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165A - 다공질 중공사막 - Google Patents

다공질 중공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165A
KR20170116165A KR1020177027000A KR20177027000A KR20170116165A KR 20170116165 A KR20170116165 A KR 20170116165A KR 1020177027000 A KR1020177027000 A KR 1020177027000A KR 20177027000 A KR20177027000 A KR 20177027000A KR 20170116165 A KR20170116165 A KR 20170116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porous hollow
columnar struc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663B1 (ko
Inventor
마사유키 하나카와
겐타 이와이
도시유키 이시자키
다모츠 기타데
마사히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3Pretreatment of the casting solutions, e.g. thermal treatment or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3Cas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01D67/00165Composition of the coagulation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8Thermally induced processes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7Details relating to the spinn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B01D71/34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0Specific pressure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1Fibril, or microfibri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0Chemical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2Melting point or glass-transition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4Molecular weight or degree of poly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을 유지하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다공질 중공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는 주상 조직을 갖고,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분자쇄가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Description

다공질 중공사막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본 발명은 음료수 제조, 공업용수 제조, 정수 처리, 배수 처리, 해수 담수화 등의 각종 수처리에 적합한 다공질 중공사막에 관한 것이다.
근년, 다공질막은 정수 처리, 배수 처리 등의 수처리 분야, 혈액 정화 등의 의료 용도, 식품 공업 분야, 전지용 세퍼레이터, 하전막, 연료 전지용 전해질막 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음료수 제조 분야 및 공업용수 제조 분야, 즉 정수 처리 용도, 배수 처리 용도 및 해수 담수화 용도 등의 수처리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모래 여과, 응집 침전, 증발법 등의 대체로서, 또는 처리 수질 향상을 위해 다공질막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들 분야에서는 처리수량이 크기 때문에, 다공질막의 투수 성능이 우수하면, 막 면적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장치가 콤팩트해지기 때문에 설비비를 절약할 수 있어, 막 교환비나 설치 면적의 점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수처리용 다공질막은,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분리 대상 물질의 크기에 따른 것이 사용된다. 통상, 자연수는 탁질 성분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수중의 탁질 성분 제거를 위한 정밀 여과막이나 한외 여과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수처리에서는, 투과수의 살균이나 분리막의 바이오파울링 방지의 목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의 살균제를 분리막 모듈 부분에 첨가하거나, 분리막의 약액 세정으로서, 염산, 시트르산, 옥살산 등의 산이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등의 알칼리, 염소, 계면 활성제 등으로 분리막을 세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를 위해, 근년에는 내약품성이 높은 소재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으로 대표되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사용한 분리막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 처리 분야에서는, 크립토스포리듐 등의 내염소성을 갖는 병원성 미생물이 음료수에 혼입된다는 문제가 20세기 종반부터 표면화되고 있으며, 다공질 중공사막에는 막이 끊어져 원수가 혼입되지 않을 높은 강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고투수성이고 또한 고강신도의 내약품성이 높은 다공질 중공사막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사용한 습식 용액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서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양용매에 용해한 중합체 용액을,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융점보다 상당히 낮은 온도에 있어서 구금으로부터 압출하고, 이 중합체 용액을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비용매를 포함하는 액체에 접촉시킴으로써 비용매 유기 상 분리에 의해 비대칭 다공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습식 용액법에서는, 막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 분리를 일으키기가 곤란하고, 매크로 보이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3차원 그물눈 구조의 막이 되기 때문에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막 구조나 막 성능에 영향을 주는 제막 조건 인자가 많으므로, 제막 공정의 제어가 어렵고, 재현성도 부족하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용융 추출법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2에는 이하의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불소 수지계 고분자에 무기 미립자와 유기 액상체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제막 원액을 얻는다. 이 제막 원액을,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구금으로부터 압출하여 냉각 고화한다. 그 후, 유기 액상체와 무기 미립자를 추출함으로써 다공 구조를 형성한다. 용융 추출법의 경우, 공공성의 제어가 용이하고, 매크로 보이드는 형성되지 않고 비교적 균질의 3차원 그물눈 구조의 막이 얻어진다. 그러나, 강도는 충분하지 않고, 또한 무기 미립자의 분산성이 나쁜 경우에는, 핀 홀과 같은 결함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용융 추출법은 제조 비용이 극히 높아진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3에도 용융 추출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의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사용하고, 가소제와 양용매를 첨가하고, 중공사막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냉각 고화 후에 가소제를 추출하고, 또한 연신함으로써 결정 배향부와 결정 비배향부의 혼재가 보이는 다공질 중공사막을 얻고 있다.
특허문헌 4에서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 및 그의 빈용매를 함유하고, 온도가 상 분리 온도 이상인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을 상 분리 온도 이하의 냉각욕에 토출하여 응고시켜 중공사막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직경이 0.9㎛ 이상 3㎛ 이하인 섬유상 조직이 다공질 중공사막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함으로써, 강도, 순수 투과 성능이 우수한 다공질 중공사막을 얻고 있다.
일본 특허 공고 평1-22003호 공보 일본 특허 제2899903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85539호 공보 국제 공개 제03/031038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7383호 공보
특허문헌 3의 다공질 중공사막에서는, 실용적인 순수 투과 성능을 유지하면서, 높은 강도를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4 및 5에서 얻어지는 다공질 중공사막도, 강도의 향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아직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내약품성이 높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사용하여,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을 유지하면서 높은 강도를 갖는 다공질 중공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1) 내지 (11)의 구성을 취한다.
(1)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며,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는 주상(柱狀) 조직을 갖고,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분자쇄가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하기 식 (1)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분자쇄의 배향도 π가 0.4 이상 1.0 미만인 다공질 중공사막.
배향도 π=(180°-H)/180° … (1)
(단, H는 광각 X선 회절상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강도 분포의 반값폭(°)임)
(2) 상기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가 0.5㎛ 이상 3㎛ 이하이고, 또한 해당 주상 조직의 애스펙트비가 3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3) 상기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이 0.60 이상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4) 상기 반값폭 H는, 광각 X선 회절 측정에 의한 폴리불화비닐리덴의 (110)면 유래의 결정 피크(2θ=20.4°)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의 반값폭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5)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1㎝ 간격의 측정점에서 광각 X선 회절 측정을 행하였을 때, 80% 이상의 상기 측정점에서, 상기 배향도 π가 0.4 이상 1.0 미만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6)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가 폴리불화비닐리덴이고, 라만 분광법에 의해 얻어지는 분자쇄의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가 3.0 이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7) 공극률이 50% 이상 80% 이하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8)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이고, 파단 강도가 25MPa 이상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9) 열 유기 상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
(10) 하기 1) 및 2)의 공정을 구비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부터, 열 유기 상 분리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또한 0.60 이상 1.00 미만의 굵기 균일성을 갖는 주상 조직을 갖는 다공질 중공사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1)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를 긴 변 방향으로 2.0배 이상 5.0배 이하로 연신하는 공정
(11) 상기 공정 1)의 열 유기 상 분리가 하기 a) 및 b)의 냉각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a) 상기 제막 원액을 Tc-30℃<Tb≤Tc를 충족하는 온도 Tb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b) 상기 제막 원액을 Tb1≤Tc-30℃를 충족하는 온도 Tb1의 냉각욕에 침지한 후, Tc-30℃<Tb2≤Tc를 충족하는 온도 Tb2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단, Tc는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의 결정화 온도임)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약품성이 높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에 의한 우수한 화학적 내구성을 구비하면서, 우수한 물리적 내구성과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을 겸비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2θ=20.4°에 있어서의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4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각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라만 배향 파라미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4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 1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다공질 중공사막
(1-1) 불소 수지계 고분자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란,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및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수지를 의미한다. 불소계 수지 고분자는, 복수 종류의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함유해도 된다.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 잔기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며, 전형적으로는 불화비닐리덴 단량체와 그 이외의 불소계 단량체 등과의 공중합체이다. 이러한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불화비닐, 사불화에틸렌, 육불화프로필렌, 삼불화염화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이상의 단량체와 불화비닐리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상기 불소계 단량체 이외의 예를 들어 에틸렌 등의 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요구되는 고분자 분리막의 강도와 투수 성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중량 평균 분자량이 커지면 투수 성능이 저하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면 강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상 100만 이하가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리막이 약액 세정에 노출되는 수처리 용도의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 70만 이하가 바람직하고, 15만 이상 60만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공질 중공사막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 중공사막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베이스로 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라고도 바꿔 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요소에 대해서도 「X가 Y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라고 하는 설명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X에 대하여 「Y를 베이스로 한다」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1-2) 분자쇄의 배향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분자쇄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또한, 분자쇄의 배향도 π는 0.4 이상 1.0 미만이다. 배향도 π는, 하기 식 (1)에 기초하여, 광각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얻어진 반값폭 H(°)로부터 산출된다.
