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653B1 -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653B1
KR101735653B1 KR1020150141336A KR20150141336A KR101735653B1 KR 101735653 B1 KR101735653 B1 KR 101735653B1 KR 1020150141336 A KR1020150141336 A KR 1020150141336A KR 20150141336 A KR20150141336 A KR 20150141336A KR 101735653 B1 KR101735653 B1 KR 10173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ketone
group
gelation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988A (ko
Inventor
장준수
이시춘
박형근
Original Assignee
장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수 filed Critical 장준수
Priority to KR1020150141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6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케톤 수지의 성형시 젤 형성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케톤수지의 성형시 젤화를 억제할 수 있는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젤화 억제제는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또는 머캡토기(-SH)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이들 억제제가 폴리케톤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에 첨가될 경우, 폴리케톤을 포함한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도 경화됨이 없이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며, 재사용하여도 높은 물성보전이 잘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THERPLASTIC POLYKETONE RESIN COMPOSITION HAVING INHIBITED GELATION}
본 발명은 폴리케톤 수지의 성형시 젤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젤화 억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케톤은 에틸렌 단량체와 프로필렌 단량체등과 일산화탄소 반응시켜 만들어지는 고분자이다. 프로필렌 단량체는 소량 첨가되며 이것의 함량에 따라 폴리케톤 고분자의 내열도가 조절된다.
폴리케톤은 에틸렌이나 프로필렌과 같은 범용단량체를 사용하지만, 열변형온도가 200℃ 이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제조할 수 있어 향후 활용도가 다양할 것으로 기대되는 신소재로서, 올레핀 단량체를 사용하므로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 경쟁력 역시 탁월하다. 폴리케톤은 그 조성을 변경하여 100℃ ∼ 210℃ 사이의 넓은 온도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물성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내화학성, 내투과성 및 내마모성은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월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케톤은 압출이나 사출 등으로 성형하고자 온도를 올릴 경우 아주 빠른 시간에 젤화(gelation, 경화)되므로, 성형할 수 있는 온도범위가 아주 좁고, 사출기 등에서 체류하는 동안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급격한 젤화로 인하여 열가소성 수지로서의 성질을 잃게 되므로 재료로서 가치가 떨어진다. 수지가 젤화되는 것은 고분자 체인들이 가교반응(crosslink)되는 것으로, 고분자가 젤화되면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한 고온이나 용매에서도 녹지 않는다.
젤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더 빨리 일어난다. 폴리케톤을 나일론(Polyamide6, Polyamide66)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알로이를 형성하려면 250℃이상의 고온에서 가공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높은 온도로 인한 젤 발생으로 사출성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보고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92200에서는 다이아민(diamine)을 이용하여 폴리케톤을 아민결합으로 연결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특허가 공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9-0084552에서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을 가지는 제3의 고분자를 0.05% 정도로 소량 첨가하여 폴리케톤/나일론 알로이를 개발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36299에서는 내충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이나 카르본산으로 개질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나 에텐-옥탄 고무를 5중량% 이상 첨가하여 폴리케톤의 내충격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에서는 젤화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으며, 페놀계나 인계 산화방지제, 활제등을 사용하여도 젤화 문제는 완전히 개선되지 않아 여전히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폴리케톤수지의 성형시 젤화를 억제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젤화억제제를 제공하고, 이를 포함한 폴리케톤 수지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폴리케톤을 포함한 수지를 고온에서도 사출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폴리케톤이 나일론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알로이를 형성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성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내충격성,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재사용하여도 젤 발생 없이 물성저하가 크지 않는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압출이나 사출 성형시에도 젤화가 억제되어 열가소성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 머캡토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젤화억제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알로이 형성 수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와 폴리케톤 수지의 중량비는 70 : 30 ~ 5 : 9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는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수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 이다.
