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669A -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669A
KR20170119669A KR1020170136050A KR20170136050A KR20170119669A KR 20170119669 A KR20170119669 A KR 20170119669A KR 1020170136050 A KR1020170136050 A KR 1020170136050A KR 20170136050 A KR20170136050 A KR 20170136050A KR 20170119669 A KR20170119669 A KR 20170119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polyester resin
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643B1 (ko
Inventor
이정민
권기혜
김인철
박정은
홍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7013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6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탈크 0.01 내지 1 중량부, 및 (C)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head lamp) 베젤(bezel), 리플렉터(reflector), 조명기구 등과 같은 금속증착 반사체는 광반사면의 표면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 수지 성형품에 프라이머(primer) 도포 후 금속을 증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프라이머에 유기용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환경에 유해하고, 휘발 및 도막 형성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문제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프라이머 도포없이 수지 성형품 표면에 직접 금속 증착하는 직접 증착 방식이 늘고 있다. 직접 증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수지 성형품의 높은 표면 평활성이 요구되며, 특히 자동차용 헤드램프 베젤이나 조명기구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온 하에서 최소한의 가스 발생 및 열 분해 물질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발생이 요구된다.
한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 수지는 결정화 속도가 빨라서 사출 성형성은 상당히 우수하나, 금형에서의 이형성이 부족하여 금형 표면에서의 이형 불량 현상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금형에 점착된 수지의 적절한 이형성을 위해서는 적절한 활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활제들은 수지가 고온 환경 하에 주어졌을 때, 가스 및 열 분해 물질의 마이그레이션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적절한 활제의 선택이 중요하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62403호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의 블렌드(blend) 조성물에 무기 충진제 및 몬탄 왁스가 첨가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표면 평활도 등은 우수하나, 몬탄 왁스의 특성으로 인해 고온에서 장기간 방치시 가스 및 열 분해 물질이 다량으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금속의 직접 증착에 의하여 평활한 금속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고, 고온에서의 휘발 성분이 적고 이형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탈크 0.01 내지 1 중량부, 및 (C)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의 점도는 0.6 내지 1.5 dl/g일 수 있다.
상기 탈크(B)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250℃/3시간 조건에서 포깅(fogging) 평가시 발생한 휘발 물질에 의한 헤이즈(haze) 변화는 0.1 내지 4.0%이고, 표면 조도(Ra)는 1 내지 20nm이고, 열변형 온도(HDT)는 180 내지 19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금속의 직접 증착에 의하여 평활한 금속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고, 고온에서의 휘발 성분이 적으며 이형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어떠한 알켄기(alkene)나 알킨기(alkyne)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알켄기 또는 알킨기를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켄기"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이루고 있는 치환기를 의미하며, "알킨기" 는 적어도 두 개의 탄소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이루고 있는 치환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분지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C1 내지 C20의 알킬기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 내지 C6인 저급 알킬기, C7 내지 C10인 중급 알킬기, C11 내지 C20의 고급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랜덤 공중합, 그래프트 공중합 또는 교호 공중합을 의미할 수 있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탈크 0.01 내지 1 중량부, 및 (C)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0.01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호모 폴리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둘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축중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충격 강도 및 표면 개질을 위해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충격 향상 성분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 충격 향상 성분과 블렌딩한 블렌드 조성물인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6 내지 1.5 dl/g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6 내지 1.4 dl/g, 0.6 내지 1.3 dl/g, 0.6 내지 1.2 dl/g, 0.6 내지 1.1 dl/g, 0.6 내지 1.0 dl/g일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를 갖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더욱 우수한 내열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외의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열도가 우수하고 평활도, 헤이즈(haze) 등 외관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다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도 내열도 및 외관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B) 탈크
상기 탈크(talc)는 무기 충진제의 일종으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수화물인 활석을 의미한다. 상기 탈크의 화학식은 Mg3(OH)2Si4O10이고, 굴절률은 1.53 내지 1.56이며, 형태는 인상, 엽편상, 또는 판상일 수 있다. 상기 탈크는 규산 및 산화 마그네슘과 더불어 소량의 산화 알루미늄, 산화 칼슘, 산화 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크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크는 경도가 낮고 내열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카올린(kaolin), 클레이(clay) 등의 다른 무기 충진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내열성 및 외관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탈크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 구체적으로 0.1 내지 9㎛, 0.1 내지 8㎛, 0.1 내지 7㎛, 0.1 내지 6㎛, 0.1 내지 5㎛, 0.1 내지 4㎛, 0.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우수한 내열성 및 외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탈크를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0.9 중량부, 0.01 내지 0.8 중량부, 0.01 내지 0.7 중량부, 0.01 내지 0.6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9 중량부, 0.1 내지 0.8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1 내지 0.6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할 경우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평활한 금속 증착막을 형성할 수 있고, 고온에서의 휘발 성분이 적으며 우수한 이형성과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탈크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조도(거칠기)가 증가하여 금속을 직접 증착했을 때 평활한 금속 증착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별도의 공정을 갖추어야 한다. 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탈크를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함으로써 낮은 표면 조도를 확보하여 평활한 금속 증착막을 구현할 수 있고, 우수한 이형성 및 내열도를 나타낼 수 있다.