배향도 π=(180°-H)/180° … (1)
(단, H는 광각 X선 회절상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강도 분포의 반값폭(°)임)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의 배향 및 그의 배향도 π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향도 π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이 연직으로 되도록 섬유 시료대에 설치한다. 또한,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이란, 중공사의 직경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며, 긴 변 방향이란, 짧은 변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또한, 짧은 변 방향은 중공면과 평행한 방향, 즉 중공면의 면 내 방향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고, 긴 변 방향은 중공면에 수직인 방향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X선 회절을 행하면, 디바이환(Debye-Scherrer ring)이라고 불리는 원환상의 회절상이 얻어진다. 무배향 시료에서는 디바이환을 따라 회절 강도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지만, 배향 시료에서는 디바이환 상에서의 강도 분포에 치우침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강도 분포로부터, 상기 식 (1)에 기초하여 배향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쇄가 무배향인 경우에는, 짧은 변 방향으로 2θ/θ 스캔하면(즉, 디바이환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강도 분포를 나타내는 회절 패턴을 얻으면), 회절각 2θ=20°부근의 위치에서 피크가 보인다. 이 때 얻어지는 회절 패턴의 횡축은 X선의 회절각 2θ이고, 종축은 회절 강도이다. 또한, 회절각 2θ를 이 피크 위치, 즉 20°부근에 고정하고, 시료를 방위각 β 방향으로 스캔함으로써, 횡축이 방위각 β를 나타내고, 종축이 회절 강도를 나타내는 회절 패턴(즉, 회절각 2θ=20°의 위치에 있어서의 디바이환의 원주 방향에 따른 회절 강도 분포)이 얻어진다. 무배향 시료에서는, 디바이환의 원주 방향 360°전체에 걸쳐, 회절 강도는 거의 일정하게 된다.
한편으로, 분자쇄가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경우에는, 2θ=20°부근의 디바이환 상에서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상당하는 방위각 상(즉, 적도 상)에, 강한 회절 강도가 보이고, 다른 부분에서는 작은 회절 강도가 얻어진다. 즉, 배향 시료에서는, 디바이환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강도 분포에서는, 무배향 시료와 마찬가지로 2θ=20°부근에서 회절 피크가 보이고,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분포에서는, 무배향 시료와 달리,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상당하는 방위각 상에 회절 피크가 관찰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은, 실시예 4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2θ=20.4°에 있어서의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 도면에서는 β=90°부근 및 270°부근에서 피크가 보인다.
디바이환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피크의 위치(즉, 회절 피크에 대응하는 2θ의 값)를, 이상의 설명에서는 「20°부근」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2θ의 값은, 고분자의 구조, 배합에 따라 상이하며, 15 내지 25°의 범위로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α 결정 또는 β 결정을 갖는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에 대하여 X선 회절을 행하면, 2θ=20.4°부근에서, α 결정 또는 β 결정의 (110)면, 즉 분자쇄와 평행한 면으로부터 유래하는 회절 피크가 보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절각 2θ의 값을 고정하고, 또한 방위각 방향(원주 방향)으로 0°부터 360°까지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가 얻어진다. 이 강도 분포는, 회절상에 있어서의 결정 피크를 그의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라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방위각 180°(긴 변 방향)의 강도와 방위각 90°(짧은 변 방향)의 강도의 비가 0.80 이하로 되는 경우, 또는 1.25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피크가 존재한다고 간주하고, 이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에 있어서, 피크 높이의 절반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반값폭 H)을 구한다.
이 반값폭 H를 상기 식 (1)에 대입함으로써 배향도 π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4 이상 1.0 미만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0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0 미만이다. 배향도 π가 0.4 이상임으로써, 다공질 중공사막의 기계적 강도가 커진다. 또한, 배향도 π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1㎝ 간격의 측정점에서 광각 X선 회절 측정을 행하였을 때, 80% 이상의 측정점에서, 0.4 이상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 피크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에서, 방위각 180°의 강도와 방위각 90°의 강도의 비가 0.80 초과 1.25 미만의 범위로 되는 경우에는, 피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즉, 이 경우에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는 무배향이라고 판단한다.
중공사막이 폴리불화비닐리덴의 α 결정 또는 β 결정을 함유하는 경우, 반값폭 H는, 광각 X선 회절 측정에 의한 폴리불화비닐리덴의 α 결정 또는 β 결정의 (110)면 유래의 결정 피크(2θ=20.4°)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자쇄의 배향은, 라만 분광법에 의한 배향 해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우선,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을 따르는 단면에 있어서, 마이크로톰에 의한 절삭을 행함으로써, 다공질 중공사막을 절편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절편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주상 조직을 확인하면서, 주상 조직의 긴 변 방향을 따라, 1㎛ 간격으로 레이저 라만 측정을 행한다. 하나의 주상 조직에 있어서의 측정점의 수는, 후술하는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를 1㎛로 나눈 값(소수점 이하 버림)으로 한다. 예를 들어,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가 20.5㎛일 때에는, 측정점 수는 20점이 된다.
예를 들어, 불소 수지계 고분자가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인 경우, 1270㎝-1 부근의 라만 밴드는, CF2(플루오로카본) 신축 진동과 CC(탄소-탄소) 신축 진동의 커플링 모드에 귀속된다. 이들 진동의 진동 방향은, 분자쇄에 대하여 평행한 모드이다. 한편으로, 840㎝-1 부근의 라만 밴드의 진동 방향은 분자쇄에 대하여 수직이다. 라만 산란은 분자쇄의 진동 방향과 입사광의 편광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 강하게 얻어진다는 점에서, 이들 진동 모드의 산란 강도의 비는 배향도와 상관하여 변화한다.
이 때문에, 배향 파라미터를, 하기 식 (2)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배향 파라미터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의 배향이 높을수록 큰 값이 되며, 무배향 시에는 1, 짧은 변 방향으로의 배향이 높으면 1보다 작은 값을 나타낸다.
배향 파라미터=(I1270/I840) 평행/(I1270/I840) 수직 … (2)
식 (2)에 있어서,
평행 조건: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과 편광 방향이 평행
수직 조건: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과 편광 방향이 직교
I1270 평행: 평행 조건 시의 127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1270 수직: 수직 조건 시의 127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840 평행: 평행 조건 시의 84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840 수직: 수직 조건 시의 840㎝-1의 라만 밴드의 강도이다.
다공질 중공사막 하나에 대하여, 후술하는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의 대표값의 0.5배 내지 1.5배의 범위에서, 10개의 상이한 주상 조직을 선정하고, 각각에 대하여 레이저 라만 측정을 행하고, 각 측정점의 배향 파라미터를 식 (2)에 의해 산출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로 한다. 또한, 하나의 주상 조직의 측정점 중에서, 가장 큰 배향 파라미터와 가장 작은 배향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조작을, 10개의 상이한 주상 조직에 대하여 행하여, 선택된 10개의 가장 큰 배향 파라미터와 10개의 가장 작은 배향 파라미터에 대하여, 각각 평균값을 구하고, 최대 라만 배향 파라미터 M, 최소 라만 배향 파라미터 m으로 하여, M/m을 산출한다. 고정밀도로,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 최대 라만 배향 파라미터 M, 최소 라만 배향 파라미터 m, M/m을 구하기 위해, 20개의 상이한 주상 조직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3.0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7 이상이다.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가 3.0 이상임으로써, 다공질 중공사막의 강도가 커진다.
