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517A -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517A
KR20170119517A KR1020160047652A KR20160047652A KR20170119517A KR 20170119517 A KR20170119517 A KR 20170119517A KR 1020160047652 A KR1020160047652 A KR 1020160047652A KR 20160047652 A KR20160047652 A KR 20160047652A KR 20170119517 A KR20170119517 A KR 2017011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or
information
contract
labor contrac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60047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517A/ko
Priority to KR1020160178279A priority patent/KR10265187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은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단말 장치 및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고,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고용형태의 근로자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노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NIC EMPLOYMENT CONTRACT, AND LABOR MANAGEMENT SYSTEMT AND METHOD USING THE ELECTRONIC EMPLOY MENT CONTRACT}
본 발명은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로 관계는 사용자와 근로자가 동등한 지위에서 자유의사로 결정한 계약에 의해 성립하며, 이러한 근로 관계의 성립은 통상적으로 근로계약서 작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일반 사업장은 물론 외식업 매장, 이벤트나 행사를 주최하는 연회장 등의 서비스업 사업장이나 건설 현장 등과 같은 사업장에는 기간제 또는 단시간 근로자가 많아 근로자의 입사와 퇴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각 근로자의 근로시간도 상이하여, 서면 근로계약서의 작성, 교부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사업장의 특성상 근로기준법에서 요구하는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서면으로 교부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고, 현장에서 종이 근로계약서를 보관 및 관리하기가 어려워 근로계약서가 훼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사업장에서 체결한 근로계약 정보를 본사에서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관리자가 종이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정보를 추후 별도의 시스템에 다시 직접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인 측면이나 관리의 적정성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이처럼 근로계약서의 작성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근로자에게 지급될 급여나 근로조건에 관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의도치 않게 근로기준법에 규정된 사항들을 준수하지 못할 수 있다. 이처럼 노무 관리가 법적 기준에 맞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기업에 노무 관리상의 위험을 발생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5066호
본 발명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전자 근로계약서를 통해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로계약서의 작성 및 교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사와 장소적으로 분리된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체결하는 근로계약서가 제대로 적법하게 작성, 교부 및 관리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 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노무 관리를 위한 사원 정보로 활용함으로써 각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고용형태의 근로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노무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가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로 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는 출력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출력 장치에 의해 서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신분증 스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근로계약의 갱신을 위해,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로 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서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근로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계약의 갱신을 위해,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는,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상기 근로자의 제 2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태 정보는, 상기 근로자의 제 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상기 근로기준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근로계약의 계약기간 만료일 전에, 계약기간 만료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는,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제 1 단말 장치에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상기 근로기준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근로계약의 계약기간 만료일 전에, 계약기간 만료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서,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근로자가 전자 근로계약서를 통해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어 본사와 장소적으로 분리된 사업장에서의 근로계약서 작성, 교부 및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노무 관리를 위한 사원 정보로 활용할 수 있어 각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고용형태의 근로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노무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가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법적 기준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노무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1 구성요소도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외식업 매장이나 연회장 등의 서비스업 현장 또는 건설 현장 등에서는 사업장의 특성상 종이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서면 교부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 작성된 근로계약서를 제대로 보관 및 관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근로계약서 상의 정보를 본사에서 즉시 확인하고 관리 및 활용하려면 현장 관리자가 해당 정보를 별도의 시스템에 다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무 관리 시스템은 각 사업장에서 근로자와 관리자가 근로계약 정보와 서명 정보를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입력하여 손쉽게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본사의 서버(200)에 전송하여 보다 효율적인 노무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무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 장치(100), 서버(200) 및 근로자 단말 장치(30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 장치(100)와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데스크톱(desktop), 랩탑(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셀룰러폰, 스마트 워치나 밴드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 입출력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갖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 