(C)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두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펜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펜틸 메타크릴레이트, 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활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는 활제로서 수지에 적절한 이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고온에서 낮은 휘발성을 가져 수지의 고온 방치시 가스 및 열분해 물질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01 내지 0.9 중량부, 0.01 내지 0.8 중량부, 0.01 내지 0.7 중량부, 0.01 내지 0.6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9 중량부, 0.1 내지 0.8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1 내지 0.6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할 경우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은 우수한 이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우수한 외관 특성 및 내열성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내열성이 저하되거나 고온에서 발생하는 휘발 물질이 증가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0.01 내지 1 중량부 포함함으로써 고온에서 발생하는 휘발 물질을 줄이고, 우수한 이형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D) 기타 첨가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물성들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또는 최종 용도의 필요에 따라, 1종 이상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타 첨가제로서는, 난연제, 계면활성제, 핵제, 커플링제, 충진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무기물 첨가제, 착색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안료, 염료, 방염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 따른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내충격성 등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옥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들은, 차량용 헤드램프 베젤, 리플렉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성형품은 평활도가 높으며 이형성과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고온 조건에서 휘발 물질의 발생이 적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에 대하여 포깅(fogging) 평가를 시행하였을 때 가열시 발생하는 휘발 물질이 적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품을 투명 밀폐 용기 내에서 25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포깅 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투명 밀폐 용기의 헤이즈 변화는 0.1 내지 4.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탁도 또는 흐림도를 의미하며, 하기 계산식 1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계산식 1]
헤이즈 (%) = {확산광/(확산 투과광 + 평행 투과광)} X 100
한편, 상기 성형품의 표면 조도(Ra)는 1 nm 내지 20 nm 수 있다. 상기 표면 조도는 표면의 거칠기(roughness)를 의미하며, 산술 평균 조도(Ra)로 표시하였다. 상기 산술 평균 조도(Ra)는 측정 구간의 중심선에서 위쪽과 아래쪽 전체 면적의 합을 구하고, 그 값을 측정 구간의 길이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성형품의 열변형 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HDT)는 180 내지 190℃일 수 있다. 이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7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각의 성분들을 하기 양으로 혼합하여 압출 및 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29, 직경 45㎜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고, 바렐 온도는 24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건조 후, 6 Oz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40℃, 금형 온도 60℃로 설정하여 9cm×5cm×0.2cm 크기의 시편 및 ASTM D648에 준한 내열도(HDT)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A)폴리 에스테르 (A-1)PBT
(점도 약 0.83)
60 100 60 60 60 60 60 60 60
(A-2)PBT
(점도 약 1.10)
40 - 30 30 40 40 40 40 40
(A-3)PETG - - 10 - - - - - -
(A-4)PET - - - 10 - - - - -
(B)무기 충진제 (B-1)탈크 0.3 0.3 0.3 0.3 - 1.5 0.3 0.3 0.3
(B-2)카올린 - - - - 0.3 - - - -
(C)활제 (C-1)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0.2 0.2 0.2 0.2 0.2 0.2 - - 1.5
(C-2)지방산계 활제 - - - - - - 0.2 - -
(C-3)불소화 폴리 올레핀계 활제 - - - - - - - 0.2 -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에스테르
(A-1) 점도가 0.83±0.015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SHINKONG社)를 사용하였다.
(A-2) 점도가 1.10±0.02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SHINKONG社)를 사용하였다.
(A-3) 점도가 0.78±0.02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SK 케미칼社)을 사용하였다.
(A-4) 점도가 0.77±0.02 dl/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SK 케미칼社)를 사용하였다.
(B) 무기 충진제
(B-1) 평균 입경이 1.0㎛인 탈크(HAYASHI社)를 사용하였다.
(B-2) 평균 입경이 1.0㎛인 카올린(AUSTRALIAN CHINA CLAYS社)를 사용하였다.
(C) 활제
(C-1)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ALLIED CORP社, AC-540A)를 사용하였다.
(C-2) 지방산 에스테르 네오펜틸 폴리올(N.O.F社, UNISTER H-476)을 사용하였다.
(C-3) 퍼플루오로폴리에틸렌(DUPONT社, FLUOROGUARD PCA)를 사용하였다.
