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511A -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511A
KR20170120511A KR1020170050389A KR20170050389A KR20170120511A KR 20170120511 A KR20170120511 A KR 20170120511A KR 1020170050389 A KR1020170050389 A KR 1020170050389A KR 20170050389 A KR20170050389 A KR 20170050389A KR 20170120511 A KR20170120511 A KR 2017012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roll
film
width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4132B1 (ko
Inventor
요시아키 이시가미
고지 스미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warp or cu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1Bin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3Size of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llation Of Sheets And Webs (AREA)
  • Advancing Web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은,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제1 롤(1)이 제1 수지 필름(6)에 접촉하고, 제2 롤(2)이 제2 수지 필름(8)에 접촉하며, 제1 롤(1)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6)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1a)의 폭(W1a)이, 제1 수지 필름(6)의 폭(W6) 및 제2 수지 필름(8)의 폭(W8)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을, 제1 롤(1)측으로부터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킨다.

Description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METHOD FOR CONVEYING RESIN FILM}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액정 표시 소자 등의 광학 표시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서는, 광학 보상 필름(위상차 필름)이나 편광자 보호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 필름의 제조에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 성형에 의해, 장척(長尺) 띠 형상의 수지 필름을 제작한다. 또한 수지 필름을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 횡연신에 의해, 수지 필름에 원하는 광학 특성을 부여하거나, 인성(靭性)을 부여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척 띠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수지 필름의 양단부를 각각 클립으로 파지한다. 그리고, 클립 사이의 거리를 넓힘으로써, 수지 필름을 폭 방향으로 연신한다. 또한, 연신 후의 수지 필름을 다른 수지 필름(예컨대 보호 필름 등)과 적층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적층 필름(적층형 광학 필름)이 완성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36414호 공보
횡연신에 있어서 클립에 파지된 수지 필름의 양단부는, 연신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거의 동일한 두께로 남는다. 한편, 양단부 사이의 부분은 연신에 의해 얇아진다. 이 때문에, 연신 후의 수지 필름의 양단부는, 슬릿 가공에 의해 절단·제거되어, 수지 필름의 폭은, 소정의 폭으로 조정된다. 소정의 폭으로 조정된 연신 필름은 통상, 롤에 권취된 후에, 제품으로서 출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신 필름의 양단부와 중앙부 사이에 두께의 차가 있기 때문에, 슬릿 가공 전의 반송 중에, 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슬릿 가공 전에 연신 필름의 양단부 부근에 주름이 발생하면, 슬릿 시에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슬릿 불량에 기인한 필름편(가루)이 완성품에 혼입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연신 필름의 주름은,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균일성을 손상시키는 원인도 된다. 특히, 수지 필름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나 폴리스티렌(PS) 등과 같이, 비교적 약하여 깨지기 쉬운 열가소성 수지로 제작되는 경우, 슬릿 가공 전에 발생하는 주름에 기인하여, 슬릿 불량에 기인하는 필름편의 혼입이 발생하기 쉬울 뿐만이 아니라, 나아가서는 연신 필름이 파단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상과 같은 수지 필름의 주름은, 반드시 횡연신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 성형에서는, 압출 금형의 토출구(립)로부터 토출된 수지 필름이, 토출 시의 네크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지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부가 단부보다 두꺼워지기 쉽다. 즉, 수지의 압출 성형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양단부가,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지기 쉽다. 이 예에 한하지 않고, 수지 필름의 반송 또는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공정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두께의 차에 기인하는 수지 필름의 주름을 억제하는 기술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지 필름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은,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제1 롤이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제2 롤이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제1 롤측으로부터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킨다.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란,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다.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란, 제1 롤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란, 장척의 띠 형상의 제1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이란, 제1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이란, 제1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란,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다.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란, 제1 롤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란, 장척의 띠 형상의 제1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란,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다.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란, 제2 롤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란, 장척의 띠 형상의 제2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폭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이란, 제2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이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에서는, 제1 수지 필름이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이다.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제1 롤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장척의 띠 형상의 제1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에서는, 제2 수지 필름이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이다.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제2 롤의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란, 장척의 띠 형상의 제2 수지 필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라고 바꿔 말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에서는,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 제2 수지 필름의 폭보다 좁아도 좋고,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를 제1 롤의 표면에 접촉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하고, 반송 공정에서는, 제1 롤이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제2 롤이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반송 공정에서는,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제1 롤측으로부터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킨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수지 필름이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2 수지 필름이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 제2 수지 필름의 폭보다 좁아도 좋고,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를 제1 롤의 표면에 접촉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의 반송 공정에서는,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시키고,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움으로써,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접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자기 점착성 필름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는,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제1 롤 및 제2 롤을 구비하고, 제1 롤이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제2 롤이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제1 롤측으로부터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는,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한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는, 제2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또는 제1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2 수지 필름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를 더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필름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의 모식도이며, 제1 수지 필름의 진입각(θ1)이 둔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의 변형예이며, 제1 수지 필름의 진입각(θ1)이 예각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반송 장치,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의 단면의 모식도이며, 제1 롤의 회전 축선 및 제2 롤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반송 공정 전의 제2 수지 필름(연신 필름)의 단면의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반송 공정 전의 제1 수지 필름(연신 필름)의 단면의 모식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면의 변형예이며,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가 제1 롤의 표면(접촉 영역)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9는 비교예 1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비교예 2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등한 구성 요소에는 동등한 부호를 붙인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 나타낸 X, Y 및 Z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좌표축을 의미한다. 각 좌표축이 나타내는 방향은, 모든 도면에 공통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보호 필름과 연신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는, 보호 필름 및 연신 필름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지 필름이 보호 필름이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수지 필름은 보호 필름이 아니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수지 필름이 열가소성의 연신 필름이다. 연신 필름이란, 예컨대, 종연신 및 횡연신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실시함으로써, 광학 특성 또는 인성 등의 원하는 특성이 부여된 수지 필름이다. 연신 필름의 구체예는, 예컨대, 위상차 필름, 편광자,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을 갖지 않아도 좋고, 연신 필름이 아니어도 좋다. 이하에서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중첩된 보호 필름 및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층 필름이라고 적는다. 제1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의 단층 필름이어도 좋고, 다층 구조의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또한 제2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의 단층 필름이어도 좋고, 다층 구조의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이 모두 단층 필름이어도 좋고, 모두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이 단층 필름이고, 제2 수지 필름이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이 다층 필름이고, 제2 수지 필름이 단층 필름이어도 좋다.