최대 라만 배향 파라미터 M, 최소 라만 배향 파라미터 m은, 각각 주상 조직에 있어서의 주된 배향 개소와 연신 시의 역점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강도, 신도, 투수성 등의 성능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M이나 m을 적절한 범위로 하면 되지만, M/m이 클수록, 분자쇄의 배향이 진행되어, 다공질 중공사막의 강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M/m은 3 이상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각 X선 회절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배향도 π는, 다공질 중공사막 전체의 분자쇄의 배향을 나타내고, 라만 분광법에 의해 구해지는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주상 조직에 초점을 맞춘 경우의 분자쇄의 배향, 즉 국소적인 분자쇄의 배향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다공질 중공사막 전체 및 국소의 분자쇄가 모두 강하게 배향되어 있으면, 다공질 중공사막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배향도 π가 0.6 이상 1.0 미만의 범위이고, 또한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가 3.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배향도 π가 0.7 이상 1.0 미만의 범위이고, 또한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가 3.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2) 주상 조직
(a) 치수
다공질 중공사막은,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는 주상 조직을 갖는다. 「주상 조직」이란, 일방향으로 긴 형상의 고형물이다. 주상 조직의 애스펙트비(긴 변 길이/짧은 변 길이)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긴 변 길이」란 주상 조직의 긴 변 방향의 길이를 가리킨다. 또한, 「짧은 변 길이」란 주상 조직의 짧은 변 방향의 평균 길이이다.
긴 변 길이 및 짧은 변 길이는,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을 따라 중공사막을 절단한다. 얻어진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관찰한다. 배율은, 주상 조직의 길이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시야 내에 5개, 바람직하게는 10개의 주상 조직 전체가, 그 긴 변 방향에 걸쳐 포함되는 정도로 한다. 하나의 주상 조직에 있어서, 긴 변 방향의 길이에 변동이 보이는 경우에는, 긴 변 길이로서, 긴 변 방향의 최대 길이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짧은 변 길이는, 하나의 주상 조직에 있어서의 소정수의 임의의 측정점에 있어서 각 짧은 변 방향의 길이를 계측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측정점 수는, 긴 변 길이(㎛)를 1㎛로 나눈 값(소수점 이하 버림)이다. 예를 들어,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가 20.5㎛일 때에는, 측정점 수는 20점이 된다. 단, 이 값이 21 이상이 된 경우에는, 임의의 20개소를 측정하면 된다.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또한,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는, 예를 들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는 0.5㎛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변 길이가 상기 범위이면, 높은 강도 성능과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가 0.5㎛ 이상임으로써, 주상 조직 자체의 물리적 강도가 커지므로, 높은 강도가 얻어진다. 또한,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가 3㎛ 이하임으로써, 주상 조직 간의 공극이 커지므로, 양호한 순수 투과 성능이 얻어진다.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는, 0.7㎛ 이상 2.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의 대표값 및 짧은 변 길이의 대표값의 바람직한 범위는, 각각 상술한 개개의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 및 짧은 변 길이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또한, 각 대표값이 그 범위 내에 있는 것의 효과에 대해서는, 개개의 주상 조직의 치수가 그 범위에 있는 경우의 효과에 대한 설명이 적용된다.
긴 변 길이의 대표값은, 이하와 같이 측정한다. 긴 변 길이의 측정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공사막에 있어서의 3개소, 바람직하게는 5개소의 위치에서, 1개소당 5개, 바람직하게는 10개의 주상 조직에 대하여, 긴 변 길이를 측정한다. 얻어진 긴 변 길이의 값에 대하여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의 대표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변 길이의 대표값은, 긴 변 길이의 대표값의 측정의 대상으로 한 주상 조직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변 길이(평균값으로서 산출됨)를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긴 변 길이의 대표값 및 짧은 변 길이의 대표값으로부터 산출되는 주상 조직의 애스펙트비의 대표값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가 0.5㎛ 이상 3㎛ 이하이고, 또한 주상 조직의 애스펙트비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b) 굵기 균일성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부터 중공사를 형성하고, 그 중공사를 연신함으로써 제조 가능하다. 편의상, 연신 전의 상태를 「중공사」라고 칭하고, 연신 후의 상태를 「중공사막」이라고 칭한다.
연신 후의 중공사막에 있어서의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후술하는 평균값 D)은, 0.60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90 이상이다. 굵기 균일성은 최대 1.0이지만, 주상 조직은 1.0 미만의 굵기 균일성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중공사막에 있어서, 주상 조직이 높은 굵기 균일성을 갖는 것, 즉 주상 조직의 잘록한 부분이 적음으로써, 중공사막의 신도가 높아진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이 높은 신도를 유지하고 있으면, 급격한 하중이 걸렸을 때에도 실이 끊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공질 중공사막의 파단 신도는,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굵기 균일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상 조직의 각 짧은 변 방향의 길이의 변동이 작을수록, 주상 조직은 잘록한 부분이 적고, 굵기의 균일성이 높아지고, 이상적인 원기둥에 근접한다.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은,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평행한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비교함으로써 구해진다.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서로 평행한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선정한다. 제1 면과 제2 면의 거리는 5㎛로 한다. 우선,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과 공극 부분을 구별하고, 수지 부분 면적과 공극 부분 면적을 측정한다. 이어서, 제1 단면을 제2 단면에 투영하였을 때, 제1 단면에 있어서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과 제2 단면에 있어서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겹치는 부분의 면적, 즉 겹침 면적을 구한다. 하기 식 (3) 및 (4)에 기초하여, 하나의 중공사막에 대하여 임의의 20조의 제1 단면과 상기 제2 단면에 대하여, 굵기 균일성 A 및 B를 각각 구한다.
굵기 균일성 A=(겹침 면적)/(제2 단면의 수지 부분 면적) … (3)
굵기 균일성 B=(겹침 면적)/(제1 단면의 수지 부분 면적) … (4)
즉, 하나의 중공사막에 대하여, 20조의 굵기 균일성 A, B가 얻어진다. 이 값이 클수록, 주상 조직의 굵기가 균일함을 의미한다. 이어서, 각각의 조에 대하여, 굵기 균일성 A와 B의 평균값 C를 산출한다. 즉, 하나의 중공사막에 대하여, 20개의 평균값 C가 얻어진다. 이 평균값 C에 대하여, 또 평균값 D를 산출한다. 이 평균값 D가, 이 중공사막의 굵기 균일성이다.
또한, 하나의 중공사막에 대하여 산출된 20개의 평균값 C 중, 80% 이상이 0.60 이상인 경우에, 이 중공사막은 주상 조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굵기 균일성의 측정 시에는, 수지 부분과 공극 부분을 명료하게 구별하기 위해, 미리, 다공질 중공사막을 에폭시 수지 등으로 수지 포매하고, 에폭시 수지 등을 오스뮴 등으로 염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포매ㆍ염색 처리에 의해, 공극 부분이 에폭시 수지 등으로 메워지고, 후술하는 집속 이온 빔에 의한 단면 가공 시에,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부분과, 공극 부분(즉, 에폭시 수지 부분)을 명료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되므로, 관찰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평행한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얻기 위해, 집속 이온 빔(FIB)을 구비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평행한 면을, FIB를 사용하여 잘라내고, FIB에 의한 절삭 가공과 SEM 관찰을,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을 향하여 50nm 간격으로 반복하여 200회 실시한다. 이러한 연속 단면 관찰에 의해, 10㎛ 깊이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중에서, 5㎛의 간격을 갖는 서로 평행한 면이 되는 임의의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선택하고, 상술한 식 (3) 및 (4)를 사용하여 굵기 균일성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관찰 배율은, 주상 조직 및 구상 조직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율이면 되며, 예를 들어 1000 내지 5000배를 사용하면 된다.
