제어부(61)는,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킨다. 화상 제어부(62)는, 표 1에 나타내는 대응 관계에서, 룰렛 휠(111)의 회전 및 복수의 LED(122)의 발광 패턴의 회전과, 영상 휠(311)의 회전을 연동(동기)시키고 있으므로, 회전 속도가 상승하고 있는 룰렛 휠(111)의 회전에 동기하도록,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 및, 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의 회전 속도도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5개의 볼(B)이 배출부(110)로부터 순차 배출된다. 이로써, 볼(B)이 어느 하나의 포켓(111b)에 들어가, 그 포켓(111b)에 대응하는 영상 포켓에 영상 볼(IB)이 표시된다(도 11 참조).
다음으로, 제어부(6)는, 모든 볼이 어느 하나의 포켓(111b)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10). 모든 볼(B)이 포켓(111b)에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S910의 No), 제어부(6)는, 모든 볼(B)이 포켓에 들어갔는지 여부 판단을 반복한다(S910). 한편, 모든 볼(B)이 포켓(111b)에 들어가면(S910의 Yes), 동작 제어부(61)가, 룰렛 휠(111)의 회전 및 LED(122)의 점등을 정지하고, 화상 제어부(62)가, 영상 휠(311)의 회전을 정지한다(S911). 그 후, 추첨 결과가 발표되고(S912), 게임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게임의 내용은, 회전 초밥과 룰렛 게임을 조합한 획기적인 게임이며,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룰렛 휠(111)의 회전과, LED(122)의 점등(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의 회전)과, 영상 휠(311)의 회전이 동기한다. 이로써, 플레이어의 흥미를 끌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처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에 의하여 실현된다.
3. BET 방법
다음으로, BET 방법을 설명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표시면(31)에는, 조작부(5)를 따라, BET 에어리어(314)가 표시되어 있다. 각 BET 에어리어(314)는, 조작부(5)에 인접하여, 조작부(5)에 대응하고 있다. BET 에어리어(314)는, 조작부(5)의 선택 다이얼(51)에 대응하는 영상 다이얼(315)을 구비한다. 또, BET 에어리어(314)는, 플레이어에 의하여 선택된 초밥 화상(316)과, 선택된 초밥 화상(316)의 접시의 화상(BET 매수)을 구비한다.
도 12는 BET 타임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플레이어는, BET 타임 중에, 선택 다이얼(51)을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각 플레이어의 BET 에어리어(314) 부근의 컨베이어 화상(313) 상에 표시된 초밥 화상(참치 2관(貫))(316)을 선택한다(도 12(a) 참조). 다음으로, 플레이어는, 원하는 초밥 화상(316)에 선택 커서를 맞추고, 결정 버튼(53)을 누른다. 이로써, 플레이어는, 선택한 초밥 화상(316)의 접시의 매수를 선택할 수 있다(도 12(b) 참조). 플레이어는, 선택한 초밥 화상(316)의 접시의 매수를 BET 버튼(52)으로 선택하고(도 12(c) 참조), 결정 버튼(53)으로 그 매수를 결정한다(도 12(d) 참조). 그 결과, BET 에어리어(314) 상에, 선택한 매수로 쌓인 접시의 화상과 초밥 화상(316)이 표시된다(도 12(e) 참조). 플레이어가,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도 1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초밥 화상(316)이, 선택된 매수의 접시의 화상과 함께 BET 에어리어(314)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선택한 초밥 재료 화상(312) 및 BET한 메달의 매수를 파악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게임 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게임 장치(200)에서는, 4개의 표시부(3)에 걸쳐서 표시되는 영상 휠(311)이, 12개의 영상 포켓을 가지며, 그 위에 BET 대상 화상(312)(도 13 중 로마 숫자로 1~12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게임 장치(200)는, 룰렛식 게임기(10)와 장치 본체(1)를 갖는다. 룰렛식 게임기(10)는, 게임기 본체(11)와 LED 장치(12)와 LED 커버(13)를 구비한다. 게임기 본체(11)는, 각각의 양단에 화살표부를 구비하는 2개의 봉 형상부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 룰렛 휠(111)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룰렛 휠(111)은, 포켓을 갖고 있지 않고, 4개의 화살표부가, 볼(B) 대신이 되어, BET 대상 화상(312)을 가리킨다. 즉, 본 실시형태의 게임 장치(200)는, 게임기 본체(11) 및 영상 휠(311)의 구성이 다른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게임 장치(100)와 다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룰렛 휠(111)은 포켓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같이, 포켓(111b)의 위치와 영상 포켓의 위치를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61)가 룰렛 휠(111)을 회전시킴과 함께, 화상 제어부(62)가 영상 휠(311)을 회전시킴으로써, 룰렛 휠(111)의 회전과, 영상 휠(311)의 회전이 동기할 수 있다.