연신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이면 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예컨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L-젖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또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한 수지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여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첨가제는, 예컨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재,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 방담제, 또는 안티블로킹제여도 좋다. 예컨대, 연신 필름으로서 편광자를 제작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여도 좋다.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여도 좋다. 보호 필름에 있어서 연신 필름에 대면하는 표면에는,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연신 필름은,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압출 성형 공정, 종연신 공정 및 횡연신 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종연신 공정을 거친 후에 횡연신 공정을 거쳐 연신 필름을 제작해도 좋고, 횡연신 공정을 거친 후에 종연신 공정을 거쳐 연신 필름을 제작해도 좋다. 또한, 압출 성형 공정을 거친 후에 횡연신 공정을 거쳐 연신 필름을 제작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종연신 공정 후에 횡연신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압출 공정에서는, 가열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의 선단에 형성된 토출구(립)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다. 이 성형체를 복수의 냉각롤에 통과시켜 냉각함으로써, 장척의 띠 형상의 압출 필름이 얻어진다. 압출 필름을, 그대로 연속적으로 종연신 장치에 반송해도 좋다. 또는 압출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한 후, 롤 형상의 압출 필름을 풀어내어, 종연신 장치에 반송해도 좋다. 압출 필름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된다.
종연신 장치는, 예컨대,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닙롤을 구비한다.
닙롤이란, 한 쌍의 롤로 구성되며, 한 쌍의 롤 사이에 수지 필름을 끼워 가압하면서 반송하는 장치이다. 종연신 공정에서는, 압출 필름이, 종연신 장치가 구비하는 2개의 닙롤을 통과한다. 압출 필름이 최초로 통과하는 닙롤의 주속도(周速度)를, 다음으로 통과하는 닙롤의 주속도보다 늦어지도록 조정한다. 이 주속도의 차에 의해, 압출 필름은, 그 길이 방향(반송 방향)으로 연신되어 종연신 필름이 된다. 종연신 공정에서는, 2개의 닙롤 사이에 오븐 등을 배치하여, 압출 필름을 가열하면서 연신해도 좋다. 종연신 공정 전에, 압출 필름을 예열해도 좋다.
종연신에 이어서 횡연신을 실시한다. 이하에서는, 횡연신 공정의 일례로서, 텐터법을 설명한다. 텐터법에 이용하는 횡연신 장치는, 예컨대,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따라 늘어서는 2개의 클립열을 구비한다. 즉, 종연신 필름은, 2개의 클립열 사이에 배치된다. 각 클립열은, 복수의 클립으로 구성된다. 즉,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따라, 복수의 클립이 늘어서 있다.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각 클립으로 파지한다. 횡연신 공정에서는, 양단부가 복수의 클립에 의해 파지된 종연신 필름을 그 길이 방향으로 반송한다. 반송 과정에서,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가로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는 한 쌍의 클립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종연신 필름이 횡연신 필름이 된다. 한 쌍의 클립의 간격을 넓힌 후에, 이 간격을 약간 좁히는 조작(이른바 이완)을 행해도 좋다. 그 후, 횡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클립으로부터 개방한다. 횡연신 필름을 놓아 준 한 쌍의 클립은 상류측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파지한다. 즉, 복수의 클립은,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의 파지, 종연신 필름의 횡연신, 및 횡연신 필름의 개방을 반복한다. 이상의 텐터법에 의해, 종연신 필름이 연속적으로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신되어, 횡연신 필름이 얻어진다. 횡연신 공정에 있어서도, 종연신 필름을 가열하면서 연신해도 좋다. 횡연신 공정 중, 또는 횡연신 공정 후, 횡연신 필름을 가열하여 안정화시키는 열 고정을 행해도 좋다. 횡연신 후의 연신 필름은, 복수의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되어, 후술하는 반송 장치에 반송된다.