(c) 조성
주상 조직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한다. 주상 조직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상 조직에 있어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주상 조직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꿔 말하면, 다공질 중공사막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고형분을 갖고 있으며, 그 고형분의 적어도 일부가 주상 조직을 구성하고 있다.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고형분은, 그의 모두가 주상 조직을 구성하고 있어도 되고, 그의 일부가 주상 조직에 해당하지 않는 형상을 가져도 된다.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고형분 중, 주상 조직을 구성하는 고형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 중공사막에 있어서의 주상 조직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주된 구조가 주상 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주상 조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80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중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 중공사막은 주상 조직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중공사막은, 그의 주된 구조로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주상 조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 중공사막은 주상 조직의 집합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는」이란, 주상 조직의 긴 변 방향과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예각의 각도가 20도 이내임을 의미한다.
(1-3) 공극률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높은 순수 투과 성능과 높은 강도를 양립하기 위해, 공극률은 40% 이상 90%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 7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40% 미만이면 순수 투과 성능이 낮아지고, 90%를 초과하면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수처리용 다공질 중공사막으로서의 적성을 결여한다. 다공질 중공사막의 공극률은, 상술한 단면에 있어서의 수지 부분 면적과 공극 부분 면적을 사용하여, 하기 식 (5)에 의해 구해진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임의의 20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점 이상의 단면에 대하여 공극률을 구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률(%)={100×(공극 부분 면적)}/{(수지 부분 면적)+(공극 부분 면적)} … (5)
(1-4) 기타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주상 조직 이외의 조직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주상 조직 이외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애스펙트비(긴 변 길이/짧은 변 길이)가 3 미만인 구상 조직을 들 수 있다. 구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 및 긴 변 길이는, 0.5㎛ 이상 3㎛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상 조직을 사용하는 경우에, 그 짧은 변 길이 및 긴 변 길이가 상기 범위이면, 다공질 중공사막의 강도의 저하가 억제되고, 또한 양호한 순수 투과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애스펙트비가 3 미만인 구상 조직이 다공질 중공사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 구상 조직끼리의 연결이 증가하고, 잘록한 부분이 증가해 가기 때문에, 고배율 연신이 곤란해지고, 또한 연신 후의 신도 유지가 곤란해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구상 조직이 다공질 중공사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하며, 20% 미만이 바람직하고, 10% 미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1% 미만으로 거의 없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여기서 각 조직의 점유율(%)은,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에 대하여, SEM 등을 사용하여 주상 조직 및 구상 조직을 명료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율,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배로 사진을 촬영하여, 하기 식 (6)에 의해 구해진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임의의 20개소 이상, 바람직하게는 30개소 이상의 단면에 대하여 점유율을 구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유율(%)={(각 조직이 차지하는 면적)/(사진 전체의 면적)}×100 … (6)
여기서, 사진 전체의 면적 및 조직이 차지하는 면적은, 사진 촬영된 각 조직의 대응하는 중량으로 치환하여 구하는 방법 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사진을 종이에 인쇄하고, 사진 전체에 대응하는 종이의 중량 및 거기에서 잘라낸 조직 부분에 대응하는 종이의 중량을 측정하면 된다. 또한, SEM 등에 의한 사진 촬영에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포매ㆍ염색 처리, FIB에 의한 절삭 가공을 실시하면, 관찰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주상 조직을 갖는 층과,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이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단, 주상 조직을 갖는 층에 비하여,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본 발명의 목적ㆍ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주상 조직을 갖는 층의 두께에 대한 다른 구조를 갖는 층의 두께의 비는, 0.3 이하가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이고, 파단 강도가 25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이고, 파단 강도가 30MPa 이상이다. 특히, 높은 순수 투과 성능과 높은 강도 성능을 양립시킨 고성능의 중공사막으로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 5.0㎥/㎡/hr 이하이고, 파단 강도가 25MPa 이상 70MPa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 5.0㎥/㎡/hr 이하이고, 파단 강도가 30MPa 이상 70MPa 이하인 범위이다.
순수 투과 성능의 측정은, 다공질 중공사막 4개를 포함하는 길이 200mm의 미니어처 모듈을 제작하여 행한다. 온도 25℃, 여과 차압 16kPa의 조건 하에, 역침투막 여과수의 외압 전체 여과를 10분간 행하여, 투과량(㎥)을 구한다. 그 투과량(㎥)을 단위 시간(h) 및 유효막 면적(㎡)당 값으로 환산하고, 또한 (50/16)배함으로써, 압력 50kPa에 있어서의 값으로 환산함으로써 순수 투과 성능을 구한다.
파단 강도와 파단 신도의 측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 길이 50mm의 시료를 인장 속도 50mm/분으로 인장 시험을, 시료를 바꾸어 5회 이상 행하여, 파단 강도의 평균값과 파단 신도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다공질 중공사막은, 음료수 제조, 공업용수 제조, 정수 처리, 배수 처리, 해수 담수화 등의 각종 수처리에 충분한 순수 투과 성능, 강도, 신도를 갖는다.
2.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공질 중공사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예시한다.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은, 적어도
1)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부터, 열 유기 상 분리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또한 0.60 이상 1.00 미만의 굵기 균일성을 갖는 주상 조직을 갖는 중공사를 형성하는 공정, 및
2) 상기 1)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를 긴 변 방향으로 2.0배 이상 5.0배 이하로 연신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2-1) 제막 원액의 조정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을 조정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빈용매 또는 양용매에, 결정화 온도 이상의 비교적 고온에서 용해함으로써,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즉,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을 제조한다.
제막 원액 중의 고분자 농도가 높으면, 높은 강도를 갖는 다공질 중공사막이 얻어진다. 한편으로, 고분자 농도가 낮으면, 다공질 중공사막의 공극률이 커져, 순수 투과 성능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농도는, 20중량% 이상 6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빈용매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60℃ 이하의 저온에서는 5중량% 이상 용해시킬 수 없지만, 60℃ 이상 또한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융점 이하(예를 들어, 고분자가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178℃ 정도)의 고온 영역에서는 5중량%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이다. 양용매란, 60℃ 이하의 저온 영역에서도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5중량% 이상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이며, 비용매란,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융점 또는 용매의 비점까지,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용해도 팽윤도 시키지 않는 용매로 정의한다.
여기서,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빈용매로서는,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γ-부티로락톤, 메틸이소아밀케톤,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디메틸술폭시드 등 및 그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양용매로서는,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메틸요소, 인산트리메틸 등 및 그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비용매로서는, 물, 헥산, 펜탄, 벤젠, 톨루엔, 메탄올, 에탄올, 사염화탄소, o-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탄디올, 헥산디올,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다가 알코올, 방향족 다가 알코올, 염소화 탄화수소, 또는 그 밖의 염소화 유기 액체 및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2-2) 중공사의 형성
중공사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상 분리를 유기하는 열 유기 상 분리법을 이용하여,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부터 중공사를 얻는다. 후술하는 2.0배 이상의 고배율 연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중공사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는 주상 조직을 갖고, 또한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은 0.60 이상 1.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의 하한은, 0.7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8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9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 유기 상 분리법에는, 주로 2종류의 상 분리 기구가 이용된다. 하나는 고온 시에 균일하게 용해된 고분자 용액이, 강온 시에 용액의 용해 능력 저하가 원인으로 고분자 농후상과 고분자 희박상으로 분리되고, 그 후 구조가 결정화에 의해 고정되는 액-액상 분리법이다. 또 하나는 고온 시에 균일하게 용해된 고분자 용액이, 강온 시에 고분자의 결정화가 일어나 고분자 고체상과 용매상으로 상 분리되는 고-액상 분리법이다.
