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113A -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용도 - Google Patents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113A
KR20170117113A KR1020177025140A KR20177025140A KR20170117113A KR 20170117113 A KR20170117113 A KR 20170117113A KR 1020177025140 A KR1020177025140 A KR 1020177025140A KR 20177025140 A KR20177025140 A KR 20177025140A KR 20170117113 A KR20170117113 A KR 2017011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or
cancer
immune
antibody
ct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란 황
글로리아 치-이에 리
Original Assignee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CD28 or CD15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6/282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against B7 molecules, e.g. CD80, CD8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61K2039/507Compris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parate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암을 치료하기 위한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일부 구현예는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함에 의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용도
임의의 우선권 출원에 대한 참고에 의한 편입
본원은 2015년 2월 1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115,468 및 2015년 11월 13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255,259에 대해 이익을 주장하고, 그것의 개시내용은 그것의 전체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된다.
분야
본 발명은 화학 및 의약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리나불린, 플리나불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치료에서 그것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인간 암은 수많은 유전적 및 후생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어, 면역계에 의해 잠재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신생항원을 생성한다(문헌 [Sjoblom et al, 2006]). T 및 B 림프구로 구성된 적응성 면역계는 다양한 종양 항원에 대한 반응에 대해 광범위한 수용력과 최상의 특이성으로 강력한 항암 잠재성을 가진다.
최근 암 면역요법 연구는 활성화된 효과기 세포의 입양-전달, 관련된 항원에 대한 면역화, 비-특이적 면역-자극 제제, 예컨대 사이토카인을 제공하는 것 또는 항암 효과기 세포에 대한 저해제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항-종양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에 대해 실질적인 노력이 집중되었다. 특이적 면역 관문 저해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어 진전된 흑색종이 있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 세포독성 T-림프구 항원-4 (CTLA-4)에 결합하여 억제하는, 항체인 이필리무맙의 개발을 포함하여 암을 치료하는 신규한 면역치료적 접근법을 제공하였다(문헌 [Hodi et al., 2010]).
암은 대다수의 환자에 대해 난치성 질환으로 남아 있지만, 암 면역요법에 사용될 수 있는 유효한 치료제를 개발할 특정한 필요가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는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a는 다양한 농도에서의 플리나불린 및 LPS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DC 성숙 마커 CD40, CD80, CD86, 및 MHCII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1b는 플리나불린 및 LPS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의 생존력을 도시한다.
도 2a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또는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CD40 마커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2b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또는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CD80 마커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2c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또는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CD86 마커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2d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또는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MHCII 마커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3a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및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IL-1β의 생산을 도시한다; 도 3b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및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IL-6 마커의 생산을 도시한다; 도 3c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및 대조군으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IL-12p40의 생산을 도시한다.
도 4a-4c는 면역 수용(competent) 마우스 내 MC-38 종양 모델에서 PD-1 항체 플러스 CTLA-4 항체의 항종양 효과의 플리나불린-유도된 향상을 도시한다. 도 4a는 종양 성장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도 4b는 검시에서 평균 종양 중량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도 4c는 그것의 시작 용적의 10배에 도달하는 종양에 대한 시간을 도시한다.
도 5a-5c는 실시예 6에 기재된 연구로부터 검시에서 종양의 형광-활성화된 세포 분류(FACS) 분석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5a는 Treg 세포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도 5b는 CD8+ 세포 대 Treg 세포의 비를 도시한다; 도 5c는 대식세포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플리나불린인 (3Z,6Z)-3-벤질리덴-6-{[5-(2-메틸-2-프로파닐)-1H-이미다졸-4-일]메틸렌}-2,5-피페라진디온은 천연 화합물 페닐라히스틴의 합성 유사체이다. 플리나불린은, 그것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되는, 미국 특허 번호 7,064,201 및 7,919,497에 기술된 방법 및 절차에 따라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은 종양 특이적 항원이 수지상 세포에 의해 면역 효과기 세포를 프라이밍하기 위해 제시되는 림프절로 수지상 세포의 항원 흡수 및 이동을 효율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 플리나불린에 수지상 세포의 노출은 수지상 세포의 성숙을 유도할 수 있고 T 세포를 프라이밍하는 그것의 능력을 유의미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은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 조절을 통해 종양 크기 감소를 중재하여 항종양 면역 향상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실질적인 치료 상승효과는 플리나불린을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할 때 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는 CTLA4(세포독성 T 림프구 항원-4), PD-1(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단백질 1), PD-L1(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리간드 1), PD-L2(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리간드 2), PD-L3(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리간드 3), PD-L4(프로그래밍된 세포사 리간드 4), LAG-3(림프구 활성화 유전자-3), 및 TIM-3(T 세포 면역글로불린 및 뮤신 단백질-3)의 저해제와 같은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의 결합 리간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의 결합 리간드이다.
PD-1은 활성화된 T 및 B 세포에 의해 발현된 핵심 면역 관문 수용체이고 면역억제를 조정한다. PD-1은 CD28 계열의 수용체의 구성원으로, CD28, CTLA-4, ICOS, PD-1, 및 BTLA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PD-1"은 인간 PD-1(hPD-1), hPD-1의 변이체, 동형체, 및 종 동족체, 및 hPD-1과 적어도 1종의 공동 에피토프를 갖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많은 인간 암뿐만 아니라 항원- 제시 세포 상에서 발현되고 그리고 PD-1에 결합함에 의해 T 세포 활성화 및 사이토카인 분비를 하향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난, PD-L1, PD-L2, PD-L3, 및 PD-L4를 포함하는, PD-1에 대한 다양한 세포 표면 당단백질 리간드가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PD-L1"은 인간 PD-L1(hPD-Ll), hPD-Ll의 변이체, 동형체, 및 종 동족체, 및 hPD-Ll과 적어도 1종의 공동 에피토프를 갖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PD-L2"는 인간 PD-L2(hPD-L2), hPD-L2의 변이체, 동형체, 및 종 동족체, 및 hPD-L2와 적어도 1종의 공동 에피토프를 갖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PD-L3"는 인간 PD-L3(hPD-L3), hPD-L3의 변이체, 동형체, 및 종 동족체, 및 hPD-L3와 적어도 1종의 공동 에피토프를 갖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PD-L4"는 인간 PD-L4(hPD-L4), hPD-L4의 변이체, 동형체, 및 종 동족체, 및 hPD-L4와 적어도 1종의 공동 에피토프를 갖는 유사체를 포함한다.
CTLA-4(세포독성 T-림프구-관련된 단백질 4)는 면역 관문으로 작용하여, 면역계를 하향조절하는 단백질 수용체이다. CTLA4는 T 세포의 표면 상에서 발견되고, 또한 면역글로불린 (Ig) 상과의 구성원이다; CTLA-4는 단일 세포외 Ig 도메인을 포함한다. CTLA-4 전사체는 세포독성 활성을 갖는 T 세포 군집에서 발견되어, CTLA-4는 세포용해 반응에서 작용을 할 것이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든 특허, 출원, 공개된 출원, 및 다른 공보는 그 전체가 참고로 편입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에 대한 복수의 정의가 있는 경우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 부문에서의 것이 우선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매, 코팅물, 항균 및 항진균제, 등장의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활성 성분들을 위한 제제와 이러한 매질의 사용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종래의 매질 또는 제제가 활성 성분과 불양립성인 것을 제외하고, 치료 조성물에서 그것의 사용이 고려된다. 또한, 당해 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아쥬반트가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고려사항들은 예를 들면, 문헌 [Gilman et al. (Eds.) (1990);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Press]에 기재되고, 이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모노사카라이드 또는 모노사카라이드 유도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 예를 들면, 개, 고양이, 마우스, 랫트, 소, 양, 돼지, 염소, 비-인간 영장류 또는 조류, 예를 들면, 닭, 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척추동물 또는 무척추동물을 포함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그것의 일반적 생물학적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것은 구체적으로, 비제한적으로, 유인원(침팬지, 유인원, 원숭이) 및 인간을 포함하는 영장류, 소, 말, 양, 염소, 돼지, 토끼, 개, 고양이, 설치류, 랫트, 마우스, 기니아 피그,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유효한 양" 또는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 중 하나 이상의 개시의 가능성을 어느 정도까지 완화하거나 감소시키고,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에 유효한 치료제의 양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치료한다",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예방적 및/또는 치료 목적을 위해 대상체에게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용어 "예방적 치료"는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을 아직 나타내지는 않지만 특정한 질환 또는 병태에 감수성이 있거나, 또는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것을 지칭하고, 이로써 본 치료는 환자가 질환 또는 병태를 진행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용어 "치료적 처치"는 질환 또는 병태로부터 이미 고통받고 있는 대상체에 대해 치료제를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화학요법제"는 전이 또는 신생물의 성장을 감소, 예방, 완화, 제한 및/또는 지연시키거나 또는 신생물의 괴사 또는 세포자멸사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기전에 의해 직접적으로 신생 세포를 죽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신생 질환이 있는 대상체에서 전이 또는 신생물의 성장을 감소, 예방, 완화, 제한 및/또는 지연하기 위해, 약제학적으로-유효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를 지칭한다. 화학요법제는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면, 플루오로피리미딘; 피리미딘 뉴클레오사이드; 퓨린 뉴클레오사이드; 항엽산제, 백금-기반 제제; 안트라사이클린/안트라센디온; 에피포도필로톡신; 캄프토테신; 호르몬; 호르몬 복합체; 항호르몬제; 효소, 단백질, 펩타이드 및 다클론성 및/또는 단클론성 항체; 빈카 알카로이드; 탁산; 에포틸론; 항미세소관 제제; 알킬화제; 항대사물질; 토포이소머라제 저해제; 항바이러스제; 및 다양한 다른 세포독성 및 세포증식억제제를 포함한다.
