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037B1 -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037B1
KR102574037B1 KR1020230041032A KR20230041032A KR102574037B1 KR 102574037 B1 KR102574037 B1 KR 102574037B1 KR 1020230041032 A KR1020230041032 A KR 1020230041032A KR 20230041032 A KR20230041032 A KR 20230041032A KR 102574037 B1 KR102574037 B1 KR 102574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labor contract
data
ipfs
lab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섭
윤재호
김관래
김용욱
김현석
김우중
이종건
이재훈
강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Priority to KR102023004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EMPLOYMENT CONTRACT AUTOMATIC CREATION DEVICE, AND WAGE PAY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AUTOMATICALLY CREATED EMPLOYMENT CONTRACT}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기술 및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및 TR 데이터 및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 계좌에 임금을 지급하는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긱 노동(gig work)은 기업들이 필요에 따라 단기 계약직이나 임시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노동의 형태를 의미한다. 긱 노동은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배달(delivery), 대리운전, 퀵 서비스뿐 아니라, 음식점 보조 및 서빙, 간병 및 호스피스, 청소, 경비 용역 등 다양한 업무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긱 노동의 확장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디맨드 플랫폼의 발전과 함께 긱(Gig) 이코노미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긱 이코노미에서는 노동자들에게 공정하게 업무를 배분하고, 수행한 업무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 및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술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운용되는 암호 화폐를 통하여 수수료를 최소화하며 적절한 보수 지급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업무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을 통해 기록하여, 조작할 수 없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노동자들에 대한 신뢰도 있는 평가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킹의 우려를 최소화하며 노동자들의 신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긱 이코노미의 기간제 근로, 단시간 근로, 및 상대적으로 빈번한 입사와 퇴사 등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와 노동자는 서면 근로계약서의 작성, 근로계약서의 교부, 및 근로계약서의 관리 등에 있어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긱 이코노미 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근로계약서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TC 데이터로부터 근로계약서를 자동 생성하는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분산 저장하고,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함으로써, 근로계약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로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TR 데이터 및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하는 임금 지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C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태스크 데이터(task data), 자산 데이터(asset data), 및 시간 데이터(time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된 상기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을 포함하는 상기 서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완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와 상기 TC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된 IPFS 해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IPFS 서버로부터 상기 IPFS 해시에 대응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를 포함하는 IPFS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레이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PFS 해시를 이용하여 IPFS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따른 기본 급여 및 추가 급여를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근로계약서에 따른 세금 및 사회보험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방법은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된 IPFS 해시를 획득하는 동작, IPFS 서버로부터 상기 IPFS 해시에 대응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TC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동작, 및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를 포함하는 IPFS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블록체인 레이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동작은 상기 IPFS 해시를 이용하여 IPFS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따른 기본 급여 및 추가 급여를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근로계약서에 따른 세금 및 사회보험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TC 데이터로부터 근로계약서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긱 이코노미에서 근로계약서의 작성 및 근로계약서의 교부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분산 저장하고,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는 근로계약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로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는 TR 데이터 및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금 지급 장치는 근로 계약에 따른 안전한 임금 지급을 보장하고,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의 입력 및 출력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가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T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템플릿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종 근로계약서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의 입력 및 출력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임금 지급 장치가 임금을 지급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T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계좌로부터 임금이 출금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근로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TR 데이터를 수신하고, TR 데이터 및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1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구성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에 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시된 구성 외에 전자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가 사용하는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미도시), IAM 서버(미도시), 과금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IPFS 서버(미도시)) 간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TC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및 IPFS 서버(미도시)에게 자동으로 생성된 근로계약서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는 무선 통신부(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 IAM 서버, 과금 서버, 클라우드 서버, IPFS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는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100), 외부 장치(예: 클라이언트 장치(미도시), IAM 서버(미도시), 과금 서버(미도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 IPFS 서버(미도시))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다른 구성요소(예: 통신부(13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이하 도면을 통해 설명되는 임금 지급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근로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로부터 TR 데이터를 수신하고, TR 데이터 및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의 입력 및 출력을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가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하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TC 데이터를 도시하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 템플릿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최종 근로계약서를 도시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220)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31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Task Contract Data)를 수신할 수 있다.