전자의 방법에서는 주로 3차원 그물눈 구조가, 후자의 방법에서는 주로 구상 조직으로 구성된 구상 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중공사막의 제조에서는, 후자의 상 분리 기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고-액상 분리가 유기되는 고분자 농도 및 용매가 선택된다. 전자의 상 분리 기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주상 조직을 발현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것은 구조가 고정되기 전의 상 분리로 중합체 농후상은 매우 미세한 상을 형성하여, 주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제막 원액을 다공질 중공사막 방사용의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면서, 중공부 형성 액체를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토출된 제막 원액을 냉각욕 중에서 냉각 고화함으로써, 다공질 중공사막을 얻는다.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은, 구금으로부터 토출되기 전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특정한 온도 조건 하에 일정 시간 놓인다. 압력은 0.5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용액의 온도 T는, Tc+35℃≤T≤Tc+60℃를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c+40℃≤T≤Tc+55℃를 충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c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이다. 이 압력 및 온도 하에서 상기 고분자 용액이 유지되는 시간은,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초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용액을 구금에 보내는 송액 라인의 어느 개소에, 고분자 용액을 체류시키는 체류부가 설치되어 있고, 체류된 고분자 용액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체류된 고분자 용액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 수단(예를 들어 가열 수단)이 마련된다. 가압 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송액 라인에 2개 이상의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어느 개소에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로서는 피스톤 펌프, 플런저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윙 펌프, 기어 펌프, 로터리 펌프, 스크루 펌프 등을 들 수 있으며, 2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이 공정에 의해 결정화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에서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결정의 성장이 이방성을 갖고, 등방적인 구상 구조가 아니라, 다공질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조직이 발현되고, 그 결과, 주상 구조가 얻어진다고 추측된다.
여기서,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 Tc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불소 수지계 고분자와 용매 등 제막 고분자 원액 조성과 동일 조성의 혼합물을 밀봉식 DSC 용기에 밀봉하고, 승온 속도 10℃/min으로 용해 온도까지 승온하고 30분 유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에, 강온 속도 10℃/min으로 강온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결정화 피크의 상승 온도가 Tc이다.
이어서,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을 냉각하는 냉각욕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욕에는, 농도가 50 내지 95중량%인 빈용매 혹은 양용매와, 농도가 5 내지 50중량%인 비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빈용매로서는 고분자 용액과 동일한 빈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또한, 중공부 형성 액체에는, 냉각욕과 마찬가지로, 농도가 50 내지 95중량%인 빈용매 혹은 양용매와, 농도가 5 내지 50중량%인 비용매를 포함하는 혼합 액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빈용매로서는 고분자 용액과 동일한 빈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여기서, 잘록한 부분을 다수 갖는 섬유상 조직이 아니라, 균일한 굵기를 갖는 주상 조직으로 하기 위해,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은, 계면 에너지의 높은 잘록한 부분의 소실로 이어져, 에너지적으로 안정화되기 때문에, 잘록한 부분 이외의 성장보다도 우선적으로 생기게 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굵기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열 유기 상 분리가 하기 a) 및 b)의 냉각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a) 상기 제막 원액을 Tc-30℃<Tb≤Tc를 충족하는 온도 Tb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b) Tb1≤Tc-30℃를 충족하는 온도 Tb1의 냉각욕에 침지한 후, Tc-30℃<Tb2≤Tc를 충족하는 온도 Tb2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단, Tc는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의 결정화 온도임)
본 발명에 있어서, 방법 a)로서, 냉각욕 중에서의 냉각 고화를 상기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 부근에서 행함으로써, 냉각 고화를 서서히 진행시킴을 알아냈다. 이 경우, 냉각욕의 온도를 Tb,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를 Tc라고 하였을 때, Tc-30℃<Tb≤Tc를 충족하도록 하는 것이며, Tc-20℃<Tb≤Tc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욕의 통과 시간(즉, 냉각욕으로의 침지 시간)은,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을 포함하는 열 유기 상 분리가 완결되는 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중공사막 수, 방사 속도, 욕비, 냉각 능력 등을 감안하여 실험적으로 결정하면 된다.
단, 굵기 균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냉각욕의 온도의 범위에 있어서 통과 시간을 가능한 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방법 b)로서 2단계 이상의 냉각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냉각 공정은, 과냉각도를 높여 결정핵 생성ㆍ성장을 촉진하는 제1 냉각욕을 사용하여 냉각하는 스텝과, 그 후,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을 촉진하는 제2 냉각욕을 사용하여 냉각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냉각욕에 의한 냉각 스텝은,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이, 주로 상 분리의 구조 조대화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생긴다고 하는 현상을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불소 수지 고분자 용액을 냉각하는 제1 냉각욕의 온도 Tb1이, Tb1≤Tc-30℃를 만족함으로써, 과냉각도를 높여 결정핵의 생성 및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제2 냉각욕의 온도 Tb2를 결정화 온도 부근의 온도로 함으로써(구체적으로는, Tc-30℃<Tb2≤Tc, 보다 바람직하게는 Tc-20℃<Tb2≤Tc를 충족하도록 함으로써), 잘록한 부분에 대한 고분자 도입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Tc는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이다.
각각의 냉각욕의 통과 시간은 변경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제1 냉각욕의 통과 시간을 1초 이상 2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3초 이상 15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이상 10초 이하로 하고, 제2 냉각욕의 통과 시간을 1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0.60 미만의 굵기 균일성을 갖는 조직을, 주상 조직과 구별하기 위해, 「섬유상 조직」이라고 칭하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97383호 공보(특허문헌 5)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섬유상 조직을 갖는 중공사막이다. 이러한 섬유상 조직을 갖는 다공질 중공사막은, 강도 및 순수 투과 성능이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이것을 연신함으로써 고강도화를 도모하였다. 그러나, 균일하게 연신할 수 없어, 고강도화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용으로 사용되는 다공질막은, 물을 투과시키기 위한 공극부를 다수 갖고, 연신 시에는, 공극부를 기점으로 하여 조직의 파괴가 진행되기 때문에, 연신 그 자체가 매우 어렵다. 특히, 다공질 중공사막이, 비용매 유기 상 분리나 열 유기 상 분리의 원리를 이용하는 건습식 방사에 의해 얻어지는 상 분리 다공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미세한 공극이 다수 존재하고, 공극률이 높기 때문에, 이 경향이 현저하다.
특허문헌 5에 있어서의 섬유상 조직을 갖는 다공질막의 경우에는,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상 조직에 의해, 연신 시의 응력이 분산되어, 2.0배 미만으로 저배율이기는 하지만 연신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2.0배 이상의 고배율 연신을 균일하게 실시하는 것은 아직 곤란하며, 그 원인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섬유상 조직은, 잘록한 부분이 많아, 연신 시에, 이 잘록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잘록한 부분이 우선적으로 연신되어 버려, 섬유상 조직 전체를 균일하게 연신할 수 없으므로 연신 배율을 높일 수 없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잘록한 부분을 다수 갖는 섬유상 조직도 아니고,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그물눈 구조도 아니고, 특허문헌 4에 기재된 구상 구조도 아니고, 균일한 굵기를 갖는 주상 조직을 갖는 중공사라면, 주상 조직 전체를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2.0배 이상의 고배율 연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균일하고 또한 고배율 연신에 의해,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분자쇄를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연신 배향시키는 데 성공하고,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을 유지하면서 고강도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2-3) 연신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주상 조직을 갖는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을 고배율 연신함으로써, 해당 고분자의 분자쇄를 해당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시킨다.
연신 배율은 2.0 내지 5.0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배이다. 연신 배율이 2.0배 미만인 경우, 연신에 의한 분자쇄의 배향이 충분하지 않고, 5.0배를 초과하면 신도의 저하가 커진다.