투여 및 약제학적 조성물
일부 구현예는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의 결합 리간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저해제 또는 조합된 PD-L1/PD-L2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제1 면역 관문 저해제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제2 면역 관문 저해제와 상이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독립적으로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T 세포 조절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작은 펩타이드 제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T 세포 조절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소분자(예를 들면 500 달톤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T-세포 활성화의 공동-자극을 제공하는 분자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천연 살해 세포 활성화의 공동-자극을 제공하는 분자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항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3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4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항체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항체이다.
항체는 α-CD3-APC, α-CD3-APC-H7, α-CD4-ECD, α-CD4-PB, α-CD8-PE-Cy7, α-CD-8-PerCP-Cy5.5, α-CD11c-APC, α-CD11b-PE-Cy7, α-CD11b-AF700, α-CD14-FITC, α-CD16-PB, α-CD19-AF780, α-CD19-AF700, α-CD20-PO, α-CD25-PE-Cy7, α-CD40-APC, α-CD45-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BV605, α-CD62L-ECD, α-CD69-APC-Cy7, α-CD80-FITC, α-CD83-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PE-Cy7, α-CD86-PE-Cy7, α-CD86-PE, α-CD123-PE, α-CD154-PE, α-CD161-PE, α-CTLA4-PE-Cy7, α-FoxP3-AF488 (클론 259D), IgG1-아이소타입-AF488, α-ICOS (CD278)-PE, α-HLA-A2-PE, α-HLA-DR-PB, α-HLA-DR-PerCPCy5.5, α-PD1-APC, VISTA, 공통자극 분자 OX40, 및 CD137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PD-1, PD-Ll, PD-L2, PD-L3, 또는 PD-L4에 결합하는 고-친화도를 갖는 항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항체들(Abs)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고친화도로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예를 들면, 인간 PD-1에 결합하고 그리고 다른 종, 예컨대 사이노몰구스 원숭이로부터의 PD-1과 교차-반응할 수 있는) 인간 mAbs (HuMAbs)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 미국 특허 번호 8,008,449에 개시되어 있다. 고친화도로 PD-Ll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HuMAbs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 미국 특허 번호 7,943,743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항-PD-1 mAbs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6,808,710, 7,488,802 및 8,168,757, 및 PCT 공개번호 WO 2012/145493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항-PD-Ll mAbs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번호 7,635,757 및 8,217,149, 미국 공개 번호 2009/0317368, 및 PCT 공개 번호 WO 2011/066389 및 WO 2012/14549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모두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HuMAbs는 17D8, 2D3, 4H1, 5C4(또한 본 명세서에서 니볼루맙으로 지칭됨), 4A1 1, 7D3 및 5F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미국 특허 번호 8,008,449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HuMAbs는 3G10, 12A4 (또한 본 명세서에서 BMS-936559로 지칭됨), 10A5, 5F8, 10H10, 1B12, 7H1, 1 1E6, 12B7, 및 13G4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미국 특허 번호 7,943,743에 기재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Kolliphor HS15® (폴리옥실 (15)-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kolliphor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는 kolliphor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kolliphor는 희석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0중량%이고 그리고 프로필렌 글리콜은 약 60중량%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추가로 1종 이상의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문헌 [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표준 약제학적 제형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는: (a) 안전한 및 치료적 유효량의 플리나불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것의 염; (b) 면역 관문 저해제 및 (c)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는 별개의 조성물로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구현예는: (a) 안전한 및 치료적 유효량의 플리나불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것의 염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1 약제학적 조성물; 및 (a)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2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비제한적으로, 경구로, 설하로, 구강으로, 피하로, 정맥내로, 비강내로, 국소로, 경피로, 진피내로, 복강내로, 근육내로, 폐내로, 질로, 직장으로, 또는 안구내로를 포함하여, 유사한 유용성을 제공하는 제제에 대한 임의의 허용된 투여 방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경구 및 비경구 투여는 바람직한 구현예의 대상인 징후를 치료하는데 관례적이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매, 코팅물, 항균 및 항진균제, 등장의 및 흡수 지연제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활성 성분을 위한 이러한 매질 및 제제의 사용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제제가 활성 성분과 불양립성인 것을 제외하고, 치료 조성물에서의 그것의 사용이 고려된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아쥬반트가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에 대한 고려사항들은 예를 들면, 문헌 [Gilman et al. (Eds.) (1990);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Press]에 기재되고, 이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이들의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성분들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는 당, 예컨대 락토오스, 글루코오스 및 수크로오스;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셀룰로오스 및 그것의 유도체, 예컨대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및 메틸 셀룰로오스; 분말화된 트라가칸쓰; 맥아; 젤라틴; 탈크; 고형 윤활제, 예컨대 스테아르산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황산칼슘; 식물성 오일, 예컨대 땅콩 오일, 목화씨 오일, 참께 오일, 올리브 오일, 옥수수 오일 및 테오브로마 오일; 폴리올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긴산; 유화제, 예컨대 트윈스(TWEENS);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같은 습윤제;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 제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무균수; 등장의 염수; 및 포스페이트 완충 용액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투약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위 투약 형태"는 양호한 의료 실시에 따라 단회 용량으로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대상체에 투여를 위해 적합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양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그러나 단일 또는 단위 투약 형태의 제제는 투약 형태가 1일 1회 또는 치료의 과정당 1회 투여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러한 투약 형태는 1일당 1회, 2회, 3회 또는 그 이상 투여될 것으로 고려되며, 일정 기간(예를 들면, 약 30분 내지 약 2-6시간)에 걸쳐 주입으로서 투여되거나, 또는 연속 주입으로서 투여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일 투여가 구체적으로 배제되지는 않지만, 치료의 과정 중에 한번보다 많이 제공될 수 있다. 숙련가는 제형이 치료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이러한 결정은 제형보다는 치료의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남겨진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용한 조성물은 투여에 대한 다양한 경로, 예를 들면, 경구, 설하, 구강, 비강, 직장, 국소 (경피 및 진피내를 포함함), 안구, 뇌내, 두개내, 척추강내, 동맥내, 정맥내, 근육내,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경로에 대한 임의의 다양한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숙련가는 경구 및 비강 조성물이 흡입으로 투여되고 이용가능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목적하는 특정한 투여 경로에 의존하여, 당해 기술에 공지된 다양한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담체가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면, 고체 또는 액체 충전제, 희석제, 하이드로트로피, 표면-활성제, 및 캡슐화 물질을 포함한다.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억제 활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선택적인 약제학적으로-활성인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화합물 또는 조성물과 연계하여 이용된 담체의 양은 화합물의 단위 용량당 투여를 위한 물질의 실제적인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방법에 유용한 투약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및 조성물은 전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편입된, 하기 참조에 기재된다: 문헌 [Modern Pharmaceutics, 4th Ed., Chapters 9 and 10 (Banker & Rhodes, editors, 2002)]; 문헌 [Lieberman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1989)]; 및 문헌 [Ansel, Introduction to Pharmaceutical Dosage Forms 8th Edition (2004)].
정제, 캡슐 (예를 들면 고형 겔 캡슐 및 액체 겔 캡슐), 과립 및 벌크 분말 같은 고형 형태를 포함하는 다양한 경구 복용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정제는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희석제, 붕해제, 착색제, 풍미제, 유동-유도제, 및 용융 제제를 함유하여 압축되거나, 정제 분쇄되거나, 장용 코팅되거나, 당-코팅되거나, 필름-코팅되거나, 또는 다중-압축될 수 있다. 액체 경구 복용 형태는 적합한 용매, 보존제, 유화제, 현탁화제, 희석제, 감미제, 용융 제제, 착색제 및 풍미제를 함유하는, 수성 용액, 에멀젼, 현탁액, 비-발포성 과립으로부터 재구성된 용액 및/또는 현탁액, 및 발포성 과립으로부터 재구성된 발포성 제제를 포함한다.
경구 투여를 위한 단위 투약 형태의 제제에 적합한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담체는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정제는 전형적으로 불활성 희석제로서 종래의 약제학적으로-양립가능한 아쥬반트, 예컨대 탈산칼슘, 탄산나트륨, 만니톨, 락토오스 및 셀룰로오스; 결합제, 예컨대 전분, 젤라틴 및 수크로오스; 붕해제, 예컨대 전분, 알긴산 및 크로스카멜로스;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및 탈크를 포함한다. 활윤제, 예컨대 실리콘 디옥사이드가 분말 혼합물의 유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 예컨대 FD&C 염료는 외관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감미제 및 풍미제, 예컨대 아스파르탐, 사카린, 멘톨, 박하, 및 과일 풍미제는 씹을 수 있는 정제에 유용한 아쥬반트이다. 캡슐은 전형적으로 상기에 개시된 1종 이상의 고형 희석제를 포함한다. 담체 성분의 선택은, 결정적이지 않고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맛, 비용, 및 저장 안정성과 같은 2차 고려사항들에 의존한다.
