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151A -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151A
KR20200041151A KR1020180121240A KR20180121240A KR20200041151A KR 20200041151 A KR20200041151 A KR 20200041151A KR 1020180121240 A KR1020180121240 A KR 1020180121240A KR 20180121240 A KR20180121240 A KR 20180121240A KR 20200041151 A KR20200041151 A KR 2020004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terminal
information
employer
job see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하
Original Assignee
(주)세이프퓨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이프퓨처스 filed Critical (주)세이프퓨처스
Priority to KR102018012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1151A/ko
Publication of KR2020004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고용주의 단말기에 입력된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구직자의 단말기는 제공받은 채용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REAL-TIME JOB INTERMEDIATION METHOD}
본 발명은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을 통하여 구직자와 고용주를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직자와 고용주는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구직 및 구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구인/구직 전용 웹사이트가 신설되어 고용주는 구인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수신하여 구직자를 구하고, 구직자는 고용주의 구인 정보를 빠르고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구인/구직 전용 웹사이트는 기업의 정규직 채용 및 장기간 아르바이트 등과 같은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홈 서비스, 출장 서비스, 단기 아르바이트, 운전 등 단순 용역과 같은 단기간/비정규직의 구인/구직의 요구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직원이나 아르바이트생의 무단결근 또는 갑작스러운 비상 상황 등으로 인하여 고용주의 운영이 어려운 경우, 실시간으로 단기간/비정규직의 구인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뿐만 아니라 직장인, 가정주부 또는 은퇴한 장년층들도 구직 활동이 가능한 시간인 경우, 실시간으로 단기간/비정규직의 구직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용주의 단순 용역 구인/지원 정보를 빠르게 효과적으로 구직자에게 전달하고, 구직자가 효과적으로 단순 용역 형태의 구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및 중개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5-0126749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용주의 단말기와 구직자의 단말기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구인/지원 정보를 전달하고, 급여를 협상할 수 있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은 고용주의 단말기에 입력된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구직자의 단말기는 제공받은 채용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직자의 지원 정보 또는 협상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협상 정보가 제공된 경우 고용주의 단말기는 제공받은 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재협상 급여를 포함한 재협상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협상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해당 고용주와 구직자를 매칭시키고, 재협상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재협상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구직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재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채용 정보의 업종을 기반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이 포함되고,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근무지역이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이 포함되고,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근무지역이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직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채용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공지할 수 있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 시간이 포함되고,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구직자의 단말기에는 매칭된 채용 정보의 근무시간과 중첩되는 채용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채용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 시간이 포함되고,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근무 시간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로부터 구직자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결제 받는 단계; 및 근무 시간 이후에 운영서버는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의 단말기 또는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에서는, 확인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구직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를 수정할 수 있다.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서버는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을 수 있다.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에서는,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거나 수정된 근무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무 후기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근무 후기를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고용주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근무 후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조정된 구직자의 레벨을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구직자의 레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에 따르면, 채용 정보의 급여를 희망 급여로 협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구직자는 더 높은 급여를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고용주는 더 신속하게 요구하는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근무 이후에 고용주가 급여 지급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구직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고용주가 직접 근무시간을 확인하여 급여의 수정 여부를 직접 입력하여 고용주에게 재확인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직자의 단말기 또는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되는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의 시스템은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를 입력받아 운영서버(10)로 전송하는 고용주 단말기(20); 운영서버(10)로부터 제공받은 채용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입력받아 운영서버(10)로 전송하는 구직자 단말기(30); 및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30)에 제공하고,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20)에 제공하며,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20)에 제공하고,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 단말기(20)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운영서버(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서버(10)는 내부에 복수의 고용주 단말기(20)와 연결되어 고용주 DB(Data Base)를 관리하는 고용주 관리부(11) 및 복수의 구직자 단말기(30)와 연결되어 구직자 DB(Data Base)를 관리하는 구직자 관리부(12)를 포함한다.
고용주 관리부(11)는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 관리부(12)를 통하여 구직자 단말기(30)에 제공한다. 구직자 관리부(12)는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관리부(11)를 통하여 고용주 단말기(20)에 제공하며,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 관리부(11)를 통하여 고용주 단말기(20)에 제공한다.
또한, 운영서버(10)는 내부에 매칭관리부(13)를 포함하고, 매칭관리부(13)는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 단말기(20)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킨다.
추가로, 운영서버(10)는 내부에 결제 관리부(14)를 포함하고, 결제 관리부(14)는 근무 시간 이전에 운영서버(10)는 고용주로부터 구직자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결제 받고, 근무 시간 이후에 운영서버(10)는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한다. 또한, 고용주 단말기(20) 또는 구직자 단말기(30)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을 수 있고, 확인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구직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를 수정할 수 있다.