장치(100)와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복수의 사업장(즉, 제 1 사업장, 제 2 사업장, … , 제 n 사업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에는 각 사업장에 하나의 관리자 단말 장치(100) 및 하나의 근로자 단말 장치(30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사업장에 배치되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와 근로자 단말 장치(300)의 수는 사업장의 규모나 근로자의 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사업장에 근로하는 근로자들의 노무 관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본사나 본점 등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본사로부터 노무 관리를 위임받은 노무 법인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업장"은 "본점"이나 "본사"와 구별되는 "지점", "지사", "공장", "현장"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사업장을 기준으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근로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데이터 통신부(130), 메모리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근로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근로계약 정보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근로계약 체결시 근로계약서 상에 기재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 정보는 근로자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과 같은 근로자의 개인 정보 및 근무장소, 담당업무, 계약기간, 근로시간, 휴일, 휴가, 야간근로, 임금, 계약해지, 비밀유지 등과 같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로계약 정보는 필수적 기재사항과 임의적 기재사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수적 기재사항과 임의적 기재사항의 분류는 근로기준법 등의 법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정책 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10)는 정보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무장소, 담당업무, 근로시간, 임금 등의 정보를 콤보(combo) 버튼이나 드롭다운(dropdown) 리스트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임금이 입력되면 그에 따른 시급 및 주휴수당 등 임금의 세부적인 구성 항목과 그 값을 자동 계산하여 입력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근로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신분증 스캔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분증 스캔 장치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와 연결되는 별도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관리자 단말 장치(100) 내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신분증을 스캔하여 근로자의 개인 정보를 획득할 경우, 개인 정보 입력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근로자의 개인 정보가 허위 기재되거나 잘못 기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서명 정보는 사용자와 근로자 간의 근로계약 체결시 이용되는 전자 서명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의 서명 정보는 미리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입력부(110)는 근로자의 서명 정보만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근로자로부터 서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드(미도시) 및 스타일러스 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입력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관리자로부터 근로자의 근태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고, 근로계약을 갱신하는 경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가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가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만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수적 기재사항이 제대로 기재되지 않은 전자 근로계약서의 생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근로계약서가 근로기준법 등 노동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채로 부실하게 작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30)는 서버(200) 및 근로자 단말 장치(300)와 데이터를 통신한다. 즉, 데이터 통신부(130)는 서버(200)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버(200)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버(200)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130)는 서버(200)로부터 노무 관리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메시지들을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근로계약서와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근로계약 정보, 서명 정보 및 근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부(130)가 통신 장애 등으로 인하여 전자 근로계약서 등을 전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관련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어부(120)에 의해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 및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알림 메시지들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5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 자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 또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미도시)일 수 있다. 출력부(15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어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출력 장치를 통해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 출력할 수 있으므로 근로계약서를 근로자에게 서면으로 교부하는 것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데이터 통신부(340), 출력부(350) 및 메모리부(36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310)는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 두가지 방식을 결합하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입력부(320)는 근로자로부터 근태확인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330)에 전달한다. 근태확인 신호는 출근확인 신호 또는 퇴근확인 신호일 수 있다. 출근확인 신호는 근로자의 출근 기록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퇴근확인 신호는 근로자의 퇴근 기록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근로자가 "출근"버튼 또는 "퇴근"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태확인 신호는 출근 또는 퇴근 외에 출장, 조퇴, 외출 등 기타 근로자의 근태와 관련된 다른 확인 신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와 입력부(320)로부터 수신되는 근태확인 신호를 데이터 통신부(34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와 입력부(320)로부터 수신되는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근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위치 정보 수신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가 해당 근로자의 근무 장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일치하는 경우 출근확인 신호 또는 퇴근확인 신호에 따라 근로자의 시업 시각(즉, 출근 시각) 및 종업 시각(퇴근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근로자의 근태 정보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에 의해서 생성된 후 서버(200)에 전송될 수도 있고, 서버(200)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데이터 