연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이며, 60℃ 미만의 저온 분위기에서 연신한 경우, 안정되고 균질하게 연신하기가 곤란하다. 14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연신한 경우,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융점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구조 조직이 융해되어 순수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연신은, 액체 중에서 행하면, 온도 제어가 용이하여 바람직하지만, 스팀 등의 기체 중에서 행해도 된다. 액체로서는 물이 간편하여 바람직하지만, 90℃ 정도 이상에서 연신하는 경우에는, 저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성값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1) 순수 투과 성능
다공질 중공사막 4개를 포함하는 유효 길이 200mm의 소형 모듈을 제작하였다. 이 모듈에, 온도 25℃, 여과 차압 16kPa의 조건에서, 1시간에 걸쳐 증류수를 송액하여 얻어진 투과수량(㎥)을 측정하고, 단위 시간(h) 및 단위막 면적(㎡)당 수치로 환산하고, 또한 압력(50kPa) 환산하여 순수 투과 성능(㎥/㎡/h)으로 하였다. 또한, 단위막 면적은 평균 외경과 다공질 중공사막의 유효 길이로부터 산출하였다.
(2) 파단 강도, 파단 신도
인장 시험기(TENSILON(등록 상표)/RTM-100, 도요 볼드윈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측정 길이 50mm의 시료를 인장 속도 50mm/분으로, 시료를 바꾸어 5회 이상 시험하여, 파단 강도, 파단 신도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산출하였다.
(3)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이 연직으로 되도록 섬유 시료대에 설치하고, X선 회절 장치(Rigaku사제, 고분자용 SmartLab, CuKα선)를 사용하여, X선 회절 측정(2θ/θ 스캔, β 스캔)을 행하였다. 우선, 2θ/θ 스캔으로, 2θ=20.4°에 피크 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β 스캔으로, 2θ=20.4°의 회절 피크에 대하여, 방위각 방향으로 0°부터 360°까지의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를 얻었다. 여기서, 방위각 180°의 강도와 방위각 90°의 강도의 비가 0.80 이하, 또는 1.25 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피크가 존재한다고 간주하고, 이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에 있어서, 피크 높이의 절반의 위치에 있어서의 폭(반값폭 H)을 구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배향도 π를 산출하였다. 또한, β 스캔에 있어서의 강도의 극소값이 0°와 180°부근에 보였기 때문에, 이들을 통과하는 직선을 베이스 라인으로 하였다.
배향도 π=(180°-H)/180° … (1)
(4)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
다공질 중공사막 중의 폴리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의 배향 파라미터를 이하의 조작에 의해 구하였다.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을, 마이크로톰에 의한 절삭에 의해 절편화하였다. 다공질 중공사막 1개당 10개의 주상 조직을 선택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주상 조직을 확인하면서, 각각의 주상 조직에 대하여, 그의 긴 변 방향을 따라, 1㎛ 간격으로 레이저 라만 분광법에 의해 산란 강도의 측정을 행하였다.
각각의 배향 파라미터를 식 (2)에 의해 산출하고, 각 배향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로 하였다. 또한, 10개의 상이한 주상 조직 중에서, 가장 큰 배향 파라미터와 가장 작은 배향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그것들에 대하여 각각 평균값을 구하고, 최대 라만 배향 파라미터 M, 최소 라만 배향 파라미터 m으로 하여, M/m을 산출하였다.
배향 파라미터=(I1270/I840) 평행/(I1270/I840) 수직 … (2)
평행 조건: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과 편광 방향이 평행
수직 조건: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과 편광 방향이 직교
I1270 평행: 평행 조건 시의 127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1270 수직: 수직 조건 시의 127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840 평행: 평행 조건 시의 84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I840 수직: 수직 조건 시의 840㎝-1의 라만 밴드의 강도
레이저 라만 분광 장치 및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장치: Jobin Yvon/아타고 붓산 T-64000
조건: 측정 모드; 현미 라만
대물 렌즈; ×100
빔 직경; 1㎛
광원; Ar+ 레이저/514.5nm
레이저 파워; 100mW
회절 격자; Single 600gr/mm
슬릿; 100㎛
검출기; CCD/Jobin Yvon 1024×256
(5)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 짧은 변 길이
각 예에서 제작한 다공질 중공사막에 대하여, 그의 긴 변 방향을 따른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3000배로 촬영하였다.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임의로 10개의 주상 조직을 선택하고, 각각의 긴 변 길이, 짧은 변 길이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각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로서는, 긴 변 방향의 최대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주상 조직의 긴 변 길이를 1㎛로 나누어 소수점 이하를 버림으로써 얻어진 값을 측정점 수로 하고, 짧은 변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각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를 구하였다.
상기 촬영을 5개소에서 행하여, 각각 임의의 10개의 주상 조직에 대하여 긴 변 길이와 짧은 변 길이를 구하여, 합계 50개의 긴 변 길이와 합계 50개의 짧은 변 길이를 얻었다. 이어서, 합계 50개의 긴 변 길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긴 변 길이의 대표값으로 하고, 합계 50개의 짧은 변 길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짧은 변 길이의 대표값으로 하였다.
(6) 굵기 균일성
우선, 다공질 중공사막을 에폭시 수지로 수지 포매하고, 오스뮴 염색 처리함으로써, 공극 부분을 에폭시 수지로 메웠다. 이어서, 집속 이온 빔(FIB)을 구비한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평행한 면을, FIB를 사용하여 잘라내고, FIB에 의한 절삭 가공과 SEM 관찰을,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을 향하여 50nm 간격으로 반복하여 200회 실시하여, 10㎛ 깊이의 정보를 얻었다.
굵기 균일성은, 상기 FIB를 사용한 연속 단면 관찰에서 얻은 다공질 중공사막의 짧은 변 방향에 평행한 제1 단면과 제2 단면을 비교함으로써 구하였다. 여기서, 제1 단면과 제2 단면은, 5㎛의 간격을 갖는 서로 평행한 면이 되도록 20조를 선정하였다. 우선, 각각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과 공극 부분(에폭시 부분)을 구별하여, 수지 부분 면적과 공극 부분 면적을 구하고, 이어서 양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제1 단면을 제2 단면에 투영하였을 때, 제1 단면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과 제2 단면의 수지를 포함하는 부분이 겹치는 부분의 면적을 구하여, 겹침 면적으로 하였다. 굵기 균일성은, 하기 식 (3) 및 (4)에 의해 구해지는 굵기 균일성 A, B를 평균한 값으로서 산출하여, 20조의 평균값을 채용하였다. 또한, 16조 이상에서 굵기 균일성 0.60 이상으로 된 경우에 주상 조직을 갖는다고 하고, 15조 이하인 경우에는 섬유상 조직을 갖는다고 하였다.
굵기 균일성 A=(겹침 면적)/(제2 단면의 수지 부분 면적) … (3)
굵기 균일성 B=(겹침 면적)/(제1 단면의 수지 부분 면적) … (4)
(7) 공극률
공극률은, 「(6) 굵기 균일성」에서 얻은 20조의 제1 단면과 제2 단면, 즉 합계 40점의 단면으로부터, 임의의 20점의 단면에 대하여, 수지 부분 면적과 공극 부분 면적을 사용하여, 하기 식 (5)에 의해 구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공극률(%)={100×(공극 부분 면적)}/{(수지 부분 면적)+(공극 부분 면적)} … (5)
(8) 조직의 점유율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3000배로 임의의 20개소의 사진을 촬영하고, 하기 식 (6)에 의해 각각 구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채용하였다. 여기서 사진 전체의 면적 및 조직이 차지하는 면적은, 촬영된 사진을 종이에 인쇄하고, 사진 전체에 대응하는 종이의 중량 및 거기에서 잘라낸 조직 부분에 대응하는 종이의 중량으로서 각각 치환하여 구하였다.
점유율(%)={(각 조직이 차지하는 면적)/(사진 전체의 면적)}×100 … (6)
(9) 불소 수지계 고분자 용액의 결정화 온도 Tc
세이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DSC-6200을 사용하여, 불소 수지계 고분자와 용매 등 제막 고분자 원액 조성과 동일 조성의 혼합물을 밀봉식 DSC 용기에 밀봉하고, 승온 속도 10℃/min으로 용해 온도까지 승온하고, 30분 유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에, 강온 속도 10℃/min으로 강온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결정화 피크의 상승 온도를 결정화 온도 Tc로 하였다.