클립에 파지된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의 두께는, 횡연신 후에 있어서도, 횡연신 전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중앙부)은, 횡연신에 의해 얇아지기 쉽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가, 양단부(8b) 사이에 위치하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보다 두꺼워지기 쉽다.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균일해지기 쉽다. 따라서,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는, 이후의 슬릿 가공에 의해 절단·제거되어, 횡연신 필름(8)의 폭(W8)은, 소정의 폭(예컨대 폭(W8a))으로 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이드롤 또는 닙롤을 이용한 반송 방법에 의해 횡연신 필름을 슬릿 가공 장치에 반송하는 경우, 반송 중인 연신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 양단부(8b)로부터 중앙부(8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8a)로부터 양단부(8b)로 향하는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이 주름은,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의 두께(T8b)와 중앙부(8a)의 두께(T8a)의 차에 기인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 중인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단, 반송 중인 횡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은, 반드시 두께의 차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의 두께의 차가 거의 없는 경우라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에 의하면, 반송 중인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100)를 구비한다. 반송 장치(100)는, 제1 롤(1) 및 제2 롤(2)을 구비한다. 제1 롤(1)의 회전 축선(A1)은, 제2 롤(2)의 회전 축선(A2)과 평행하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반송 장치(100)를 이용한 반송 공정을 구비한다. 반송 공정에서는,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끼워 반송한다. 보호 필름(6)도, 횡연신 필름(8)과 마찬가지로 장척의 띠 형상이다. 보호 필름(6)은, 예컨대, 원반롤로부터 풀어내어져 반송 장치(100)에 공급된다.
제1 롤(1) 및 제2 롤(2)은, 수지 필름의 표면에 선압을 부여하는 닙롤이다. 즉,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은, 반송 과정에 있어서,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끼워져, 제1 롤(1) 및 제2 롤(2)에 의해 가압된다. 예컨대, 닙롤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닙롤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 각각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롤(1)은, 예컨대, 직경이 대략 균일한 플랫롤이어도 좋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1)의 회전 축선(A1)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롤(1)의 표면은 대략 직선이어도 좋다. 제2 롤(2)도, 플랫롤이어도 좋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롤(2)의 회전 축선(A2)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2 롤(2)의 표면은 대략 직선이어도 좋다.
제1 롤(1)의 표면에 있어서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제2 롤(2)에 접촉하는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8a)의 폭(W8a)보다 좁다. 제1 롤(1)이 접촉하는 접촉 영역(1a)의 폭(W1a)이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8a)의 폭(W8a)보다 좁은 경우,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8b)(중앙부(8a)에 비해 두꺼운 부분)에 닿기 어렵고, 제1 롤(1)이 장력을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8a)에만 부여하기 쉽다.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8a)에만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두께가 균일한 중앙부(8a)에서 주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폭(W8)과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의 차(W8-W1a)는, 예컨대, 10~300 ㎜ 정도이면 된다.
반송 공정에서는,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제1 롤(1)측으로부터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킨다. 즉,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횡연신 필름(8)보다 폭이 좁은 제1 롤(1)측으로부터 롤 사이에 진입시킨다. 그 결과,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보호 필름(6)을 통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균일한 선압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롤(1)이 보호 필름(6)을 통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충분히 균일한 선압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균일한 선압에 의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송 중인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의 주름이 억제된다. 특히,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로부터 중앙부(8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8a)로부터 양단부(8b)로 향하는 주름이 억제되기 쉽고,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와 양단부(8b)의 두께 차에 기인하는 주름이 억제되기 쉽다. 만일,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2 롤(2)측으로부터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키는 경우,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제1 롤(1)의 굵은 부분)이 균일한 선압을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미치게 하기 어려워져, 주름을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1)의 회전 축선(A1)과 제2 롤(2)의 회전 축선(A2)에 수직인 단면(ZX면)에 있어서, 제1 기준선(L1)은, 회전 축선(A1) 및 회전 축선(A2)을 연결하는 선분(La)에 수직이고, 또한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과 교차하는 선분이다.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진입각(θ1)은,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이 제1 기준선(L1)에 대해 이루는 각이라고 정의된다. 또한 회전 축선(A1) 및 회전 축선(A2)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제2 기준선(L2)은, 선분(La)에 수직이고, 또한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과 교차하는 선분이다.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진입각(θ2)은,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이 제2 기준선(L2)에 대해 이루는 각이라고 정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의 진입각(θ1)은, 둔각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의 진입각(θ1)은, 예각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6)의 진입각(θ1)은, 예컨대, 10~170°이면 된다. 제1 롤(1)의 형상에 기인하는 주름 억제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해서, 진입각(θ1)은, 3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연신 필름(8)의 진입각(θ2)은, 예각이어도 좋다. 횡연신 필름(8)의 진입각(θ2)은, 둔각이어도 좋다. 예컨대, 횡연신 필름(8)의 진입각(θ2)은, 10~170°이면 된다. 진입각(θ1 및 θ2)이 상기한 범위 내인 경우, 횡연신 필름(8)의 주름이 억제되기 쉽다.