경구 조성물은 또한 액체 용액, 에멀젼, 현탁액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적합한 약제학적으로-허용가능한 담체는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시럽, 엘릭시르, 에멀젼 및 현탁액에 대한 담체의 전형적인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및 물을 포함한다. 현탁액에 대해, 전형적인 현탁화제는 메틸 셀룰로오스,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AVICEL RC-591, 트라가칸쓰 및 소디움 알기네이트를 포함하고; 전형적인 습윤제는 레시틴 및 폴리소르베이트 80를 포함하고; 그리고 전형적인 보존제는 메틸 파라벤 및 소디움 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경구 액체 조성물은 또한 상기에 개시된 1종 이상의 성분, 예컨대 감미제, 풍미제 및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대상 조성물의 목적하는 작용을 연장하기 위해 목적하는 국소 적용의 부근에서 또는 다양한 시간으로 위장관에서 방출되도록, 전형적으로 pH 또는 시간-의존적 코팅물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투약 형태는 전형적으로, 비제한적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유드라짓 코팅물, 왁스 및 셸락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다른 약물 활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화합물의 전신 전달을 달성하기 위해 유용한 다른 조성물은 설하, 구강 및 비강 투약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전형적으로 가용성 충전제 물질, 예컨대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및 만니톨; 및 결합제, 예컨대 아카시아,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상기에 개시된 활윤제, 윤활제, 감미제, 착색제, 항산화제 및 풍미제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국소 안과 사용을 위해 제형화된 액체 조성물은 이것이 눈에 국소로 투여될 수 있도록 제형화된다. 때때로 제형 고려사항들(예를 들면 약물 안정성)이 최적의 안락함보다 적을지라도 안락함이 가능한 한 최대로 극대화될 수 있다. 안락함이 극대화될 수 없는 경우, 액체는 국소 안과 사용에 대해 환자에게 허용될 수 있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추가로, 안과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는 일회용으로 포장될 수 있거나 다중 사용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안과 적용을 위해, 용액 또는 약제는 종종 주요 비히클로서 생리적 염수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안과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완충계로 편안한 pH로 유지될 수 있다. 제제는 또한 종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존제, 안정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는, 비제한적으로, 벤즈알코늄 염화물, PHMB, 클로로부탄올, 티메로살,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및 페닐수은 니트레이트를 포함한다.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트윈 80이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유용한 비히클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안과용 약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비히클은, 비제한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포비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폴록사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장성 조정제(tonicity modifier)가 필요에 따라 또는 편리하게 첨가될 수 있다. 이들은, 비제한적으로, 염, 특히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만니톨 및 글리세린,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안과적으로 허용가능한 장성 조정제를 포함한다.
pH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완충액 및 수단은 생성된 제제가 안과적으로 허용가능한 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조성물에 대해, pH는 4 내지 9 사이로 될 것이다. 따라서, 완충액은 아세테이트 완충액, 시트레이트 완충액, 인산염 버퍼 및 보레이트 완충액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이들 제형의 pH를 조정하기 위해 산 또는 염기가 사용될 수 있다.
안과적으로 허용가능한 항산화제는, 비제한적으로, 소디움 메타바이설파이트, 티오황산나트륨, 아세틸시스테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및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을 포함한다.
안과용 약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부형제 구성요소는 킬레이트제이다. 비록 다른 킬레이트제가 또한 동일 위치에서 또는 그것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지만, 유용한 킬레이트제는 에데테이트 디소디움이다.
국소적 사용을 위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크림, 연고, 겔, 용액 또는 현탁액, 등이 이용된다. 국소 제형은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담체, 보조-용매, 유화제, 침투 증강제, 보존제 시스템, 및 완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맥내 투여를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예컨대 염수 또는 덱스트로오스 용액에 용해될 수 있거나 분산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NaOH, 탄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HCl, 및 시트르산을 포함하여, 목적하는 pH를 달성하기 위해 적합한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최종 조성물의 pH는 2 내지 8, 또는 바람직하게는 4 내지 7의 범위이다. 항산화제 부형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세톤 아황산수소나트륨, 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 티오우레아, 및 EDTA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정맥내 조성물에서 발견된 적합한 부형제의 다른 비-제한적인 예는 인산나트륨 또는 인산칼륨,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젤라틴, 및 탄수화물, 예컨대 덱스트로오스, 만니톨, 및 덱스트란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문헌 [Powell, et al., 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J Pharm Sci and Tech 1998, 52 238-311] 및 문헌 [Nema et al., Excipients and Their Role in Approved Injectable Products:Current Usage and Future Directions, PDA J Pharm Sci and Tech 2011, 65 287-332]에 기재되어 있고, 이 둘 모두는 그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비제한적으로 페닐수은 니트레이트, 티메로살, 벤즈에토늄 염화물, 벤즈알코늄 염화물, 페놀, 크레졸, 및 클로로부탄올을 포함하여, 정균 또는 진균증식억제 용액을 달성하기 위해 항미생물제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정맥내 투여용 조성물은 투여 직전에 물에 적합한 희석제 예컨대 멸균수, 염수 또는 덱스트로오스로 재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형물의 형태로 돌보는 사람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준비가 된 용액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투여 전에 추가로 희석되는 용액으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화합물 및 또 다른 제제의 조합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조합은 혼합물로서 돌보는 사람에게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돌보는 사람이 투여 전에 2종의 제제를 혼합할 수 있거나, 또는 2종의 제제는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활성 화합물의 실제 용량은 특정한 화합물, 및 치료될 병태에 좌우된다; 적절한 용량의 선택은 숙련가의 지식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의 1일 용량은 약 0.25mg/kg 내지 약 120mg/체중 kg 또는 그 초과, 약 0.5mg/kg 또는 그 미만 내지 약 70mg/kg, 약 1.0mg/kg 내지 약 50mg/체중 kg, 또는 약 1.5mg/kg 내지 약 10mg/체중 kg일 수 있다. 따라서, 70kg 사람에 투여를 위해, 투약 범위는 약 17mg/1일 내지 약 8000mg/1일, 약 35mg/1일 또는 그 미만 내지 약 7000mg/1일 또는 그 초과, 약 70mg/1일 내지 약 6000mg/1일, 약 100mg/1일 내지 약 5000mg/1일, 또는 약 200mg 내지 약 3000mg/1일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은 화학요법, 방사선, 및 생물학적 요법과 같은 치료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거나 사용될 수 있다.
치료 방법
일부 구현예는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동물, 예를 들면, 포유동물, 인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일부 구현예는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함에 의해 암에 대한 T-세포 활성화의 공동-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함에 의해 암에 대한 천연 살해 세포의 공동-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PD-1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의 결합 리간드는 PD-L1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의 결합 리간드는 PD-L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PD-1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PD-L1을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PD-L2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PD-L3 또는 PD-L4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PD-1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은 결합 리간드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정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용할 수 있는 검정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다코 사로부터 이용가능한 PD-L1 IHC 22C3 pharmDx 키트 및 PD-L1 IHC 28-8 pharmDx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CTLA-4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CTLA-4의 결합 리간드는 B7.1 또는 B7.2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CTLA-4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은 추가로 B7.1 또는 B7.2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동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면역 관문 저해제는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이필리무맙, 다카바진, BMS 936559, 아테졸리주맙, 더발리무맙,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두경부 암, 폐암, 위암, 결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신장암, 방광암, 난소 암, 자궁경부암, 흑색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림프종, 또는 백혈병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신장 세포 암종, 악성 흑색종, 비-소세포 폐암(NSCLC), 난소암, 호지킨 림프종 또는 편평상피 세포 암종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폐암, 전립선암, 흑색종, 백혈병, 난소암, 위암, 신장 세포 암종, 간암, 췌장암, 림프종 및 골수종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고형 종양 또는 혈액 암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검출가능한 수준으로 PD-1, PD-L1, 또는 PD-L2를 발현하는 임의의 세포를 가지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폐암, 전립선암, 흑색종, 백혈병, 난소암, 위암, 신장 세포 암종, 간암, 췌장암, 림프종 및 골수종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고형 종양 또는 혈액 암이다.