여기서 상기 미네랄 충진제는 유리섬유, 미카, 탈크, 탄산칼슘, 백운석, 규회석, 황산바륨, 실리카, 카올린, 장석, 버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이다. 상기 미네랄 충진제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40중량%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젤화 억제제는 에틸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옥텐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에 산무수물기를 갖는 화합물이 그래프트 된 수지; 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탄소가 8개에서 30개의 지방산(fatty acid)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머캡토 프로피온산, 머캡토 벤조트리아졸, 머캡토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젤화 억제제의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중량은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서의 폴리케톤 수지 단독 또는 폴리케톤 수지 및 알로이 형성수지의 총 중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젤화 방지 열가소성 폴리케톤수지 조성물은, 압출이나 사출 등의 용융 성형시 젤화를 억제하여 젤형성을 방지하는 젤화 억제제를 포함하여 고온에서 성형될 경우에도 경화됨이 없이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며, 성형 후 재사용하여도 물성보전이 잘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폴리케톤 수지는 에틸렌, 프로필렌 단량체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으로 제조되는 삼중공중합 고분자이다. 에틸렌과 일산화탄소를 기본 반복단위로 하고, 프로필렌 단량체 대신 부텐, 헥센등의 알파올레핀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특히, 일산화탄소 유래의 반복 단위와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유래의 반복 단위가 실질적으로 교대로 연결한 구조의 폴리케톤은 기계적 성질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해 내마모성, 내약품성, 가스배리어성도 높고, 다양한 용도에 유용한 재료이다.
폴리케톤의 제조법으로서는 금속 착염 촉매나, 팔라듐 등의 귀금속 촉매, 혹은 산촉매 등을 이용하여, 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판올, 톨루엔, 메탄올 등의 용매 중에서 일산화탄소와α-올레핀을 공중합시켜 제조하거나, 기상 중합을 통하여 제조 한다. 용도에 따라 코폴리머나 터폴리머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 제조된 폴리케톤 수지는 일반적인 고분자 수지와 같이 시장에는 펠릿의 형태로 제공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펠릿을 용융 사출, 압출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섬유, 파이프, 필름, 튜브 등의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가공 공정 중에 고온으로 인하여 폴리케톤 수지의 분자간 가교결합으로 인해 젤화가 일어나게 되며, 결국 최종 제품의 물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가공 공정 중의 젤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젤화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젤화 억제제는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 머캡토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화합물로서, 폴리케톤 수지의 가공 공정 중에 발생하기 쉬운 젤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들 상기 관능기를 가지는 첨가제들이 젤화를 억제하는 메카니즘은 명확하지 않으나 폴리케톤 고분자 체인사이에 혼용되어 케톤이 젤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젤화 억제제 중, 산무수물기를 가지는 유기화합물로는 에틸렌수지, 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옥텐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수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에 산무수물기를 갖는 화합물이 그래프트 된 것이다.
상기 산무수물기를 포함하는 유기화합물로는 비제한적으로 아세트산무수물, 말레산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 부틸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무수물, 프탈산무수물, 벤조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첨가제로는 아크릴산 단량체 또는 이들 단량체가 중합된 폴리아크릴산, 탄소수가 8개에서 30개의 지방산(fatty acid) 및 지방산에스테르 (acidester)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머캡토기를 가지는 첨가제로는 머캡토기를 가지는 머캡토 프로피온산, 머캡토 벤조트리아졸, 머캡토 실란화합물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젤화 억제제는 폴리케톤 수지의 펠릿화 전에 폴리케톤 수지에 미리 첨가하여 펠릿화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젤화 억제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폴리케톤 수지 펠릿을 압출이나 사출 등의 방식으로 성형하기 위하여 용융할 때,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화 억제제를 포함하는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은 폴리케톤 수지; 젤화 억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는 폴리케톤 수지 외에도, 폴리케톤과 알로이를 형성할 수 있는수지(상기 및 하기에서 알로이 형성 수지라 함), 예로서, 나일론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수지, 스티렌/말레이미드 수지 등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이 더 포함 될 수 있다.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수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 이다.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는 미네랄 충진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미네랄 충진제는 균형 잡힌 물리적 특성을 산출하고, 폴리케톤 수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미네랄 충진제의 비 제한적인 예로는 유리섬유, 미카, 탈크, 탄산칼슘, 백운석, 규회석, 황산바륨, 실리카, 카올린, 장석, 버라이트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충진제는 유리섬유이다.
미네랄 충진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 대비 5 내지 40중량% 정도로 사용할 수 있다. 미네랄 충진제는 20 ㎛ 이하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10 ㎛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유리섬유와 같은 섬유형태의 충진제에서 상기 입자크기는 섬유의 굵기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폴리케톤 수지 외에 알로이 형성 수지가 포함될 경우,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에서의 폴리케톤의 함량은 30 ~ 95 wt% 범위이다.
