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374A - 전기 자전거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374A
KR20170119374A KR1020160047298A KR20160047298A KR20170119374A KR 20170119374 A KR20170119374 A KR 20170119374A KR 1020160047298 A KR1020160047298 A KR 1020160047298A KR 20160047298 A KR20160047298 A KR 20160047298A KR 20170119374 A KR20170119374 A KR 2017011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edal
generator
batt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6004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374A/ko
Publication of KR2017011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8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0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on vehicles not being driven by a motor, e.g. 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전기 자전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는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배터리와, 페달의 구동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 배터리에 충전되는 양을 조절하여 페달의 페달부하를 조절하는 페달부하조절부를 포함하고, 페달부하조절부는,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발전기의 고정자코일과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구성하여 부스트 컨버팅을 수행하는 정류부와,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 및 평활부에 의해 평활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벅 컨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전거{CHAINLESS ELETRIC BICYCLE}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페달과 연결된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전거는 바퀴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기 자전거는 이 모터에 의해 바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전기 자전거를 주행시킨다. 이때, 배터리의 충전은 페달과 연결된 발전기를 페달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자전거는 기본적으로 두발로 페달을 밟아서 움직이는 것이 기본이고, 페달을 밟아서 돌리는 사람의 힘을 바퀴에 전달하는 것이 바로 체인이다.
이와 같은 체인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자전거의 점유면적이 크며, 바퀴에서 이탈하거나 탑승자의 옷자락이 체인에 끼이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체인이 없는 전기 자전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는 페달을 돌리거나, 핸들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모터가 돌아가면서 앞으로 나간다.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마치 체인이 있는 것처럼 페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페달부하조절부를 이용하여 페달부하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페달 회전시 페달에 답력이 형성되어 페달감을 느낄 수 있다.
운전자가 페달을 밟았을 때 페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전압조정기인 페달부하조절부를 이용하여 페달의 구동에 따라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에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페달의 페달부하를 조절한다.
페달부하조절부는 스위칭소자와 저항을 포함하고,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을 경우 스위칭소자를 통해 발전전류통로를 배터리측에서 저항측으로 전환시켜 저항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소비시킴으로써 페달부하를 조절하여 페달감을 형성시킨다.
하지만, 기존에는 발전기의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을 경우 발전기에서 발전되는 전류가 전부 스위칭소자와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로 빠지기 때문에 발열이 심하고, 배터리로 가는 전류가 없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0210호(2015.06.03.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페달부하조절부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력량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배터리; 페달의 구동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의 페달부하를 조절하는 페달부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하조절부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코일과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구성하여 부스트 컨버팅을 수행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 및 상기 평활부에 의해 평활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벅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발전전압을 감지하는 발전전압감지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배터리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전압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발전전압이 상기 감지된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부스트 컨버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는 상기 각 고정자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3개의 다이오드; 및 상기 각 고정자코일의 타측에 연결되고 3개의 바디 다이오드를 갖는 3개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3개의 바디 다이오드는 전파 정류회로를 이루고, 상기 각 고정자코일, 상기 3개의 스위칭소자 및 상기 3개의 바디 다이오드는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감지된 발전전압이 상기 감지된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3개의 스위칭소자를 PWM 제어하는 상기 부스트 컨버팅 작동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가의 파워 저항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전전압이 낮은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전 구간에서 발전이 가능하므로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배터리에 보다 많은 전력량을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서 페달부하조절부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서 페달부하조절부의 정류부의 부스트 컨버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전거는 프런트 프레임(10), 리어 프레임(20) 및 새들 프레임(30)을 포함한다.
프런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은 힌지 축에 의해 축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동 가능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 플레이트(11)와 결합된다.
프런트 프레임(10)의 일단은 앞바퀴(12)와 핸들부(13)가 연결되는 핸들스테이(14)가 결합된다.