횡연신 필름(8)이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연신 필름(8)의 반송 방향(D8)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는, 양단부(8b) 사이에 위치하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보다 두꺼워도 좋다. 즉, 폭 방향(짧은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는, 양단부(8b) 사이에 위치하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보다 두꺼워도 좋다. 횡연신 공정에 있어서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의 두께(T8b)가 중앙부(8a)의 두께(T8a)보다 커져, 중앙부(8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8a)로부터 양단부(8b)로 향하는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졌다고 해도, 반송 공정에 있어서,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보호 필름(6)을 통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균일하게 장력을 부여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횡연신 필름(8)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를 제1 롤(1)의 표면(제1 롤(1)의 접촉 영역(1a))에 밀착시켜도 좋다. 제1 롤(1)의 표면(제1 롤(1)의 접촉 영역(1a))에 밀착하는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을 통해, 선압을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8a)에 미치게 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8a)로부터 양단부(8b)로 향하는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폭(W6)은,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좁아도 좋다.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폭(W6)이,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좁은 경우,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에 선압을 부여하기 쉽다. 단,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폭(W6)은,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넓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폭(W6)은,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폭(W8)보다 좁아도 좋다. 단,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폭(W6)은,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폭(W8)보다 넓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폭(W8)은, 제2 롤(2)의 폭(W2)보다 좁아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공정에서는, 제1 롤(1)의 중앙부,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 횡연신 필름(8)(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 및 제2 롤(2)의 중앙부가, 동일 평면(ZX면) 상, 또는 동일 직선(Z축) 상에서 정렬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롤(1)의 표면은, 강성이 높은 강체여도 좋다. 예컨대, 제1 롤(1)의 표면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SUS304) 등의 금속이어도 좋고, 제2 롤(2)의 표면에 크롬 도금 처리나 니켈 도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제1 롤(1)의 표면은, 탄성체여도 좋다. 예컨대, 제1 롤(1)의 표면은, 니트릴 고무(NBR),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의 고무여도 좋다. 크라운 형상을 부여하기 쉬운 점에서, 제1 롤(1)의 표면은,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롤(2)의 표면은, 강성이 높은 강체여도 좋다. 예컨대, 제2 롤(2)의 표면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SUS304) 등의 금속이어도 좋고, 제2 롤(2)의 표면에 크롬 도금 처리나 니켈 도금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롤(2)의 표면은, 탄성체여도 좋다. 예컨대, 제2 롤(2)의 표면은, 니트릴 고무(NBR),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등의 고무여도 좋다.
제1 롤(1) 및 제2 롤(2) 중 한쪽 또는 양쪽은, 동력원(예컨대 모터)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됨으로써, 회전해도 좋다.
주름 억제 효과와 균일한 접합 압력을 양립할 수 있는 점에서 제1 롤의 표면이 탄성체이고, 제2 롤의 표면이 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은, 적층 필름(4)으로서,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로부터 풀어내어진다. 적층 필름(4)은, 복수의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되어, 슬릿 가공 장치에 반송된다. 슬릿 가공 장치를 이용한 슬릿 가공 공정에서는,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가 절단(슬릿)되어, 제거된다.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 중 어느 하나에 보호 필름(6)이 겹쳐져 있는 경우,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에 겹쳐지는 보호 필름(6)의 일부도 절단(슬릿)되어, 제거된다.
슬릿 가공 후의 적층 필름(4)에는, 또한 다른 수지 필름이 적층 또는 접합되어도 좋다. 예컨대, 보호 필름(6)과는 다른 보호 필름(제2 수지 필름)을 연신 필름에 적층 또는 접합하여, 연신 필름을 한 쌍의 보호 필름 사이에 끼워 넣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에 더하여,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수지 필름을 적층 필름(4)에 적층 또는 접합해도 좋다.
횡연신 필름(8)이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예컨대, 3~100 ㎛, 4~80 ㎛, 또는 5~40 ㎛여도 좋다. 종래의 반송 공정에서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두께(T8a)가 작을수록, 횡연신 필름(8)에 주름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었다. 환언하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가 얇을수록, 주름 등의 영향에 의해 횡연신 필름(8)의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장력을 부가하기 어렵고, 횡연신 필름(8)의 장력이 부분적으로 높아져, 횡연신 필름(8)이 파단되기 쉬웠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반송 공정에서는, 얇은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의 주름을 장력에 의해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러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두께(T8a)가 40 ㎛ 이하인 경우라도, 반송 중에 있어서의 횡연신 필름(8)의 주름을 억제하여, 횡연신 필름(8)의 파단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6)의 두께는, 예컨대, 10~100 ㎛ 정도이면 된다.
횡연신 필름(8)의 폭(W8)은, 예컨대, 300~6000 ㎜여도 좋다. 횡연신 필름(8)의 폭(W8)(특히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폭(W8a))이 넓을수록, 반송 중인 횡연신 필름(8)에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횡연신 필름(8)의 폭(W8)이 넓은 경우라도, 반송 중에 있어서의 횡연신 필름(8)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보호 필름(6)의 폭(W6)은, 예컨대, 300~6000 ㎜여도 좋다.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의 반송 속도는, 예컨대, 2~100 m/분이어도 좋다.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직경은, 예컨대, 60~400 ㎜여도 좋다. 제2 롤(2)의 직경은, 예컨대, 60~400 ㎜여도 좋다.
이상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적층 필름은, 예컨대, 적층형 광학 필름으로서, 액정 표시 소자 또는 유기 EL 표시 소자 등의 광학 표시 디바이스에 접합되어도 좋다. 적층형 광학 필름은, 예컨대, 적층형 편광판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송 중인 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 고유의 사항(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의 상위점)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사항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롤(1)에 접촉하는 제1 수지 필름(6)이 보호 필름이고, 제2 롤(2)에 접촉하는 제2 수지 필름(8)이 연신 필름이다. 대조적으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롤(1)에 접촉하는 제1 수지 필름(6)이 연신 필름이고, 제2 롤(2)에 접촉하는 제2 수지 필름(8)이 보호 필름이다. 이와 같이 연신 필름 및 보호 필름의 상하 관계가 반대인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도, 반송 장치(100)를 이용한 반송 공정을 구비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1)의 표면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보다 좁다.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보다 좁은 경우,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양단부(6b)(중앙부(6a)에 비해 두꺼운 부분)에 닿기 어렵고, 제1 롤(1)이 장력을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에만 부여하기 쉽다.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에만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6a)로부터 양단부(6b)로 향하는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과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의 차(W6-W1a)는, 예컨대, 10~300 ㎜ 정도이면 된다.