TC 데이터는 재화 및 비재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3자 간의 상호 계약의 일종일 수 있다. TC 데이터는 수행 업무 별로 생성될 수 있다. TC 데이터는 각각 고유의 식별 정보(Task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사용자(employer)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employee)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태스크 데이터(Task Data), 자산 데이터(Asset Data), 및 시간 데이터(Time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카테고리 서브 카테고리 예시
TC 데이터 태스크 데이터 (Task Data) Task 근로자가 수행한 Task 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Task 정보
자산 데이터 (Asset Data) 판매용 디지털 컨텐츠
실물 굿즈(goods)
멤버쉽
비판매용 자격증
레시피
포뮬라(formula)(예: 화장품을 만드는 방법)
시간 데이터 (Time Data) 사용권 레시피/포뮬라 등의 사용권
수강권 요리 강좌 수강권
TC 데이터는 사용자와 근로자가 상호 동의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듯이, TC 데이터는 근로자가 수행할 업무의 종류(Category), 세부 업무(Sub-Category), 근로 기간(Working period), 근무일(Working day), 근무 시간(Working Time), 근무 장소(Location), 기본 급여(Basic Salary), 및 추가 급여(Extra bon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일 예에 따르면, 동작 32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Employment Contract Draft)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함으로써, 근로계약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상호 동의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문서화하기 위한 계약 조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되는 템플릿은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한 일 예시이고, 도시된 템플릿 이외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다른 템플릿이 추가될 수 있으며, 도시된 템플릿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된 상기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TC 데이터의 업무에 관한 정보 중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별할 수 있다.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TC 데이터의 업무에 관한 정보가 반영된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33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예: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톱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근로자의 휴대용 단말(예: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톱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사용자 서명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근로자의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사용자 서명을 포함하는 서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34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보듯이, 최종 근로계약서는 TC 데이터에 기반한 근로 계약 조항,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는 전자 문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및 근로자의 휴대용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완 데이터는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누락된 계약 조항,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서 변경된 계약 조항, 및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서 삭제할 계약 조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보완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35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와 상기 TC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TC 데이터의 업무에 관한 정보가 최종 근로계약서에 반영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360에서,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21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210)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IPFS 서버(21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고, IPFS 해시(IPFS Hash)를 생성할 수 있다.
IPFS 해시는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해시값, 비밀 해시키, 최종 근로계약서의 소유자 정보 및 최종 근로계약서의 조회에 관한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근로계약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데이터로 분산되고, 적어도 하나의 랜덤 키로 암호화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IPFS 서버(210)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22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IPFS 서버(210)로부터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수신할 수 있다.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220)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TC 데이터로부터 근로계약서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긱 이코노미에서 근로계약서의 작성 및 근로계약서의 교부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200)는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210)에 분산 저장하고,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220)에 기록함으로써, 근로계약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근로계약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700)의 입력 및 출력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임금 지급 장치(700)가 임금을 지급하는 동작 흐름을 도시하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TR 데이터를 도시하고,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계좌(730)로부터 임금이 출금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임금 지급 장치(700)는 자동으로 생성된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730)에 지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1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금 지급 장치(700)는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IPFS Hash)를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함으로써, 근로계약서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TC 데이터의 업무에 관한 정보 중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대응되는 항목을 선별하고,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TC 데이터의 업무에 관한 정보가 반영된 근로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다.
TC 데이터는 사용자와 근로자가 상호 동의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C 데이터는 근로자가 수행할 업무의 종류(Category), 세부 업무(Sub-Category), 근로 기간(Working period), 근무일(Working day), 근무 시간(Working Time), 근무 장소(Location), 기본 급여(Basic Salary), 및 추가 급여(Extra bon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상호 동의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문서화하기 위한 계약 조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자동으로 작성된 근로계약서에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서명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근로계약서 생성 과정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보완 데이터를 근로계약서에 반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710)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IPFS 서버(710)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고, IPFS 해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로계약서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로 분산되고, 적어도 하나의 랜덤 키로 암호화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IPFS 서버(710)에서 생성된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720)에 기록할 수 있다. 임금 지급 장치(700)는 IPFS 서버(710)로부터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수신할 수 있다. 임금 지급 장치(700)는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720)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2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및 근로자의 휴대용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R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보듯이, TR 데이터는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업무 수행 상태(State), 업무 수행일(Date), 총 근로 시간(Total time), 업무 평가(Feedback), 기본 급여(Income), 및 추가 급여(Extra bon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3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블록체인 레이어(720)에 기록된 IPFS 해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블록체인 레이어(72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4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IPFS 서버(710)로부터 상기 IPFS 해시에 대응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IPFS 해시를 이용하여 IPFS 서버(7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IPFS 해시에 포함된 해시값, 비밀 해시키, 근로계약서의 소유자 정보 및 근로계약서의 조회에 관한 권한에 기초하여 IPFS 서버(710)에 분산 저장된 근로계약서를 조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5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할 수 있다.