상기 젤화 억제제의 사용량은 폴리케톤 등의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이때, 폴리케톤에 알로이 형성수지가 포함될 경우라면 상기 젤화 억제제의 사용량은 폴리케톤수지와 알로이 형성수지의 중량을 합한 총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어 폴리케톤 수지 단독에 젤화 억제제가 첨가된다면 첨가량은 폴리케톤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며, 폴리케톤/나일론 등의 알로이 형성 수지에 젤화 억제용 첨가제가 첨가된다면, 첨가량은 폴리케톤/나일론 등의 알로이 형성 수지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젤화 억제제의 첨가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젤화 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가 초과될 경우 투여되는 양에 비하여 젤화 억제 효과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폴리케톤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구성 성분 외에도 활제, 기타 난연제, 대전방지제, 전자파 차폐제, 산화방지제, 안료 및 염료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압출기 내에서 용융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이 펠렛 형태 생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성형품으로서의 쉬트 형태나 필름형태로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젤화 억제제와,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나일론수지, 유리섬유 등을 표1 에 나타낸 대로 배합하여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 펠렛을 ISO 패밀리 몰드로 사출 성형하여 물성측정용 시편을 만들었다.
<비교예 1 내지 9>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나일론수지, 젤화 억제 목적의 여러 안정제를 표2와 같이 배합하여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 펠렛을 ISO 패밀리 몰드로 사출 성형하여 물성측정용 시편을 만들었다.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로서 녹는점은 220℃이고 흐름성은 240℃, 2.16kg에서 260 g/10 min 인 M330A(제조사 효성)를 사용하였고, 나일론 수지는 폴리아미드6 Toplan 1101(제조사 효성)를 사용하였으며, 젤화 억제제로서 산무수물기(-C=OOO=C-)를 가지는 것으로는 Du Pont사의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Fusabond N416과 N493D를 선정하였고, 카르복실기(-COOH)를 가지는 것으로는 대정화금의 폴리아크릴산을, 머캡토기(-SH)를 가지는 것으로는 송원산업의 Songnox 4120S을 사용하였다.
기타 수지 조성에 첨가된 다른 첨가물들은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물성측정용 시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물성을 측정하였다.
(1) 인장강도 (단위: MPa): 인장강도는 ISO 527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2) 굴곡강도(단위: MPa): 굴곡강도는 ISO 178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3) 충격강도(단위: kJ/m2): 두께가 3.2mm인 충격강도 시편으로 ISO 179에 따라 샤르피 아이조드 충격강도 를 측정하였다.
(4) 열변형온도 (단위: ℃): ISO 75-1,2 방법에 의해 1.8 MPa의 하중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5) 흐름 특성(Melt Flow Rate, MI)과 젤화특성 평가: ISO 1133에 의하여 240 ℃, 4분 체류하고 2.16 kg 중량에서 측정하였고, 265 ℃에서는 10분 체류하여 5 kg 중량으로 측정하여 젤화특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조성 및 물성 측정 결과
함량(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폴리케톤수지 100 100 90 90 90 90 90 90 70
나일론수지(폴리아미드6) - - 10 10 10 10 10 10 30
Fusabond N416(DuPont) 1 - - 1 - - 1 - 1
MN 493D(DuPont) - - - - 1 - - - -
폴리아크릴산(대정화금) - 0.5 0.5 - - 0.5 0.5 - -
Songnox 4120S(송원산업) - - - - - - - 0.2 -
(D) 유리섬유, % 0 33 0 33 33 33 33 33 33
인장강도, MPa 55 154 58 155 153 159 162 160 152
굴곡강도, MPa 54 220 53 222 230 228 220 230 235
아이조드 충격강도, KJ/m2 7.8 15.6 7.4 16.2 16.3 13.5 15.5 14.3 12.4
열변형온도, ℃ 108.1 215 106.6 216 216 217 217 218 217
용융지수, 240 ℃, 5kg, 4분체류시 측정 222 91 141 96 89 90 75 60 62
용융지수, 265 ℃, 5kg, 10분 체류후 측정 230 80 130 106 79 78 80 54 70
Figure 112015097452119-pat00001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교예 2,3,4를 보면 TPP를 첨가할 경우 240℃에서의 용융지수에 비하여 265℃의 용융지수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유리섬유가 첨가되는 경우에 그 경향은 심해 졌다.