반송 공정에서는,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을, 제1 롤(1)측으로부터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킨다. 즉,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을, 제1 수지 필름(6)보다 폭이 좁은 제1 롤(1)측으로부터 롤 사이에 진입시킨다. 그 결과, 제1 롤(1)이 제1 수지 필름(6)의 중앙부(6a) 및 제2 수지 필름(8)에 선압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롤(1)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에 충분히 균일한 선압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선압에 의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주름이 억제되기 쉽다.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이 제1 롤(1)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반송 방향(D6)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양단부(6b)는, 양단부(6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보다 두꺼워도 좋다. 즉, 폭 방향(짧은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양단부(6b)는, 양단부(6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보다 두꺼워도 좋다. 횡연신 공정에 있어서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양단부(6b)의 두께(T6b)가 중앙부(6a)의 두께(T6a)보다 커져, 중앙부(6a)로 향하는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졌다고 해도, 반송 공정에 있어서,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중앙부(6a)에 균일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보다 좁아도 좋다. 단,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보다 넓어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좁아도 좋다. 단,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제1 롤(1)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넓어도 좋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은, 제2 롤(2)의 폭(W2)보다 좁아도 좋다.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제2 롤(2)의 폭(W2)보다 좁아도 좋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수지 필름(6) 또는 제2 수지 필름(8)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실시형태에 고유의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사항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사항에 있어서,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공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제1 롤(1A)은, 크라운롤이다. 즉, 제1 롤(1A)의 회전 축선(A1)을 포함하는 단면에 있어서, 제1 롤(1A)의 중앙에 위치하는 접촉 영역(1a)의 표면은, 완만한 곡선이다. 그리고, 제1 롤(1A)의 직경(굵기)은, 제1 롤(1A)의 한가운데로부터 제1 롤(1A)의 양단부(1b)로 향함에 따라 감소한다. 한편, 제3 실시형태의 제2 롤(2)은, 예컨대, 플랫롤이어도 좋다. 단, 실제의 제2 롤(2)은, 예컨대 자중에 의해,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을 따르도록 휘어져 있어도 좋다.
제3 실시형태의 반송 공정에 있어서도,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을, 제1 롤(1A)측으로부터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킨다. 즉,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을 크라운롤측으로부터 롤 사이에 진입시킨다.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크라운롤의 굵은 부분)은, 플랫롤에 비해 볼록한 형상이기 때문에, 제1 수지 필름(6)의 표면에 접촉하기 쉽다. 따라서, 제1 롤(1A)(크라운롤)은, 플랫롤에 비해, 제1 수지 필름(6)의 중앙부(6a) 또는 제2 수지 필름(8)의 중앙부(8a)에 균일하게 장력을 부여하기 쉬워, 제1 수지 필름(6) 또는 제2 수지 필름(8)의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즉, 크라운롤을 이용하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랫롤을 이용하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 비해, 제1 수지 필름(6) 또는 제2 수지 필름(8)의 주름을 억제하기 쉽다. 만일, 제1 수지 필름(6) 및 제2 수지 필름(8)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제2 롤(2)측으로부터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키는 경우,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크라운롤의 굵은 부분)이 선압을 균일하게 각 수지 필름에 미치게 하기 어려워져, 주름을 억제하기 어려워진다.
제1 롤(1A)(크라운롤)의 크라운량은, 예컨대, 0.05~5 ㎜여도 좋다. 크라운량이란,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에 있어서의 직경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다. 환언하면, 크라운량이란,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중앙부의 직경과,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단부의 직경의 차이다. 제1 롤(1A)의 크라운량이 제1 롤(1)의 휘어짐량으로부터 제2 롤(2)의 휘어짐량을 뺀 값이 양의 값이며, 그 값이 클수록, 제1 롤(1A)이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에 선압을 부여하기 쉬워, 주름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상기 양의 값이 지나치게 크면 필름 폭 방향의 단부가 닙되지 않기 때문에, 주름 억제 효과가 작아질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크라운량은, 제1 롤(1)의 휘어짐량으로부터 제2 롤(2)의 휘어짐량을 뺀 값이 양의 값이며, 필름 폭 방향의 단부가 닙되는 정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 필름(6)의 표면의 일부를 제1 롤(1A)의 표면(제1 롤(1)의 접촉 영역(1a))에 밀착시켜도 좋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지 필름(6)의 표면 전체를 제1 롤(1A)의 표면(제1 롤(1)의 접촉 영역(1a))에 밀착시켜도 좋다. 제1 롤(1A)의 표면(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에 밀착하는 제1 수지 필름(6)의 표면적이 넓을수록,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이, 제1 수지 필름(6)을 통해, 선압을 제2 수지 필름(8)의 중앙부(8a)에 미치게 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2 수지 필름(8)의 중앙부(8a)로 향하는 주름이나 중앙부(8a)로부터 양단부(8b)로 향하는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반송 장치(100)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수지 필름(8)에 주름이 발생했다고 해도, 제1 롤(1A)(크라운롤)의 형상에 기인하여 제2 수지 필름(8)의 주름이 눌려 펴지기 쉽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수지 필름의 주름은, 반드시 압출 필름의 횡연신에만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의 압출 성형 공정에서는, 압출 금형의 토출구(립)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를 예컨대 냉각롤로 냉각 고화시켜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면, 네크인의 영향에 의해 압출 필름의 단부가 압출 필름의 중앙부에 비해 두꺼워지기 쉽다. 즉, 횡연신 전의 압출 필름의 양단부가, 압출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지기 쉽다. 이 압출 성형 공정에 기인하는 압출 필름의 주름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도, 본 발명은 유용하다. 이 예에 한하지 않고, 수지 필름의 반송 또는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장면에 있어서, 수지 필름의 두께의 차에 기인하는 수지 필름의 주름을 본 발명에 의해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을 복수 회 실시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는,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에 더하여, 또한 도포 장치를 구비해도 좋다.