임금 지급 장치(700)는 TR 데이터로부터 근로자가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계약 조항에 상응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TR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 수행 상태(State), 업무 수행일(Date), 총 근로 시간(Total time), 업무 평가(Feedback)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임금 지급 장치(700)는 TR 데이터와 근로계약서가 일치하는 경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근로자의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TR 데이터에 포함된 기본 급여(Income), 및 추가 급여(Extra bonus)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기본 급여는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방식(예. 시급, 주급, 월급, 연봉)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추가 급여는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기준(예. 하루 추가수당)에 따라, 근로자의 업무 수행 상태(State), 업무 수행일(Date), 총 근로 시간(Total time), 및 업무 평가(Feedback)에 근거하여 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따른 기본 급여 및 추가 급여를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근로계약서에 따른 세금 및 사회보험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730)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급여는 근로자가 수행한 초과 근무, 야근 근무, 휴일 근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금은 근로계약서에 적용되는 세법(Tax Law)에 기초한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보험은 근로계약서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보험, 및 건강보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동작 860에서, 임금 지급 장치(700)는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730)에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블록체인 레이어(720)에 등록된 근로자 계좌(730)에 임금을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금 지급 장치(700)는 근로자가 근로자 계좌(730)로부터 출금 가능한 명목 화폐(Fiat)를 근로자 계좌(730)에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목 화폐(Fiat)는 원화(\), 달러화($), 소정의 기업이 발행한 DC(Digital Currency), 소정의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DC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원화(\), 달러화($), 소정의 기업이 발행한 DC, 소정의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한 DC는 명목 화폐의 일 예시일 뿐, 본 개시의 임금 지급 장치(700)가 지급하는 명목 화폐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서 보듯이, 근로자는 근로계약서에 기반하여 근로자 계좌에 지급된 임금(예. Fiat)을 출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임금 지급 장치(700)는 TR 데이터 및 자동 생성된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대한 임금을 산정하고,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임금 지급 장치(700)는 근로 계약에 따른 안전한 임금 지급을 보장하고,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근로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된 상기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와 상기 TC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IPFS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IPFS 해시는,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해시값, 비밀 해시키, 최종 근로계약서의 소유자 정보 및 최종 근로계약서의 조회에 관한 권한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C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에 기반한 태스크 데이터(task data), 자산 데이터(asset data), 및 시간 데이터(time dat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을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서명 및 상기 근로자 서명을 포함하는 상기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보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보완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장치.
  7. 삭제
  8. 삭제
  9.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를 수신하고,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된 IPFS 해시를 획득하고,
    IPFS 서버로부터 상기 IPFS 해시에 대응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고,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생성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TC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된 상기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와 상기 TC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IPFS 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에 저장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고,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상기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하고,
    상기 IPFS 해시는,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해시값, 비밀 해시키, 최종 근로계약서의 소유자 정보 및 최종 근로계약서의 조회에 관한 권한을 포함하는,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체인 레이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하고,
    상기 IPFS 해시를 이용하여 IPFS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따른 기본 급여 및 추가 급여를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근로계약서에 따른 세금 및 사회보험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하는,
    장치.