운영서버(10) 내부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운영서버(10)와 고용주 단말기(20) 및 구직자 단말기(30)는 통신망 등으로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고용주 단말기(20) 및 구직자 단말기(30)는 무선 통신 등으로 연결 가능한 단말기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은 고용주 단말기에 입력된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 운영서버는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0); 구직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채용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11, S321);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하고(S312),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322); 및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 근무시간, 근무환경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필수적으로 급여를 포함한다.
채용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에서는,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가 고용주 단말기에 입력되면, 이를 운영서버로 전송한다. 운영서버는 이러한 채용 정보를 고용주 DB(Data Base)를 관리하는 고용주 관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는, 운영서버가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노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고용주 관리부에 기저장된 고용주 DB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운영서버는 구직자 관리부에 저장된 구직자 DB를 기반으로 채용 정보를 분류하거나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된 채용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구직자 단말기에 노출된 복수의 채용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구체적인 근무 조건을 포함한 채용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채용 정보를 그대로 승낙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11, S321)에서는, 구직자 단말기에서 해당 채용 정보가 그대로 승낙된 경우(S310)에는 승낙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11).
또한, 구직자 단말기에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가 입력된 경우(S320)에는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21). 희망 급여는 채용 정보의 급여보다 항상 높게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된 구직자의 지원 정보 또는 협상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구직자의 지원 정보 또는 협상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312, S322)에서는, 채용 정보를 그대로 승낙한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에는 협상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도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고용주 단말기에는 해당 채용 정보를 그대로 승낙하거나 협상 정보를 입력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직자의 지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용주는 채용 정보를 그대로 승낙한 구직자의 지원 정보 및 협상 정보를 입력한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모두 검토할 수 있다.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에서는,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일부가 채택된 경우, 해당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채용 정보를 채용 완료로 처리할 수 있고, 더 이상 구직자들에게 채용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채용 정보의 급여를 희망 급여로 협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구직자는 더 높은 급여를 제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고용주는 더 신속하게 요구하는 구직자를 채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된 재협상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운영서버가 구직자의 지원 정보 또는 협상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312, S322) 이후에, 협상 정보가 제공된 경우 고용주 단말기는 제공받은 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재협상 급여를 포함한 재협상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330, S341); 운영서버는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협상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S330) 경우 해당 고용주와 구직자를 매칭시키고(S400), 재협상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S340) 재협상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342); 및 구직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재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S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직자가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입력한 경우(S320), 고용주 단말기는 협상 정보를 제공받은 후 이를 그대로 승낙하거나(S330) 재협상 급여를 포함한 재협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41). 재협상 급여는 희망 급여보다 적게 입력될 수 있다.
고용주 단말기에서는 협상 정보를 그대로 승낙할 수 있고, 그대로 승낙된 경우, 운영서버는 해당 고용주와 구직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S330, S400).
운영서버는 재협상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S340) 재협상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S341). 구직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재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를 운영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342). 여기서는 더 이상의 협상은 없고, 구직자 단말기는 재협상 정보를 승낙 또는 거절만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의미한 협상이 반복되지 않고 신속하게 협상이 완료되어 구직자와 고용주가 매칭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용 정보의 업종을 기반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는, 채용 정보의 업종을 기반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직자 단말기에 업종을 기반으로 분류된 채용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구직자가 원하는 업종의 채용 정보만을 제공받을 수 있어 선택적이고 효율적인 정보 제공의 효과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리 순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이 포함되고,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는, 일 실시예로, 근무지역이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위치 또는 지정된 위치에서 근무지역이 근접한 순서대로 채용 정보가 정렬되도록 제공하거나, 지하철역과 같은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근무지역이 위치된 채용 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무지역에서 가까운 채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구직자가 선택적이고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신속한 지원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로,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는, 근무지역이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직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채용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공지할 수 있다. 