또한 나일론의 함량이 많아질 때 젤 발생은 완연하였다(비교예 9). 비교예 5,7,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오노머(ionomer)인 Surlyn, PEG, EVA의 첨가할 경우에는 오히려 젤이 사출성형이 불가 할 정도로 급격하게 발생하였다. 비교예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PVA를 첨가한 경우에는 사출성형은 되지만, 265℃는 현저하게 흐름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원 발명의 젤화 억제제를 사용하여 가공공정을 진행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 1에 보는바와 같이,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변성수지를 첨가한 실시예1의 경우, 비교예1과 비교하여 240℃의 용융지수는 변화가 없었으나, 265℃의 용융지수는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나, 온도가 증가하여도 젤화가 더 진행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유리섬유를 첨가한 경우에도 이러한 경향은 동일하게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젤화 억제제를 첨가한 실시예2가 비교예2와 비교하여 240℃, 265℃ 모두에서 용융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온도가 240℃에서 265℃로 증가하여도 용융지수의 감소량은 비교예2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실시예 2, 3, 6에서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폴리아크릴산을 젤화 억제제로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에도 젤화가 발생함이 없이 양호한 흐름성을 볼수 있었다.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트된 변성 수지와 폴리아크릴산 첨가제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인장강도와 내열도가 우수해졌다(실시예 7). 머캡토계 안정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흐름성이 크게 나빠지지 않았으며(실시예 8), 실시예 9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원의 젤화억제제를 사용할 경우 나일론 수지를 폴리케톤 70중량부에 30중량부까지 첨가 하여도 젤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젤화 억제제를 사용한 폴리케톤 수지는 높은 온도에서도 젤화가 진행되는 것이 억제되었으며, 인장강도, 내열성 및 충격강도 등도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조성물로서,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압출이나 사출 성형시 젤 형성을 억제하기 위한 젤화억제제로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 머캡토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알로이 형성 수지 및/또는 미네랄 충진제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는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수지 및 스티렌/말레이미드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기(-C=OOO=C-), 카르복실기(-COOH) 및 머캡토기(-SH)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유기화합물은 에틸렌수지, 프로필렌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옥텐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수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수지에 산무수물기를 갖는 화합물이 그래프트 된 유기화합물, 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탄소수가 8개에서 30개의 지방산(fatty acid), 탄소수가 8개에서 30개의 지방산에스테르(acid ester), 머캡토 프로피온산, 머캡토 벤조트리아졸 및 머캡토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젤화 억제제는 폴리케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젤화 억제제는 폴리케톤 수지 및 알로이 형성 수지의 총 중량으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와 폴리케톤 수지의 중량비는 70 : 30 ~ 5 : 95 이고, 상기 미네랄 충진제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의 중량 대비 2 내지 40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10. 삭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충진제는 유리섬유, 미카, 탈크, 탄산칼슘, 백운석, 규회석, 황산바륨, 실리카, 카올린, 장석 및 버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미네랄 충진제는 유리섬유이며, 상기 알로이 형성 수지는 나일론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41336A 2015-10-08 2015-10-08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10173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36A KR101735653B1 (ko) 2015-10-08 2015-10-08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36A KR101735653B1 (ko) 2015-10-08 2015-10-08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88A KR20170041988A (ko) 2017-04-18
KR101735653B1 true KR101735653B1 (ko) 2017-05-24

Family

ID=5870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336A KR101735653B1 (ko) 2015-10-08 2015-10-08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484B1 (ko) * 2019-11-04 2021-04-30 장준수 폴리케톤 수지의 젤화 억제용 첨가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88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852928B (zh) 具有改善低温性能的乙烯/丙烯酸烷基酯无规共聚物及其混炼胶和弹性体组合物
CN101275011B (zh) 高抗冲击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098242B1 (ko) 폴리케톤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4041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0717810B2 (ja) ポリアセタ−ルの安定化組成物
JP2002226604A (ja) 樹脂成形体
US5003009A (en) Impact-resistant nylon molding materials which are less susceptible to stress cracking
KR20130074607A (ko) 바이오 플라스틱 조성물
KR20170083006A (ko) 폴리케톤 및 abs를 포함하는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653B1 (ko)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11349340A (zh) 聚苯硫醚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JP6859024B2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042496B1 (ko) 기계적 물성과 자외선에 대한 내광성이 향상된 폴리케톤 블렌드
JPH06179791A (ja) 樹脂組成物
KR101400698B1 (ko) 인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지 조성물
KR10224096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24071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2002226706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KR101894810B1 (ko) 폴리케톤 및 abs를 포함하는 블렌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7465A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H0480262A (ja) Pps含有樹脂組成物
KR10234683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