일부 구현예는 암 환자에 플리나불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 환자에서 수지상 세포 성숙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는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의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상체 내 암 관련된 종양 맥관구조를 파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암은 종양 맥관구조의 형성에 관련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흑색종, 췌장암, 결장직장 선암종, 뇌종양,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 만성적 림프구성 백혈병, 호르몬 난치의 전이성 전립선암, 전이성 유방암, 비-소세포 폐암, 신장 세포 암종, 두경부 암, 전립선암, 결장암, 역형성 갑상선암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현예는 추가의 약제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조성물 및/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는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와 플리나불린을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동-투여"는 2종 이상의 제제가, 이들이 실제로 관리되는 때 또는 방법에 무관하게, 1종 이상의 제제의 투여가 1종 이상의 다른 제제의 효능 및/또는 안전성에 효과를 가지는 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제는 동시에 투여된다. 하나의 그와 같은 구현예에서, 조합으로 투여는 단일 투약 형태로 제제를 조합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제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제는 동일한 경로를 통해, 예컨대 경구로 또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제는 경구로 투여되는 것 및 i.v로 투여되는 또 다른 것과 같은 상이한 경로를 통해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1종 이상의 제제의 투여와 공동-투여된 1종 이상의 제제의 투여 사이의 기간은 약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5시간, 18시간, 20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3일, 4일, 5일, 6일, 7일, 10일, 14일, 21일, 28일, 또는 30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치료 주기는 플리나불린을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 또는 1종 이상의 관문 저해제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과 조합하여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는 날자 1일에 공동-투여되고, 그 다음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2주, 또는 3주 후 플리나불린 단독의 투여, 및 그런 다음 그 다음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2주, 또는 3주 후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의 공동-투여가 따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는 날자 1일에 동시에 투여되고, 그 다음 날자 2일과 날자 31일 사이에 선택된 일에 플리나불린 또는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 단독의 투여, 및 그런 다음 그 다음 날자 3일과 날자 31일 사이에 선택된 일에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의 공동-투여가 따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는 날자 1일에 공동-투여되고, 그 다음 날자 8일에 플리나불린 단독의 투여, 및 그런 다음 그 다음 날자 15일에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의 공동-투여가 따른다. 일부 구현예에서, 치료 주기는 2종 이상의 시간으로 반복될 수 있다.
추가의 약제의 예는 다른 화학요법제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화학요법제는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 아비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아브락산 (파클리탁셀 알부민-안정화된 나노입자 제형), ABVD, ABVE, ABVE-PC , AC, AC-T, 애드세트리스(브렌툭시맙 베도틴), ADE, 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아드리아마이신(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아파티닙 디말레에이트, 아피니토(에버롤리무스), 아킨지오(네투피탄트 및 팔로노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알다라(이미퀴모드), 알데스류킨, 알레센사(알렉티닙), 알렉티닙, 알렘투주맙, 알림타(페메트렉세드 디나트륨), 알록시(팔로노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암보클로린(클로르암부실), 암보클로린(클로르암부실), 아미노레벌린산, 아나스트로졸, 아프레피탄트, 아레디아(팔미드로네이트 디나트륨), 아리미덱스(아나스트로졸), 아로마신(엑세메스탄), 어래논(넬라라빈), 삼산화 비소, 아젤라(오파투무맙), 아스파라기나제 어위니아 크리산테미 , 아바스틴(베바시주맙), 악시티닙, 아자시티딘, BEACOPP, 베세넘(카무스틴), 벨레오닥(벨리노스타트), 벨리노스타트, 벤다무스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BEP, 베바시주맙, 벡사로텐, 벡사르(토시투모맙 및 요오드 I 131 토시투모맙), 바이칼루타마이드, BiCNU(카무스틴), 블레오마이신, 블리나투모맙, 블린사이토(블리나투모맙), 보르테조밉, 보술리프(보수티닙), 보수티닙, 브렌툭시맙 베도틴, 부설판, 카바지탁셀, 카보잔티닙-S-말레이트, CAF, 캄파쓰(알렘투주맙), 캄프토사르(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카페시타빈, 카폭스, 카락(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카보플라틴, 카보플라틴-탁솔, 카르필조밉, 카무브리스(카무스틴), 카무스틴, 카무스틴 임플란트, 카소덱스(바이칼루타마이드), CeeNU(로무스틴), 세리티닙, 세루비딘(다우노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세바릭스(재조합 HPV 2가 백신) , 세툭시맙, 클로르암부실, 클로르암부실-프레드니손, CHOP, 시스플라틴, 클라펜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클로파라빈, 클로파렉스(클로파라빈), 클로랄(클로파라빈), CMF, 코비메티닙, 코메트리크(카보잔티닙-S-말레이트), COPDAC, COPP, COPP-ABV, 코스메겐(닥티노마이신), 코텔릭(코비메티닙), 크리조티닙, CVP,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사이포스(이포스파마이드), 사이람자(라무시루맙), 사이타라빈, 사이타라빈 리포좀, 사이토사르-U(사이타라빈), 사이톡산(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다브라페닙, 다카바진, 다코겐(데시타빈), 닥티노마이신, 다라투무맙, 다잘렉스(다라투무맙), 다사티닙, 다우노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데시타빈, 데가렐릭스, 데닐류킨 디프티톡스, 데노수맙, DepoCyt(사이타라빈 리포좀), 덱사메타손, 덱스라족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누툭시맙, 도세탁셀, 독실(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Dox-SL(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DTIC-Dome(다카바진), 에퓨덱스(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엘리텍(라스부리카제), 엘렌세(에피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엘로투주맙, 엘록사틴(옥살리플라틴), 엘트롬보팍 올라민, 에멘드(아프레피탄트), 엠플리시티(엘로투주맙), 엔잘루타마이드, 에피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POCH, 어비툭스(세툭시맙), 에리불린 메실레이트, 에리벳지(비스모데깁), 에를로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어윈아즈(아스파라기나제 어위니아 크리산테미), 에토포포스(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 에토포시드, 에토포시드 포스페이트, 에바세트(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에버롤리무스, 에비스타(랄록시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엑세메스탄, 5-FU(플루오로우라실 주사), 5-FU(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파레스톤(토레미펜), 파리닥(파노비노스타트), 파슬로덱스(풀베스트란트), FEC, 페마라(레트로졸), 필그라스팀, 플루다라(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플루오로플렉스(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플루오로우라실 주사, 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플루타미드, 폴렉스(메토트렉세이트), 폴렉스 PFS(메토트렉세이트), 폴피리, 폴피리-베바시주맙, 폴피리-세툭시맙, 폴피리녹스, FOLFOX, 폴로틴(프랄라트렉세이트), FU-LV, 풀베스트란트, 가다실(재조합 HPV 4가 백신), 가다실 9 (재조합 HPV 비가의 백신), 가지바(오비누투주맙), 게피티닙, 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젬시타빈-시스플라틴, 젬시타빈-옥살리플라틴 ,젬투주맙 오조가마이신, 젬자르(젬시타빈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길로트리프(아파티닙 디말레에이트), 글리벡(이마티닙 메실레이트), 글라이아델(카무스틴 임플란트), 글라이아델 웨이퍼(카무스틴 임플란트), 글루카르피다제, 고세렐린 아세테이트, 할라벤(에리불린 메실레이트),헤르셉틴(트라스투주맙), HPV 2가 백신, 재조합, HPV 비가의 백신, 재조합, HPV 4가 백신, 재조합, 하이캄틴(토포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초-CVAD, 이브란스(팔보시클립),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브루티닙, 얼음, 아이클루시그(포나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다마이신(이다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델랄리십, 아이펙스(이포스파마이드), 이포스파마이드, IL-2(알데스류킨), 이마티닙 메실레이트, 임브루비카(이브루티닙), 이미퀴모드, 임리직(탈리모젠 라헤파레프벡), 인라이타(악시티닙), 인터페론 알파-2b, 재조합, 인터류킨-2(알데스류킨), 인트론 A(재조합 인터페론 알파-2b), 요오드 I 131 토시투모맙 및 토시투모맙, 이필리무맙, 이레싸(게피티닙),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이소닥스(로미뎁신), 익사베필론, 익사조밉 시트레이트, 익셈프라(익사베필론), 자카피(룩솔리티닙 포스페이트), 제브타나(카바지탁셀), 캐싸일라(아도-트라스투주맙 엠탄신), 케녹시펜(랄록시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케피반스(팔리페르민),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키프로리스(카르필조밉), 란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라파티닙 디토실레이트, 레날리도마이드, 렌바티닙 메실레이트, 렌비마(렌바티닙 메실레이트), 레트로졸, 류코보린 칼슘, 류케란(클로르암부실),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레벌란(아미노레벌린산), 린폴리진(클로르암부실), 리포독스(독소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로무스틴, 론서프(트리플루리딘 및 티피라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루프론(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루프론 데포(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루프론 데포-페드(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루프론 데포-3 개월(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루프론 데포-4 개월 (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린파자(올라파립), 마퀴보(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리포좀), 