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22A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822A
KR20240044822A KR1020220124293A KR20220124293A KR20240044822A KR 20240044822 A KR20240044822 A KR 20240044822A KR 1020220124293 A KR1020220124293 A KR 1020220124293A KR 20220124293 A KR20220124293 A KR 20220124293A KR 20240044822 A KR20240044822 A KR 2024004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butylene terephthalate
weight
terephthalate resin
resin composition
intrinsic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경
강동훈
권태훈
황희재
박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220124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822A/ko
Priority to EP23805436.5A priority patent/EP4372050A1/en
Priority to PCT/KR2023/005271 priority patent/WO2024071549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82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사용하는 소재가 변경되어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MOLDED PRODUCT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하는 원료의 변화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부품 소재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사출 고화속도 향상을 위하여 유기/무기물의 사출고화 단축제를 사용하여 결정화도를 올리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다만, 고화속도 향상에 의해 결정화도를 올리다보니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게다가, 최근 전자장비 부품들의 소형화/박막화로 기존보다 높은 충격강도를 요구하는 추세이므로, 결정화도를 올리는 기술로는 제품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등 추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충격강도 보강 목적으로 보강제를 투입할 경우 충격 강도가 향상되어 크랙 문제는 해소되지만 사출 고화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극복하고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재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일본 공개특허 2019-156954호 (공개일 2019.09.19)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용하는 소재를 바꿔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무도장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사용하는 소재를 바꿔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무도장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하면서도,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 고유점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폴리부타디엔 러버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고, 성형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등과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는 동시에 성형성이 우수하여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커넥터를 비롯한 체결부품에 관한 성형품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수득된 사출품의 랜스 크랙 측정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기재에서 "포함하여 이루어진"의 의미는 별도의 정의가 없는 이상 "포함하여 중합 제조된", "포함하여 중합된" 또는 "유래의 단위로서 포함하는"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기재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기재에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5 내지 10"의 범위는 5,6,7,8,9 및 10의 값들 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 아니라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출고화 단축제"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사출성형시 고화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투입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참고로 고화시간은 동일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사출기 금형의 디자인,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유동지수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ISO 1133에 의거하여 250 ℃ 하에 2.16kg 하중으로 측정한 유동지수(Melt Index)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정 고유점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폴리부타디엔 러버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자동차용 내장재에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과 같은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면서도 성형성과 외관 품질이 우수한 무도장품으로서 자동차용 내장재 소재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80 내지 99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및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사출고화 단축제를 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베이스 수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베이스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며,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성형성을 부여하며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에 내화학성을 부여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결정성 수지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화학약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결정화된 구조로서 사출성형시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을 향상시켜 외관 품질을 우수하게 한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η)는 1.05를 초과하는 종류와 1.05 이하인 종류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에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η)는 1.05 초과, 1.5 이하인 1종과, 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종류 및 고유점도(η)가 0.9 미만인 종류 중에서 선택된 1종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경우에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간 물성 밸런스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상기 고유점도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를 0.05 g/ml의 농도로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매에 완전히 용해시킨 뒤,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시킨 여과액을 우베로데(Ubbelohde) 점도계를 사용하여 20 ℃에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합계량 100 중량% 중에 일례로 80 내지 99 중량%, 구체적인 예로 85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강성 및 내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고유점도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례로 30:70 내지 60:40의 중량비, 구체적인 예로 32:68 내지 68:3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5:65 내지 65:3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일례로 1.1 내지 1.4, 구체적인 예로 1.1 내지 1.3,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2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일례로 0.91 내지 1.05, 구체적인 예로 0.95 내지 1.05,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2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일례로 