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송 공정 전에,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또는 제1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2 수지 필름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해도 좋다. 이어지는 반송 공정에서는,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시키고,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워도 좋다. 즉 반송 공정에서는,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통해 접합해도 좋다. 즉,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는, 수지 필름끼리를 접합하는 기능도 겸비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자기 점착성 필름이어도 좋다. 예컨대, 보호 필름이, 자기 점착성을 가져도 좋다.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보호 필름이 있다. 자기 점착성 필름의 점착면은, 예컨대, 제2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1 수지 필름의 표면이어도 좋다. 또는, 자기 점착성 필름의 점착면은, 제1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2 수지 필름의 표면이어도 좋다. 제2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및 제1 수지 필름을 향하는 제2 수지 필름의 표면의 양쪽이 점착면이어도 좋다.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자기 점착성 필름인 경우, 반송 공정에서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접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롤(2)도 크라운롤이어도 좋다.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이,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제2 수지 필름의 폭의 양쪽보다 좁아도 좋다.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껍고, 또한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워도 좋다.
제1 수지 필름은, 보호 필름 또는 연신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수지 필름도, 보호 필름 또는 연신 필름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수지 필름 또는 제2 수지 필름은, 예컨대, 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필름, 표면 반사 방지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위상차 필름, 및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어도 좋다. 적층 필름은, 예컨대,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 편반사형 편광 필름, 방현 필름, 표면 반사 방지 필름, 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 필름, 위상차 필름, 및 시야각 보상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구비하는 적층형 광학 필름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이하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이 순서로 실시하였다.
종연신 공정에서는, 장척 띠 형상의 수지 필름을, 120℃에서 가열하면서, 수지 필름을 그 장척 방향(반송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수지 필름으로서는, PMMA 수지(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중량비 94/6), 유리 전이 온도 108℃)로 형성된 필름을 이용하였다. 종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폭(W0)은, 1000 ㎜였다. 종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두께(T0)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종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종연신 후의 수지 필름(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T1)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종연신 공정에 이어지는 횡연신 공정에서는, 텐터법을 채용하였다. 텐터법에서는,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따라 늘어서는 2개의 클립열을 구비한 횡연신 장치를 이용하였다. 2개의 클립열은 각각 복수의 클립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횡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따라 늘어서는 복수의 클립에 의해, 종연신 필름의 양단부를 파지하였다. 각 클립에 의해 파지된 종연신 필름을, 120℃에서 가열하면서,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는 한 쌍의 클립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필름을 동일 온도에서 가열하면서 클립의 간격을 5 ㎜ 좁히는 이완을 행하였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횡연신 필름(제2 수지 필름)을 얻었다.
횡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 횡연신 필름(8)의 폭 방향(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8b)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보다 두꺼웠다. 즉,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8b)에서는, 종연신 필름의 두께(T1)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갖는 부분이 남아 있었다.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며, 대략 균일하였다.
이 횡연신 필름을, 복수의 가이드롤에 의해, 반송 장치에 반송하였다. 실시예 1에서 이용한 반송 장치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늘어서는 제1 롤(1A) 및 제2 롤(2)과, 이들의 회전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었다. 제1 롤(1A) 및 제2 롤(2)은 닙롤이고, 제1 롤(1A)은, 표면이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크라운롤이었다. 제1 롤(1A)(크라운롤)의 접촉 영역(1a)의 직경의 최대값은, 120 ㎜였다. 제1 롤(1A)의 크라운량은, 400 ㎛였다.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1500 ㎜였다. 제2 롤(2)은, 강성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랫롤이었다. 제2 롤(2)의 직경은 210 ㎜였다. 제2 롤(2)의 폭(W2)은 2100 ㎜였다. 반송 공정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제1 롤(1A)측으로부터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켜, 이들을 중첩된 상태로 반송하였다. 보호 필름(6)(제1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형성된 장척 띠 형상의 필름(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토레텍」)을 이용하였다. 보호 필름(6)의 두께는 30 ㎛였다. 보호 필름(6)의 폭(W6)은 1450 ㎜였다. 보호 필름(6)의 폭(W6)은,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좁았다.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폭(W8a)은, 보호 필름(6)의 폭(W6)보다 넓었다.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폭(W8a)보다 좁았다. 제2 롤(2)의 접촉 영역의 폭(W2)은, 횡연신 필름(8)의 폭(W8)보다 넓었다.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로부터 중첩된 상태로 풀어내어진 보호 필름(6) 및 횡연신 필름(8)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 횡연신 필름(8)에 있어서의 주름은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종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전의 수지 필름의 두께(T0)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2의 종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T1)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2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횡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클립의 간격을 10 ㎜ 좁히는 이완을 행하였다. 실시예 2의 경우, 얻어진 횡연신 필름(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2의 경우,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폭(W8a)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2의 경우, 보호 필름(6)의 폭(W6)은 1450 ㎜이고, 보호 필름(6)의 폭(W6)은,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좁았다.