핸들부(13)는 핸들스테이(14)의 하단에 결합되는 핸들 스템(15)과, 이 핸들스테이(14)에 결합되는 핸들바(16)와, 이 핸들바(16)에 설치되는 핸들 그립(17) 및 운전자로부터 가속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스로틀(18)을 포함한다.
여기서, 핸들 스템(15)은 핸들부(13)의 높이 조절을 위해 마련된다. 핸들바(16)는 자전거의 조향을 결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핸들 그립(17)에는 전기 자전거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표시해주고 운전자의 요구사항을 버튼을 통하여 후술할 전자제어유닛(40)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장치(50)가 마련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장치(50)는 전자제어유닛(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로틀(18)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레버 형태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회전조작에 따른 스로틀(18)의 회전정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스로틀은 일반적인 스로틀과 마찬가지로 자체 내에 마련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감지하고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핸들스테이(14)의 하단 일측에는 앞바퀴(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앞바퀴(12)는 전기 자전거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핸들스테이(14)의 하단 우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앞바퀴(12)는 통상적인 자전거처럼 포크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스테이(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리어 프레임(20)의 일단에는 발전기(21)가 마련되고, 이 발전기(21)의 양 측에는 페달(22)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운전자가 페달(22)을 회전시키면 이 페달(22)의 회전력을 발전기(21)에서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러한 발전기(21)의 전기적 에너지는 후술할 배터리(23)에 축전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20)의 일단 좌측에는 뒷바퀴(2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뒷바퀴(2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인 자전거와 같이 포크 형상으로 마련되는 리어 프레임(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뒷바퀴(24)에는 이 뒷바퀴(24)를 회전시켜 자전거를 전진시키기 위한 모터(25)가 장착된다. 모터(25)에는 운전자가 인터페이스장치(50)의 조작으로 인해 뒷바퀴(24)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변속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프레임(20)에는 발전기(21)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배터리(23)와 전자제어유닛(40)이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23)는 리어 프레임(20)에 내장될 뿐만 아니라 프런트 프레임(10)에 내장될 수도 있다.
리어 프레임(20)의 일측은 시트튜브(26)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때, 리어 프레임(20)과 헤드튜브(26)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새들 프레임(30)은 리어 프레임(20) 상에 마련된다. 새들 프레임(30)의 일단에는 운전자가 안착되는 안장(31)이 장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자전거는 전자제어유닛(40), 발전전압감지부(60), 배터리전압감지부(70) 및 페달부하조절부(80)를 포함한다.
발전전압감지부(60)는 발전기(21)에서 발생된 발전전압을 감지한다.
배터리전압감지부(70)는 배터리(23)에 충전되는 배터리전압을 감지한다.
페달부하조절부(80)는 페달(22)의 부하를 조절한다. 페달부하조절부(80)에 의해 페달(22)의 부하를 조절함에 따라, 운전자는 페달을 밟을 때 마치 체인이 있는 것처럼 페달감을 느낄 수 있다.
페달부하조절부(80)는 페달(22)의 구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21)로부터 배터리(23)에 충전되는 전력량을 조절하여 페달(22)의 페달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페달부하조절부(70)가 페달(22)에 페달부하를 가하면, 운전자는 페달(22)를 세게 밟아야만 회전되기 때문에 페달감을 느낀다.
페달부하조절부(80)는 발전기(21)의 양 출력단을 개방시키는 것에 의해 페달(22)에 공급되는 페달부하를 해제시키고, 펄스 폭 변조(Pulse Modulation Width ; PWM) 제어하여 듀티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페달부하를 조절한다. 페달(22)에 페달부하가 가해지면, 운전자는 페달감을 느껴 페달(22)를 돌릴 때 상대적으로 세게 회전시켜야만 페달(22)이 회전된다. 페달(22)에 페달부하가 해제되면, 운전자는 페달(22)이 쉽게 회전되기 때문에 페달(22)을 원하는 위치로 적은 힘으로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서 페달 부하를 조절하는 페달부하조절부의 제어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페달부하조절부(80)의 제어회로는 부스트 컨버팅 기능과 정류 기능을 가진 정류부(81), 평활부(82) 및 벅 컨버터부(83)를 포함한다.