마툴란(프로카바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클로르에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가세(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메키니스트(트라메티닙), 머캅토퓨린, 메스나, 메스넥스(메스나), 메타졸라스톤(테모졸로마이드),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LPF(메토트렉세이트), 멕사테(메토트렉세이트), 멕사테-AQ(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C, 미톡산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미토자이트렉스 (미토마이신 C), MOPP, 모조빌(플레릭사포르), 무수타젠(메클로르에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뮤타마이신 (미토마이신 C), 마이엘란 (부설판), 마이로사(아자시티딘), 마일로타그(젬투주맙 오조가마이신), 나노입자 파클리탁셀(파클리탁셀 알부민-안정화된 나노입자 제형), 나벨빈(비노렐빈 타르트레이트), 네시투무맙, 넬라라빈, 네오사르(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네투피탄트 및 팔로노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뉴포겐(필그라스팀), 넥사바르(소라페닙 토실레이트), 닐로티닙, 닌날로(익사조밉 시트레이트), 니볼루맙, 놀바덱스(타목시펜 시트레이트), 엔플래이트(로미플로스팀), 오비누투주맙, 오돔조(소니데깁), OEPA, 오파투무맙, OFF, 올라파립, 오마세탁신 메페석시네이트, 온카스파르(페가스파르가스), 온단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오니비드(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 온탁(데닐류킨 디프티톡스), 옵디보(니볼루맙), OPPA , 오시머티닙, 옥살리플라틴, 파클리탁셀, 파클리탁셀 알부민-안정화된 나노입자 제형, 패드, 팔보시클립, 팔리페르민, 팔로노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팔로노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네투피탄트, 팔미드로네이트 디나트륨, 파니투무맙, 파노비노스타트, 파라플래트(카보플라틴), 파라플라틴(카보플라틴), 파조파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PCV , 페가스파르가스, 페그인터페론알파-2b, PEG-인트론(페그인터페론알파-2b), 펨브롤리주맙, 페메트렉세드 디소디움 퍼젝타(페르투주맙), 페르투주맙, 플라티놀(시스플라틴), 플라티놀-AQ(시스플라틴), 플레릭사포르, 포말리도마이드, 폼말리스트(포말리도마이드), 포나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포트라자(네시투무맙), 프랄라트렉세이트, 프레드니손, 프로카바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롤류킨(알데스류킨), 프로리아(데노수맙), 프로맥타(엘트롬보팍 올라민), 프로벤지(시푸류셀-T), 퓨린톨(머캅토퓨린), 퓨리산(머캅토퓨린), 라듐 223 이염화물, 랄록시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라무시루맙, 라스부리카제, R-CHOP, R-CVP, 재조합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HPV) 2가 백신, 재조합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HPV) 무가의 백신, 재조합 인간 파필로마바이러스 (HPV) 4가 백신,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2b, 레고라페닙, R-EPOCH, 레블리미드(레날리도마이드) , 류마트렉스(메토트렉세이트), 리툭시맙, 롤라피탄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로미뎁신 , 로미플로스팀, 루비도마이신(다우노루비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룩솔리티닙 포스페이트, 스클레로솔 늑막내 에어로졸(탈크),실툭시맙, 시푸류셀-T, 소마툴린 데포(란레오타이드 아세테이트), 소니데깁, 소라페닙 토실레이트, 스프라이셀(다사티닙), STANFORD V, 멸균된 탈크 분말 (탈크), 스테리탤크(탈크), 스티바가(레고라페닙), 수니티닙 말레이트, 수텐트(수니티닙 말레이트), 실라트론(페그인터페론알파-2b), 실반트(실툭시맙), 시노비르(탈리도마이드), 신리보(오마세탁신 메페석시네이트), 타브로이드(티오구아닌), TAC, 타핀라르(다브라페닙), 타그리소(오시머티닙), 탈크, 탈리모젠 라헤파레프벡,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타라빈 PFS (사이타라빈), 타르세바(에를로티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타르그레틴(벡사로텐), 타시그나(닐로티닙), 탁솔(파클리탁셀), 탁소테르(도세탁셀), 테모다르(테모졸로마이드), 테모졸로마이드, 템시롤리무스, 탈리도마이드, 티오구아닌, 티오테파, 톨락(플루오로우라실--토피칼), 토포사(에토포시드), 토포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토레미펜, 토리셀(템시롤리무스), 토시투모맙 및 요오드 I 131, 토시투모맙, 토텍트(덱스라족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TPF, 트라벡테딘, 트라메티닙, 트라스투주맙, 트리안다(벤다무스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 트리플루리딘 및 티피라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리세녹스(삼산화 비소), 타이커브(라파티닙 디토실레이트), 유니툭신(디누툭시맙), 우리딘 트리아세테이트, VAC, 반데타닙, VAMP, 바루비(롤라피탄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벡티빅스 (파니투무맙), VeIP, 벨반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벨케이드 (보르테조밉), 벨사르(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베무라페닙, 베페시드(에토포시드), 비아둘(류프롤라이드 아세테이트), 비다자(아자시티딘),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빈카사르 PFS(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리포좀, 비노렐빈 타르트레이트, VIP, 비스모데깁, 비스토가드(우리딘 트리아세테이트), 보랙제이즈(글루카르피다제), 보리노스타트, 보트리엔트(파조파닙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웰코보린(류코보린 칼슘), 잴코리(크리조티닙), 젤로다(카페시타빈), XELIRI,크셀록스, 엑스지바(데노수맙), 조피고(라듐 223 Di염화물), 엑스탄디(엔잘루타마이드), 예르보이 (이필리무맙),욘델리스(트라벡테딘), 잘트랩(Ziv-아플리베르셉트), 작시오(필그라스팀), 젤보라프(베무라페닙), 제발린(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지네카드(덱스라족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지브-아플리베르셉트, 조프란(온단세트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졸라덱스(고세렐린 아세테이트), 졸레드론산, 졸린자(보리노스타트), 조메타(졸레드론산), 자이델릭(이델랄리십), 자이카디아(세리티닙), 및 자이티가(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는 물론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의 이들 실시예의 변동은 당해 분야의 숙련가의 범위 내에 있고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개시내용과 당해 기술에서의 기술로 무장한 숙련가는 소모적인 실시예 없이 본 발명을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독자는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수지상 세포 성숙에 대한 플리나불린 효과
세포주: 미성숙한 마우스 DC 세포주 SP37A3(머크 KGaA 사에 의해 제공됨)가 10% 열-불활성화된 및 내독소-시험된 FBS(PAA), 소디움 피루베이트(집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글루타민 믹스(집코), 이글의 최소 필수 배지(MEM) 비필수 아미노산(시그마), 싸이플록신(바이엘), 및 0.05mmol/L 2-머캅토에탄올(집코)로 보강된 이스코브 변형 둘베코 배지 (IMDM; 시그마)에서 배양되었다. IMDM 완전 배지는 20 ng/mL 재조합 마우스 GM-CSF 및 20 ng/mL 재조합 마우스 M-CSF (모두 페프로텍)로 보강되었다. 쥣과 종양 세포주 EG7 및 3LL-OVA는 각각 ATCC로부터 수득되었거나 또는 더글라스 T. 페론(영국 캠브리지 소재의 캠브리지 대학교, 리카싱 센터, 암 연구 UK 캠브리지 연구소)에 의해 제공되었다. 모든 세포주가 시험되었고 그리고 마이코플라스마-유리인것으로 입증되었다, EG7 및 3LL-OVA에서 OVA의 발현, 및 RMAThy1.1에서 Thy1.1의 발현이 각각 확인되었고; 어떤 게놈 인증도 수행되지 않았다.
SP37A3 DC(쥣과 DC 주, 머크)는 180uL IMDM 완전 배지[10% 열-불활성화된 및 내독소-시험된 FBS(PAA), 소디움 피루베이트(집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글루타민 믹스(집코), MEM 비필수 아미노산(시그마) 및 0.05mM 2-머캅토에탄올(집코)로 보강된 IMDM 배지(시그마)]에 도말되었다(8x104 세포/웰, 96-웰 편평한 바닥, 조직-배양 처리됨). IMDM 완전 배지는 20ng/mL 재조합 마우스 GM-CSF로 보강되었다. DC는 플리나불린, 배지, 또는 대조군으로 LPS가 20uL로 10x 농축되어 첨가되기 전에 2시간 동안 부착되도록 허용되었다. DC는 20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0.001μM, 0.01μM, 0.1μM, 1μM, 10μM)로 플리나불린, 배지, 및 LPS로 각각 배양되었다. 이들 배양물의 상청액이 수집되고 그리고 ELISA(BD로부터 이용가능한 키트)에 의해 사이토카인 생산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었고 그리고 세포는 유세포측정 분석을 위해 CD80, CD86, CD40 및 MHCII에 대해 플루오로크롬-표지된 단클론성 항체로뿐만 아니라 LD-IR 생존력 염료(인비트로젠)로 염색되었다. 세포는 DIVA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BD 포르테사(Fortessa) 세포계산기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생존 세포 내 DC 성숙 마커 CD40, CD80, CD86 및 MHCII의 평균 형광 강도(MFI)가 미처리된(배지) DC에서 검출된 이들 마커의 MFI에 대해 정규화되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은 모든 4개의 DC 성숙 마커: CD40, CD80, CD86 및 MHCII의 발현을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DC 생존력은 사이톡스그린(SytoxGreen) 염색을 사용하여 결정된 것으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된 임의의 약물 농도에서 유의미하게 변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수지상 세포 성숙에 대해 파클리탁셀 및 에토포시드와 비교된 플리나불린
두 가지 다른 암 약물인, 파클리탁셀 및 에토포시드가 또한 DC 성숙에 대한 그것의 효과를 플리나불린과 비교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SP37A3 DC(쥣과 DC 주, 머크)는 180uL IMDM 완전 배지[10% 열-불활성화된 및 내독소-시험된 FBS(PAA), 소디움 피루베이트(집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L-글루타민 믹스(집코), MEM 비필수 아미노산(시그마) 및 0.05mM 2-머캅토에탄올(집코)로 보강된 IMDM 배지(시그마)]에 도말되었다(8x104 세포/웰, 96-웰 편평한 바닥, 조직-배양 처리됨). IMDM 완전 배지는 20ng/mL 재조합 마우스 GM-CSF로 보강되었다. DC는 플리나불린,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배지, 또는 LPS(양성 대조군)가 20uL로 10x 농축되어 첨가되기 전에 2시간 동안 부착되도록 허용되었다. DC는 20시간 동안 플리나불린(0.001μM, 0.01μM, 0.1μM, 1μM, 10μM), 파클리탁셀(0.001μM, 0.01μM, 0.1μM, 1μM, 10μM), 에토포시드(0.001μM, 0.01μM, 0.1μM, 1μM, 10μM), 배지, 및 LPS(양성 대조군)로 각각 배양되었다. 이들 배양물의 상청액이 수집되고 그리고 ELISA(BD로부터 이용가능한 키트)에 의해 사이토카인 생산의 검출을 위해 사용되었고 그리고 세포는 유세포측정 분석을 위해 CD80, CD86, CD40 및 MHCII에 대해 플루오로크롬-표지된 단클론성 항체로뿐만 아니라 LD-IR 생존력 염료(인비트로젠)로 염색되었다. 세포는 DIVA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BD 포르테사 세포계산기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생존 세포 내 DC 성숙 마커 CD40(도 2a), CD80(도 2b), CD86(도 2c) 및 MHCII(도 2d)의 평균 형광 강도(MFI)가 미처리된(배지) DC에서 검출된 이들 마커의 MFI에 대해 정규화되었다. 전-염증 사이토카인 IL-1β(도 3a), IL-6(도 3b), 및 IL-12p40(도 3c)의 생산이 또한 ELISA에 의해 결정되었다. DC 배양물로부터의 상청액이 T-세포 기능 및 항종양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증된 이들 전염증 사이토카인에 대해 분석되었다.