0.7 내지 0.85, 구체적인 예로 0.75 내지 0.85,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0.85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합계량 100 중량% 중에 일례로 29 내지 55 중량%, 구체적인 예로 30 내지 55 중량%,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53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합계량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 내지 68 중량%, 구체적인 예로 40 내지 68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합계량 100 중량% 중에 일례로 0 내지 50 중량%, 구체적인 예로 3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에폭시 관능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와 알킬렌으로부터 생성되는 에폭시 관능성 알킬렌 (메트)아크릴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용어 "(메트)아크릴"이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아크릴 및 메타크릴 모노머 모두를 포함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관능성 (메트)아크릴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1,2-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에서 사용하는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구체적인 예로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릭 에스터-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일례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체 1 내지 15 중량% 또는 3 내지 10 중량%, 에틸렌 단위체 60 내지 74 중량% 또는 63 내지 74 중량%,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30 중량% 또는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단위체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사출품이 조성물의 유동 저하를 일으켜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4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사출품의 가스 발생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폴리부타디엔 러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사출성형시 충격강도를 제공하는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30 ℃, 1/4"두께)가 일례로 10kg/cm.cm 이상인 동시에 아이조드 충격강도(23 ℃, 1/4"두께)가 일례로 50kg/cm.cm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30 ℃, 1/4"두께)가 일례로 10 내지 100 kg/cm.cm인 동시에 아이조드 충격강도(23 ℃, 1/4"두께)가 일례로 50 내지 150 kg/cm.cm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러버에 포함되는 폴리부타디엔의 선형 타입과 분지 타입은 25:75 내지 90:10의 중량비로 조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의 선형 타입과 분지 타입은 50:75 내지 50:25의 중량비를 액상 프리믹싱한 다음 고상화 (solid phase)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타디엔의 선형 타입은 비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 전이금속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1,3-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 유도체를 중합한 것으로, 상기 전이금속 지글러-나타 촉매로서 니켈염, 유기알루미늄 및 불화 화합물로 이루어진 니켈 촉매에 분자량 조절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알킬징크 화합물을 포함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R1-Zn-R2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상기 폴리부타디엔 중 분지 타입은 비극성 용매의 존재 하에 전이금속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1,3-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 유도체를 중합한 것으로, 상기 전이금속 지글러-나타 촉매로서 니켈염, 불화 화합물과 유기알루미늄 및 알루미녹산으로 이루어진 니켈 촉매를 사용하며, 상기 유기알루미늄과 알루미녹산의 반응성을 조절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니켈염이 탄소수 8 내지 20의 포화, 불포화, 환형 또는 선형 구조를 갖는 카르복실산염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상기 카르복실산염은 니켈옥토에이트, 니켈버스테이트 또는 니켈나프터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1,3-부타디엔 또는 부타디엔 유도체는 1,3-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미르센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는 펜탄, 헥산, 이소펜탄, 헵탄, 옥탄, 이소옥탄,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및 크실렌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전체 입자 중 #20 메쉬 통과분이 전체 입자 전체 계수가 일례로 3% 이하, 구체적인 예로 0.01 내지 3%,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2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적절한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대신 고화속도를 지연시키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LG화학사 EM538 등을 들 수 있다.
사출고화 단축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사출고화 단축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사출성형시 고화속도를 단축하여 제품신뢰성을 제공하는 이의 결정화도 향상 등을 위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고화 단축제는 일례로 탈크, 월라스토나이트, 및 마이카를 비롯한 무기 사출고화 단축제, 또는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을 비롯한 유기 사출고화 단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유기 사출고화 단축제를 전술한 폴리부타디엔 러버와 함께 사용한 경우에 빠른 고화속도 특성을 구현하면서 충격 저하가 낮아 높은 충격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부품의 크랙 발생을 저감하고 소형/박막 소재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은 일례로 에틸렌 화합물과 불포화 아크릴레이트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은 ASTM D1895에 의거하여 측정한 벌크 밀도가 0.25 g/cc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에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은 일례로 에틸렌 단위체 1 내지 15 중량% 또는 3 내지 10 중량%, 아크릴레이트 단위체 60 내지 74 중량% 또는 63 내지 74 중량%, 및 아크릴산 단위체 20 내지 30 중량% 또는 2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에틸렌 단위체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사출품이 조성물의 유동 저하를 일으켜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일례로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0.8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사출고화 단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Dupont사 PTW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이의 흐름성 향상 등을 위해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8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이의 흐름성 향상 등을 위해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8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5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 미만이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고화속도가 느려져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상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강성 및 내열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활제, 산화방지제 및 칼라런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출 스크류의 취출 용이성과 