발전기(21)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가진다. 고정자는 3상으로 배치된 3개의 고정자코일(Lu,Lv,Lw)을 포함한다. 고정자코일(Lu,Lv,Lw)은 Y 결선된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전기(21)의 각 고정자코일(u,v,w)과 연결된 각 위상단자는 정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고정자코일(Lu,Lv,Lw)에 기전력이 발생하고, 발생된 기전력에 의한 전류가 정류부(90)로 출력된다.
정류부(81)는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승압시키는 부스트 컨버팅 기능과,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기능을 수행한다.
정류부(81)는 3개의 다이오드(D1,D3,D5)와, 3개의 바디 다이오드(D2,D4,D6)를 가진 3개의 스위칭소자(Q2,Q4,Q6)을 가진다. 1개의 다이오드와 1개의 스위칭소자가 직렬로 한 쌍을 이루어 발전기(21)의 위상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3개의 스위칭소자(Q2,Q4,Q6)는 예를 들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 MOSFET)로서, 특히 N-MOSFET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P-MOSFET 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GTO(Gate Turn-Off) thyristor, MCT(MOS Controlled Thyristor), SCR Thyristo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Thyristor) 등의 다른 적절한 스위칭 소자들도 이용될 수 있다. MOSFET(Q2,Q4,Q6)는 드레인 단자(D), 게이트 단자(G) 및 소스 단자(S)를 가진다. MOSFET(Q2,Q4,Q6)는 병렬로 접속된 바디 다이오드(D2,D4,D6)를 갖는다. 바디 다이오드(D2,D4,D6)는 각 MOSFET(Q2,Q4,Q6)에서 모든 에너지를 소모하기 위하여 스위칭소자와 평행하게 연결된다.
상부측의 다이오드(D1,D3,D5)는 (+) 전원측에 각각 연결되고, 하부측의 스위칭소자(Q2,Q4,Q6)는 (-) 전원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3개의 스위칭소자(Q2,Q4,Q6)는 발전기(21)에 마련된 고정자코일(Lu,Lv,Lw)을 통과하는 전류 및 각 고정자코일(Lu,Lv,Lw)로 들어가는 전류의 흐름을 각각 스위칭한다.
전자제어유닛(40)의 제어에 따라 각 스위칭 소자(Q2,Q4,Q6)를 PWM 제어함으로써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승압시키는 부스트 컨버팅 기능과,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류부(81)에서 상부측의 다이오드(D1,D3,D5)와 하부측의 바디 다이오드(D2,D4,D6)(프리휠링 다이오드)는 전파 정류회로를 구성한다. 이 전파 정류회로에 의해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은 직류전압으로 정류된다. 이때, 바디 다이오드(D2,D4,D6)는 스위칭소자(Q2,Q4,Q6)에 평행하게 연결된다. 즉, 스위칭소자(Q2,Q4,Q6)의 바디 다이오드(D2,D4,D6)를 전파 정류회로의 다이오드로 사용한다.
정류부(81)에서 상부측의 다이오드(D1,D3,D5), 스위칭소자(Q2,Q4,Q6) 및 고정자코일(Lu,Lv,Lw)은 부스트 컨버터 회로를 구성한다. 이 부스트 컨버터 회로에 의해 발전기(21)에서 발생된 교류전압은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승압된 후 직류전압으로 정류된다.
부스트 컨버터 회로는 부스트 컨버팅 작동시 각 상에 대하여 3개의 스위칭소자(Q2,Q4,Q6) 중 어느 하나는 온 되고 다른 스위칭소자는 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류루프가 형성되어 해당 상에 대응하는 고정자코일에 발전된 에너지가 축적된다. 이후 온 된 스위칭소자가 다시 오프되면 발전전압에 축적된 에너지 전압이 합쳐진 전체 전압이 출력됨으로써 발전전압이 승압되어 출력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에서 페달부하조절부의 정류부의 부스트 컨버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스트 컨버팅 작동은 발전기(21)의 발전전압을 승압하여 배터리(23)측으로 전류를 인가하는 방식이다.