이상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도, 횡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은 없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종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3의 경우,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T1)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3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횡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3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클립의 간격을 10 ㎜ 좁히는 이완을 행하였다. 실시예 3의 경우, 얻어진 횡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실시예 3의 경우, 횡연신 필름의 중앙부(8a)의 폭(W8a)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이상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3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도, 횡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은 없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종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T1)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1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횡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클립의 간격을 16 ㎜ 좁히는 이완을 행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얻어진 횡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6a)의 두께(T6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1의 경우, 연신 필름의 중앙부(6a)의 폭(W6a)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반송 공정에서는, 제1 롤로서, 크라운롤 대신에, 고무로 구성되어 있는 플랫롤(10)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1의 플랫롤(10)의 직경은 160 ㎜였다. 비교예 1의 반송 공정에서는, 플랫롤(10) 및 제2 롤(2)에 대한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진입각이 제로였다.
또한 비교예 1의 반송 공정에서는,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을, 제2 롤(2)측으로부터 플랫롤(10)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켰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있어서의 연신 필름 및 보호 필름의 상하 관계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반대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은 1900 ㎜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은,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보다 좁았다. 비교예 1의 경우, 제1 수지 필름(6)(연신 필름)의 폭(W6)은, 제1 롤(플랫롤(10))의 폭 및 제2 롤(2)의 폭(W2)보다 좁았다. 비교예 1의 경우, 제2 수지 필름(8)(보호 필름)의 폭(W8)도, 제1 롤(플랫롤(10))의 폭 및 제2 롤(2)의 폭(W2)보다 좁았다.
이상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1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는, 횡연신 필름(8)에 주름이 발생하고 있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종연신 공정에서는, 종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종연신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두께(T1)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2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클립의 간격을 좁히는 이완을 행하지 않았다. 횡연신 배율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으로 조정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얻어진 횡연신 필름(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연신 필름의 중앙부(8a)의 폭(W8a)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2의 반송 공정에서 이용한 제1 롤(1A)(크라운롤) 전체의 폭(W1)은 2100 ㎜였다. 비교예 2의 제1 롤(1A)(크라운롤)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1591 ㎜였다. 비교예 2의 제1 롤(1A)의 크라운량은, 1200 ㎛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반송 공정에서는, 횡연신 필름(8)을, 제2 롤(2)측으로부터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켰다.
비교예 2의 경우, 보호 필름(6)의 폭(W6)은, 1800 ㎜였다. 즉, 비교예 2의 경우, 보호 필름(6)의 폭(W6)은, 횡연신 필름(8)의 폭(W8)보다 넓었다. 비교예 2의 경우, 보호 필름(6)의 폭(W6)은,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보다 넓었다. 비교예 2의 경우, 제1 롤(1A)의 접촉 영역(1a)의 폭(W1a)은, 횡연신 필름(8)의 폭(W8)보다 좁았다.
이상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2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는,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에는 주름이 없었으나, 횡연신 필름(8)의 양단부에 주름이 발생하고 있었다.
(비교예 3)
비교예 3의 횡연신 공정에서는, 클립의 간격을 5 ㎜ 좁히는 이완을 행하였다. 얻어진 횡연신 필름(8)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8a)의 두께(T8a)는,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3의 경우, 횡연신 필름(8)의 중앙부(8a)의 폭(W8a)은,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비교예 3의 반송 공정에서는, 횡연신 필름(8)을, 제2 롤(2)측으로부터 제1 롤(1A)과 제2 롤(2) 사이에 진입시켰다.
이상의 사항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교예 3의 종연신 공정, 횡연신 공정 및 반송 공정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3의 반송 공정 후에 있어서는, 횡연신 필름(8)에는 약간 주름이 발생하고 있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에 의하면, 적층 필름(예컨대 적층형 편광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연신 필름(예컨대 편광자 필름)을 반송할 때에, 연신 필름에 있어서의 주름을 억제할 수 있다.
1: 제1 롤 1A: 제1 롤(크라운롤)
1a: 제1 롤의 접촉 영역 2: 제2 롤
4: 적층 필름
6: 제1 수지 필름(제1 실시형태의 보호 필름, 제2 실시형태의 횡연신 필름)
8: 제2 수지 필름(제1 실시형태의 횡연신 필름, 제2 실시형태의 보호 필름)
8a: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 8b: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
100: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W1a: 제1 롤의 접촉 영역의 폭
W6: 제1 수지 필름의 폭 W8: 제2 수지 필름의 폭

Claims (13)

  1.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롤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이 상기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상기 제1 롤측으로부터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키는 것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이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운 것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이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운 것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의 상기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를 상기 제1 롤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인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5.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제1 롤과 제2 롤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롤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이 상기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상기 제1 롤측으로부터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키는 것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이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운 것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이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하기 전의 시점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중앙부보다 두꺼운 것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의 상기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폭보다 좁고,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전체를 상기 제1 롤의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수지 필름과 상기 제2 수지 필름 사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개재시키고,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 수지 필름과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것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자기 점착성 필름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1 수지 필름 및 제2 수지 필름을 서로 중첩된 상태로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제1 롤 및 제2 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롤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이 상기 제2 수지 필름에 접촉하며,
    상기 제1 롤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필름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의 폭이,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폭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폭 중 적어도 한쪽보다 좁으며, 상기 제1 수지 필름 및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상기 제1 롤측으로부터 상기 제1 롤과 상기 제2 롤 사이에 진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지 필름의 반송 장치.