통신부(340)를 통해 관리자 단말 장치(100)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메모리부(360)에 저장하고,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하여 근로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35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 자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출력부(15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20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저장하고,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근로계약 정보를 근로자에 대한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며, 사원 정보 및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전자 근로계약서 관리부(210), 사원 정보 관리부(220), 노무 관리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데이터 통신부(250), 입력부(260) 및 출력부(270)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데이터베이스(240)가 서버(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데이터베이스(240)는 서버(200)와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 근로계약서 관리부(21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근로계약서 DB(241)에 저장한다. 이때, 전자 근로계약서는 계약체결일 기준으로 개인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전자 근로계약서를 근로계약서 DB(241)에 저장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보관에 해당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 장치(100)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서버(200)에 접속하여 근로계약서 DB(241)에 저장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사원 정보 관리부(220)는 관리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근로계약 정보 즉,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사원 정보 DB(242)에 사원 정보로서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원 정보는 근로계약 정보 외에 근로자와 관련된 기타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의 근태 정보, 임금 정보 등과 같이 근로자의 근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한다. 근로자의 근태 정보는 근로계약 체결 이후, 근로자의 출근이나 퇴근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 및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가 해당 근로자의 근무 장소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일치하는 경우 출근확인 신호 또는 퇴근확인 신호에 따라 근로자의 시업 시각(즉, 출근 시각) 및 종업 시각(퇴근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무 관리부(230)는 근태 정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관리자 단말 장치(100) 또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근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노무 관리부(230)는 사원 정보 및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노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노무 관리는 임금 관리, 휴가 관리, 근로계약 관리 등 근로자의 근무에 관한 다양한 관리를 포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무 관리부(230)는 사원 정보 및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될 임금 또는 급여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무 관리부(230)는 사원 정보 및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근로자의 근무가 근로기준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근로기준은 근로계약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와 근로자 간에 준수해야하는 기준을 나타내고, 근로기준법 등 법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정책 등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하, 노무 관리부(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노무 관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유급휴일 사전 지정 및 계산
현행 근로기준법은 주휴일(1주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1일의 유급휴일 부여)과 근로자의 날(5월 1일)을 유급휴일로 부여하도록 하고 있고 그 외의 휴일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사내 규정으로 유급휴일을 정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별로 유급휴일과 유급휴일수가 다른 것이 일반적이다. 노무 관리부(230)는 사전 지정된 휴일을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하고, 근로자가 해당 일자에 출근하지 않더라도 이를 유급휴일로 인식하여 급여에서 공제하지 않고, 근로자가 해당 일자에 출근하여 근무하는 경우 해당 근로를 휴일근로로 인식하여 휴일근로수당을 자동 계산할 수 있다.
최저임금 위반 알림
노무 관리부(230)는 월급 근로자의 월급금액과 근로자의 근로시간에 기초하여 시급통상임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값이 매년 고용노동부에서 고시하는 최저임금 미만인 경우 최저임금 위반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근로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시급 및 일용근로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노무 관리부(230)는 해당 근로자가 수습기간 중인 경우 해당 근로자의 시급통상임금이 최저임금의 90% 미만인 경우에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연장근로시간 초과 알림
현행 근로기준법은 주 40시간 근로를 원칙으로 하고 당사자간에 합의가 있는 경우 1주 12시간에 한하여 추가 연장근로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특정 근로자가 주 52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연장근로시간이 초과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시간근로자의 수당 및 퇴직금 계산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의 4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 유급주휴수당, 연차, 퇴직금의 적용이 제외된다.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4주 동안의 평균 근로시간을 계산하여 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익월 임금 계산시 주휴수당을 제외할 수 있고, 퇴직금 산정시에도 해당 기간을 제외할 수 있다.
단시간 근로자의 연장근로시간 및 수당 계산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서에 정한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1일 8시간이 초과하지 않더라도 연장근로수당으로 50%를 추가지급해야 한다. 예를 들어, 1일 4시간 근로하기로 계약한 단시간 근로자가 1일 4시간을 초과하여 6시간을 근무하였다면, 초과된 2시간은 연장근로에 해당한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단시간 근로자가 1일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초과된 시간을 연장근로로 인식하여 법정수당을 자동 계산할 수 있다. 다만, 사업장 전체가 단시간 근로자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노무 관리부(230)는 단시간 근로자의 연장근로 수당을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단시간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계산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매주 또는 매월 근무스케쥴에 따라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매일 또는 매주의 근로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단시간 근로자의 4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을 그 기간 동안 통상 근로자의 일반적인 소정근로일 수(예를 들어, 20일)로 나누어 단시간 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노무 관리부(230)는 단시간 근로자의 1일 소정근로시간에 기초하여 단시간 근로자의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다.