기설정된 범위는 예를 들어 반경 1km 등으로 구직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즉, 구직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에서 기설정된 범위 이내의 채용 정보가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새롭게 전송된 경우, 이를 구직자 단말기에 팝업(Pop-up), 진동, 알림음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신속한 구직 지원 및 매칭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채용 정보에는 근무 시간이 포함되고,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 이후에, 구직자 단말기에는 매칭된 채용 정보의 근무시간과 중첩되는 채용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채용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구직자와 고용주 사이의 채용이 매칭된 경우, 운영서버가 구직자 단말기에 채용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00)에서, 매칭된 채용 정보의 근무시간이 예를 들어 오후 3시부터 7시까지라면, 근무시간이 오후 3시 이전 또는 오후 7시 이후인 채용 정보만이 구직자 단말기에 노출되고, 근무시간이 일부라도 중첩되는 채용 정보는 제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용 매칭 후 구직자가 근무 시간이 중첩되는 별도의 채용을 지원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인/구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 이후에, 근무 시간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로부터 구직자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결제 받는 단계(S510); 및 근무 시간 이후에 운영서버는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S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영서버는 고용주 단말기와 연동된 계정 등으로부터 포인트 차감 방식 또는 별도의 입금 절차 등을 통하여, 채용 정보의 근무 시간 이전에 구직자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결제 받을 수 있다(S510).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S530)에서는, 구직자의 근무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입금 또는 포인트 등의 방식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무 이후에 고용주가 급여 지급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상황을 방지하여 구직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S530)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 단말기 또는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S520);를 더 포함하고,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S530)에서는, 확인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구직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를 수정할 수 있다.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S520)에서는,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기 전에 구직자가 채용 정보대로 근무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지급 여부를 결정하거나 지급할 금액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시간 근무가 예정되었으나 구직자가 실제로는 3시간을 근무한 경우에는 매칭시 급여의 10분의 3을 지급하거나, 구직자가 아예 근무하지 않은 경우에는 급여의 지급 자체를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직자가 실제로 근무하지 않았으나 급여가 지급되어 고용주에게 예기치 못한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S520)에서는, 일 실시예로 운영서버는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동안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구직자의 위치 정보가 근무 지역에서 기설정된 근무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구직자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된 근무범위에 위치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를 구직자의 근무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서버에서 직접적으로 구직자의 근무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근무시간 확인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S520)에서는, 다른 실시예로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거나 수정된 근무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구직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 전에 고용주로부터 구직자가 예정된 근무 시간을 근무하였는지 여부를 승인하도록 할 수 있고, 만약 근무 시간이 달라진 경우에는 실제 근무한 근무시간으로 수정된 근무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용주가 직접 근무시간을 확인하여 급여의 수정 여부를 직접 입력하여 고용주에게 재확인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근무 후기를 입력받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근무 후기를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고용주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근무 후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기로부터 근무 후기를 입력받는 단계(S600)에서는, 선택적으로 구직자가 근무 시간 이후에 근무 후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근무 시간 이후 기설정된 입력시간 (예를 들어, 3일) 이내에 언제든지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받은 근무 후기는 욕설 등의 존재 여부를 검증한 이후에 고용주 관리부의 고용주 DB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추후에 해당 고용주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근무 후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직자 입장에서의 고용주에 대한 정보를 구직자에게 제공하여 추후 구직자 채용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효과적인 채용이 가능하다.
추가로, 구직자 단말기는 즐겨찾기에 해당 고용주를 추가하여, 해당 고용주 단말기에서 채용 정보를 전송시마다 채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지받을 수 있다.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S400)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받는 단계(S700); 및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조정된 구직자의 레벨을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구직자의 레벨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받는 단계(S700)에서는, 고용주 단말기로부터 선택적으로 구직자의 근무 태도 또는 구직자의 근무 중 이탈 등의 사건 사고 등에 따른 평가 점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평가 점수는 100점 만점의 점수를 입력받을 수도 있고, 별 다섯개 중 부여하는 별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구직자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S700)에서, 구직자의 레벨은 근무 경험 등에 따라 상승되도록 조정될 수 있고, 고용주에 의한 구직자의 평가 점수에 따라 하향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구직자의 레벨은 분류된 업종별로 각각 정해질 수 있다.