  15.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방법에 있어서,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근로자가 수행한 근무 내역에 기초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된 IPFS 해시를 획득하는 동작;
    IPFS 서버로부터 상기 IPFS 해시에 대응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초하여 산정된 임금을 근로자 계좌에 지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TC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TC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TC 데이터에 포함된 업무에 관한 정보(Task Contract)를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에 매칭된 상기 업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계약서 초안을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대한 서명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근로계약서 초안에 상기 서명 데이터가 추가된 최종 근로계약서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와 상기 TC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 동작; 및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를 포함하는 상기 IPFS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근로계약서 템플릿은,
    근로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무 시간, 근무일, 임금, 근무 규칙, 사회보험 적용 여부, 사용자 서명, 및 근로자 서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에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를 상기 IPFS 서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IPFS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IPFS 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상기 IPFS 해시를 블록체인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록 노드에 기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IPFS 해시는,
    최종 근로계약서에 대한 해시값, 비밀 해시키, 최종 근로계약서의 소유자 정보 및 최종 근로계약서의 조회에 관한 권한을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블록체인 레이어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IPFS 해시를 획득하고,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동작은,
    상기 IPFS 해시를 이용하여 IPFS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기 근로계약서를 조회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와 상기 근로계약서의 일치 여부, 및 상기 근로계약서에 기재된 임금 지급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근로계약서를 분석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TR 데이터에 따른 기본 급여 및 추가 급여를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근로계약서에 따른 세금 및 사회보험을 공제함으로써 상기 근로자 계좌에 지급될 상기 임금을 산정하는,
    방법.
KR1020230041032A 2023-03-29 2023-03-29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KR102574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032A KR102574037B1 (ko) 2023-03-29 2023-03-29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032A KR102574037B1 (ko) 2023-03-29 2023-03-29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037B1 true KR102574037B1 (ko) 2023-09-04

Family

ID=88018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032A KR102574037B1 (ko) 2023-03-29 2023-03-29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0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517A (ko) * 2016-04-19 2017-10-27 김정훈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704B1 (ko) * 2018-11-20 2020-03-09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31345B1 (ko) * 2020-09-21 2021-12-02 주식회사 우리요 비대면 전자 근로계약서 생성 방법
KR102510664B1 (ko) * 2021-11-19 2023-03-16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블록체인 기반 p2p 근로자 임금 지불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517A (ko) * 2016-04-19 2017-10-27 김정훈 전자 근로계약서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전자 근로계약서를 이용한 노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6704B1 (ko) * 2018-11-20 2020-03-09 주식회사 뉴젠피앤피 무인 정보 단말을 이용한 전자 근로 계약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331345B1 (ko) * 2020-09-21 2021-12-02 주식회사 우리요 비대면 전자 근로계약서 생성 방법
KR102510664B1 (ko) * 2021-11-19 2023-03-16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블록체인 기반 p2p 근로자 임금 지불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8885B2 (en) Processing network architecture with companion database
US11341451B2 (en) Hierarchical blockchain architecture for global trade management
Bocek et al. Blockchains everywhere-a use-case of blockchains in the pharma supply-chain
US11636426B2 (en) Tracking and authentication of inventory via distributed ledgers and NFC tags
KR20210050527A (ko) 투자자의 스마트 계약 기반 글로벌 레지스트리를 컨설팅하는 스마트 계약 기반 준수 규칙을 구현하는 자체 규제 증권형 토큰
RU2700395C2 (ru) Система для гарантирования подлинности брендовых товаров
US201501004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okenized Transaction Accounts
US10192072B1 (en) Protecting sensitive data
CN104272332A (zh) 用于便携式通信设备中动态临时支付授权的系统和方法
KR20090089225A (ko) 전자 신고 파일 형식을 이용한 세무 회계 정보 공유 시스템
CA2868687A1 (en) Online-id-handling computer system and method
US20230252467A1 (en) Predicting and making payments via preferred payment methods
JP2016224498A (ja) プリペイドカ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プリペイドカード管理方法
KR101631169B1 (ko) 중고 물품의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고 물품의 거래 시스템
US20210350366A1 (en) Application queue api with database of virtual queues for real-time processing distributed ledger system
US20180197240A1 (en) Bank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redit management for structured finance
KR102574037B1 (ko) 근로계약서 자동 생성 장치, 근로계약서에 기반한 임금 지급 장치 및 방법
KR20220051606A (ko) 중화권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KR102518917B1 (ko) 이력서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5859379A (zh) 一种行程数据的校验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74935B1 (ko) 웹로그 분석을 통한 거래추천을 제공하는 선용품 오픈마켓 시스템
CN114596147A (zh) 数据对账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7056930B2 (ja) 業務管理システム
US20200387922A1 (en) Points management method and points management apparatus
KR101553678B1 (ko) 법인카드 한도변경 방법, 법인카드 거래 승인방법,법인카드의 소속그룹 변경방법 및 카드한도변경 신청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