시업/종업 시각 및 근무스케쥴에 따른 근태 관리
일반적인 회사의 경우 시업 및 종업시각이 09:00~18:00로 정해져 있고, 연장근로 또는 교대 근무의 경우 시간대별로 근무조가 짜여져 있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근로를 제공한다. 하지만,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단시간 근로자들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근무 스케쥴에 따라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체계적인 근태 관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시업 시각 10:00 13:00 09:00 14:00 15:00
종업 시각 16:00 19:00 14:00 19:00 20:00
< 홍길동의 1주간 근무스케쥴 >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사원 정보에 저장된 근로자의 근무 스케쥴(근무일별 시업시각 및 종업시각) 및 근로자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시간을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해당 근로자에 대한 임금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무 관리부(230)는 홍길동의 1주간 근무스케쥴을 토대로 월요일 홍길동이 10:00 이후에 출근 체크를 하면 지각으로 처리하고, 화요일 13:00 이전에 출근 체크를 하면 정상근무로 처리하여 임금을 계산할 수 있다.
연차유급휴가 및 수당 자동 계산
현행 근로기준법은 ‘1년 이상 계속근로한 자 + 1년간 8할 이상 출근한자’에 대해서는 15일의 연차휴가를 부여하고 1년이 되지 않은 근로자에 대해서는 1월을 개근하면 다음 달에 1일의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근로자 수가 많은 기업에서는 근로자들의 입사일이 상이하기 때문에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 회계연도(1.1~12.31)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부여하거나 수당을 산정하여 지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노무 관리부(230)는 연차휴가의 기산일 및 계산을 회계연도 기준 또는 입사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근로자별 잔여 연차휴가일수와 휴가수당을 자동 계산하고, 해당년도에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일수와 미사용 연차휴가수당을 산정할 수 있다.
연차휴가 사용촉진
현행 근로기준법은 사용자가 법률이 정한 일정한 요건과 절차를 거쳐 근로자들에 연차유급휴가의 사용을 촉진하는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근로자들이 연차유급휴가를 해당년도에 모두 사용하지 않더라도 잔여 연차휴가일수에 대해 수당으로 보상하지 않아도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개별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기산하고 부여하는 회사에 대해서, 근로자 개인별로 연차휴가 사용촉진 시기와 사용촉진 대상자의 미사용 연차휴가 개수를 알려줄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통보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 장치(100)가 해당 근로자에게 연차휴가 사용촉진을 서면으로 할 수 있도록 근로자별 연차휴가 사용촉진 내용(근로자 성명, 당해연도 미사용 휴가 개수, 사용시기를 정하여 회사에 통보할 것 등의 내용)을 보여주고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노무 관리부(230)는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기산하여 부여하는 회사에 대해서, 매년 7월 1일 전체 근로자의 개인별 미사용 연차휴가 일수를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통보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자 단말 장치(100)가 전체 근로자에게 개인별 연차휴가 사용촉진을 서면으로 할 수 있도록 전체 근로자에 대한 연차휴가 사용촉진 내용을 보여주고 일괄적으로 서면 출력할 수 있다.
연차휴가 일괄 대체
현행 근로기준법은 사용자가 근로자 대표와 연차유급휴가를 특정일에 전체 근로자에 대해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면합의를 한 경우 해당 특정일로 연차휴가를 대체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명절연휴 때 징검다리 휴일이 있는 경우나 연말에 전체 근로자들에 한꺼번에 연차휴가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특정일 또는 특정기간을 정하여 전체 근로자 또는 특정 부서 근로자들에 대해 일괄 연차휴가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 등 관계 법령에 의해 근로자 또는 근로자 대표와의 서면합의를 요구하는 것으로 노무 관리상 보관, 관리되어야 하는 모든 서면(합의서 등)은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차휴가 대체를 위한 서면합의는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정년도달 및 계약기간 만료 알림
기간제 근로자의 경우 2년을 초과하여 사용하면 기간제 근로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해 정규직 근로자로 자동 전환되며, 근로자가 정년을 초과하여 계속 근로하고 사용자가 해당 근로자의 노무를 이의 없이 계속 수령하였다면 정년을 이유로 근로자를 퇴직처리 할 수 없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정년도달 근로자나 기간제 근로자들의 경우, 정년도달 또는 계약기간 만료 30일 전에 해당 근로자의 성명과 정년도달일, 계약기간 만료일에 대한 정보를 알림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통보할 수 있다.