흐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활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계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활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활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공지된 종류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물질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제품명 LC102N의 폴리에틸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고온에 의한 변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1차 산화방지제, 2차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압출 공정시 열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며 본 발명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는 1:0.5 내지 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2의 중량비로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1차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일 수 있으며, 일례로 결정화온도(Tm)이 110 내지 130 ℃인 힌더드 페놀계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테트라키스[에틸렌-3-(3,5-다이-t-부틸-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 3-(3,5-다이-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05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2차 산화방지제는 인계 산화방지제일 수 있으며, 일례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디-(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공지된 종류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물질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2차 산화방지제로서 제품명 Songnox 6260의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 디포스파이트 화합물, 1차 산화방지제로서 제품명 IR1010의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을 각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컬러런트는 안료 또는 염료를 비롯한 착색제일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일례로 무기안료일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일례로 Ti, Pb, Fe, Cr 등의 금속 화합물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금속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수산화물이며, 상기 무기안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백색 무기안료로 TiO2, 산화아연(Zinc Oxide); 흑색 무기안료로 카본 블랙, 그래파이트; 적색 무기안료로 IOR, Cadmium Red, Red Lead(Pb3O4); 황색 무기안료로 Chrome Yellow, Zinc Chromate, Cadmium Y.; 및 녹색 무기안료로 Chrome Green, Zinc Gree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한 무기안료는 블랙 무기안료인 카본블랙일 수 있다.
상기 컬러런트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부 기준,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한 예로 0.01 내지 3 중량부,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5 내지 3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컬러런트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크랙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필요한 경우 내가수분해 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 억제제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공지된 종류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는 물질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화학식 NaH2PO4의 제1인산 나트륨과 같은 유기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가수분해 억제제는 일례로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총 100 중량% 기준,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3 중량%, 보다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2 중량%, 더욱 더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1 중량%, 가장 바람직한 예로 0.1 내지 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상기 내가수분해 억제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이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표면에 얼룩 등의 외관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80 내지 99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9 내지 55 중량%; 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0 내지 68 중량%;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0 내지 50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어 성형품으로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9 내지 54 중량%; ii)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5 내지 68 중량%; 또는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1 내지 49 중량%; iii)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iv)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v)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i) 및 ii)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합한 총 중량은 80 내지 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어 성형품으로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1133에 의거하여 측정한 유동지수(250도, 2.16 kgf)가 일례로 10 g/10min 이상,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30 g/10m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일례로 45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45 내지 5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신율이 일례로 15% 이상, 구체적인 예로 20 내지 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80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23 ℃, 노치)가 일례로 7 kJ/m2, 구체적인 예로 7.8 내지 10 kJ/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0.45 MPa 하중 하에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일례로 10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100 내지 1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1.8 MPa 고하중 하에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일례로 4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45 내지 5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78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곡탄성률이 일례로 170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1750 내지 210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78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곡강도가 일례로 6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64 내지 80 MPa일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80 내지 99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고화 단축제는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을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전체 성분들(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및 첨가제)의 합계량 100 중량% 중에 0.01 내지 1 중량% 범위 내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 단계는 