평가예
상기 제조된 펠렛 형태의 수지 또는 이를 이용한 사출 성형품 시험편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포깅 평가(Fogging Test)
상기 제조된 펠렛을 투명 밀폐 용기에 넣고 25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투명 밀폐 용기의 가열 전후의 헤이즈 변화를 측정하였다. 헤이즈 변화가 낮을수록 휘발 물질이 적은 것이다.
(2) 내열도 평가
상기 제조된 사출 성형품 시험편에 대하여 ASTM D648에 따라 열변형 온도(HDT)를 측정하였다. (0.45 MPa 하중)
(3) 표면 조도(Ra) 평가
상기 제조된 9cm×5cm×0.2cm 크기의 사출 성형품 시험편에 대하여 표면 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 조도(Ra)를 측정하였다. 표면 조도는 Veeco사의 WYKO NT1100 optical profil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 조도가 낮을수록 성형품의 표면 평활도가 우수한 것이다.
(4) 이형성 평가
컵 모양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펠렛으로 컵 모양의 성형품을 사출성형할 경우 이젝트시 이형핀에 걸리는 힘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발생하는 힘이 낮을수록 이형성이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헤이즈 변화(%) 2.48 1.98 4.32 4.57 2.56 4.86 6.36 4.73 6.54
HDT (℃) 180 182 170 175 165 183 180 180 178
표면조도(Ra) (nm) 15.9 16.6 15.2 15.8 15.6 42.5 15.7 15.7 14.2
이형성 (N) 1101 1082 980 985 1114 1075 1103 1103 85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ET 또는 PETG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열변형 온도(HDT)가 감소되는 문제, 즉 내열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비교예 3은 무기 충진제로 탈크 대신 카올린을 사용한 경우로, 열변형 온도(HDT)가 현저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는 탈크를 과량 첨가한 경우로 열변형 온도(HDT)의 증가 효과가 미미하고 표면 조도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 및 6은 각각 지방산계 활제,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활제를 사용한 경우이고 비교예 7은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를 과량 사용한 경우로, 포깅 평가시 헤이즈 변화가 높다는 문제, 즉 고온에서 휘발 성분이 과량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하여 고온에서 발생하는 휘발 성분이 적고, 표면 조도가 낮아 표면 평활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열도 및 이형성 역시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A)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탈크 0.01 내지 1 중량부, 및
    (C)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 0.01 내지 0.9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 아크릴산계 공중합체(C)는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으로,
    상기 성형품의 250℃/3시간 조건에서 포깅(fogging) 평가시 발생한 휘발 물질에 의한 헤이즈(haze) 변화는 0.1 내지 4.0%이고,
    표면 조도(Ra)는 1 내지 20nm이고,
    열변형 온도(HDT)는 180 내지 190℃인 성형품.
  2. 제1항에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A)의 점도는 0.6 내지 1.5 dl/g인 성형품.
  3. 제1항에서,
    상기 탈크(B)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 ㎛인 성형품.
KR1020170136050A 2017-10-19 2017-10-19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05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50A KR101805643B1 (ko) 2017-10-19 2017-10-19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50A KR101805643B1 (ko) 2017-10-19 2017-10-19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09A Division KR20140144083A (ko) 2013-06-10 2013-06-10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669A true KR20170119669A (ko) 2017-10-27
KR101805643B1 KR101805643B1 (ko) 2017-12-07

Family

ID=6030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050A KR101805643B1 (ko) 2017-10-19 2017-10-19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476A (ko) * 2018-06-08 2019-12-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3027069A1 (ja) * 2021-08-24 2023-03-0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822A (ko) *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550A (ja) 2007-01-30 2008-08-14 Mitsubishi Rayon Co Ltd 車載ランプ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部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9476A (ko) * 2018-06-08 2019-12-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23027069A1 (ja) * 2021-08-24 2023-03-0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643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321B1 (ko)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20140144083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5316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481194B1 (ko) 증가된 응력 균열 저항성을 갖는 조성물
KR10180564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531909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て成形された光反射体用部品、および光反射体
US9163140B2 (en) Polyester compositions
WO2016117586A1 (ja) 赤外光透過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10226913B2 (en) Decorative sheet
WO2012147871A1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反射体
KR102047246B1 (ko)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51586A (ko)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데코 시트
KR102045815B1 (ko)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JP6869640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JP200509757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光反射体
KR20160080277A (ko) 다층시트
JP2013010856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反射体
KR10224071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W200411016A (en) Light diffusion resin composition
JP200509756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光反射体、並びに光反射体用成形品の製造方法
JP4329007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813078B1 (ko) 이형성과 내열성이 향상된 금속의 직접 증착이 가능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291484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6540288B2 (ja) 赤外光透過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372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