<실시예 1>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6중량%와 γ-부티로락톤 64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48℃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5℃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62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86%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4%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을 관찰한바, 주상 조직이 확인되었다. 또한, 다공질 중공사막에 있어서, 긴 변 길이의 대표값 16㎛, 짧은 변 길이의 대표값 2.2㎛, 굵기 균일성 0.61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5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61,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3.12, M/m은 3.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6중량%와 γ-부티로락톤 64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48℃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5℃의 제2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65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87%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3%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9㎛, 짧은 변 길이 1.8㎛, 굵기 균일성 0.66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1%,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77,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3.74, M/m은 4.2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8중량%와 γ-부티로락톤 62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51℃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35℃의 제2 냉각욕 중에 5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66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1%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9%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24㎛, 짧은 변 길이 1.6㎛, 굵기 균일성 0.66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59%,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85,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37, M/m은 5.0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8중량%와 γ-부티로락톤 62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51℃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35℃의 제2 냉각욕 중에 5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66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1%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9%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28㎛, 짧은 변 길이 1.3㎛, 굵기 균일성 0.62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1%,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89,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42, M/m은 5.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2θ=20.4°에 있어서의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를 도 1에, 다공질 중공사막의 각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라만 배향 파라미터를 도 2에,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 사진을 도 3에 각각 도시한다.
<실시예 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30℃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62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3%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7%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20㎛, 짧은 변 길이 2.1㎛, 굵기 균일성 0.61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4%,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66,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3.40, M/m은 3.5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15℃의 제2 냉각욕 중에 3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72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2%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8%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27㎛, 짧은 변 길이 1.7㎛, 굵기 균일성 0.69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4%,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86,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38, M/m은 5.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0℃의 제2 냉각욕 중에 5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72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5%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5%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35㎛, 짧은 변 길이 1.5㎛, 굵기 균일성 0.67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91,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62, M/m은 5.8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제1 냉각욕 중에 10초간 체류시키고, 이어서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0℃의 제2 냉각욕 중에 5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72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95%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5%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4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40㎛, 짧은 변 길이 1.1㎛, 굵기 균일성 0.63의 주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6%,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92,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76, M/m은 6.2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9>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를 15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 2만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3중량%, N-메틸-2-피롤리돈을 80중량%, 물을 2중량%의 비율로 95℃의 온도에서 혼합 용해하여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중합체 용액을, 실시예 2에서 연신 후에 얻어진 중공사막(외경: 1240㎛, 내경: 740㎛, 막 두께: 250㎛)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바로 수욕 중에서 응고시켜, 주상 조직을 갖는 층 상에 3차원 그물눈 구조(막 두께: 30㎛)를 포함하는 층을 형성시킨 다공질 중공사막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주상 조직을 갖는 층의 두께에 대한 3차원 그물눈 구조층의 두께는 0.12였다. 이 다공질 중공사막의 주상 조직을 갖는 층을 보면, 긴 변 길이 40㎛, 짧은 변 길이 1.1㎛, 굵기 균일성 0.63의 주상 조직을 갖고, 주상 조직 점유율은 87%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3%이고, 공극률이 66%,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4.75, M/m은 6.0이며, 3차원 그물눈 구조층을 형성시켜도 실시예 2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에 대한 배향도 π는 0.89이며, 3차원 그물눈 구조층을 형성시켜도 실시예 2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교예 1>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8중량%와 γ-부티로락톤 62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51℃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7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91%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9%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1.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5㎛, 짧은 변 길이 2.2㎛, 굵기 균일성 0.45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3%,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1, M/m은 1.0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2θ=20.4°에 있어서의 방위각 방향의 강도 분포를 도 1에,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의 단면 사진을 도 4에 각각 도시한다.
<비교예 2>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8중량%와 γ-부티로락톤 62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51℃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7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91%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9%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8㎛, 짧은 변 길이 1.7㎛, 굵기 균일성 0.42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3, M/m은 1.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8중량%와 γ-부티로락톤 62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51℃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5℃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7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91%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9%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3.5배로 연신한바, 실 끊어짐이 발생하여 연신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36중량%와 γ-부티로락톤 64중량%를 15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48℃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0.2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γ-부티로락톤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5℃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2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24%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76%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배로 연신한바, 실 끊어짐이 발생하여 연신할 수 없었다.
<비교예 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0℃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56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84%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6%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1.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8㎛, 짧은 변 길이 1.2㎛, 굵기 균일성 0.53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4%,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3, M/m은 1.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40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60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3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78 내지 80℃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0℃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56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84%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6%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22㎛, 짧은 변 길이 1.0㎛, 굵기 균일성 0.51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65%,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5, M/m은 1.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28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72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2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64 내지 66℃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0℃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2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88%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2%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1.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4㎛, 짧은 변 길이 1.2㎛, 굵기 균일성 0.41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71%,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4, M/m은 1.1이었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8>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28중량%와 디메틸술폭시드 72중량%를 13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의 Tc는 20℃였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2.0MPa로 가압하고, 64 내지 66℃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술폭시드 90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술폭시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0℃의 냉각욕 중에 2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굵기 균일성 0.42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섬유상 조직 점유율은 88%이고, 구상 조직 점유율은 12%였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5배로 연신하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은, 긴 변 길이 19㎛, 짧은 변 길이 0.8㎛, 굵기 균일성 0.37의 섬유상 조직을 갖고, 공극률이 73%,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분자쇄는 무배향,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는 1.06, M/m은 1.2였다. 연신 후의 다공질 중공사막의 구조와 성능을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9>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가부시키가이샤 구레하제 KF1300, 중량 평균 분자량: 41.7만, 수 평균 분자량: 22.1만) 15중량%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85중량%를 100℃에서 용해하였다. 이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 용액은, 디메틸아세트아미드가 불화비닐리덴 단독 중합체의 양용매이기 때문에, Tc를 갖지 않았다. 해당 용액을 2개의 기어 펌프를 설치함으로써, 그 사이의 라인 상에서 0.2MPa로 가압하고, 99 내지 101℃에서 20초간 체류시킨 후, 이중관식 구금의 외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동시에 디메틸아세트아미드 85중량% 수용액을 이중관식 구금의 내측의 관으로부터 토출하고, 디메틸아세트아미드 85중량% 수용액을 포함하는 온도 25℃의 냉각욕 중에 40초간 체류시켜 고화시켰다.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은, 구상 조직, 섬유상 조직, 주상 조직의 어느 것도 갖지 않고, 3차원 그물눈상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어서, 95℃의 수중에서, 상기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막을 2배로 연신한바, 실 끊어짐이 발생하여 연신할 수 없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4년 12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4-264345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약품성이 높은 불소 수지계 고분자에 의한 우수한 화학적 내구성을 구비하면서, 우수한 물리적 내구성과 높은 순수 투과 성능을 겸비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수처리 분야에 적용한 경우, 약품 세정을 행하면서 장기간 안정되게 여과를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이며,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는 주상 조직을 갖고,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의 분자쇄가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하기 식 (1)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분자쇄의 배향도 π가 0.4 이상 1.0 미만이고,
    배향도 π=(180°-H)/180° … (1)
    (단, H는 광각 X선 회절상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회절 강도 분포의 반값폭(°)임)
    50kPa, 25℃에 있어서의 순수 투과 성능이 0.7㎥/㎡/hr 이상이고, 파단 강도가 25MPa 이상인, 다공질 중공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상 조직의 짧은 변 길이가 0.5㎛ 이상 3㎛ 이하이고, 또한 해당 주상 조직의 애스펙트비가 3 이상인, 다공질 중공사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상 조직의 굵기 균일성이 0.60 이상인, 다공질 중공사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값폭 H는, 광각 X선 회절 측정에 의한 폴리불화비닐리덴의 (110)면 유래의 결정 피크(2θ=20.4°)를 원주 방향으로 스캔하여 얻어지는 강도 분포의 반값폭인, 다공질 중공사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중공사막의 긴 변 방향으로 1㎝ 간격의 측정점에서 광각 X선 회절 측정을 행하였을 때, 80% 이상의 상기 측정점에서, 상기 배향도 π가 0.4 이상 1.0 미만인, 다공질 중공사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가 폴리불화비닐리덴이고, 라만 분광법에 의해 얻어지는 분자쇄의 라만 배향 파라미터 ν가 3.0 이상인, 다공질 중공사막.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극률이 50% 이상 80% 이하인, 다공질 중공사막.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 유기 상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질 중공사막.