연소자(18세 미만 근로자) 채용시 법적 제한과 사용 제한
현행 근로기준법은 사용자가 연소자 채용시 그 연령을 증명하는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와 친권자의 동의서를 사업장에 갖추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연소자는 1일 7시간, 1주일에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지 못하게 하고 당사자간 합의가 있는 경우 1일 1시간, 1주일에 6시간을 한도로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연소자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의 시간 및 휴일에 근로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사항을 위반할 경우, 징역 또는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만 18세 미만의 연소자와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전에, 가족관계증명원 및 친권자 동의서가 필요하다는 알림 메시지를 띄우고 이러한 파일을 첨부할 수 있도록 파일 첨부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가 연소자인데 가족관계증명원 및 친권자 동의서가 첨부되지 않은 경우, 또는 연소자가 1일 8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연소자의 1일 1시간, 1주일 6시간 한도로 근로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서면합의는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서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산학실습생의 경우
제조업이나 외식업체에서 산학실습생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산학실습생의 경우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거나 3개월을 초과하여 장기근무하는 경우 근로자로 간주되어 여러 가지 법적 제한을 받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형사 처벌까지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산학실습생인 근로자가 1일 8시간 또는 주 4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건강보험·국민연금 적용 구분 및 계산
일용직 및 단시간 근로자는 통상 근로자에 비해 근무기간 및 근로시간이 짧다. 근로자가 건강·국민연금의 적용을 받는 경우 해당 근로자들의 월 임금에서 근로자 부담분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공제하여야 할 뿐아니라 회사도 사업주 부담분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납부해야 하므로, 일용직 및 단시간 근로자가 건강·국민연금의 적용대상이 되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하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 및 국민연금법에 의하면 일용직이나 단시간 근로자로서 '월 60시간 이상 근로제공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일용직이나 단시간 근로자들에 대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이 적용된다.
따라서, 노무 관리부(230)는 근로자들의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근무일과 월 총 근로시간을 계산하여 건강·국민연금 적용대상자와 적용제외자를 구분하고, 적용대상자에 대해서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을 공제하여 임금을 계산하고 적용제외자에 대해서 별도 보험료 공제없이 임금을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근로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고(S501), 이어서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다(S502).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가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판단하고(S503),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단계(S501)로 회귀한다. 만약, 입력된 근로계약 정보가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면,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한다(S504).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작성에 해당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근로자 단말 장치(300) 및 서버(200)에 전송한다(S505). 그러면,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수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출력부(350)를 통해 출력하여 근로자가 화면 상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S506).
서버(200)는 수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데이터베이스(240)의 근로계약서 DB(241)에 저장하고(S507),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근로계약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40)의 사원 정보 DB(242)에 사원 정보로서 저장한다(S508).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버(200)에 저장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보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서면 출력할 수 있다(S509).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 출력하여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교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근로자가 전자 근로계약서를 통해 근로계약을 체결할 수 있어 본사와 장소적으로 분리된 사업장에서의 근로계약서 작성, 교부 및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본사의 사업장에 대한 관리, 감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S601), 사용자로부터 근태확인 신호를 입력받는다(S602).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위치 정보 및 근태확인 신호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603). 전술한 바와 같이,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위치 정보 및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 정보를 생성한 후, 근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근로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및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태 정보를 생성하고(S604), 생성된 근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40)의 노무 정보 DB(243)에 저장한다(S605). 이후, 서버(200)는 사원 정보 및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노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606).