플리나불린은 세 가지 약물 모두에서 DC 성숙의 가장 강력한 유발제였다는 것이 인지되었다. 플리나불린은 파클리탁셀 및 에토포시드보다 4개의 DC 성숙 마커인, CD 40, CD 80, MHCII, 및 CD 86 모두의 보다 더 큰 발현을 나타냈다. 플리나불린은 또한 양성 대조군 LPS와 비교할 때 모든 4개의 마커의 유의미하게 증가된 발현을 나타냈다. 플리나불린은 파클리탁셀, 에토포시드, 및 LPS에 비교될 때 대조적으로 IL1b, IL6 및 IL12의 증가된 생산을 유발했다. 따라서, 플리나불린은 성숙 마커의 상향조절 및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켜, 향상된 T 세포 자극 수용력을 초래했다.
실시예 3. 플리나불린 및 면역 관문 저해제(PD-1 항체)의 상승효과
플리나불린 및 PD-1 관문 저해제의 병용 치료가 플리나불린 단독으로 치료 및 PD-1 항체 단독으로의 치료와 비교하여 시험된다. 본 시험은 MC-38 종양 세포로 피하로 주사된 7 내지 10-주령 마우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다섯 시험 그룹이 준비되고 그리고 각 그룹은 9마리 마우스를 포함한다.
그룹 1은 염수가 투여되었다; 그룹 2는 플리나불린 희석제(플리나불린의 부재로)가 투여되었다; 그룹 3은 7.5mg/kg의 농도로 희석제에 용해된 플리나불린이 투여되었다; 그룹 4는 PD-1 항체가 투여되었다; 그리고 그룹 5는 플리나불린/PD-1 항체 병용 치료가 투여되었다. 플리나불린/PD-1 항체 병용 치료(그룹 5)를 위해, 마우스는 희석제에 용해된 플리나불린(7.5mg/kg)으로 매주 2회(매주 중 날자 1일 및 날자 4일) 투여되고 그 다음 각 플리나불린 투여 1시간 후 PD-1 항체를 투여하는 것이 따랐다. 플리나불린 단독 치료 (그룹 3) 또는 항체 단독 치료 (그룹 4)를 위해, 마우스는 플리나불린(희석제에 용해된 7.5mg/kg) 또는 항체 단독으로 매주 2회(매주 중 날자 1일 및 날자 4일) 투여되었다. 그룹 1 및 2에 대해서, 마우스는 매주 2회 염수로 또는 플리나불린 희석제 단독으로 투여되었다.
각 치료는 대략 125㎣의 종양 크기에서 시작하여 1500㎣의 종양 크기에 도달될 때까지 지속한다. 만일 임의의 그룹에서 평균 종양 크기가 실험적 날자 45일까지 1500㎣에 도달되지 않으면, 치료는 중단될 것이고 종양 크기는 평가가 계속된다. 각 치료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하기 데이터가 수집된다: 종양 크기가 1500㎣에 도달되기 전 사망률; 치료 전 모두 매주 2회 평가된 마우스의 체중; 종양 크기 측정(매주 2회)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종양 성장의 비율; 종양 성장 지수; 전체 생존율; 및 종양 크기가 배가되는데 요구된 시간. 플리나불린 및 PD-1 항체로 병용 치료의 시험 결과는 플리나불린이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데 PD-1 항체와 상승효과로 작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OVA 특이적 OT-I 및 OT-II T 세포의 생체내 자극
SP37A3 세포 또는 7일 BMDC가 플리나불린으로 또는 OVA257-264 펩타이드 (T4)/OVA323-339 펩타이드(500ng/mL; 활성화 후)로 활성화 전에 OVA 전장 단백질(0.1mg/mL)로 1시간 동안 펄스되고 그리고 나타낸 비로 OT-I/OT-II 트랜스제닉 마우스로부터 정제된 CD8+/CD4+T세포에 첨가된다(2x105 총 세포/웰, 96-웰 둥근바닥 플레이트). CD4+T 세포는 공동-배양 전에 증식 염료 eFluor670으로 장입된다. 증식은 유세포측정을 사용하여 3일 후 평가된다.
실시예 5. 항원 특이적 CD4 및 CD8 T 세포의 생체내 자극
순수 OT-I 및 OT-II 트랜스제닉 마우스(Ly5.2)로부터 랑게르한스 세포(LC) 및 비장 세포가 eFluor670으로 표지되고 C57BL/6-Ly5.1 마우스 안으로 입양으로 전달된다. 24시간 후, 마우스는 플리나불린 또는 LPS와 함께 OVA257-264 펩타이드(T4: SIINFEKL; SIINFEKL의 저-친화도 변이체) 또는 OVA323-339 펩타이드로 꼬리-베이스 주사를 통해 면역화된다. OT-I CD8+ 및 OT-II CD4+ T 세포의 증식은 유세포측정에 의해 입양 전달 4일 후 평가된다.
실시예 6. 종양 배수 LN에 대한 DC 귀소의 분석
플리나불린의 주사에 의해 DC 귀소의 검출을 위해, 피하 EG7 종양이 있는 마우스가 플리나불린 또는 PBS/담체(모의 대조군)와 함께 FITC-접합된 덱스트란(100mg/마우스; 시그마)으로 종양내로 주사된다. 종양 배구 및 비배수 LN으로부터 단일-세포 현탁액이 플리나불린의 주사 48시간 후 제조되고 유세포측정에 의해 분석된다.
실시예 7. 플리나불린 및 면역 관문 저해제(PD-1 항체 및 CTLA-4 항체)의 상승효과
플리나불린 및 CTLA-4 관물 저해제와 조합한 PD-1 관문 저해제의 병용 치료가 플리나불린 단독으로 치료, PD-1 항체 단독으로의 치료, 또는 CTLA-4 항체와 조합한 PD-1 항체로 치료와 비교하여 시험되었다. 본 시험은 MC-38 종양 세포로 피하로 주사된 7 내지 10-주령 마우스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여섯 시험 그룹이 준비되었고 그리고 각 그룹은 10마리 마우스를 포함했다.
그룹 1은 IgG2a 및 플리나불린 비히클이 투여되었다; 그룹 2는 7.5mg/kg의 농도로 희석제에 용해된 플리나불린이 투여되었다; 그룹 3은 PD-1 항체가 투여되었다; 그룹 4는 플리나불린/PD-1 항체 병용 치료가 투여되었다; 그룹 5는 조합된 PD-1/CTLA-4 항체가 투여되었다; 그리고 그룹 6은 조합된 PD-1 항체/CTLA-4 항체/플리나불린 치료가 투여되었다. 플리나불린/PD-1 항체 병용 치료(그룹 4) 및 플리나불린/PD-1/CTLA-4 항체 치료(그룹 6)를 위해, 마우스는 희석제에 용해된 플리나불린(7.5mg/kg)으로 매주 2회(매주 중 날자 1일 및 날자 4일) 투여되고 그 다음 각 플리나불린 투여 1시간 후 항체(들)를 투여하는 것이 따랐다. 플리나불린 단독 치료 (그룹 2) 또는 항체(들) 단독 치료 (그룹 3 및 5)를 위해, 마우스는 플리나불린(희석제에 용해된 7.5mg/kg) 또는 항체(들) 단독으로 매주 2회(매주 중 날자 1일 및 날자 4일) 투여되었다.