또, LED 장치(12)의 발광 패턴의 회전은, 인덱스 센서(16) 및 동작 제어부(61)에 의하여, 화살표부에 연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룰렛 휠(111)의 회전 속도와 영상 휠(311)의 회전 속도는 달라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또, 각각의 회전 방향은, 동일 방향이어도 되고, 반대 방향이어도 된다. 또, 각각의 회전이 동시에 정지해도 되고, 동시에 정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게임 장치(200)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게임의 내용보다 심플한 게임의 내용이 되기 때문에, 1회의 게임 시간이 짧아진다. 이로써, 부담없이 플레이하고자 하는 플레이어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게임 장치를 도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임 장치를 구성하는 각부는, 동일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 임의의 구성물이 부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특징)을 조합해도 된다.
또, 구조물로서는, 룰렛식 게임기(10)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게임기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작 게임기, 카드 게임기, 낚시 게임기, 야구 게임기, 인생 게임기, 전쟁 게임기 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영역(4)의 위치, 크기 및 형상, LED 장치(12)(LED 커버(13))의 배치 위치 등이나, 각종 센서의 종류를 변경하면 된다. 또, 구조물은 물리적 기구 또는 전기적 기구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양쪽 모두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게임 장치는,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구조물이 낚시 게임기인 경우는, 구조물에 물이 흐르도록, 게임 장치가 유수(流水)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게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장치 본체
2…케이스
3…표시부
4…영역
5…조작부
6…제어부
7…기억부
8…출력부
9…검출부
10…룰렛식 게임기(가동부, 구조물)
11…게임기 본체
12…LED 장치
13…LED 커버
14…수납부
15…게임기 커버
16…인덱스 센서
17…포켓 센서
18…볼 센서
19…인덱스
21…상부 개구
31…표시면
50…본체
51…선택 다이얼
52…BET 버튼
53…결정 버튼
54…메달 투입구
55…크레디트 표시부
56…지불 버튼
61…동작 제어부
62…화상 제어부
63…정보 취득부
81…메달 반환구
82…스피커
100…게임 장치
110…배출부
111…룰렛 휠
111b…포켓
111c…슬릿
111d…관통 구멍
112…휠 본체
113…교반판
114…충돌부
121…회로 기판
122…LED
200…게임 장치
311…제1 회전 화상(영상 휠)
312…BET 대상 화상(초밥 재료 화상)
313…컨베이어 화상
314…BET 에어리어
315…영상 다이얼
316…초밥 화상
B…볼
IB…영상 볼

Claims (8)

  1. 표시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표시부에 의하여 구획형성된 폐쇄된 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게임의 내용에 관련된 구조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각각 상기 표시면을 연직 상방을 향하여 배치하고 있는 게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당해 게임 장치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구조물은 각 상기 복수의 표시부의 상기 표시면의 일부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게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상기 게임의 내용에 관련된 화상을 표시하는 게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물리적 기구를 구비하는 게임기인 게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전기적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게임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는 룰렛식 게임기인 게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상기 룰렛식 게임기의 룰렛의 회전에 동기하고, 상기 룰렛식 게임기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게임 장치.