3상 중 U상 및 V상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예를 들면, PWM on 동작시 스위칭소자(Q6)가 턴 온되며, 이때 발전된 전류가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스위칭소자(Q6)와 다이오드(D2)를 흐른 후 되돌아와 발전된 에너지가 고정자코일(Lu,Lv)에 축적된다.
PWM off 동작시 스위칭소자(Q6)가 턴 오프되며, 이때, 도 5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류가 흘러 고정자코일(Lu,Lv)에 축적된 에너지가 발전전압에 더해져 승압된 전압이 다이오드(D1,D2)를 통해 배터리(23)측으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페달부하 조절시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더라도 부스트 컨버팅 작동에 의해 발전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평활부(82)는 커패시터(C1)를 포함하고, 정류부(81)로부터 출력된 직류전압을 충전하여 평활한다.
벅 컨버터부(83)는 스위칭소자(SW), 다이오드(D7), 인덕터(L) 및 커패시터(C2)가 벅 컨버터회로를 구성한다. 벅 컨버터회로는 입력전압보다 낮은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벅 컨버터부(83)에서 스위칭소자(SW)가 온되는 동작과 오프되는 동작 두 가지 동작으로 구분하면 살펴보면, 먼저, 스위칭소자(SW)가 온 되면, 인덕터(L)로 전류가 흐르면 인덕터(L)에 에너지가 축적되고, 커패시터(C2)와 배터리(23)에 전류가 증가하며 흐른다.
스위칭소자(SW)가 오프되면, 다이오드(D7)는 인덕터(L)에 축적된 에너지인 인덕터 전류가 커패시터(C2)와 배터리(23)로 흐르도록 통로를 만든다. 인덕터 전류는 스위칭소자(SW)가 다시 온 될 때까지 감소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스위칭소자(SW)를 온과 오프를 반복시켜 펄스모양의 전압을 인덕터(L)과 커패시터(C2)를 통해 평활해 직류전압으로 출력한다.
전자제어유닛(40)은 발전전압감지부(60)를 통해 감지된 발전전압과, 충전전압감지부(70)를 통해 감지된 충전전압을 비교하고, 비교결과 발전전압이 충전전압보다 높으면, 페달부하조절부(80)의 벅 컨버터부(83)를 제어하여 발전전압을 미리 설정된 제1 전압으로 감압시켜 배터리(23)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제어유닛(40)은 발전전압이 충전전압보다 높으면, 부스트 컨버팅 기능을 갖는 정류부(81)의 3개의 스위칭소자(Q2,Q4,Q6)는 오프시키고, 벅 컨버터부(83)의 스위칭소자(SW)는 PWM 제어하여 온 또는 오프를 주기적으로 반복시킴으로써 발전전압의 전압레벨을 감소시켜 배터리(23)에 출력시켜 배터리(23)를 충전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페달감을 느끼게 된다.
한편, 전자제어유닛(40)은 비교결과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페달부하조절부(80)에서 정류부(81)의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제어하여 발전전압을 미리 설정된 제2 전압으로 승압시키고, 승압된 전압을 벅 컨버터부(83)를 제어하여 발전전압을 미리 설정된 제1 전압으로 감압시켜 배터리(23)에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제어유닛(40)은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벅 컨터부(83)의 스위칭소자(SW)를 턴 온시킴과 함께 정류부(80)의 부스트 컨버터회로의 스위칭소자들(Q2,Q4,Q6)에서 발전 중인 상에 대응하는 스위칭소자를 PWM 온 시간 동안에는 턴 온 시키고, PWM 오프시간 동안에는 턴 오프시킨다. 이때, 발전기(21)의 내부 고정자코일에 에너지가 축적된 후 발전전압에 더해져 발전전압이 승압된다. 승압된 전압은 벅 컨터부(83)를 거쳐 배터리(23)에 충전된다.