  12. 제1 수지 필름과 제2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로서,
    제11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 필름을 향하는 상기 제1 수지 필름의 표면, 또는 상기 제1 수지 필름을 향하는 상기 제2 수지 필름의 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를 더 구비하는 적층 필름의 제조 장치.
KR1020170050389A 2016-04-21 2017-04-19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KR102384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5521 2016-04-21
JPJP-P-2016-085521 2016-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511A true KR20170120511A (ko) 2017-10-31
KR102384132B1 KR102384132B1 (ko) 2022-04-06

Family

ID=6015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89A KR102384132B1 (ko) 2016-04-21 2017-04-19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01357B2 (ko)
KR (1) KR102384132B1 (ko)
CN (1) CN10730400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28A (ko) * 2021-02-09 2022-08-17 율촌화학 주식회사 롤 형태의 점착필름 제조방법
KR102456263B1 (ko) * 2021-11-29 2022-10-19 주식회사 골든포우 변부의 두께가 중앙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단면 구조를 갖는 차수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3543A (zh) * 2017-11-27 2018-04-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贴膜滚轮及贴膜方法、膜贴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414A (ja) 2008-08-04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121269A (ja) * 2010-12-09 2012-06-28 Sumitomo Chemical Co Ltd 保護膜付き樹脂板または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80219A (ja) * 2011-09-21 2013-05-0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1533A (en) * 1978-11-22 1980-05-29 Japan Styrene Paper Co Ltd Manufacturing polystyrene series resin foamed sheet
JPS6120728A (ja) * 1984-07-10 1986-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積層板の製造方法
JPH0483639A (ja) * 1990-07-26 1992-03-17 Canon Inc ラミネート装置
JPH0664061A (ja) * 1992-08-12 1994-03-08 Nippon Steel Corp ラミネート金属板の製造方法
JPH1012906A (ja) * 1996-06-20 1998-01-16 Fuji Electric Co Ltd 光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JP2001138438A (ja) * 1999-11-17 2001-05-22 Sumitomo Bakelite Co Ltd 積層板の製造方法
JP2002001820A (ja) * 2000-06-22 2002-01-08 Fuji Photo Film Co Ltd ラミネート方法
US6896832B2 (en) * 2001-02-16 2005-05-24 Fuji Photo Film Co., Ltd. Resin film forming method
JP2002241001A (ja) * 2001-02-19 2002-08-28 Tokyo Kikai Seisakusho Ltd 輪転機の紙引き装置
JP4158366B2 (ja) * 2001-08-30 2008-10-01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ミネート方法
JP2005305999A (ja) * 2004-03-26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貼着装置及びフイルム貼着方法
CN101372163B (zh) * 2007-08-24 2011-02-16 深圳石化东宏化纤面料有限公司 可防水的热塑性弹性体增韧薄膜复合面料的加工方法
JP4801104B2 (ja) * 2008-02-08 2011-10-26 株式会社堀江本店 青果物の鮮度保持用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同方法により製造した青果物の鮮度保持用包装袋
US9005391B2 (en) * 2009-06-12 2015-04-14 Hazen Pap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 lamination
JP6404715B2 (ja) * 2012-06-21 2018-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204228993U (zh) * 2014-11-21 2015-03-25 日东电工株式会社 偏光膜的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414A (ja) 2008-08-04 2010-02-18 Nippon Shokubai Co Ltd 光学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2121269A (ja) * 2010-12-09 2012-06-28 Sumitomo Chemical Co Ltd 保護膜付き樹脂板または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080219A (ja) * 2011-09-21 2013-05-0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4928A (ko) * 2021-02-09 2022-08-17 율촌화학 주식회사 롤 형태의 점착필름 제조방법
KR102456263B1 (ko) * 2021-11-29 2022-10-19 주식회사 골든포우 변부의 두께가 중앙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단면 구조를 갖는 차수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97386A (ja) 2017-11-02
KR102384132B1 (ko) 2022-04-06
JP7001357B2 (ja) 2022-02-03
CN107304008B (zh) 2020-11-13
CN107304008A (zh)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620B1 (ko) 광학 기능 필름 연속 롤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능 필름 접합 장치
US9019608B2 (en) Continuous roll of optical function film, method of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mploying same, and optical function film laminating device
US9244307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9897839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2512601B1 (ko) 광학 이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TWI554792B (zh)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polarizing pl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8139530B (zh) 光学膜的搬运方法及偏振板的制造方法
KR20170120511A (ko)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KR101981358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190035538A (ko) 필름의 반송 방법 및 반송 장치, 및 처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347400B1 (ko) 수지 필름의 반송 방법
JP4917477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732956B (zh) 樹脂膜的搬送方法
TWI733913B (zh) 樹脂膜的搬送方法
CN106476309B (zh) 分切加工拉伸膜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CN105980891B (zh) 偏振膜的制造方法
KR102098444B1 (ko) 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8089986A (ja) 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