서버(200)는 사원 정보 및 근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7). 만약, 근로자의 근무가 근로기준에 위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200)는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608),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S609).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여 관리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S610).
한편,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근태 정보의 생성은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관리자로부터 근태 정보를 입력받아(S620), 근태 정보를 생성한 후(S621), 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62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노무 관리를 위한 사원 정보로 활용할 수 있어 각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다양한 고용형태의 근로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노무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근로계약서 상의 근로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근무가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법적 기준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노무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버(200)는 계약체결일 기준으로 저장된 전자 근로계약서 또는 사원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시점이 특정 근로자의 계약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 전인지 확인한다(S701). 만약, 모니터링 시점이 특정 근로자의 계약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전이면, 서버(200)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702) 이를 관리자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S703). 여기서, 30일은 예시적으로 선택된 값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정책 등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선택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알림 메시지에 따라 근로계약을 갱신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는다(S704). 이 경우,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변경되지 않은 근로계약 정보에 대해서는 기존의 근로계약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어서,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근로자로부터 서명 정보를 입력받고(S705),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한다(S706). 즉,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기존의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새로 생성한다. 이후,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근로자 단말 장치(300) 및 서버(200)에 전송한다(S707).
근로자 단말 장치(300)는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화면 상에 출력하여 근로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S708).
서버(200)는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데이터베이스(240)의 근로계약서 DB(241)에 저장하고(S709),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이용하여 사원 정보 DB(242)에 저장된 사원 정보를 갱신한다(S710).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버(200)에 저장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보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 장치(100)는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서면 출력할 수 있다(S711). 갱신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 출력하여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근로계약서의 교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와 근로자가 근로계약을 갱신하는 경우에 기존의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함으로써 특정 근로자에 대한 일련의 근로계약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은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140, 36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부(130, 250, 340)는 3G, LTE, LTE-A 등의 이동 통신 또는, Wi-Fi, Wibro, WiMax, 블루투스(Bluetooth), 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이더넷(Ethernet), LAN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관리자 단말 장치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데이터 통신부
140 : 메모리부 150 : 출력부
200 : 서버 210 : 전자 근로계약서 관리부
220 : 사원 정보 관리부 230 : 노무 관리부
240 : 데이터베이스 241 : 근로계약서 DB
242 : 사원 정보 DB 243 : 노무 정보 DB
250 : 데이터 통신부 260 : 입력부
270 : 출력부 300 : 근로자 단말 장치
310 : 위치 정보 수신부 320 : 입력부
330 : 제어부 340 : 데이터 통신부
350 : 출력부 360 : 메모리부

Claims (23)

  1.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입력부;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로 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는 출력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출력 장치에 의해 서면 출력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판독하도록 구성되는 신분증 스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근로계약의 갱신을 위해,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4.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로 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를 출력 장치에 전송하여 서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근로자의 신분증을 스캔하여 상기 개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근로계약의 갱신을 위해,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7.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으로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고,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는,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상기 근로자의 제 2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 및 상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근태 정보는, 상기 근로자의 제 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상기 근로기준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근로계약의 계약기간 만료일 전에, 계약기간 만료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는,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15.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으로서,