이상과 같이, 페달부하 조절시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더라도 부스트 컨버팅 작동에 의해 페달부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파워 저항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발전전압이 낮은 저전압부터 고전압까지 전 구간에서 발전이 가능하므로 발전전압이 배터리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도 배터리에 보다 많은 전력량을 충전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벅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벅 컨버터부 대신에 스위칭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40 : 전자제어유닛 60 : 발전전압감지부
70 : 배터리전압감지부 80 : 페달부하조절부

Claims (4)

  1. 체인 없는 전기 자전거에 있어서,
    배터리;
    페달의 구동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및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페달의 페달부하를 조절하는 페달부하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부하조절부는,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발전기의 고정자코일과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구성하여 부스트 컨버팅을 수행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 및
    상기 평활부에 의해 평활된 전압을 승압시키는 벅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에 의해 발생된 발전전압을 감지하는 발전전압감지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되는 배터리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전압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발전전압이 상기 감지된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부스트 컨버팅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기 각 고정자코일의 일측에 연결된 3개의 다이오드; 및
    상기 각 고정자코일의 타측에 연결되고 3개의 바디 다이오드를 갖는 3개의 스위칭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다이오드와 상기 3개의 바디 다이오드는 전파 정류회로를 이루고, 상기 각 고정자코일, 상기 3개의 스위칭소자 및 상기 3개의 바디 다이오드는 부스트 컨버터회로를 이루는 전기 자전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감지된 발전전압이 상기 감지된 배터리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3개의 스위칭소자를 PWM 제어하는 상기 부스트 컨버팅 작동을 활성화하는 전기 자전거.
KR1020160047298A 2016-04-19 2016-04-19 전기 자전거 KR20170119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298A KR20170119374A (ko) 2016-04-19 2016-04-19 전기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298A KR20170119374A (ko) 2016-04-19 2016-04-19 전기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74A true KR20170119374A (ko) 2017-10-27

Family

ID=6030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298A KR20170119374A (ko) 2016-04-19 2016-04-19 전기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3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119A (zh) * 2018-06-29 2018-11-16 北京巧骐科技有限公司 一种骑行脚踏板负荷控制系统
KR20190079878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78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CN108820119A (zh) * 2018-06-29 2018-11-16 北京巧骐科技有限公司 一种骑行脚踏板负荷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776B1 (ko) 전기 자전거
US8915324B2 (en) Elec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465454B2 (ja) 発電装置
US10411620B2 (en) Power tool
JP6610406B2 (ja) 電力変換装置
JP5931025B2 (ja) 電動機付自転車
CN106043412A (zh) 控制装置和电动助力转向设备
JPH08331773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KR20170119374A (ko) 전기 자전거
TW200539560A (en) Power supply apparatus
WO2020044544A1 (ja) インバータ式発動発電機
KR101366557B1 (ko) 전기 자전거 구동 장치
JP2014527792A (ja) 電圧調整装置
JP6475047B2 (ja) 電動機付自転車
JP2008245348A (ja) 昇圧回路制御装置、及び昇圧回路制御方法
KR20170119376A (ko) 전기 자전거용 페달 발전기의 부하 조절 장치
JP200421535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361782B1 (ko) 하이브리드 동력 장치
JP2015040014A (ja) 電動機付自転車
JP5656255B2 (ja) 電源装置
JPH08237998A (ja) 交流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CN108820118B (zh) 一种基于速度闭环的踏板负荷控制方法
CN108820120B (zh) 一种基于位置补偿的踏板负荷控制方法
KR101708175B1 (ko) 전기 자전거용 페달 발전기의 부하 조절 장치
WO2005036297A1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voltage level adjustment in a hybrid propul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