조정되어 저장된 구작자의 레벨은 구직자 관리부의 구직자 DB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구직자의 지원시 해당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구직자의 레벨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고용주에게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레벨이 높은 구직자의 경우 더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운영서버 11 : 고용주 관리부
12 : 구직자 관리부 13 : 매칭 관리부
14 : 결제 관리부 20 : 고용주 단말기
30 : 구직자 단말기

Claims (12)

  1. 고용주의 단말기에 입력된 급여를 포함한 채용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전송받은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구직자의 단말기는 제공받은 채용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희망 급여를 포함한 협상 정보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협상 정보가 전송된 경우 협상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운영서버는 채용 정보를 승낙한 구직자 중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채택된 구직자를 해당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직자의 지원 정보 또는 협상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협상 정보가 제공된 경우 고용주의 단말기는 제공받은 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 또는 재협상 급여를 포함한 재협상 정보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운영서버는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협상 정보의 승낙을 전송받은 경우 해당 고용주와 구직자를 매칭시키고, 재협상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재협상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구직자 단말기는 제공받은 재협상 정보의 승낙 여부를 운영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채용 정보의 업종을 기반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이 포함되고,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근무지역이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위치로부터의 거리 순으로 분류된 상태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용 정보에는 근무지역이 포함되고,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근무지역이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구직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 채용 정보가 전송된 경우, 해당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용 정보에는 근무 시간이 포함되고,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구직자의 단말기에는 매칭된 채용 정보의 근무시간과 중첩되는 채용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채용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용 정보에는 근무 시간이 포함되고,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근무 시간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로부터 구직자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선결제 받는 단계; 및
    근무 시간 이후에 운영서버는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 이전에, 운영서버는 고용주의 단말기 또는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직자에게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급하는 단계에서는, 확인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기반으로 구직자에게 지급하는 급여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에서는, 운영서버는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구직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구직자의 근무 시간을 확인받는 단계에서는,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근무 시간의 승인 여부를 입력받거나 수정된 근무 시간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구직자의 단말기로부터 근무 후기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근무 후기를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고용주의 채용 정보를 구직자의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근무 후기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구직자를 고용주와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운영서버는 근무 시간 이후에 고용주의 단말기로부터 구직자의 평가 점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운영서버는 입력받은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구직자의 레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운영서버는 조정된 구직자의 레벨을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구직자의 지원 정보를 고용주의 단말기에 제공시 저장된 구직자의 레벨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KR1020180121240A 2018-10-11 2018-10-11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KR20200041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40A KR20200041151A (ko) 2018-10-11 2018-10-11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40A KR20200041151A (ko) 2018-10-11 2018-10-11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51A true KR20200041151A (ko) 2020-04-21

Family

ID=7045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40A KR20200041151A (ko) 2018-10-11 2018-10-11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11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204B1 (ko) * 2021-07-13 2022-06-08 주식회사 디앤에이치피플 지능형 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20139480A (ko) * 2021-04-07 2022-10-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기반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기술을 적용한 구인구직 중재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483179B1 (ko) * 2022-06-23 2022-12-30 주식회사 당근마켓 구직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7214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를 기초로 간병계약을 수행하는 보호자 단말과 간병인 단말을 관리서버가 중개하는 방법 및 관리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749A (ko) 2014-05-02 2015-11-13 박노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749A (ko) 2014-05-02 2015-11-13 박노연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구인, 구직 관리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480A (ko) * 2021-04-07 2022-10-1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환경기반 비접촉식 바이오메트릭스 기술을 적용한 구인구직 중재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406204B1 (ko) * 2021-07-13 2022-06-08 주식회사 디앤에이치피플 지능형 인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72146A (ko) *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에이치엠씨네트웍스 간병인 공고를 기초로 간병계약을 수행하는 보호자 단말과 간병인 단말을 관리서버가 중개하는 방법 및 관리서버
KR102483179B1 (ko) * 2022-06-23 2022-12-30 주식회사 당근마켓 구직과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04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based procurement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workers
KR20200041151A (ko) 실시간 일자리 중개방법
US11321645B2 (en)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temporary workers
KR101954952B1 (ko)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KR20200050236A (ko)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US20150339620A1 (en)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KR101635573B1 (ko) 인사 급여 통합 관리 시스템
WO2001061948A9 (en) Improved database access system
US20170011325A1 (en) Provisioning An Integrated Recruiting, Training and Financing Service Via A Network
US201503565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labor requirements
US20070214035A1 (en) Casual personnel recruitment method and system
WO2019229539A2 (en) Mobile application and system for connecting users to carriers to facilitate availability of short-term, on-demand insurance
KR20210054473A (ko) 구인구직 인력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07762B1 (ko) 고용인 및 피고용인 사이의 인적 네트워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2200770B1 (ko) 실시간 구인 구직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6100469A1 (en) User interactive on-site job management system and uses thereof
KR2020009315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 기술 인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6205675B2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786004B2 (en) Obtaining missing documents from user
AU2018102242A4 (en) Employment management system
US20190102744A1 (en) Method of Facilitating Quality Work Relationships Between Job Seekers and Job Providers
KR102559430B1 (ko) 업무성실도 중심의 회사별 맞춤형 업무 평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206683B1 (ko) 상황 보고 방법 및 장치
JP2017220254A (ja) 労務財産情報管理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358466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mploym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