일례로 상술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는 일례로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및 벤버리 믹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이며, 이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뒤 압출하여 일례로 펠렛 형태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계적 물성 저하, 열적 특성 저하, 도금 밀착력과 외관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압출 혼련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는 일례로 압출온도 250 내지 300 ℃, 공급속도(Flow ratio, F/R) 50 내지 90 kg/hr, 스크류 회전수 200 내지 490 rpm 하에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출온도 250 내지 270 ℃, F/R 50 내지 90 kg/hr, 스크류 회전수 250 내지 350 rpm 하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압출한 다음 사출온도 240 내지 280 ℃, 구체적인 예로 250 내지 270 ℃, 금형온도 40 내지 80℃, 구체적인 예로 50 내지 70 ℃ 하에 사출속도 10 내지 50 mm/sec, 구체적인 예로 20 내지 40 mm/sec 하에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성형품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성분간 충분한 보완을 통하여, 성형성, 기계적 물성과 고하중 내열특성과 빠른 사출 고화속도를 필요로 하는 성형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용융 혼련물, 펠렛 또는 이로부터 성형된 시트(판재)를 원료로 하여 사출 성형법(인젝션 몰딩), 사출 압축 성형법, 압출 성형법(시트 캐스팅), 프레스 성형법, 압공 성형법, 열 굽힘 성형법, 압축 성형법, 캘린더 성형법 또는 회전 성형법 등의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25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250 rpm 하에, 주 투입구에 베이스(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사출고화 단축제 및 첨가제를 공급속도 50 kg/h로 투입하고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다른 예로 28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375 rpm 하에, 주 투입구에 베이스(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투입하고 보조 투입구에 폴리부타디엔 러버, 사출고화 단축제 및 첨가제를 공급속도 75 kg/h로 투입하고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또다른 예로 25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250 rpm 하에, 주 투입구에 베이스(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폴리부타디엔 러버를 투입하고 보조 투입구에 사출고화 단축제와 첨가제를 공급속도 50 kg/h로 투입하고 용융 혼련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펠렛을 사출 성형기에 투입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펠렛을 사출 성형기(ENGEL사, 80톤)을 사용하여 사출온도 260 ℃, 금형온도 60 ℃, 사출속도 30 mm/sec에서 사출하여 ISO 규격의 시편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시편은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1133에 의거하여 측정한 유동지수(250도, 2.16 kgf)가 일례로 10 g/10min 이상, 구체적인 예로 10 내지 30 g/10m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강도가 일례로 45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45 내지 5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527에 의거하여 측정한 인장신율이 일례로 15% 이상, 구체적인 예로 20 내지 8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80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23 ℃, 노치)가 일례로 7 kJ/m2, 구체적인 예로 7.8 내지 10 kJ/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0.45 MPa 하중 하에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일례로 10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100 내지 1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75에 의거하여 1.8 MPa 고하중 하에 측정한 열변형 온도가 일례로 40 ℃ 이상, 구체적인 예로 45 내지 5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78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곡탄성률이 일례로 170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1750 내지 210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ISO 178에 의거하여 측정한 굴곡강도가 일례로 60 MPa 이상, 구체적인 예로 64 내지 70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부 평가법에 의거하여 측정한 고화속도(사출 냉각시간)가 일례로 14초 이하, 구체적인 예로 6초 내지 14초, 바람직하게는 6초 내지 12초 정도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사출 최대피크압이 일례로 1000 kgf/cm2 이상, 구체적인 예로 1000 내지 1150 kgf/c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체결 부품의 내부 랜스(lance) 부위에 쇠막대기를 삽입하여 지렛대 원리로 강하게 랜스를 밀어 튕기고 파손 여부를 살펴본 결과 미파손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구체적으로 차량 체결부품일 수 있으나, 특정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 고유점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폴리부타디엔 러버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사용되는 소재가 종래의 소재에서 변경되어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 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품을 설명함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조건이나 장비 등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사출고화 단축제 미포함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원료는 다음과 같다.
A-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고유점도(IV) 0.83, 제품명 TH6082A
A-2)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IV 0.1, 제품명 TH6098A
A-3)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IV 1.12, 제품명 PBT1100-211S
B)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Dupont사 제품명 PTW
(C) 폴리부타디엔 러버
C-1) 폴리부타디엔 러버, LG화학사 제품명 EM538
C-2) 폴리부타디엔 러버, LG화학사 제품명 EM500
(D) 사출고화 단축제
D-1)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 Bruggemann사 제품명 P250
D-2) 무기 사출고화 단축제: Koch사 제품명 KCM6300
(첨가제)
(E)활제: LC102N
(F)산화방지제
F-1) 1차 산화방지제: IR 1010
F-2) 2차 산화방지제: Songnox 6260
(G) 컬러런트: LG화학사, 제품명 NR9089 블랙
(H) 폴리에틸렌 엘라스토머, LG화학사, 제품명 1055D
하기 표 1에 기재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원재료를 혼합한 다음, 압출을 통해 고른 분산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 다음, 상기 펠렛에 열을 가하여 금형 틀에 주입한 후 냉각시켜 부품을 생산하는 사출 공정을 통해 성형품으로 이용가능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을 포함하여 믹서로 혼합한 후, 250 ℃로 설정된 이축압출기(φ40, L/D: 42, SM Platek 장비)를 사용하여 250 rpm 하에, 주 투입구로 공급속도 75 kg/h로 투입하고 압출 가공하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펠렛을 대류 오븐에서 80 ℃로 4시간 이상 건조한 다음 사출 성형기(ENGEL사, 80톤)을 사용하여 사출온도 260 ℃, 금형온도 60 ℃, 사출속도 30 mm/sec에서 사출하여 ISO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A-1 42.9 - - - 92.9 42.9
A-2 - 42.9 40.9 - - -
A-3 50 50 50 92.9 - 50
B 3 3 4 3 3 3
C-1 3 3 4 3 3 -
C-2 - - - - - 3
D-1 - - - - - -
D-2 - - - - - -
E 0.6 0.6 0.6 0.6 0.6 0.6
F-1 0.3 0.3 0.3 0.3 0.3 0.3
F-2 0.2 0.2 0.2 0.2 0.2 0.2
G 1 1 1 1 1 1
(상기 표 1에서 사용한 원료는 A-1~ F-2까지 모두 합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성분을 중량부 단위로 투입한다.)