KR1020177023350A 2015-02-24 2016-02-23 게임 장치 KR201701206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4573 2015-02-24
JP2015034573 2015-02-24
PCT/JP2016/055295 WO2016136756A1 (ja) 2015-02-24 2016-02-23 ゲー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604A true KR20170120604A (ko) 2017-10-31

Family

ID=5678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350A KR20170120604A (ko) 2015-02-24 2016-02-23 게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82689B2 (ko)
KR (1) KR20170120604A (ko)
CN (1) CN107820436A (ko)
TW (1) TWI702075B (ko)
WO (1) WO20161367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19A2 (ko)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KR20210066842A (ko) * 2018-10-02 2021-06-07 가부시키가이샤 마베라스 게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7008B2 (ja) * 2018-10-02 2024-02-22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
JP6611060B1 (ja) * 2018-10-02 2019-11-27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529A (ja) * 2000-10-03 2002-04-09 Sega Corp ゲーム装置
JP4281593B2 (ja) * 2004-03-24 2009-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の制御
JP2005305021A (ja) * 2004-04-26 2005-11-04 Aruze Corp 多人数参加型ゲーム装置
SI22085A (sl) * 2005-08-26 2007-02-28 Zuum D.O.O. Elektronska igralna ruleta
JP4815982B2 (ja) * 2005-10-07 2011-11-16 株式会社セガ ゲーム装置
TW200815073A (en) * 2006-09-29 2008-04-01 Astro Corp Lottery wining number prediction device for roulette game device
JP2009112778A (ja) * 2007-11-05 2009-05-28 Aruze Corp 遊技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5701541B2 (ja) * 2010-08-25 2015-04-15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装置、当該ゲーム装置を実現するためのゲームプログラム
JP5909968B2 (ja) * 2011-09-30 2016-04-27 株式会社セガゲームス ゲーム装置
JP6087422B2 (ja) * 2012-03-19 2017-03-01 コナミゲーミ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抽選用リング、それを備えた抽選用リングユニット、それを備えたゲームマシン、それに用い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035396A1 (en) * 2012-08-30 2014-03-06 Konami Gaming, Incorporated Game machine,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619A2 (ko)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KR20210066842A (ko) * 2018-10-02 2021-06-07 가부시키가이샤 마베라스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20436A (zh) 2018-03-20
TW201630642A (zh) 2016-09-01
JPWO2016136756A1 (ja) 2018-02-22
TWI702075B (zh) 2020-08-21
WO2016136756A1 (ja) 2016-09-01
JP6782689B2 (ja)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0604A (ko) 게임 장치
JP4914047B2 (ja) 遊技機
JP2005245841A (ja) 遊技機
JP6799237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EP1677265A1 (en) Gaming machine and game article
JP2004194997A (ja) 遊技台
JP2017221570A (ja) 遊技機
JP2005006996A (ja) 目押しサポートリール付スロットマシン
JP2003154090A (ja) 有効ライン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を有する遊技機
JP6441260B2 (ja) 遊技機
JP2007259893A (ja) 遊技機
JP2004261460A (ja) 遊技装置
JP6097810B2 (ja) 弾球遊技機
JP2015198748A (ja) 遊技機
JP6437492B2 (ja) 遊技機
JP2002282462A (ja) 遊技機
JP2017221567A (ja) 遊技機
JP6436930B2 (ja) 遊技機
JP5070400B2 (ja) 遊技機
JP4161108B2 (ja) 遊技機
JP3027883U (ja) 遊技機における当り表示機構
JP2013009990A (ja) 遊技機
JP2006075212A (ja) 遊技機
JP2001252412A (ja) 遊技機
JP2003236040A (ja) 遊技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