  9. 하기 1) 및 2)의 공정을 구비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1)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으로부터, 열 유기 상 분리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배향되고, 또한 0.60 이상 1.00 미만의 굵기 균일성을 갖는 주상 조직을 갖는 다공질 중공사를 형성하는 공정
    2) 상기 1)에서 얻어진 다공질 중공사를 긴 변 방향으로 2.0배 이상 5.0배 이하로 연신하는 공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1)의 열 유기 상 분리가 하기 a) 및 b)의 냉각 공정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a) 상기 제막 원액을 Tc-30℃<Tb≤Tc를 충족하는 온도 Tb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b) 상기 제막 원액을 Tb1≤Tc-30℃를 충족하는 온도 Tb1의 냉각욕에 침지한 후, Tc-30℃<Tb2≤Tc를 충족하는 온도 Tb2의 냉각욕에 침지하는 공정
    (단, Tc는 상기 불소 수지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제막 원액의 결정화 온도임)
KR1020177027000A 2014-12-26 2015-12-25 다공질 중공사막 KR101969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4345 2014-12-26
JPJP-P-2014-264345 2014-12-26
PCT/JP2015/086332 WO2016104743A1 (ja) 2014-12-26 2015-12-25 多孔質中空糸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01A Division KR101784141B1 (ko) 2014-12-26 2015-12-25 다공질 중공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165A true KR20170116165A (ko) 2017-10-18
KR101969663B1 KR101969663B1 (ko) 2019-04-16

Family

ID=56150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01A KR101784141B1 (ko) 2014-12-26 2015-12-25 다공질 중공사막
KR1020177027000A KR101969663B1 (ko) 2014-12-26 2015-12-25 다공질 중공사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201A KR101784141B1 (ko) 2014-12-26 2015-12-25 다공질 중공사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01883B2 (ko)
EP (1) EP3238814B1 (ko)
JP (1) JP6245281B2 (ko)
KR (2) KR101784141B1 (ko)
CN (1) CN107106998B (ko)
AU (1) AU2015368335B2 (ko)
HU (1) HUE051691T2 (ko)
WO (1) WO2016104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753B2 (en) 2015-08-31 2019-10-29 Toray Industries, Inc.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CN108137843A (zh) * 2015-09-29 2018-06-08 东丽株式会社 多孔成形体
HUE061492T2 (hu) * 2015-12-28 2023-07-28 Toray Industries Üreges szálas membránmodul és eljárás annak üzemeltetésére
WO2017146211A1 (ja) * 2016-02-25 2017-08-31 東レ株式会社 多孔質中空糸膜
EP3466527B1 (en) * 2016-05-31 2024-04-03 Toray Industries, Inc. Porous hollow-fiber membran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KR102281508B1 (ko) * 2016-06-24 2021-07-2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 및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의 운전 방법
US11235989B2 (en) * 2016-06-24 2022-02-01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composit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operation method for composite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85539A (ko) 1972-01-03 1973-11-13
JPS4931796B1 (ko) * 1970-12-30 1974-08-24
JPS6422003A (en) 1987-07-17 1989-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varistor
JP2899903B2 (ja) 1989-01-12 1999-06-0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フツ化ビニリデン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31038A1 (fr) 2001-10-04 2003-04-17 Toray Industries, Inc. Film de fibres creuses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JP2003138422A (ja) * 2001-11-02 2003-05-14 Toray Ind Inc 中空糸膜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WO2004081109A1 (ja) * 2003-03-13 2004-09-23 Kureha Chemical Industry Company Limited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97383A (ja) 2005-03-25 2006-11-02 Toray Ind Inc 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10832A1 (ja) * 2005-07-20 2007-01-25 Kureha Corporation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中空糸多孔膜
KR20070031330A (ko) * 2004-06-15 2007-03-19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중공사 다공 수여과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102012A (ko) * 2006-04-13 2007-10-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막대형 입자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불화비닐리덴계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6202A (en) 1979-10-15 1981-05-18 Asahi Chem Ind Co Ltd Hollow porous membrane yarn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type resin
US5022990A (en) 1989-01-12 1991-06-1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olyvinylidene fluoride porous membra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0341935C (zh) * 2003-03-13 2007-10-10 株式会社吴羽 1,1-二氟乙烯类树脂多孔膜及其制造方法
AU2005254358B2 (en) * 2004-06-15 2011-03-10 Kureha Corporation Hollow-fiber porous water filtration membrane of vinylidene fluorid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931796B2 (ja) * 2005-02-15 2012-05-16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中空糸多孔膜、それを用いる水の濾過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32331A1 (ja) * 2005-09-14 2009-03-19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中空糸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52289B2 (ja) * 2009-09-04 2014-07-16 株式会社クレハ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膜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1796B1 (ko) * 1970-12-30 1974-08-24
JPS4885539A (ko) 1972-01-03 1973-11-13
JPS6422003A (en) 1987-07-17 1989-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nufacture of varistor
JP2899903B2 (ja) 1989-01-12 1999-06-02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フツ化ビニリデン多孔膜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3031038A1 (fr) 2001-10-04 2003-04-17 Toray Industries, Inc. Film de fibres creuses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KR20040041091A (ko) * 2001-10-04 2004-05-13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3138422A (ja) * 2001-11-02 2003-05-14 Toray Ind Inc 中空糸膜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WO2004081109A1 (ja) * 2003-03-13 2004-09-23 Kureha Chemical Industry Company Limited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31330A (ko) * 2004-06-15 2007-03-19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불화비닐리덴계 수지 중공사 다공 수여과막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297383A (ja) 2005-03-25 2006-11-02 Toray Ind Inc 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10832A1 (ja) * 2005-07-20 2007-01-25 Kureha Corporation 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中空糸多孔膜
KR20070102012A (ko) * 2006-04-13 2007-10-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막대형 입자를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불화비닐리덴계다공성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663B1 (ko) 2019-04-16
AU2015368335B2 (en) 2018-06-14
EP3238814A4 (en) 2018-06-27
JPWO2016104743A1 (ja) 2017-06-08
KR101784141B1 (ko) 2017-10-10
CN107106998A (zh) 2017-08-29
KR20170083637A (ko) 2017-07-18
US9901883B2 (en) 2018-02-27
US20170348649A1 (en) 2017-12-07
WO2016104743A1 (ja) 2016-06-30
HUE051691T2 (hu) 2021-10-28
EP3238814B1 (en) 2020-08-12
JP6245281B2 (ja) 2017-12-13
EP3238814A1 (en) 2017-11-01
CN107106998B (zh) 2018-06-12
AU2015368335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41B1 (ko) 다공질 중공사막
KR102281519B1 (ko) 중공사막 모듈
JP4835221B2 (ja) 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8269A (ko) 중공사막 모듈 및 그의 운전 방법
KR102274763B1 (ko)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 및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의 운전 방법
KR102267825B1 (ko) 다공질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81508B1 (ko)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 및 복합 다공질 중공사막 모듈의 운전 방법
JP2018171557A (ja) 多孔質中空糸膜
KR102524285B1 (ko) 다공질 중공사막
JP6662305B2 (ja) 多孔質中空糸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