시험예 1 : 성형품 시편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로 제조된 성형품 시편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유동지수(Melt Index): ISO 1133에 의거 실시(250 ℃, 2.16 kg)
-인장강도 및 신율: ISO 527에 의거 실시(50 mm/min)
-충격강도(IZOD): ISO 180/1A에 의거 실시(Notched, 23 ℃)
-열변형온도: ISO 75에 의거하여 고하중 1.82 MPa와 저하중 0.45 MPa에서 각각 실시
-굴곡강도, 굴곡 탄성률: ISO 178에 의거 실시 (4mm, SPAN 64, 속도 2 mm/min)
-고화속도(사출냉각 시간): 고화되어 어디상 길이 변화가 없는 고화 상태까지 필요한 냉각 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하였다.
-사출 최대피크압: 고화 시점에서 사출기에 걸리는 최대 피크압력을 kgf/cm2 단위로 측정하였다.
-부품 랜스 크랙(lance crack): 도 1에 나타낸 방식으로 부품 랜스 크랙을 측정하였다. 하기 도 1은 부품 랜스 크랙 측정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좌측 커넥터 시편의 내부 랜스(lance) 부위에 쇠막대기를 삽입하여 지렛대 원리로 강하게 랜스를 밀어 튕기고 파손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도 1 우측 도면 참조). 파손된 경우 NG, 파손되지 않은 경우 OK로 표기하였다.
상기 평가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유동지수(g/10min) 16 14 12 8.1 45 16
인장강도(MPa) 45 46 44 48 44 44
인장신율(%) 85 143 152 163 25 15
충격강도(kJ/m2) 8.8 9.5 10.5 10.5 7.5 7.5
HDT(0.45 MPa) 127 - - - - -
HDT(1.8 MPa) 50 50 49.1 52 52 52
굴곡탄성률(MPa) 1795 1940 1800 2020 1950 1740
굴곡강도(MPa) 66 69 65 68 68 63
고화속도(초) 10 12 14 14 12 12
사출최대피크압(kgf/cm2) 1080 1120 1180 1420 850 1130
부품 랜스 크랙 여부 OK OK OK OK NG NG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와 굴곡탄성률, 고하중 열변형온도, 유동지수가 모두 높고, 고화속도와 사출최대피크압은 단축되며, 부품 랜스 크랙 또한 발생하지 않아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이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굴곡 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을 기본적으로 충족시키면서도 가공성, 고하중 내열특성이 우수하고 고화속도 단축으로 인해 외관 불량 발생 정도가 저감되어 제품신뢰성 및 외관 품질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고유점도 비율이 적절한 배합을 벗어나 사용하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는, 실시예 1과 비교했을 때, 유동성이 저감되고 고화속도 또한 점차 느려진 결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고유점도 비율 배합 없이 단독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비교예 3은 고점도에 의한 유동저하로 사출 성형성이 저하되어 소형화 박막화된 금형에서 미성형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비교예 4는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부품 크랙이 발생되는 불량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적절한 조성에서 벗어난 폴리부타디엔 러버를 사용하는 비교예 5는 강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불량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무기 사출고화 단축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충격강도 저하로 부품 크랙이 발생되는 결과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6 내지 14
하기 표 3 내지 표 4에 기재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원재료를 혼합한 다음, 압출을 통해 고른 분산도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한 다음, 상기 펠렛에 열을 가하여 금형 틀에 주입한 후 냉각시켜 부품을 생산하는 사출 공정을 통해 성형품으로 이용가능한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달리 특정하지 않는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압사출 조건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구분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A-1 42.7 - -
A-2 - 42.7 57.7
A-3 50 50 35
B 3 3 4
C-1 3 3 4
C-2 - - -
D-1 0.2 0.2 0.2
D-2 - - -
E 0.6 0.6 0.6
F-1 0.3 0.3 0.3
F-2 0.2 0.2 0.2
G 1 1 1
H - - -
구분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A-1 75 67.3 65.6 64.6 56.4 56.4 - 54.4 39.8
A-2 18.9 - 27.3 26.3 - - 77.7 - -
A-3 - 21.6 - - 36.3 36.3 15 36.3 58.9
B - - 2 3 6 8 3 - -
C-1 - - 2 3 - - 3 6 -
C-2 - - - - 0.2 0.2 0.2 0.2 0.2
D-1 0.6 0.6 0.6 0.6 0.6 0.6 0.6 0.6 0.6
D-2 0.2 0.2 0.2 0.2 0.2 0.2 0.2 0.2 0.2
E 0.3 0.3 0.3 0.3 0.3 0.3 0.3 0.3 0.3
F-1 1 1 1 1 1 1 1 1 1
F-2 - - - - - - - - -
G 1 1 1 1 1 1 1 1 1
H 5 10 2 2 - - - - -
(참고로,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사용한 원료는 A-1~ H까지 모두 합한 중량%가 총 100 중량%가 된다.)
시험예 2: 성형품 시편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6 내지 14로 제조된 성형품 시편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다.