각 치료는 대략 125㎣의 종양 크기에서 시작하여 3000㎣의 종양 크기에 도달될 때까지 지속했다. 그룹 1에 대한 평균 종양 크기가 3000㎣에 도달될 때, 실험을 종료했다. 각 치료의 효능을 결정하기 위해, 하기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종양 크기가 3000㎣에 도달되기 전 사망률; 치료 전 모두 매주 2회 평가된 마우스의 체중; 종양 크기 측정(매주 2회)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종양 성장의 비율; 종양 성장 지수; 전체 생존율; 검시에서 종양 중량; 및 종양 크기가 10배로 증가하는데 요구된 시간. 검시에서 조직이 계량되었고 그리고 FACS 분석되었다.
플리나불린 및 PD-1 항체와 CTLA-4-항체로 병용 치료의 시험 결과는 플리나불린이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데 항체와 상승효과로 작용하였고 그리고 여섯 시험 그룹 중에서 10-배수 증가된 종양 중량에 도달하는데 가장 긴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나타냈다. 도 4a는 종양 성장에 대한 그룹 1, 5, 및 6의 영향을 도시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와 병용 치료인 그룹 6은 PD-1 항체 및 CTLA-4 항체 치료 그룹의 조합인 그룹 5보다 종양 성장의 더 나은 저해를 가졌고, 그리고 그룹 5 및 6 양자는 대조군 그룹 1과 비교될 때 종양 성장의 저해를 나타냈다. 도 4b는 검시에서 평균 종양 중량에 대한 여섯 치료 그룹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로 병용 치료는 검시에서 최저 평균 종양 중량을 생산했고, 그 다음 플리나불린 및 PD-1 항체로의 치료 그룹이 따랐다. 도 4C는 여섯 치료 그룹에서 종양이 그것의 시작 용적의 10배에 도달하는 시간을 도시한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된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로의 치료 그룹은 종양이 그것의 시작 용적의 10배에 도달하는 가장 긴 시간을 가졌다. 따라서, 단독으로 또는 PD-1 항체 또는 PD-1 플러스 CTLA-4 항체와 병용으로 플리나불린 치료는 검시에서 감소된 종양 중량을 초래한다.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의 병용 치료는 플리나불린 및 PD-1 항체의 치료보다 더 나은 종양 저해제 효과를 가져, 플리나불린 단독의 치료보다 더 나은 종양 저해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5는 상기 기재된 MC-38 CRC 종양 모델에서, Treg 세포의 백분율 변화, CD8+/Treg의 할당, 및 CD45+ 림프구 내 대식세포의 백분율을 포함하여, 검시에서 종양의 FACS 분석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5a는 Treg 세포의 백분율에 대한 여섯 치료 그룹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의 치료, 플리나불린 및 PD-1 항체의 치료 및 플리나불린 단독의 치료 모두는 플리나불린 없는 비교자 그룹에 비교하여 % Treg 세포에서 감소는 나타냈다. 도 5b는 CD8+ 세포 대 Treg 세포의 비를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의 치료는 CD8+/Treg 세포의 최고 비를 나타냈다. 도 5c는 대식세포에 대한 여섯 치료 그룹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의 치료 그룹, 플리나불린의 치료 그룹, 및 PD-1 항체 및 CTLA-4-항체의 치료 그룹 모두는 각각 비교자 그룹과 비교될 때 대식세포의 감소된 백분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종양 조직의 FACS 분석은 플리나불린 단독, 플리나불린 및 면역 관문 저해제(예를 들면, PD-1 항체와 플리나불린, PD-1 항체 및 CTLA-4-항체와 플리나불린)의 치료는 조절 T 세포(Treg 세포)의 감소된 백분율, 대식세포 염색된 세포의 감소된 백분율, 및 CD8+/Treg 세포의 비에서 수반되는 증가와 관련된다는 것을 실증했다. Treg 세포 백분율 및 대식세포 염색된 세포의 감소 및 CD8+/Treg 세포의 비에서 증가는 플리나불린 단독 또는 항체(항체들) 단독으로의 그룹보다 플리나불린 및 면역 관문 저해제로의 치료 그룹에서 보다 유의미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플리나불린 및 면역 관문 저해제(예를 들면, PD-1 항체 및 CTLA-4-항체)를 사용한 병용 치료의 상승작용 면역-종양학 특성을 실증하였다.

Claims (47)

  1.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저해제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저해제인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제1 면역 관문 저해제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상기 제2 면역 관문 저해제와 상이한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독립적으로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인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인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항체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항체인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항체인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항체인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항체인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α-CD3-APC, α-CD3-APC-H7, α-CD4-ECD, α-CD4-PB, α-CD8-PE-Cy7, α-CD-8-PerCP-Cy5.5, α-CD11c-APC, α-CD11b-PE-Cy7, α-CD11b-AF700, α-CD14-FITC, α-CD16-PB, α-CD19-AF780, α-CD19-AF700, α-CD20-PO, α-CD25-PE-Cy7, α-CD40-APC, α-CD45-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BV605, α-CD62L-ECD, α-CD69-APC-Cy7, α-CD80-FITC, α-CD83-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PE-Cy7, α-CD86-PE-Cy7, α-CD86-PE, α-CD123-PE, α-CD154-PE, α-CD161-PE, α-CTLA4-PE-Cy7, α-FoxP3-AF488(클론 259D), IgG1-아이소타입-AF488, α-ICOS (CD278)-PE, α-HLA-A2-PE, α-HLA-DR-PB, α-HLA-DR-PerCPCy5.5, α-PD1-APC, VISTA, 공통자극 분자 OX40, 및 CD137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의 화학요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이필리무맙, 다카바진, BMS 936559, 아테졸리주맙, 더발리무맙,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인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
  22. 플리나불린 및 1종 이상의 면역 관문 저해제를 그것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공동-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추가의 화학요법제를 공동-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PD-1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PD-1의 결합 리간드는 PD-L1 또는 PD-L2인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두경부 암, 폐암, 위암, 결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신장암, 방광암, 난소 암, 자궁경부암, 흑색종, 교모세포종, 골수종, 림프종, 또는 백혈병인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신장 세포 암종, 악성 흑색종, 비-소세포 폐암(NSCLC), 난소암, 호지킨 림프종 또는 편평상피 세포 암종인 방법.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CTLA-4의 결합 리간드를 발현하는 암 세포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CTLA-4의 결합 리간드는 B7.1 또는 B7.2인 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저해제인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저해제인 방법.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 저해제인 방법.
  35.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면역 관문 저해제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상기 제2 면역 관문 저해제와 상이한 것인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독립적으로 PD-1, PD-L1, PD-L2, PD-L3, PD-L4, CTLA-4, LAG3, B7-H3, B7-H4, KIR 또는 TIM3의 저해제인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저해제이고, 그리고 제2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저해제인 방법.
  38.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항체인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1 항체인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1 항체인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PD-L2 항체인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CTLA-4 항체인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α-CD3-APC, α-CD3-APC-H7, α-CD4-ECD, α-CD4-PB, α-CD8-PE-Cy7, α-CD-8-PerCP-Cy5.5, α-CD11c-APC, α-CD11b-PE-Cy7, α-CD11b-AF700, α-CD14-FITC, α-CD16-PB, α-CD19-AF780, α-CD19-AF700, α-CD20-PO, α-CD25-PE-Cy7, α-CD40-APC, α-CD45-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BV605, α-CD62L-ECD, α-CD69-APC-Cy7, α-CD80-FITC, α-CD83-바이오틴, 스트렙타비딘-PE-Cy7, α-CD86-PE-Cy7, α-CD86-PE, α-CD123-PE, α-CD154-PE, α-CD161-PE, α-CTLA4-PE-Cy7, α-FoxP3-AF488(클론 259D), IgG1-아이소타입-AF488, α-ICOS (CD278)-PE, α-HLA-A2-PE, α-HLA-DR-PB, α-HLA-DR-PerCPCy5.5, α-PD1-APC, VISTA, 공통자극 분자 OX40, 및 CD137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4. 제22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관문 저해제는 니볼루맙, 펨브롤리주맙, 피딜리주맙, 이필리무맙, 다카바진, BMS 936559, 아테졸리주맙, 더발리무맙,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인 방법.
  4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폐암, 전립선암, 흑색종, 백혈병, 난소암, 위암, 신장 세포 암종, 간암, 췌장암, 림프종 및 골수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4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고형 종양 또는 혈액 암인 방법.
  47.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PD-1, PD-L1, 또는 PD-L2를 발현하는 임의의 세포를 가지지 않는 것인 방법.