    제 1 단말 장치에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미리 결정된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근로계약 정보가 상기 필수적 기재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서버 또는 상기 제 2 단말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에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를 서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태 정보는, 상기 근로자의 제 2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근로자로부터 입력되는 근태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미리 결정된 근로기준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로자의 근무가 상기 근로기준에 위반된다고 판단되면, 위반 사항을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근로계약의 계약기간 만료일 전에, 계약기간 만료를 나타내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서,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단말 장치에 의해, 상기 변경된 근로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와 별도의 전자 근로계약서를 추가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23.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근로자의 개인 정보와 근로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근로계약 정보 및 서명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계약 정보 및 상기 서명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전자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상기 근로계약 정보를 사원 정보로서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상기 근로자의 근태 정보 및 상기 사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60047652A 2016-04-19 2016-04-19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9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52A KR20170119517A (ko) 2016-04-19 2016-04-19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60178279A KR102651879B1 (ko) 2016-04-19 2016-12-23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52A KR20170119517A (ko) 2016-04-19 2016-04-19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279A Division KR102651879B1 (ko) 2016-04-19 2016-12-23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17A true KR20170119517A (ko) 2017-10-27

Family

ID=6030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652A KR20170119517A (ko) 2016-04-19 2016-04-19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517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832B1 (ko)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86704B1 (ko) * 2018-11-20 2020-03-09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05701B1 (ko) * 2019-06-26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키오스크 로그인을 통한 구성원 근태관리용 시스템
KR102164413B1 (ko) * 2019-11-01 2020-10-13 주식회사 헥사플레이스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7591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KR102331345B1 (ko) * 2020-09-21 2021-12-02 주식회사 우리요 비대면 전자 근로계약서 생성 방법
KR20210147533A (ko) * 2020-05-29 2021-12-07 최병진 알바생 채용 및 관리 방법
KR20220063692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자버 근로계약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91666B1 (ko) * 2021-12-30 2023-01-27 (주)이랜서 기업-프리랜서의 매칭률 향상을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
KR102574037B1 (ko) * 2023-03-29 2023-09-04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704B1 (ko) * 2018-11-20 2020-03-09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20087419A (ja) * 2018-11-20 2020-06-04 ニューゼン ピーアンドピ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無人情報端末を用いた電子労働契約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2035832B1 (ko) 2019-02-11 2019-10-23 주식회사 워커스빌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127591A (ko) * 2019-05-03 2020-11-11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전자 근로 계약을 위한 무인 정보 단말 장치
KR102105701B1 (ko) * 2019-06-26 2020-04-28 주식회사 오웬스그룹 키오스크 로그인을 통한 구성원 근태관리용 시스템
KR102164413B1 (ko) * 2019-11-01 2020-10-13 주식회사 헥사플레이스 Qr 코드를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및 노무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7533A (ko) * 2020-05-29 2021-12-07 최병진 알바생 채용 및 관리 방법
KR102331345B1 (ko) * 2020-09-21 2021-12-02 주식회사 우리요 비대면 전자 근로계약서 생성 방법
KR20220063692A (ko) * 2020-11-10 2022-05-17 주식회사 자버 근로계약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491666B1 (ko) * 2021-12-30 2023-01-27 (주)이랜서 기업-프리랜서의 매칭률 향상을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
KR102574037B1 (ko) * 2023-03-29 2023-09-04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9517A (ko)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858B1 (ko) 단시간 근로자에 대한 노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6796673B (zh) 用于计费的改进的系统和方法
AU2023204119A1 (en) Timekeeping and billing to create and maintain employees and independent contractors
WO20151249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al of personnel attendance
KR102651879B1 (ko)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7172549A (ja) 勤務計画を調整する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US10210482B2 (en) Location verification using networked client peripherals
Wikle et al. States can reduce Medicaid’s administrative burdens to advance health and racial equity
KR20200041151A (ko)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Stewart et al. Vaccination benefits and cost-sharing policy for non-institutionalized adult Medicaid enrollees in the United States
KR20170126700A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US202100272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cre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80121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wound care management
JP2009026060A (ja) 給与計算システム及び給与計算サーバ装置
Spiegel et al. Duration and optimal number of shifts in the labour market
KR20230095402A (ko) 디지털 근로계약서를 포함하는 노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300849A9 (en) Shift Trader Mobile Application
US20170287094A1 (en) Placement Referral Intelligent Matching Engine and Web Portal
KR20180059986A (ko) It를 활용한 급여업무 사무자동화
WO20200441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roperty transactions
Wagner Leveraging Text Messaging to Improve Communications in Safety Net Programs
McGregor et al. Resource allocation in the Northern Ireland health service: consensus or challenge?
Stewart Advocates’ Guide to Understanding States’ Actions as They Unwind From Medicaid Continuous Coverage: Requirements and Best Practices
JP201600439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2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314

Effective date: 2018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