구분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유동지수(g/10min) 59 47 33.7
인장강도(MPa) 52 47 50.4
인장신율(%) 12 101 23
충격강도(kJ/m2) 4.8 4.7 6.4
HDT(0.45 MPa) 99.4 121.1
HDT(1.8 MPa) 52 49 55
굴곡탄성률(MPa) 2100 1887.3 2070.5
굴곡강도(MPa) 80 70.9 77.1
고화속도(초) 9 10 8
사출최대피크압(kgf/cm2) 650 740 750
부품 랜스 크랙 여부 NG NG NG
구분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유동지수(g/10min) 59 47 33.7 31.5 25 17.2 21 25.4 34.7
인장강도(MPa) 52 47 50.4 47.6 46 44 47 48 54
인장신율(%) 12 101 23 30.2 24 27 65 21 15
충격강도(kJ/m2) 4.8 4.7 6.4 7.1 5.6 5.8 7.8 5.8 4.1
HDT(0.45 MPa) 99.4 121.1 118 127 127 127
HDT(1.8 MPa) 52 49 55 51.4 51.6 50.6 50 51.3 57
굴곡탄성률(MPa) 2100 1887.3 2070.5 1830 1880 1785 1785 1925 1895
굴곡강도(MPa) 80 70.9 77.1 69.3 68 65 65 70 71
고화속도(초) 9 10 8 8 12 14 10 12 7
사출최대피크압(kgf/cm2) 650 740 750 650 1155 1180 990 1105 620
부품 랜스 크랙 여부 NG NG NG NG NG NG NG NG NG
상기 표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내지 4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와 굴곡탄성률, 고하중 열변형온도, 유동지수가 모두 높고, 고화속도와 사출최대피크압은 단축되며, 부품 랜스 크랙 또한 발생하지 않아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이 충격강도와 인장강도, 굴곡 강도 등의 물리적 물성을 기본적으로 충족시키면서도 가공성, 고하중 내열특성이 우수하고 고화속도 단축으로 인해 외관 불량 발생 정도가 저감되어 제품신뢰성 및 외관 품질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고유점도 비율이 적절한 배합을 벗어나 사용하는 비교예 6 내지 비교예 14는,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했을 때, 유동성이 저감되고 고화속도 또한 점차 느려지거나 충격강도가 현저하게 저감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특정 중량%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특정 중량%의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가 혼합된 가수분해 안정화제에 나아가 사출고화 단축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이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사출 고화속도와 충격강도를 동시에 개선하여 기계적 물성, 유동성, 내열특성 등의 물성 밸런스를 만족하고 우수한 제품신뢰성과 외관 품질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80 내지 99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및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고유점도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30:7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첨가제 및 임의의 사출고화 단축제의 총 100 중량% 중에 29 내지 5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릭 에스터-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유래의 단위를 1 내지 15 중량%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타디엔 러버는 ASTM D1895에 의거하여 측정한 벌크 밀도가 0.25 g/cc 이상이고,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아이조드 충격강도(-30 ℃, 1/4"두께)가 10kg/cm.cm 이상인 동시에 아이조드 충격강도(23 ℃, 1/4"두께)가 50kg/cm.cm 이상이면서 전체 입자 중 #20 메쉬 통과분이 전체 입자 전체 계수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탈크, 월라스토나이트 및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사출고화 단축제를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산계 화합물은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수지,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폴리부타디엔 러버, 첨가제 및 사출고화 단축제의 총 100 중량% 중에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활제, 산화방지제 및 칼라런트 중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0. 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9 내지 55 중량%;
    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0 내지 68 중량%;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0 내지 50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1. i)고유점도(η)가 1.05 초과, 1.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9 내지 54 중량%;
    ii)고유점도(η)가 0.9 초과,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5 내지 68 중량%; 또는 고유점도(η)가 0.7 이상, 0.9 미만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41 내지 49 중량%;