KR1020177025140A 2015-02-12 2016-02-11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용도 KR20170117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5468P 2015-02-12 2015-02-12
US62/115,468 2015-02-12
US201562255259P 2015-11-13 2015-11-13
US62/255,259 2015-11-13
PCT/US2016/017602 WO2016130839A1 (en) 2015-02-12 2016-02-11 Use of plinabulin in combination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113A true KR20170117113A (ko) 2017-10-20

Family

ID=5661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140A KR20170117113A (ko) 2015-02-12 2016-02-11 면역 관문 저해제와 조합한 플리나불린의 용도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80028531A1 (ko)
EP (1) EP3256130A4 (ko)
JP (3) JP7243021B2 (ko)
KR (1) KR20170117113A (ko)
CN (2) CN117100753A (ko)
AU (3) AU2016219204B2 (ko)
BR (1) BR112017016902A2 (ko)
CA (1) CA2975729A1 (ko)
CL (1) CL2017002050A1 (ko)
HK (1) HK1247816A1 (ko)
IL (2) IL286282B2 (ko)
MX (2) MX2017010338A (ko)
MY (1) MY193968A (ko)
NZ (1) NZ734256A (ko)
RU (1) RU2723021C2 (ko)
SG (1) SG11201706281YA (ko)
WO (1) WO2016130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1654B2 (en) 2014-01-24 2019-10-15 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Research Institute Inc. SMC combin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BR112017018954A2 (pt) 2015-03-06 2018-05-15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uso de forma mutante de proteína ras e método para tratar câncer
CA2978679A1 (en) 2015-03-06 2016-09-15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treating a brain tumor
WO2016197204A1 (en) * 2015-06-11 2016-12-15 Bionomics Limited Pharmaceutical combination and uses thereof
CN113735834B (zh) 2015-07-13 2023-06-13 大连万春布林医药有限公司 普那布林组合物
IL260933B2 (en) 2016-02-08 2023-04-01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Preparations containing tocorsol or its analogues
TWI794171B (zh) 2016-05-11 2023-03-01 美商滬亞生物國際有限公司 Hdac抑制劑與pd-l1抑制劑之組合治療
TWI808055B (zh) 2016-05-11 2023-07-11 美商滬亞生物國際有限公司 Hdac 抑制劑與 pd-1 抑制劑之組合治療
KR20190015361A (ko) 2016-06-06 2019-02-13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호중구감소증을 줄이는 조성물 및 방법
JP7198666B2 (ja) 2016-08-26 2023-01-04 哲治 奥野 微小血管血流低減剤およびその利用
WO2018071792A1 (en) * 2016-10-14 2018-04-19 Merck Sharp & Dohme Corp. Combination of a pd-1 antagonist and eribulin for treating urothelial cancer
WO2018129381A1 (en) 2017-01-06 2018-07-12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Tubulin binding compounds and therapeutic use thereof
SG11201907023UA (en) 2017-02-01 2019-08-27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reducing neutropenia
NZ757213A (en) * 2017-03-13 2022-01-28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of plinabulin and use thereof
WO2019022501A1 (en) 2017-07-26 2019-01-31 Chong Kun Dang Pharmaceutical Corp.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A VASCULAR DISRUPTION AGENT AND AN IMMUNE CONTROL POINT INHIBITOR
CN111225670A (zh) * 2017-09-08 2020-06-02 大学健康网络 抑制Polo样激酶4的组合疗法
CN109498627B (zh) * 2017-09-15 2021-06-04 深圳华大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肿瘤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20200112881A (ko) * 2018-01-24 2020-10-05 비욘드스프링 파마수티컬스, 인코포레이티드. 플리나불린의 투여를 통해 혈소판감소증을 감소시키는 조성물 및 방법
JP2021525768A (ja) * 2018-06-01 2021-09-27 ビヨンドスプリング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gfr変異に関連する癌の治療組成物及び治療方法
CN108524442B (zh) * 2018-06-05 2022-01-28 深圳海王医药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肿瘤药物的注射剂及其制备方法
WO2020037285A1 (en) * 2018-08-16 2020-02-20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stimulating immune response
CN112955162B (zh) * 2018-11-01 2023-10-13 北卡罗莱纳州立大学 脂肪细胞介导的抗癌治疗剂的递送
CN110265095A (zh) * 2019-05-22 2019-09-20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佑安医院 用于hcc复发及rfs的预测模型和诺模图的构建方法及应用
CN112778155B (zh) * 2019-11-11 2023-08-11 大连万春布林医药有限公司 妥卡雷琐衍生物及其用途
EP4146216A4 (en) * 2020-05-04 2024-05-29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TRITHERAPY TO IMPROVE THE DESTRUCTION OF CANCER CELLS IN LOW IMMUNOGENICITY CANCERS
WO2022133492A1 (en) * 2020-12-18 2022-06-23 Beyondspring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ti-tumor immune response
JP2024513505A (ja) * 2021-04-09 2024-03-25 ビヨンドスプリング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腫瘍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CN113456643B (zh) * 2021-08-11 2022-04-01 遵义医科大学 一种含普那布林的药物组合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16688T2 (de) * 2002-08-02 2008-07-17 Nereus Pharmaceuticals, Inc., San Diego Dehydrophenylahistine und analoge davon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hydrophenylahistinen und analogen davon
AU2005212399B2 (en) * 2004-02-04 2011-09-22 Nereus Pharmaceuticals, Inc. Dehydrophenylahistins and analogs thereof and the synthesis of dehydrophenylahistins and analogs thereof
CN109485727A (zh) * 2005-05-09 2019-03-19 小野药品工业株式会社 程序性死亡-1(pd-1)的人单克隆抗体及使用抗pd-1抗体来治疗癌症的方法
US8569262B2 (en) * 2007-11-02 2013-10-29 Momenta Pharmaceuticals, Inc. Polysacchar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progenitor cell mobilization
US8449886B2 (en) * 2008-01-08 2013-05-2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ombination of anti-CTLA4 antibody with tubulin modulating agents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WO2011034954A1 (en) * 2009-09-15 2011-03-24 Cerulean Pharma Inc. Treatment of cancer
WO2011146382A1 (en) * 2010-05-17 2011-11-2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mproved immunotherapeutic dosing regimens and combinations thereof
WO2012035436A1 (en) * 2010-09-15 2012-03-22 Tokyo University Of Pharmacy And Life Sciences Plinabulin prodrug analogs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WO2013090552A1 (en) * 2011-12-13 2013-06-20 Yal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ctl exhaustion
WO2014066834A1 (en) * 2012-10-26 2014-05-01 The University Of Chicago Synergistic combination of immunologic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RU2019137208A (ru) * 2013-02-20 2020-02-19 Новартис Аг ЛЕЧЕНИЕ РА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ХИМЕРНОГО АНТИГЕНСПЕЦИФИЧЕСКОГО РЕЦЕПТОРА НА ОСНОВЕ ГУМ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EGFRvIII
WO2014195852A1 (en) * 2013-06-03 2014-12-11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Combinations of an anti-pd-l1 antibody and a mek inhibitor and/or a braf inhibitor
RU2662298C2 (ru) * 2013-10-11 2018-07-25 Бьёндспринг Инк. Лечение рака комбинацией плинабулина и таксан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90005A (ja) 2022-12-22
MX2022007472A (es) 2022-06-29
HK1247816A1 (zh) 2018-10-05
CL2017002050A1 (es) 2018-04-13
JP7157181B2 (ja) 2022-10-19
AU2016219204B2 (en) 2021-01-21
IL253784A0 (en) 2017-09-28
RU2723021C2 (ru) 2020-06-08
AU2021202416A1 (en) 2021-05-20
IL286282A (en) 2021-10-31
AU2016219204A1 (en) 2017-08-24
NZ750444A (en) 2021-03-26
IL253784B (en) 2021-09-30
IL286282B2 (en) 2023-10-01
IL286282B1 (en) 2023-06-01
CN117100753A (zh) 2023-11-24
EP3256130A1 (en) 2017-12-20
US20180028531A1 (en) 2018-02-01
JP2018508572A (ja) 2018-03-29
RU2017127966A (ru) 2019-03-12
SG11201706281YA (en) 2017-09-28
AU2024200672A1 (en) 2024-02-22
MY193968A (en) 2022-11-03
WO2016130839A1 (en) 2016-08-18
CN107427510A (zh) 2017-12-01
MX2017010338A (es) 2017-12-20
JP2021050247A (ja) 2021-04-01
AU2021202416B2 (en) 2024-02-15
EP3256130A4 (en) 2018-08-01
JP7243021B2 (ja) 2023-03-22
BR112017016902A2 (pt) 2018-03-27
RU2017127966A3 (ko) 2019-06-20
CA2975729A1 (en) 2016-08-18
NZ734256A (en)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7181B2 (ja) 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薬と併用するプリナブリンの使用
US11857522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tucaresol or its analogs
KR20230006568A (ko) 낮은 면역원성을 갖는 암에서 암세포 사멸을 강화하기 위한 삼중 병용 요법
JP2023036999A (ja) 免疫応答を調節するためのオキサビシクロヘプタン
JP6156604B1 (ja) Allergin−1アンタゴニストによるがん免疫増強剤
EP4240406A1 (en) Assessment of cancers for treatment with a cd33/cd3 bispecific t cell engager
EP3870161A1 (en) Guanabenz as an adjuvant for immunotherapy
WO2022250070A1 (ja) ウベニメクスと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剤の併用
NZ750444B2 (en) Use of plinabulin in combination with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CN117615761A (zh) 用于治疗肿瘤的治疗组合物和方法
TW202315631A (zh) 增強低免疫原性癌症中癌細胞毒殺的三聯療法
JP2024513505A (ja) 腫瘍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