    iii)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iv)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v)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i) 및 ii)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합한 총 중량은 80 내지 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12. 고유점도(η)가 1.05 초과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유점도(η)가 1.05 이하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 80 내지 99 중량%; 카르복시 반응성 에폭시 수지 0.01 내지 10 중량%; 폴리부타디엔 러버 0.01 내지 10 중량%; 및 사출고화 단축제 0 내지 1 중량%를 포함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전장용 체결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220124293A 2022-09-29 2022-09-2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4004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293A KR20240044822A (ko) 2022-09-29 2022-09-2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23805436.5A EP4372050A1 (en) 2022-09-29 2023-04-19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same
PCT/KR2023/005271 WO2024071549A1 (ko) 2022-09-29 2023-04-1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293A KR20240044822A (ko) 2022-09-29 2022-09-2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822A true KR20240044822A (ko) 2024-04-05

Family

ID=89073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293A KR20240044822A (ko) 2022-09-29 2022-09-29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372050A1 (ko)
KR (1) KR20240044822A (ko)
WO (1) WO202407154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6954A (ja) 2018-03-12 2019-09-1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91B1 (ko) * 2005-03-24 2008-11-24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225956B1 (ko) * 2009-12-30 2013-01-2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349955B2 (ja) * 2014-05-20 2018-07-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053245B1 (ko) * 2015-11-30 2019-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805643B1 (ko) * 2017-10-19 2017-12-07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6954A (ja) 2018-03-12 2019-09-19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549A1 (ko) 2024-04-04
EP4372050A1 (en) 202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7044A (ko) 유동성, 강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2532694A (zh) 一种高熔指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350100A (zh) 具有熔体流动性和抗冲击性的丙烯树脂组合物
CN108329647B (zh) 低内应力、高抗冲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44822A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80016147A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592487B1 (ko) 용융 흐름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TW202413528A (zh) 聚對苯二甲酸丁二酯樹脂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包括其之模製物
CN118119664A (zh)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树脂组合物、制备其的方法和包含其的模制品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800774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060123884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3512252B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35653B1 (ko)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102348135B1 (ko) 에어 인테이크 매니폴드에 장착되는 고무 가스켓용 고무 조성물
KR20230078250A (ko) 적재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용기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34585B1 (ko) 투명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9990039953A (ko) 자동차 부품용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76420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24518642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KR100241274B1 (ko)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KR100754101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 조성물
KR2023004870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